KR100792927B1 -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927B1
KR100792927B1 KR1020060115490A KR20060115490A KR100792927B1 KR 100792927 B1 KR100792927 B1 KR 100792927B1 KR 1020060115490 A KR1020060115490 A KR 1020060115490A KR 20060115490 A KR20060115490 A KR 20060115490A KR 100792927 B1 KR100792927 B1 KR 10079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a
tank
main
auxiliary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01N3/208Control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e.g. dosing of reducing a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6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 temperature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86Means to prevent the substance from free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동결된 냉시동 조건에서 주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공급 가능한 상태로 해동될 때까지 요소 수용액을 별도로 공급하는 소용량의 보조 요소탱크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 내의 동결된 요소 수용액을 공급 가능한 상태로 순간적으로 해동시켜 주는 보조히팅장치를 구비하고, 요소 수용액이 선택된 요소탱크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는 유로를 상기 주 요소탱크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에 연결된 요소공급라인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하는 방향절환용 밸브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시동 조건의 초기 시동시에는 소용량의 보조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을 보조히팅장치를 이용해 우선적으로 해동한 뒤 SCR 후처리용으로 공급하여, 냉시동 조건의 초기 시동시에 더욱 신속히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초기 출발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초기 시동 후 NOx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SCR, Urea, 요소, 듀얼, 탱크, 히팅장치, 냉시동, 출발시간 단축, 배기가스 저감, NOx

Description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Urea Supply System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1은 냉시동시에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반 주행시에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의 온도센서와 ECU, 이 ECU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도센서 2 : 온도센서
3 : ECU 10 : 주 요소탱크
11 : 주히팅장치 12 : 히팅코일
13 : 요소공급펌프 14 : 요소공급라인
15 : 탱크 간 요소공급라인 16 : 유로단속용 밸브수단
20 : 보조 요소탱크 21 : 보조히팅장치
22 : 히팅코일 23 : 요소공급펌프
24 : 요소공급라인 25 : 방향절환용 밸브수단
26 : 요소공급라인
본 발명은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동결된 냉시동 조건에서 주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공급 가능한 상태로 해동될 때까지 요소 수용액을 별도로 공급하는 소용량의 보조 요소탱크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 내의 동결된 요소 수용액을 공급 가능한 상태로 순간적으로 해동시켜 주는 보조히팅장치를 구비하고, 요소 수용액이 선택된 요소탱크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는 유로를 상기 주 요소탱크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에 연결된 요소공급라인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하는 방향절환용 밸브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형태에 따라서 승용차나 버스, 트럭 등으로 분류하지만, 같은 차종이라도 사용하는 연료에 따라서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는 가솔린 차량이나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 디젤 차량,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LPG 차량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 중에서 디젤 차량의 엔진은 저연비이면서 고출력 및 고부하의 운전이 가능하여 그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디젤 차량에 의한 대기오염은 주로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NOx와 PM에 의한 것이며, 총 대기오염의 약 40%를 차지할 정도로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국에서는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규제를 점차 강화하고 있다.
2005년부터 시작된 EURO 4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초기에는 디젤산화촉매(Diesel Oxidize Catalyst;DOC)를 적용하였으며, 점차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디젤입자상물질필터(Diesel Particulate matter Filter;DPF)를 추가로 적용하여 대응하고 있다.
현재 및 향후의 배기가스 규제도 이러한 배출가스 물질들을 상당량 줄이려고 강화되고 있으나, NOx와 PM은 서로 반비례관계가 있어 NOx를 줄이면 PM이 증가하고, 반대로 PM을 줄이려면 NOx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2008년 이후부터 시작되는 EURO 5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 규제에서는 특히 NOx를 EURO 4 규제의 1/10로 더 저감시켜야 하나,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디젤 차종에 대해 NOx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시스템을 갖춘 차량이 없는 실정이다.
디젤 차량은 산소 과잉분위기에서 연소되므로 가솔린 엔진에 비해 유해물질인 NOx의 발생량이 상당히 많고, 린번 분위기에서 연소되므로 NOx를 제거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NOx 저감을 위한 후처리 기술로서 가장 활발히 개발 진행되고 있는 것이 Urea(요소)-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시스템이다.
상기 Urea-SCR 시스템은 요소를 수용액 형태로 배기가스 라인에 분사하여 NOx와 NH2-CO-NH2(요소;Urea)를 반응시켜 NOx를 N2 + O2 로 변환시키는 시스템이다.
상기 Urea-SCR 시스템은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로부터 배기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유해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촉매기와, 상기 배기파이프에 설치되어 에어공급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요소를 주입하는 인젝터와, 요소탱크 내의 요소를 상기 인젝터로 공급하는 요소공급펌프와, 상기 촉매기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의 입력신호와 엔진 측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인젝터에 요소주입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ECU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촉매기의 온도센서 측에서 제공되는 온도 데이터와 엔진 측에서 제공되는 rpm 데이터는 ECU로 입력되고, 상기 ECU는 입력된 온도 데이터 및 rpm 데이터를 토대로 전체 배기가스량 중에서 NOx 량을 산출한 후 이때의 산출값에 의거하여 인젝터에 요소주입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ECU가 산출값에 따른 요소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소주입 제어신호를 인젝터에 제공하여 이를 듀티제어하게 되며, 인젝터는 요소공급펌프를 통해 요소탱크로부터 유입된 요소를 배기파이프로 주입하게 된다.
이렇게 주입된 요소는 NOx와 반응하여 이를 N2 와 O2 로 변환시키게 되며, 촉매기를 거치면서 정화된 배기가스는 중간 배기파이프를 통해 소음기로 공급된 다음 엔드 파이프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Urea-SCR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동절기에는 요소탱크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빙결점 -11℃)이 동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요소탱크에서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지 못하므로 NOx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요소탱크 내에 히팅코일을 설치하여 구성한 히팅장치를 구비하고, 요소탱크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이 동결된 경우에 상기 히팅장치를 이용하여 요소탱크 내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을 해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요소탱크의 히팅장치를 이용하더라도 초기 시동 후 차량 출발시까지 필요한 만큼의 요소 수용액을 해동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며, 특히 요소탱크의 용량이 크므로 요소 수용액의 공급이 가능한 상태로 해동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요소 수용액이 원활히 공급되기 전까지는 NOx 제거가 불가능하므로 동절기의 초기 시동 후에는 NOx 배출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결국, 냉시동시에 더욱 신속히 요소 수용액을 공급하여 차량의 초기 출발 소요 시간을 보다 단축하고 초기 시동 후 NOx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개선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냉시동 조건의 초기 시동시에는 소용량의 보조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을 보조히팅장치를 이용해 우선적으로 해동한 뒤 SCR 후처리용으로 공급하여, 냉시동 조건의 초기 시동시에 더욱 신속히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초기 출발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초기 시동 후 NOx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요소 수용액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으면서 ECU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주히팅장치를 구비한 주 요소탱크와, 상기 주 요소탱크 내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을 펌핑하여 요소공급라인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요소공급펌프를 포함하는 Urea-SCR 시스템의 요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요소 수용액이 별도 저장되고, 상기 주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동결된 냉시동 조건에서 상기 주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공급 가능한 상태로 해동될 때까지, 저장된 요소 수용액을 별도 요소공급라인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보조 요소탱크와; 상기 ECU에 의해 구동제어되면서 상기 보조 요소탱크 내의 동결된 요소 수용액을 공급 가능한 상태로 순간 해동시키기 위한 보조히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요소탱크의 요소공급라인상에 설치되고, 상기 ECU에 의해 구동제어되면서 상기 보조 요소탱크 내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을 펌핑하여 요소공급라인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별도 요소공급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요소탱크에는 요소 수용액의 온도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ECU에 입력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ECU가 주 요소탱크의 온도센서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의 온도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주 요소탱크의 요소공급펌프와 보조 요소탱크의 요소공급펌프를 구동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 요소탱크의 요소공급라인과 보조 요소탱크의 요소공급라인이 연결된 방향절환용 밸브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ECU가 주 요소탱크의 온도센서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의 온도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방향절환용 밸브수단을 구동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요소탱크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탱크 간 요소공급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탱크 간 요소공급라인에는 유로단속용 밸브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주 보조탱크의 요소공급펌프와 상기 유로단속용 밸브수단이 상기 ECU에 의해 구동제어되면서 상기 보조 요소탱크가 상기 주 요소탱크의 요소 수용액을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동결되는 냉시동 조건에서 초기 출발시간의 단축 및 초기 시동 후 NOx 배출량의 저감을 위하여 기존 장착된 주 요소탱크 외에 냉시동 조건에서만 요 소 수용액을 공급하게 되는 보조 요소탱크가 추가로 설치된 듀얼 탱크 방식의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1은 냉시동시에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 2는 일반 주행시에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의 온도센서와 ECU, 이 ECU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구성요소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 장착된 주 요소탱크(10) 외에 상대적으로 소용량인 보조 요소탱크(20)가 추가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보조 요소탱크(20) 내에 히팅코일(22)을 설치하여 구성한 보조히팅장치(21)가 추가된다.
물론, 주 요소탱크(10)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히팅코일(12)을 설치하여 구성한 주히팅장치(11)가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이는 주 요소탱크(10) 내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이 동결된 상태일 경우 동결된 요소 수용액을 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 요소탱크(20)는 초기 시동 후 주 요소탱크(10) 내 동결된 요소 수용액이 공급 가능한 상태로 해동될 때까지 Urea-SCR 시스템에서 소요되는 요소 수용액의 양이 저장될 수 있는 소용량(인젝터로 분사하여 NOx를 제거할 수 있는 양, 즉 SCR 후처리용으로 사용 가능한 양이어야 함)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보조 요소탱크(20) 내에 요소 수용액이 별도로 수용된 상태에서, 냉시동 조건의 초기 시동시에는 소용량의 보조 요소탱크(20) 내 요소 수용액을 보 조히팅장치(21)를 이용해 우선적으로 해동한 뒤 보조 요소탱크(20)로부터 SCR 후처리에 필요한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요소 공급 장치에서 주 요소탱크(10)에 대해 구성되는 주히팅장치(11)와 보조 요소탱크(20)에 대해 구성되는 보조히팅장치(21)는 모두 ECU(3)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비되며, 각 히팅코일(12,22)의 온/오프 작동이 ECU(3)의 제어하에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주 요소탱크(10)와 보조 요소탱크(20)에는 저장된 요소 수용액의 온도상태를 알 수 있도록 온도센서(1,2)가 각각 설치되며, 이 온도센서(1,2)는 해당 탱크(10,20)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의 온도상태를 검출하여 그 검출값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ECU(3)에 제공할 수 있도록 각각 ECU(3)에 신호 입력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보조 요소탱크(20)의 요소공급라인(24)에는, 주 요소탱크(10)의 요소공급라인(14)에 설치된 요소공급펌프(13)와 마찬가지로, ECU(3)에 의해 구동제어되면서 보조 요소탱크(20)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을 펌핑하여 공급하기 위한 요소공급펌프(2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주 요소탱크(10)와 보조 요소탱크(20) 사이에는 탱크 간 요소공급라인(15)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탱크 간 요소공급라인(15)에는 ECU(3)에 의해 구동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면서 상기 탱크 간 요소공급라인(15)의 유로를 단속하기 위한 유로단속용 밸브수단(16)이 설치된다.
그리고, Urea-SCR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해 저장된 NOx 후처리용 요소 수용 액이 배출되는 각 요소탱크(10,20)의 출구부에는 각각 요소 수용액의 공급을 위한 요소공급라인(14,24)이 연결되어 있는데, 각 탱크(10,20)의 요소공급라인(14,24)은 ECU(3)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방향절환용 밸브수단(25)의 해당 입구단에 연결되고, 상기 방향절환용 밸브수단(25)의 출구단에는 요소 수용액을 인젝터(미도시됨)에 의해 주입될 수 있도록 공급하기 위한 별도 요소공급라인(26)이 설치된다.
결국, 상기 인젝터가 두 요소탱크(10,20)의 요소공급라인(14,24) 중에 상기 방향절환용 밸브수단(25)에 의해 연결된 하나의 요소공급라인을 통해 SCR 후처리용으로 요소 수용액을 공급받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ECU(3)가 시동키 정보를 입력받아 시동상태임을 판단하게 되면, 주 요소탱크(10)의 온도센서(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 주 요소탱크(10) 내 요소 수용액의 상태를 체크하고, 여기서 요소 수용액의 상태가 일정 온도 미만인 경우 주 요소탱크(10) 내의 요소 수용액이 동결상태인 냉시동 조건으로 판단하여 주히팅장치(11)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ECU(3)는 유로단속용 밸브수단(16)을 차단한 상태에서 보조 요소탱크(20)의 보조히팅장치(21)를 동시에 구동시키고, 이어 보조 요소탱크(20)의 온도센서(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 보조 요소탱크(20) 내 요소 수용액의 상태를 체크한다.
이때, ECU(3)는 보조 요소탱크(20) 내 요소 수용액의 상태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보조 요소탱크(20)의 요소 수용액이 공급 가능한 수준으로 해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요소공급라인(26)이 보조 요소탱크(20)로 연결된 요소공급라인(24)과 연결되도록 방향절환용 밸브수단(25)을 절환작동시키고, 이어 보조 요소탱크(20)의 요소 수용액을 펌핑하기 위한 요소공급펌프(23)를 구동시킨다.
결국, 냉시동 조건에서는 보조 요소탱크(20)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이 우선적으로 해동된 후 인젝터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냉시동 조건에서 초기 시동 후에는 보조 요소탱크(20)에서 제공되는 요소 수용액에 의해 SCR 후처리 및 NOx 제거가 이루어진다.
이후 주 요소탱크(10)의 온도센서(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ECU(3)가 주 요소탱크(10) 내 요소 수용액의 상태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주 요소탱크(10) 내 요소 수용액이 공급 가능한 상태로 해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요소공급라인(26)이 주 요소탱크(10)로 연결된 요소공급라인(14)과 연결되도록 상기 방향절환용 밸브수단(25)을 절환작동시킨다.
그리고, ECU(3)는 주 요소탱크(10)의 요소 수용액을 펌핑하기 위한 요소공급펌프(13)를 구동시키고, 또한 유로단속용 밸브수단(16)을 소정 시간 동안만 열어주게 된다.
결국, 주 요소탱크(10) 내 요소 수용액의 해동이 완료된 일반 주행상태에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주 요소탱크(10)에서 제공되는 요소 수용액이 인젝터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주 요소탱크(10)의 요소 수용액에 의해 SCR 후처리 및 NOx 제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 요소탱크(10) 내 요소 수용액 중 일부는 유로단속용 밸브수 단(16)을 통과하여 보조 요소탱크(20) 내에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된 보조 요소탱크(20) 내 요소 수용액은 이후 냉시동시에 동일한 과정으로 사용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주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동결된 냉시동 조건에서 주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공급 가능한 상태로 해동될 때까지 요소 수용액을 별도로 공급하는 소용량의 보조 요소탱크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 내의 동결된 요소 수용액을 공급 가능한 상태로 순간적으로 해동시켜 주는 보조히팅장치를 구비하고, 요소 수용액이 선택된 요소탱크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는 유로를 상기 주 요소탱크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에 연결된 요소공급라인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 연결하는 방향절환용 밸브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냉시동 조건의 초기 시동시에는 소용량의 보조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을 보조히팅장치를 이용해 우선적으로 해동한 뒤 SCR 후처리용으로 공급하여, 냉시동 조건의 초기 시동시에 더욱 신속히 요소 수용액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초기 출발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초기 시동 후 NOx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요소 수용액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으면서 ECU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주히팅장치를 구비한 주 요소탱크와, 상기 주 요소탱크 내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을 펌핑하여 요소공급라인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요소공급펌프를 포함하는 Urea-SCR 시스템의 요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요소 수용액이 별도 저장되고, 상기 주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동결된 냉시동 조건에서 상기 주 요소탱크 내 요소 수용액이 공급 가능한 상태로 해동될 때까지, 저장된 요소 수용액을 별도 요소공급라인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보조 요소탱크와;
    상기 ECU에 의해 구동제어되면서 상기 보조 요소탱크 내의 동결된 요소 수용액을 공급 가능한 상태로 순간 해동시키기 위한 보조히팅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요소탱크의 요소공급라인상에 설치되고, 상기 ECU에 의해 구동제어되면서 상기 보조 요소탱크 내에 저장된 요소 수용액을 펌핑하여 요소공급라인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별도 요소공급펌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요소탱크에는 요소 수용액의 온도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ECU에 입력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ECU가 주 요소탱크의 온도센서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의 온도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주 요소탱크의 요소공급펌프와 보조 요소탱크의 요소공급펌프를 구동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주 요소탱크의 요소공급라인과 보조 요소탱크의 요소공급라인이 연결된 방향절환용 밸브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ECU가 주 요소탱크의 온도센서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의 온도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방향절환용 밸브수단을 구동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요소탱크와 상기 보조 요소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탱크 간 요소공급라인이 설치되고, 상기 탱크 간 요소공급라인에는 유로단속용 밸브수단이 설치되 어, 상기 주 보조탱크의 요소공급펌프와 상기 유로단속용 밸브수단이 상기 ECU에 의해 구동제어되면서 상기 보조 요소탱크가 상기 주 요소탱크의 요소 수용액을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KR1020060115490A 2006-11-21 2006-11-21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KR100792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90A KR100792927B1 (ko) 2006-11-21 2006-11-21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490A KR100792927B1 (ko) 2006-11-21 2006-11-21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927B1 true KR100792927B1 (ko) 2008-01-08

Family

ID=3921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490A KR100792927B1 (ko) 2006-11-21 2006-11-21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92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375B1 (ko) 2013-04-24 2014-06-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cr 시스템의 우레아 공급 장치 및 그것의 운용 방법
KR101444172B1 (ko) 2013-06-26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의 필터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시스템
KR101484205B1 (ko) 2012-11-12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용 요소 수용액 공급 시스템의 히팅장치
KR101487305B1 (ko) 2013-06-26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세라믹필터가 구비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시스템
KR20150025796A (ko) 2013-08-30 2015-03-11 이광춘 요소수의 동결방지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요소수의 동결방지용 첨가제
KR20160091618A (ko) 2015-01-26 2016-08-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요소탱크 온도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CN106764409A (zh) * 2017-01-18 2017-05-31 吉林省众鑫汽车装备有限公司 固体氨氨气补给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284A (ko) * 2004-11-25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씨알 시스템의 요소저장탱크와 요소공급라인의 가열장치
KR100588678B1 (ko) 2003-12-30 2006-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질소 산화물 제거 장치용 유리아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678B1 (ko) 2003-12-30 2006-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질소 산화물 제거 장치용 유리아 공급 장치
KR20060058284A (ko) * 2004-11-25 2006-05-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씨알 시스템의 요소저장탱크와 요소공급라인의 가열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05B1 (ko) 2012-11-12 2015-01-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용 요소 수용액 공급 시스템의 히팅장치
KR101402375B1 (ko) 2013-04-24 2014-06-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cr 시스템의 우레아 공급 장치 및 그것의 운용 방법
KR101444172B1 (ko) 2013-06-26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의 필터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시스템
KR101487305B1 (ko) 2013-06-26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세라믹필터가 구비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동시 저감시스템
KR20150025796A (ko) 2013-08-30 2015-03-11 이광춘 요소수의 동결방지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요소수의 동결방지용 첨가제
KR20160091618A (ko) 2015-01-26 2016-08-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요소탱크 온도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CN106764409A (zh) * 2017-01-18 2017-05-31 吉林省众鑫汽车装备有限公司 固体氨氨气补给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70419B (zh) 废气再处理系统以及用于内燃机的废气再处理的方法
JP6114305B2 (ja) 排気後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操作する方法
KR100792927B1 (ko) Scr 후처리용 요소 공급 장치
US10138793B2 (e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508546B2 (ja) 排気システムを有する圧縮点火エンジン
US9388722B2 (en) Voltage control system for heating a selective catalyst reduction device
EP2131029B1 (en) Control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143075B2 (en) Exhaust gas after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exhaust gas aftertreatment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05033483A1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及び排気浄化方法
US10287946B2 (en) Exhaus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mount of urea supply
WO2012035774A1 (ja) 後処理バーナシステムの暖機方法
US20130000729A1 (en) Def pump and tank thawing system and method
WO2008126924A1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JP2008163795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10019134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CN115929443A (zh) 用于转化来自发动机的排气中的NOx排放物的EATS
WO2013180282A1 (ja) 車両用暖房装置
EP2682580B1 (en) Exhaust emissio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trol method for exhaust emission control system
KR101766127B1 (ko) 요소수 저장 탱크
JP5437890B2 (ja) 後処理バーナシステムの燃料凍結防止方法及び装置
US8020375B2 (en)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894310B1 (en) Additive supply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10127147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JPH11132035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2222447B1 (ko) 배기가스 저감 장치 및 배기가스 저감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