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472B1 - 회전식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숯불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472B1
KR100790472B1 KR1020070069717A KR20070069717A KR100790472B1 KR 100790472 B1 KR100790472 B1 KR 100790472B1 KR 1020070069717 A KR1020070069717 A KR 1020070069717A KR 20070069717 A KR20070069717 A KR 20070069717A KR 100790472 B1 KR100790472 B1 KR 10079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housing
rotary
roast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욱
Original Assignee
김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욱 filed Critical 김광욱
Priority to KR1020070069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모터, 상기 하우징에 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하부에 구비되는 서랍식 숯통과, 인출된 상기 숯통의 일측을 지지하는 접철식 다리가 구비되어, 숯통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접철식 다리가 인출된 숯통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숯통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숯통이 가열된 상태에서도 숯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보충 및 교체할 수 있고, 또한 육류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을 받아 하우징 외측으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받이가, 동시에 상기 회전체와 숯통 사이에 개재되어 숯불로부터의 열을 흡수하여 육류에 복사열을 전달하는 복사열전달판으로써 구비되어, 육류에 직접 열이 닿지 않아 육질을 연하게 하고, 맛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숯의 그을음 등의 접촉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숯통의 프레임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숯받침망이 단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숯불구이시 필요로 하는 화력에 따라 숯받침망의 높, 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필요로 하는 화력을 조리물에 전달할 수 있는 회전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체, 접철식 다리, 복사열전달판, 선회핀

Description

회전식 숯불구이기{ROTARY CHARCOAL ROASTE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숯불구이기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숯불구이기의 사시도,
도3는 숯받침망의 높이조절을 위한 숯통 및 숯받침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숯받침망을 경사지게 거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5는 접철식 다리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접철식 다리의 수납집으로부터 선회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접철식 다리에 의해 숯통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8은 복사열전달판에 의한 복사열이 구이실형성체 내로 전달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기름받이겸 복사열을 전달하는 복사열전달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우징 2 : 모터
3 : 구이실형성체 4 : 하부 수납체
5 : 고정돌기 6 : 캐스터
7 : 보조 숯받침망 10 : 회전체
12 : 복사열전달판 14 : 배출구
20 : 숯통 22 : 프레임
24 : 숯받침망 26 : 레버
28 : 고정슬롯 29 : 손잡이
30 : 접철식 다리 32 : 선회핀
34 : 수납집 36 : 안내슬롯
38 : 트임부 40 : 댐퍼
42 : 공기조절판 44 : 조절레버
본 발명은 회전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모터, 상기 하우징에 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하부에 구비되는 서랍식 숯통과, 인출된 상기 숯통의 일측을 지지하는 접철식 다리가 구비되어, 숯통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접철식 다리가 인출된 숯통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숯통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숯통이 가열된 상태에서도 숯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보충 및 교체할 수 있고, 또한 육류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을 받아 하우징 외측으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받이가, 동시에 상기 회전체와 숯통 사이에 개재되어 숯불로부터의 열을 흡수하여 육류에 복사열을 전달하는 복사열전달판으로써 구비되어, 육류에 직접 열이 닿지 않아 육질을 연하게 하고, 맛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숯의 그을음 등의 접촉을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숯통의 프레임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숯받침망이 단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숯불구이시 필요로 하는 화력에 따라 숯받침망의 높, 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필요로 하는 화력을 조리물에 전달할 수 있는 회전식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을 이용한 숯불구이기 특히, 옥외에서 많은 양의 육류를 구워야 하는 경우에는 숯불구이기의 사이즈가 대형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또한 연한 육질과 좋은 맛을 내기 위해서는 일정한 화력으로 충분한 시간동안 골고루 육류에 열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숯불구이기의 사이즈가 대형일 것이 요구되며, 또한 일정한 화력으로 충분한 시간동안 골고루 육류에 열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숯을 자주 보충함과 동시에 일정한 화력이 육류에 전달될 수 있도록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들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사이즈가 대형인 숯불구이기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활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숯을 수납하는 숯통이 지면과 일정한 높이 즉, 사용자가 서서 이러한 숯불구이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면과 이격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경우에 숯통에 숯을 보충하는 경우, 숯불구이기에서 인출된 숯통이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처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사용자가 가열된 숯통을 다루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일정한 화력으로 충분한 시간동안 골고루 육류에 열이 전달되록 하기 위해서, 직접 육류에 열이 닿지 않고 육류에 열이 절달되도록 하기 위해 복사열 등의 간접열을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간접열전달을 위한 재료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즉,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7948호에 게시된 '맥반석발열장치를 이용한 통닭구이기계'와 같이 가열된 맥반석의 복사열을 이용하는 경우로, 맥반석의 복사열을 이용하기 위해선 화력을 제공하는 연소실과 맥반석을 탑재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 및 다량의 맥반석이 필요하게 되는 등으로, 별도의 재료나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화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숯통 하부에 댐퍼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부가적으로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 등을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에 실용신안공보 실1981-0002074에 게시된 '야외용 구이기의 석쇠높이 조절장치'와 같이 석쇠의 높이를 조절하여 화력을 조절하는 등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등록실용신안 제0361851호에 게시된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와 같이 구이기 내부에 설치된 숯불재치대의 높이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회전식 숯불구이기 등에 이용하기에는 그 구조상의 차이로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랍식 숯통의 일측을 지지하는 접철식 다리가 구비되어, 숯통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접철식 다리가 인출된 숯통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숯통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숯통이 가열된 상태에서도 숯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보충 및 교체할 수 있는 회전식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육류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을 받아 하우징 외측으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받이가, 동시에 상기 회전체와 숯통 사이에 개재되어 숯불로부터의 열을 흡수하여 육류에 복사열을 전달하는 복사열전달판으로써 구비되어, 육류에 직접 열이 닿지 않아 육질을 연하게 하고, 맛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숯의 그을음 등의 접촉을 막을 수 있는 회전식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숯통의 프레임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숯받침망이 단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숯불구이시 필요로 하는 화력에 따라 숯받침망의 높, 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식 숯불구이기는, 하우징(1); 모터(2);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체(10); 상기 회전체 하부에 구비되는 서랍식 숯통(20); 및 인출된 상기 숯통의 일측을 지지하는 접철식 다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체(10)와 상기 숯통(20) 사이에 개재된 복사열전달판(1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사열전달판(12)은, 기울여진 상태로 설치되며, 기름이 고여 흐를 수 있도록 도랑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 외측으로 관통된 배출구(14)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숯통(20)은, 프레임(22);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 숯받침망(24); 상기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숯받침망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레버(26); 및 높이 조절된 상기 레버의 단계적인 고정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층상 고정슬롯(28)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출된 상기 숯통(20) 지지를 위한 접철식 다리(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리는 선회핀(32)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를 위한 수납집(34)이 상기 숯통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집은 상기 선회핀을 위한 안내슬롯(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집 일단 하부에는 상기 다리의 선회를 위한 트임부(3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숯통(20)은 상기 하우징(1)에 대하여, 양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숯통 하부에는 외구유입량 조절을 위한 댐퍼(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은 상기 회전체(10)가 구비된 상기 구이실형성체(3)와, 상기 숯통(20)이 결합되는 하부 수납체(4)가 상호 분리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수납체(4)에는 상기 구이실형성체(3)의 외곽을 감싸서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수납체 저면에는 캐스터(6)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숯불구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숯불구이기의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숯불구이기의 사시도이며, 도3는 숯받침망의 높이조절을 위한 숯통 및 숯받침망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4는 숯받침망을 경사지게 거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5는 접철식 다리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6은 접철식 다리의 수납집으로부터 선회하는 것을 나태내는 사시도이고, 도7은 접철식 다리에 의해 숯통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8은 복사열전달판에 의한 복사열이 구이실형성체 내로 전달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9는 기름받이겸 복사열을 전달하는 복사열전달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회전식 숯불구이기는, 하우징(1)과, 모터(2)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체(10)와, 상기 회전체 하부에 구비되는 서랍식 숯통(20) 및 인출된 상기 숯통의 일측을 지지하는 접철식 다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은 상기 회전체(10)가 구비된 상기 구이실형성체(3)와, 상기 숯통(20)이 결합되는 하부 수납체(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실형성체(3)의 전면은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전면의 개구부는 구이실형성체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과성 부재가 힌지 연결되어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이실형성체(3)와 상기 숯통(20)이 결합되는 하부 수납체(4)는 상기 구이실형성체의 외곽을 감싸서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5)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수납체의 저면에는 캐스터(6)가 구비되어 필요한 장소로의 이동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구이실형성체(3)와 상기 숯통(20)이 결합되는 하부 수납체(4)는 상호 분리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는 숯불구이기의 사용 전 또는 후의 보관이나 이동의 편의성과 조리 전 또는 후에 육즙이나 그을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리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이실형성체(3)와 상기 숯통(20)이 결합되는 하부 수납체(4) 사이에는 보조 거름망(7)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구이실형성체에서 낙하하는 조리물 등이 숯받침망(24)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2)는 하우징(1) 내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체(10)를 회전하게 하는 동력원이며, 상기 모터는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스텝핑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육류의 조리정도에 따라 회전체의 속도를 조절하여 개인의 취향과 조리정도의 선택을 다양하게 하여 양질의 숯불구이를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10)는 하우징(1)의 구이실형성체(3)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2)를 회전동력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체는 육류의 다양한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수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꼬이가 회전체와 직각 내지 일정한 각을 형성하고, 또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회전체가 다수 구비되고, 상하 회전하는 로터링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숯통(20)은 상기 회전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 숯받침망(24)과, 상기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숯받침망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레버(26) 및 높이 조절된 상기 레버의 단계적인 고정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층상 고정슬롯(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숯통(20)의 프레임(22)은 상기 하우징(1)에 대하여 양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더욱 자세하게는 하우징의 하부 수납체(4)에 양방향으로 인출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박스형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양측 또는 일측에 하우징의 하부 수납체에서 인출하는 손잡이(29)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숯받침망(24)은 프레임(22)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숯받침망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레버(26)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고정슬롯(28)을 승, 하강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숯받침망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26)는 프레임(22)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고정슬롯(28)에 승,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의 일측은 프레임의 내측으로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의 타측은 고정슬롯(28)을 통해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설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의 중단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홈이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높이가 조절된 상기 레버(26)의 단계적인 고정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22)에는 층상으로 형성된 고정슬롯(28)들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레버(26)와 고정슬롯(28)은 레버의 중단에 형성된 소정의 폭 갖는 홈이 고정슬롯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숯받침망(24)이 프레임(22)의 내측으로 돌설된 레버의 일측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레버(26)의 홈이 고정슬롯에 끼워져 숯받침망의 무게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레버는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 내측을 가로지르고,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설되게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레버(26)와 고정슬롯(28)들에 의하여 프레임(22) 내부에 숯받침망(24)의 높이를 조절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숯받침망에 구비된 레버를 프레임에 구비된 고정슬롯의 하단에 고정하게되면, 상기 구이실형성체(3)와의 숯받침망(24)과의 거리가 멀어지되, 약한 화력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역으로 높이는 경우에는 강한 화력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숯받침망(24)의 양단을 동일한 높이로 조절하는 것뿐만 아니라, 한쪽 단부만을 높이거나 낮추어 경사지게 조절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구이 실형성체(3) 내의 조리물들에 대하여 동시에 화력의 정도를 달리하여 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숯통(20) 하부에 구비되어, 외구유입량을 조절하는 댐퍼(40)보다 상기 숯받침망(24)을 아래에 위치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슬롯(28)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에 의한 화력조절수단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된 상기 숯통(2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접철식 다리(30)가 구비된다. 상기 접철식 다리는 선회핀(32)을 포함하고, 상기 접철식 다리를 위한 수납집(34)이 상기 숯통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집은 상기 선회핀을 위한 안내슬롯(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집 일단 하부에는 상기 접철식 다리의 선회를 위한 트임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철식 다리(30)의 선회핀(32)은 상기 수납집(34)의 일단부에서 선회하여 숯통을 지지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수납집의 숯통의 하부에 상기 선회핀을 위한 안내슬롯(36)이 형성되며, 상기 절첩식 다리의 선회를 위한 트임부(38)가 상기 수납집의 일단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철식 다리(30)는 숯통(20) 하부 뿐만 아니라, 숯통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와 같이 수납집(34)과 안내슬롯(36) 등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다수개을 형성하여 숯통의 지지하는 경우에는 그 지지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의 접철식 다리(30)에 의해 상기 숯통(20)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어 가열 중의 상태에서 숯을 보충하고 교체하기 위해 숯통을 인출하는 경우에 숯통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숯통의 일측을 지지하는 접철식 다리가 구비되어, 숯통의 처짐이 없이 숯을 용이하게 보충하고 교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숯통(20) 하부에는 외구유입량 즉,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댐퍼(40)가 구비되어, 이에 의해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숯통의 양측에는 상기 댐퍼를 동시에 개폐가능하게 하는 공기조절판(42)이 형성되어 있어 다수의 댐퍼를 각각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개폐할 수 있어 공기유입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판(42)은 상기 숯통(20)에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조절판과 연결되어 숯통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레버(44)가 구비된다. 즉, 상기 공기조절판에는 상기 댐퍼(40)에 대응되는 다수의 유입구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조절레버를 일측으로 옮겨 외구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0)와 상기 숯통(20) 사이에 복사열전달판(12)을 구비하여 상기 복사열전달판이 숯불로부터의 열을 흡수하여 조리물에 열을 간접적으로 전달하게 하여 육질을 연하게 하고, 좋은 맛을 내게 할 수 있다. 이는 숯불을 이용하여 조리를 하는 경우 직접 열을 조리물에 가하게 되면 조리물이 타거나, 숯불에 의한 그을음 등이 조리물에 고착되어 육질이 딱딱해지거나, 검게 되어 좋은 맛을 낼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복사열전달판(12)은 기울여진 상태로 설치되어, 기름이 고여 흐를 수 있도록 도랑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 외측으로 관통된 배출구(14)가 구 비된다. 이는 일반적인 기름받이를 이용하므로써, 별도의 복사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접열을 이용하는 한편, 기름받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할 수 있어 추가적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원으로 숯불을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스 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조리를 시작하는 초기에 가스 등의 열원으로 예열을 위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가스 등의 열원을 사용할 수 있는 화구를 구비하여 보다 폭 넓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밝힌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회전식 숯불구이기는, 서랍식 숯통의 일측을 지지하는 접철식 다리가 구비되어, 숯통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접철식 다리가 인출된 숯통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함으로써, 숯통이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숯통이 가열된 상태에서도 숯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보충 및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육류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을 받아 하우징 외측으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받이가, 동시에 상기 회전체와 숯통 사이에 개재되어 숯불로부터의 열을 흡수하여 육류에 복사열을 전달하는 복사열전달판으로써 구비되어, 육류에 직접열이 닿지 않아 육질을 연하게 하고, 맛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숯의 그을음 등의 접촉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숯통의 프레임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숯받침망이 단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숯불구이시 필요로 하는 화력에 따라 숯받침망의 높, 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필요로 하는 화력을 조리물에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하우징;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 하부에 구비되는 서랍식 숯통; 및
    인출된 상기 숯통의 일측을 지지하는 접철식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회전식 숯불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상기 숯통 사이에 개재된 복사열전달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숯불구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전달판은,
    기울여진 상태로 설치되며, 기름이 고여 흐를 수 있도록 도랑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관통된 배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숯불구이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 숯받침망;
    상기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숯받침망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레버; 및
    높이 조절된 상기 레버의 단계적인 고정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층상 고정슬롯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숯불구이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출된 상기 숯통 지지를 위한 접철식 다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리는 선회핀을 포함하고,
    상기 다리를 위한 수납집이 상기 숯통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집은 상기 선회핀을 위한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집 일단 하부에는 상기 다리의 선회를 위한 트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숯불구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양방향으로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다리는 상기 숯통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숯 불구이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 하부에는 외구유입량 조절을 위한 댐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숯불구이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전체가 구비된 상기 구이실형성체와,
    상기 숯통이 결합되는 하부 수납체가 상호 분리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숯불구이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체에는 상기 구이실형성체의 외곽을 감싸서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수납체 저면에는 캐스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숯불구이기.
KR1020070069717A 2007-07-11 2007-07-11 회전식 숯불구이기 KR10079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717A KR100790472B1 (ko) 2007-07-11 2007-07-11 회전식 숯불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717A KR100790472B1 (ko) 2007-07-11 2007-07-11 회전식 숯불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472B1 true KR100790472B1 (ko) 2008-01-03

Family

ID=3921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717A KR100790472B1 (ko) 2007-07-11 2007-07-11 회전식 숯불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7080A (zh) * 2014-12-18 2015-03-11 济南粤兴伟能酒店设备有限公司 木炭式巴西烤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59A (ja) * 1995-06-20 1997-01-07 Green Life:Kk バーベキューこんろ
KR980008142A (ko) * 1998-02-20 1998-04-30 오순자 통닭 숯불구이장치
KR200317013Y1 (ko) 2003-03-12 2003-06-19 김태순 육류구이기
KR200347663Y1 (ko) 2004-01-05 2004-04-13 김종희 숯불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59A (ja) * 1995-06-20 1997-01-07 Green Life:Kk バーベキューこんろ
KR980008142A (ko) * 1998-02-20 1998-04-30 오순자 통닭 숯불구이장치
KR200317013Y1 (ko) 2003-03-12 2003-06-19 김태순 육류구이기
KR200347663Y1 (ko) 2004-01-05 2004-04-13 김종희 숯불 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7080A (zh) * 2014-12-18 2015-03-11 济南粤兴伟能酒店设备有限公司 木炭式巴西烤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7157B2 (en) Cooking station and system with removable insert having multiple cooking modes
US20130180412A1 (en) Cooking grill
US20160235078A1 (en) Universal Barbeque System
US20050121018A1 (en) Combination barbeque grill, smoker and fireplace
KR200466279Y1 (ko) 난로 겸용 구이기
US20130055906A1 (en) Roasting and/or grilling apparatus and heating insert for a roasting and/or grilling apparatus of this kind
NO338045B1 (no) Røkgenererende anordning for en utegrill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US20060081235A1 (en) Cooking appliance with stationary grate and moveable heat source
KR100790472B1 (ko) 회전식 숯불구이기
KR102113271B1 (ko)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KR101300863B1 (ko) 숯불 구이기
EP2416685A1 (en) Solid fuel outdoor cooking device
KR102024014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101493896B1 (ko)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구비하는 숯불 구이기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101671629B1 (ko)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100845099B1 (ko) 물 순환이 이루어지는 구이기
JP4176258B2 (ja) 加熱調理器
KR101248096B1 (ko) 그릴 조리 장치
KR200242492Y1 (ko) 할로겐램프가 설치된 구이기
CN218791878U (zh) 一种燃气烧烤炉
KR102467135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1033698B1 (ko) Y형 석쇠 및 이를 이용한 회전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