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760B1 - 발포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발포체 및 동축 절연케이블 - Google Patents

발포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발포체 및 동축 절연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760B1
KR100789760B1 KR1020067014712A KR20067014712A KR100789760B1 KR 100789760 B1 KR100789760 B1 KR 100789760B1 KR 1020067014712 A KR1020067014712 A KR 1020067014712A KR 20067014712 A KR20067014712 A KR 20067014712A KR 100789760 B1 KR100789760 B1 KR 100789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whisker
electrically insulating
composition
insulate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583A (ko
Inventor
타카요시 오노
신야 야마다
마사토 요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Publication of KR2007000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4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85Use of fibrou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 H01B3/445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from vinylfluorides or other fluoroethyle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발포성 조성물에 있어서, 불소 수지, 및 전기절연성 위스커를 함유시킨 발포성 조성물을 제작하고, 이 발포성 조성물을 발포제를 혼합해서 발포시킴으로써, 발포되는 기포의 지름이 작은 불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발포된 발포체의 기포지름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을 중심도체의 주위에 배치한 동축 절연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포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발포체 및 동축 절연 케이블{EXPANDABLE RESIN COMPOSITION, EXPANDED ARTICLE USING THE SAME AND COAXIAL INSULATED CABLE}
불소 수지를 함유한 조성물을 발포한 발포체는, 동축 절연 케이블의 도체의 절연층을 비롯해서 절연체층, 완충체층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동축 절연 케이블을 예로 들면, 중심도체의 주위에 형성되는 절연층으로서 불소 수지를 함유한 발포체로 한 경우에는, 발포체층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유전율이 작은 것이 얻어지므로, 신호의 고속전송이 가능하며, 전기신호의 감쇠가 작고 특성이 우수한 케이블을 얻을 수 있다.
발포체층의 형성은, 불소 수지 등의 조성물을 용융해서 성형할 때에 동시에 발포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으며, 불소 수지를 함유한 조성물의 발포에 있어서는, 발포제로서 질소 등의 기체를 이용하고, 발포핵제로서는 질화 붕소가 이용되고 있다. 발포체층의 유전율은, 발포체층의 기공율에 좌우되므로, 기공율을 크게 해서 유전율이 작은 발포체층이 요구되고 있다.
발포핵제로서 사용하는 질화 붕소는 흡습성이 없고, 또 전기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서, 동축 절연 케이블의 절연용 발포체층을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발포핵제로서는 바람직한 성분이지만, 형성되는 기포가 크고, 특히 중심도체의 선지름이 작아 절연층의 두께가 얇은 동축 절연 케이블에 요구되는 미세한 기포의 형성에는 불충분한 것이며, 보다 미세한 기공을 형성할 수 있는 발포 조성물 및 발포체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불소 수지를 함유한 발포체에 있어서, 큰 기공율로 미세한 기포를 형성할 수 있는 발포용 조성물, 발포체 및 동축 절연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발포성 조성물에 있어서, 불소 수지, 및 전기절연성 위스커를 함유하는 발포성 조성물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전기절연성 위스커가 붕산 알루미늄, 붕산 마그네슘, 티탄산 칼륨, 질화 규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발포성 조성물이다.
또한 합성수지 발포체에 있어서, 불소 수지 및 전기절연성 위스커를 갖는 조성물을 발포제를 혼합해서 발포시킨 발포체이다.
또한 동축 절연 케이블에 있어서, 중심도체의 주위에 불소 수지 및 전기절연성 위스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발포시킨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을 갖는 동축 절연 케이블이다.
본 발명의 발포성 조성물은 불소 수지를 함유한 발포성 조성물을, 위스커를 발포핵제로 해서 발포를 행한 것이며, 형성된 발포체는 미세한 기포를 갖는 것이며, 발포체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정된 성능의 발포체층이 얻어지므로,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동축 절연 케이블용의 절연층으로서 유용한 발포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비교예를 설명하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비교예를 설명하는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서술한다.
본원 발명은 발포핵제로서 전기절연성 위스커를 이용함으로써, 질화 붕소 입자를 발포핵제로 한 경우에 비해서 미세한 독립 기포를 갖는 발포체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즉, 지금까지 발포핵제로서 이용되고 있던 질화 붕소는, 입자상, 인편상(鱗片狀) 입자가 이용되고 있었지만, 뜻밖에도 수염형상의 절연성의 위스커를 이용함으로써 발포율이 커서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발견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포핵제로서 사용 가능한 위스커로서는,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절연성의 세라믹계의 위스커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붕산 알루미늄 위스커, 붕산 마그네슘 위스커, 티탄산 칼륨 위스커, 질화 규소 위스커로부터 선택되는 위스커를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복수종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붕산 알루미늄 위스커로서는, 시코쿠카세이제의 아르보렉스Y(개수 평균 지름 0.5∼1㎛ 개수 평균 길이 10∼30㎛)를 들 수 있다. 또한 티탄산 칼륨 위스커로서는, 오츠카카가쿠제의 티스모D(개수 평균 지름 0.2∼0.5㎛ 개수 평균 길이 10∼20㎛)를 들 수 있다.
또한 발포 조성물중의 절연성 위스커는 발포 조성물중에 0.1~5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1질량%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절연성 위스커의 양이 0.1질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발포율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5질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기포가 크게 되거나, 전기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하는 전기절연성 위스커는, 애스펙트비가 10∼100정도이며, 지름이 0.1㎛∼1㎛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보다 큰 위스커로는, 미세한 기포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용 조성물, 및 발포체에 이용하는 불소 수지로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부틸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불화 비닐리덴 등의 열가소성 불소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체의 발포는, 용융한 조성물중에 질소 등의 기체를 발포제로서 주입하거나, 또는 가열에 의해 열분해해서 기체를 발생시키는 발포성 물질 등을 발포 수지 조성물에 혼합함으로써 행해도 좋다.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1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플루오로알킬비닐 공중합체(미츠이· 듀폰 플루오로케미칼제 FEP5100J) 99.5질량%, 붕산 알루미늄 위스커(시코쿠카세이제 아르보렉스Y) 0.5질량%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압출기에 있어서 다이 온도 380℃에서 압출성형하고, 0.52MPa의 질소를 주입하고, 압출기에 부착된 헤드를 주행하는 지름 0.511mm의 은도금 연동선 상에 발포성형에 의해 외경 1.44mm의 발포체층을 형성하고, 동축 절연 케이블용의 중심도체의 주위에 발포체층에 의한 피복체를 형성했다. 얻어진 발포체층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이하의 식1에 의해, 유전율ε을 구하고, 얻어진 유전율에 기초하여 기공율V(%)을 구했다.
식1 ε=(C×log(D/d))/24.16
여기에서, C:1m당의 정전용량(pF)
D:외경(mm)
d:도체의 지름(mm)
식2 V=(1-logε/logεf)×100
여기에서, εf:발포체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발포전의 유전율
단위길이당의 정전용량: 75.2pF/m, 유전율ε은 1.400, 기공율은 54.6%였다.
또한 얻어진 중심도체의 피복체를 그 축에 수직인 면에서 절단하고,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현미경 사진을 도1에 나타낸다.
임의로 추출한 50개의 기포의 평균 지름은 24.2㎛였다.
비교예1
실시예1에 있어서 이용한 발포용 조성물을, 질화 붕소 입자를 발포제로서 혼합한 불소 수지 조성물(듀폰제 FR5030)로 바꾼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해서 발포체층을 갖는 중심도체의 피복체를 제작하여,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정전용량을 측정했다. 정전용량 77pF/m, 유전율ε은 1.434, 기공율은 51.4%였다.
또한 얻어진 중심도체의 피복체를 그 축에 수직인 면에서 절단하고,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현미경 사진을 도2에 나타낸다.
임의로 추출한 50개의 기포의 평균 지름은 41.7㎛였다.
비교예2
실시예1에서 사용한 붕산 알루미늄 위스커를 붕산 알루미늄 입자(시코쿠카세이제 아르보라이트03T 개수 평균 입경 3㎛)로 바꾼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해서 발포체층을 갖는 중심도체의 피복체를 제작하여,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해서 정전용량을 측정했다. 정전용량 78.5pF/m, 유전율ε은 1.462, 기공율은 48.8%였다.
또한 얻어진 중심도체의 피복체를 그 축에 수직인 면에서 절단하고,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현미경 사진을 도3에 나타낸다.
이상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나타내듯이, 본 발명의 위스커를 발포핵제로서 형성한 발포체층은 유전율이 낮아, 질화 붕소 등의 입자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서 기공지름이 작은 발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포성 조성물은, 불소 수지를 함유한 발포성 조성물을 위스커를 발포핵제로 해서 함유하고 있으며, 그것을 발포시킨 발포체는 미세한 기포를 갖는 것이며, 발포체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정된 성능의 발포체층이 얻어지므로, 고신뢰성이 요구되고, 또 선지름이 가는 동축 절연 케이블의 절연층으로서 바람직하다.

Claims (4)

  1. 발포성 조성물에 있어서, 불소 수지, 및 전기절연성 위스커를 함유하고, 상기 전기절연성 위스커의 지름은 0.1㎛~1㎛이며, 상기 발포성 조성물 중의 상기 전기절연성 위스커의 함유량은 0.1~1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절연성 위스커가 붕산 알루미늄, 붕산 마그네슘, 티탄산 칼륨, 질화 규소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 조성물.
  3. 합성수지 발포체에 있어서, 제1항에 기재된 불소 수지 및 전기절연성 위스커를 갖는 조성물을 발포제를 혼합해서 발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체.
  4. 동축 절연 케이블에 있어서, 중심도체의 주위에 불소 수지 및 전기절연성 위스커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발포시킨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절연 케이블.
KR1020067014712A 2004-01-26 2005-01-24 발포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발포체 및 동축 절연케이블 KR100789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16697 2004-01-26
JP2004016697A JP4540038B2 (ja) 2004-01-26 2004-01-26 発泡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発泡体および同軸絶縁ケ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583A KR20070004583A (ko) 2007-01-09
KR100789760B1 true KR100789760B1 (ko) 2008-01-03

Family

ID=3480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712A KR100789760B1 (ko) 2004-01-26 2005-01-24 발포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발포체 및 동축 절연케이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91887B2 (ko)
JP (1) JP4540038B2 (ko)
KR (1) KR100789760B1 (ko)
CN (1) CN1910224B (ko)
DE (1) DE112005000157B4 (ko)
TW (1) TWI357920B (ko)
WO (1) WO2005070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3002B2 (ja) * 2006-02-28 2012-03-21 株式会社潤工社 高分子物質の圧電・焦電素子
JP5112758B2 (ja) * 2007-06-21 2013-01-09 株式会社潤工社 高分子物質の圧電・焦電素子
WO2009020554A2 (en) * 2007-08-03 2009-02-12 Glew Charles A Compositions for compounding and extrusion of foamed fluoropolymers
CN101809074B (zh) * 2007-08-03 2013-04-10 电缆元件集团有限责任公司 全氟聚合物可发泡组合物
JP5198553B2 (ja) * 2008-03-04 2013-05-1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多孔質部材
CN101959945B (zh) * 2008-03-07 2013-07-31 东丽株式会社 绝热材料
JP2010212185A (ja) * 2009-03-12 2010-09-24 Junkosha Co Ltd 同軸ケーブル
KR101477878B1 (ko) * 2010-03-25 2014-12-30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포 전선 및 그 제조방법
MX2015009805A (es) 2013-02-04 2015-10-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mposicion aislante, articulo aislante, metodo de preparacion y accesorio para cables electricos de los mismos.
WO2016073862A2 (en) 2014-11-07 2016-05-12 Cable Components Group, Llc Compositions for compounding, extrusion and melt processing of foamable and cellular halogen-free polymers
US10031301B2 (en) * 2014-11-07 2018-07-24 Cable Components Group, Llc Compositions for compounding, extrusion, and melt processing of foamable and cellular polym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9639A (ja) * 1991-03-06 1992-10-05 Nitto Denko Corp 多孔質体
JPH08291253A (ja) 1995-02-24 1996-11-05 Toray Ind Inc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2001031792A (ja) * 1999-07-19 2001-02-06 Mitsubishi Cable Ind Ltd 発泡用組成物および発泡同軸絶縁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9816B (it) * 1994-05-23 1997-04-15 Ausimont Spa Composizioni solide espandibili a base di perfluoropolimeri e processoper la loro preparazione
JP2922856B2 (ja) * 1996-08-06 1999-07-26 大塚化学株式会社 シンジオタクチックポリスチレン発泡体、その製造方法及び該発泡体を用いた電気回路用基板
JP2000057863A (ja) * 1998-08-11 2000-02-25 Junkosha Co Ltd 同軸ケーブル
JP2000143921A (ja) * 1998-11-05 2000-05-26 Daikin Ind Ltd 電子電気機器の部品用フッ素樹脂組成物および電子電気機器用部品
US6395795B1 (en) * 2000-09-29 2002-05-28 Ausimont Usa, Inc. Titanium dioxide nucleating agent systems for foamable polymer compositions
US7241826B2 (en) * 2001-06-26 2007-07-10 Daikin Industries, Ltd. Resin composition,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foam-insulated electric wire
JP2003082231A (ja) * 2001-09-17 2003-03-1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ポリイミドフィルムおよびポリイミド管状物
JP4005824B2 (ja) * 2002-03-07 2007-11-14 ニチアス株式会社 自動車エンジン周りのシール材用ガスケット、自動車エンジン周りのシール材用複合ガスケット、給湯機用ガスケット及び給湯機用複合ガスケ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9639A (ja) * 1991-03-06 1992-10-05 Nitto Denko Corp 多孔質体
JPH08291253A (ja) 1995-02-24 1996-11-05 Toray Ind Inc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2001031792A (ja) * 1999-07-19 2001-02-06 Mitsubishi Cable Ind Ltd 発泡用組成物および発泡同軸絶縁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70999A1 (ja) 2005-08-04
JP2005206745A (ja) 2005-08-04
CN1910224A (zh) 2007-02-07
US7491887B2 (en) 2009-02-17
TWI357920B (en) 2012-02-11
TW200535194A (en) 2005-11-01
JP4540038B2 (ja) 2010-09-08
KR20070004583A (ko) 2007-01-09
DE112005000157B4 (de) 2014-08-14
US20080087454A1 (en) 2008-04-17
CN1910224B (zh) 2010-05-12
DE112005000157T5 (de)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760B1 (ko) 발포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발포체 및 동축 절연케이블
CA1287443C (en) Foam nucleation system for fluoropolymers
US4683166A (en) Foamed plastic insulated wi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207447B2 (en) PTFE porous body, PTFE mixture, method for producing PTFE porous body, and electric wire/cable using PTFE porous body
JP6377074B2 (ja) 無線通信塔のためのポリマー複合体構成部品
US6538050B1 (en) Method of foaming a polymer composition using zeolite and foamed articles so made
KR102624544B1 (ko) 핵제로서 불소수지/질화붕소 혼합물을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발포 방법
US5180754A (en) Polymer composition for foam molding
JP2008500702A (ja) 発泡絶縁体を有する同軸ケーブル
KR20060094440A (ko) 케이블 절연재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구비하는 케이블
WO2017018105A1 (ja) フッ素樹脂多孔質体、それを用いた金属層付多孔質体及び配線基板
JP2006022276A (ja) 絶縁体用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高発泡絶縁体並びに高周波用同軸ケーブル。
US4547328A (en) Method for producing foamed plastic insulator
JP5041843B2 (ja) 低熱伝導性耐熱性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1117103A2 (en) Electrical cable having improved flame retardancy and reduced crosstalk and method for making
WO2010116401A1 (ja) 発泡電線の製造方法
JP3245209B2 (ja) フッ素樹脂発泡体
CN110964278A (zh) 一种物理发泡氟化物电缆料及其制备方法
JP2012104371A (ja) 発泡絶縁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31036A (ko) 발포 저밀도 폴리에틸렌 절연체 조성물
JP2739288B2 (ja) 発泡フッ素樹脂絶縁電線
JPH05258615A (ja) 絶縁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90418A (ja) 発泡絶縁電線
JP2861283B2 (ja) 発泡プラスチック絶縁電線
WO2022181623A1 (ja) 伝送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