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796B1 - 다도체용 고정 요크 - Google Patents

다도체용 고정 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796B1
KR100791796B1 KR1020010031092A KR20010031092A KR100791796B1 KR 100791796 B1 KR100791796 B1 KR 100791796B1 KR 1020010031092 A KR1020010031092 A KR 1020010031092A KR 20010031092 A KR20010031092 A KR 20010031092A KR 100791796 B1 KR100791796 B1 KR 100791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yoke
clevis
main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0189A (ko
Inventor
가토교
Original Assignee
아사히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Insulato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Non-Reversible Transmi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의 송전선을 연장 설치하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가 회전하여도 요크 쇠장식에 의해 클레비스부가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본체(1a)가, 송전선을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다도체용 고정 요크를 측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본체(1a)의 상부 및 하부의 선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송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송전선을 연결하는 요크 쇠장식(Y1, Y2)을 접속하기 위한 클레비스부(2, 3)를 가짐과 동시에, 본체(1a)의 대략 중앙 부분에 애자 연결 부착편(4)을 갖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1)에 있어서, 상부 클레비스부(2)의 상기 개구부(2a) 안의 하부에, 상위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요크 쇠장식(Y1)의 회전에 의한 상부 클레비스부의 비틀림을 회피하는 오목부를 설치하였다.
Figure 112001013288120-pat00011
송전선, 다도체, 고정 요크, 요크 쇠장식, 클레비스, 개구부.

Description

다도체용 고정 요크{Fixing yoke for multi conductor}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요크를 송전선을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
도 2는 도 1a의 좌측면도.
도 3a는 도 1a의 A1-A1선 단면도.
도 3b는 도 1a의 A2-A2선 단면도.
도 4는 상부 클레비스부에 송전선이 부착되었을 때의 설명도.
도 5는 도 4의 C부의 확대도.
도 6은 종래의 고정 요크에 송전선을 연장 설치한 경우 그 측면에서 본 정면도.
도 7은 종래의 고정 요크의 클레비스부에 송전선이 부착되었을 때의 설명도.
도 8은 도 7의 C부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다도체용 고정 요크(고정 요크)
2: 클레비스부
2b: 오목부
2c: 노치부
3: 클레비스부
4: 애자 연결 부착편
4a, 4b: 부착 구멍
5: 연결 쇠장식
Y1, Y2: 요크 쇠장식
본 발명은, 상하에 위치하는 송전선을 애자 연결부를 사용하여 송전선 철탑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도체(多導體)용 고정 요크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상하 2 조씩의 송전선을 2 개의 연결부를 가진 애자 연결부를 사용하여 송전선 철탑에 접속할 때에 사용되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이하, 「고정 요크」)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송전선을 송전선 철탑(이하, 「철탑」)에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를 측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상기 고정 요크(10)는 주철제이고, 측방향에서 본 경우에 저변이 긴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는 본체(10a)를 갖는다. 그리고, 그 본체(10a)의 L자형 각 변의 단부에, 횡방향, 즉, 연장 설치되는 송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클레비스부(11, 1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클레비스부(11, 12)에는 평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의 요크 쇠장식(Y1, Y2)이 그 하나의 정점 부분에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상방에 위치하는 요크 쇠장식(Y1)의 다른 두 개의 정점 부분에는, 상 2 조의 송전선(도시하지 않음)이 버니어 쇠장식 등으로 이루지는 연결 쇠장식(A)을 거쳐서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하방에 위치하는 요크 쇠장식(Y2)에는, 상방에 위치하는 요크 쇠장식(Y1)과 동일하게, 하 2 조의 송전선이 각각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서 참조부호 13은 애자 연결 부착편으로서, 본체(10a)의 양측에 돌출하는 상태로 본체(10a)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애자 연결 부착편(13)의 양측부에는, 각각 연결 쇠장식(14)을 거쳐서 애자 연결부(B)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애자 연결부(B)의 타단부측(도 6의 좌측 단부측)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철탑에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고정 요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자 연결부(B)와 송전선이 부착되는 양 클레비스부(11, 12)가 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즉, 오프셋 상태에 있기 때문에, 최초에 예를 들면 상위 클레비스부(11)에 송전선을 설치할 때에, 요크 쇠장식(Y1)이 클레비스부(11) 내에서 비틀림 운동을 하여 클레비스부(11)가 파손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 요크(10)에는 최초에 상위 송전선이 부착되지만, 이 송전선이 고정 요크(10)에 부착되면, 고정 요크(10)는 애자 연결부(B)의 연결 쇠장식(14)의 축 부착부(14a)를 중심으로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즉, 애자 연결부(B)의 축심과 연결 쇠장식(A)을 거쳐서 부착되는 송전선의 신장 방향이 직선(도 7의 일점 쇄선 참조)이 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요크 쇠장식(Y1)이 클레비스부(11)의 개구부(11a) 내에서 회전하여 비틀림 운동을 하고, 요크 쇠장식(Y1)이 클레비스부(11)를 파손 또는 손상시키는 우려가 있었다.
도 8은 상기 도 7의 C부의 확대도로서, 검은 원으로 나타내는 개소가 요크 쇠장식(Y1)이 클레비스부(11)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나타내며, 또한, 흰 원으로 나타내는 개소가 접속 핀(P)과 접하고 있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요크 쇠장식(Y1)이 클레비스부(11) 내에서 회전하면, 검은 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크 쇠장식(Y1)이 클레비스부(11)에 접촉하기 때문에 손상 등의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특히 송전선의 부착시에 클레비스부가 요크 쇠장식으로 손상을 받지 않는 고정 요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본체가, 송전선을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를 측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의 선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송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송전선을 연결하는 요크 쇠장식을 접속하기 위한 클레비스부를 각각 가짐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 대략 중앙 부분에 애자 연결 부착편을 갖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레비스부의 개구부 안의 하부에, 상위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상기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회전에 따른 상기 요크 쇠장식에 의한 상기 상부 클레비스부의 비틀림을 회피하는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본체가, 송전선을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를 측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의 선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송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송전선을 연결하는 요크 쇠장식을 접속하기 위한 클레비스부를 각각 갖는 동시에,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 대략 중앙부분 애자 연결 부착편을 갖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개구부의 입구 상부에, 상위의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상기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회전에 따른 상기 요크 쇠장식에 의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비틀림을 회피하는 노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본체가, 송전선을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를 측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의 선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송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송전선을 연결하는 요크 쇠장식을 접속하기 위한 클레비스부를 각각 갖는 동시에,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 대략 중앙부분 애자 연결 부착편을 갖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개구부 안의 하부에, 상위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상기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회전에 따른 상기 요크 쇠장식에 의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뒤틀림을 회피하는 오목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개구부의 입구 상부에, 상위의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상기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회전에 따른 상기 요크 쇠장식에 의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비틀림을 회피하는 노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요크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도시하지 않은 송전선을 철탑에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를 측방향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1b는 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좌측면도, 도 3a는 도 1a의 A1-A1선 단면도, 도 3b는 도 1a의 A2-A2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상부 클레비스부에 상위 송전선을 부착하였을 때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 요크(1)는 상부 클레비스부(2) 이외의 부분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종래품과 동일이다. 즉, 고정 요크(1)는 주철제이고, 본체(1a)와, 그 본체의 상하 단부에 설치된 클레비스부(2, 3)와, 본체의 중간 위치에 설치된 애자 연결 부착편(4)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a)는 측방향에서 본 경우에 저변이 긴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본체(1a)의 L자형의 각 변의 단부에, 횡방향, 즉, 연장 설치되는 송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갖는 클레비스부(2, 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클레비스부(2, 3)에는 평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의 요크 쇠장식(Y1, Y2)이, 그 하나의 정점 부분에서 각각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클레비스부(2, 3) 중, 상부 클레비스부(2)는 그 개구부(2a) 안의 하부를 도려내어 형성된 오목부(2b)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개구부의 상부를 잘라내어 형성된 노치부(2c)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클레비스부(2)에 연결되는 상위 요크 쇠장식(Y1)의 다른 두 개의 정점 부분에는, 상 2 조의 송전선이 버니어 쇠장식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쇠장식(A: 도 4 참조)을 거쳐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클레비스부(3)에 연결되는 하위 요크 쇠장식(Y2)에는, 상위 요크 쇠장식(Y1)과 동일하게, 하 2 조의 송전선이 각각 설치된다.
도 1 및 도 2 중, 참조부호 4는 본 발명의 애자 연결 부착부에 접촉하는 애자 연결 부착편으로서, 본체(1a)의 양측에 돌출하는 상태로 본체(1a)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애자 연결편(4)의 양측부에는 부착 구멍(4a, 4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부착 구멍(4a, 4b)에는 연결 쇠장식(5)을 거쳐서 애자 연결부(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하는 부착 구멍(4a, 4b) 이외의 애자 연결 부착편(4)의 구멍은 송전선을 부착할 때에 쇠장식 등의 공구류가 부착되어 있는 구멍이다.
상기 구성의 고정 요크에 있어서, 송전선이 상부 클레비스부(2)에 접속된 후, 하부 클레비스부(3)에 송전선이 접속되기 까지의 동안에, 고정 요크는 주로 애자 연결부(B)의 연결 쇠장식(5)의 선회부(5a)를 중심으로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동반하여 요크 쇠장식(Y1)도 클레비스부(2)의 개구부 내에서 회전하지만, 요크 쇠장식(Y1)은 접속 핀(P)의 상하의 서로 반대측 부분에 접촉할 뿐으로, 클레비스부(2)의 개구부 안의 하부와 개구부의 입구 상부에 오목부(2b)와 노치부(2c)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요크 쇠장식(Y1)의 선단 및 중간점이 클레비스부(2)에 대하여 도 8의 검은 원으로 나타내는 점 접촉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클레비스부(2)의 파손이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의 미연 방지에 관해서, 도 4 및 도 4의 C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도 7과 마찬가지로 상부 클레비스부(2)에 송전선이 부착되면, 고정 요크(1)가 애자 연결부(B)의 연결 쇠장식(5)의 선회부(5a)를 중심으로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흰색 원은, 상기 도 8의 흰색 원과 마찬가지로 요크 쇠장식(Y1)과 접속 핀(P)과의 접촉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부 클레비스부(2)의 개구부에 오목부(2b)와 노치부(2c)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요크 쇠장식(Y1)은 회전하더라도, 접속핀(P)의 상하의 서로 반대측 부분에 접촉할 뿐으로, 클레비스부(2)에 접촉하지 않는다. 가령 요크 쇠장식(Y1)이 또한 회전하는 것이 있더라도, 접속 핀(P)의 상하의 서로 반대측 부분과, 오목부(2b)와 노치부(2c)에 면 접촉하고, 요크 쇠장식(Y2)으로부터 상부 클레비스부(2)에 가해지는 힘은 그들의 접촉면에 분산된다. 어떻든 간에, 클레비스부(2)의 파손이나 손상을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고정 요크(1)는 L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었지만, L형상의 저변 즉, 수평변이 상부에 위치한 위 아래가 역전한 L자 형상이어도 되고, 또한, L자 형상을 나타내지 않는 고정 요크, 즉, 중간 위치에 애자 연결 부착편(4)을 갖는 I자형의 고정 요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클레비스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고정 요크의 본체가, 송전선을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요크를 측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의 선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송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송전선을 연결하는 요크 쇠장식을 접속하기 위한 클레비스부를 각각 가짐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 대략 중앙 부분에 애자 연결 부착편을 갖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레비스부의 개구부 안의 하부에, 상위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상기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회전에 따른 상기 요크 쇠장식에 의한 상기 상부 클레비스부의 비틀림을 피하는 오목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고정 요크가 회전하더라도 클레비스부가 손상 등을 받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클레비스부의 개구부의 입구 상부에, 그 입구 상부를 잘라내어 형성된 노치부를 설치한 경우는, 클레비스부가 손상을 받는 것을 한층 더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개구부 안의 하부에, 상위의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상기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회전에 따른 상기 요크 쇠장식에 의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비틀림을 회피하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부에 형성되는 클레비스부의 개구부의 입구 상부에, 그 입구 상부를 절단하도록 형성된 노치부를 형성한 경우는, 클레비스부가 손상을 받는 것을 더욱 잘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본체가, 송전선을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를 측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의 선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송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송전선을 연결하는 요크 쇠장식을 접속하기 위한 클레비스부를 각각 가짐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 대략 중앙 부분에 애자 연결 부착편을 갖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레비스부의 개구부 안의 하부에, 상위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상기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회전에 따른 상기 요크 쇠장식에 의한 상기 상부 클레비스부의 비틀림을 회피하는 오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
  2.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본체가, 송전선을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를 측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의 선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송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송전선을 연결하는 요크 쇠장식을 접속하기 위한 클레비스부를 각각 갖는 동시에,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 대략 중앙부분 애자 연결 부착편을 갖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개구부의 입구 상부에, 상위의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상기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회전에 따른 상기 요크 쇠장식에 의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비틀림을 회피하는 노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
  3.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본체가, 송전선을 연장 설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를 측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의 선단부에 연장 설치되는 송전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송전선을 연결하는 요크 쇠장식을 접속하기 위한 클레비스부를 각각 갖는 동시에,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 대략 중앙부분 애자 연결 부착편을 갖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개구부 안의 하부에, 상위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상기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회전에 따른 상기 요크 쇠장식에 의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뒤틀림을 회피하는 오목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개구부의 입구 상부에, 상위의 송전선의 부착시에 생기는 상기 다도체용 고정 요크의 상기 송전선측이 내려가는 회전에 따른 상기 요크 쇠장식에 의한 상기 상부의 클레비스부의 비틀림을 회피하는 노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도체용 고정 요크.
KR1020010031092A 2000-06-05 2001-06-04 다도체용 고정 요크 KR1007917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7241 2000-06-05
JP2000-167241 2000-06-05
JP2001-151418 2001-05-21
JP2001151418A JP4488650B2 (ja) 2000-06-05 2001-05-21 多導体用固定ヨー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189A KR20010110189A (ko) 2001-12-12
KR100791796B1 true KR100791796B1 (ko) 2008-01-04

Family

ID=2659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092A KR100791796B1 (ko) 2000-06-05 2001-06-04 다도체용 고정 요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88650B2 (ko)
KR (1) KR100791796B1 (ko)
IT (1) ITMI20011161A1 (ko)
TW (1) TW508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9183B2 (ja) * 2007-10-03 2012-06-06 中国電力株式会社 平行クレビス
JP6132402B2 (ja) * 2013-09-27 2017-05-24 日本カタン株式会社 4導体用に変更可能な2導体用固定ヨーク及び送電線の増設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6215A (ja) * 1995-06-06 1996-12-17 Fujikura Ltd 送電線鉄塔の碍子アーム
JPH10201064A (ja) * 1997-01-10 1998-07-31 Asahi Metal Ind Ltd 圧縮型耐張クラ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架線工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8148Y2 (ko) * 1971-02-26 1975-06-03
JPH0127224Y2 (ko) * 1981-02-24 1989-08-15
JPH073774Y2 (ja) * 1989-12-20 1995-01-30 関西電力株式会社 多導体耐張碍子装置の緊線用ロック工具
JP3115111B2 (ja) * 1992-07-14 2000-12-04 旭テック株式会社 ジャンパ装置及びその装置が取付けられるヨ−ク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6215A (ja) * 1995-06-06 1996-12-17 Fujikura Ltd 送電線鉄塔の碍子アーム
JPH10201064A (ja) * 1997-01-10 1998-07-31 Asahi Metal Ind Ltd 圧縮型耐張クラ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架線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MI20011161A0 (it) 2001-05-31
JP4488650B2 (ja) 2010-06-23
KR20010110189A (ko) 2001-12-12
TW508443B (en) 2002-11-01
ITMI20011161A1 (it) 2002-12-01
JP2002064925A (ja)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1868C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CN102792530B (zh) 壁式hf组件
US5681190A (en) Torsional blade receptacle
EP1085609A1 (en) Electrical socket contact with guide rail
JP2017537451A (ja) レ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
CA2331623A1 (en) Arrangement of contact pairs for compensating near-end crosstalk for an electric plug connection
US2010004128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ducting terminal used therein
JP2019003809A (ja) 同軸コネクタ
JP2021101424A (ja)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KR100791796B1 (ko) 다도체용 고정 요크
FI123466B (fi) Koaksiaaliliitin
CN100369325C (zh) 多抽头挤压连接器
KR20210082100A (ko) 적응형 커넥터
US7331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bifurcated contact
JP5871683B2 (ja) コネクタ
CA2757909C (en) Dead end connector
CN114165095A (zh) 耐张塔
KR100348021B1 (ko) 콘택스프링
JPS59228358A (ja) 分岐用端子付バツテリーポスト用端子
JP3212763B2 (ja) 送電柱の腕金
JP3125359U (ja) 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CN216751126U (zh) 连接金具
CN217720863U (zh) 一种旋转电机的扁线绕组连接结构
CN219286320U (zh) 一种塑壳断路器的脱扣结构
KR200336931Y1 (ko) 송전선로용 v련애자장치의 6도체 지지요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