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129B1 -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인트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크레인 - Google Patents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인트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129B1
KR100788129B1 KR1020060138392A KR20060138392A KR100788129B1 KR 100788129 B1 KR100788129 B1 KR 100788129B1 KR 1020060138392 A KR1020060138392 A KR 1020060138392A KR 20060138392 A KR20060138392 A KR 20060138392A KR 100788129 B1 KR100788129 B1 KR 10078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block
crane
sieve
arm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삼
이창한
김성재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메인 트롤리 하부에 시브 블럭이 설치되는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을 용선 크레인과 티밍 레들 크레인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는, 메인 트롤리에 하부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시브 블록 프레임, 다수의 시브와 각각의 시브가 지지되는 시브 베어링 및 시브와 시브 베어링이 결합되는 시브 핀을 포함하는 시브 블록, 시브 블록의 시브 핀이 결합 지지되며 시브 블록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 블록, 및 하단부가 시브 블록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시브 블록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브 블록이 크레인에 설치되어 정상 동작 상태일 때의 위치인 제 1 위치 및 시브 블록이 크레인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하는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브 블록, 시브, 시브 블록, 베어링 블록,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

Description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인 트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 크레인{Apparatus for separating the under hung sheave block, A Main trolley having the same, and A Hot metal charging crane or Teeming ladle crane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용선 크레인과 티밍 레들 크레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상부 시브 블록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의 확대도,
도 7은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시브 블록 프레임 13. 시브
14. 시브 베어링 15. 시브 핀
16.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 18. 베어링 블록
20. 가이드 롤러 21. 와이어 로프
24. 슬롯 28. 돌출부
30. 시브 블록 35. 이송유닛
본 발명은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 크레인의 메인 트롤리에 장착되는 시브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브 블록의 교환이나 정비를 위해 시브 블록을 크레인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선 크레인(Hot metal charging crane) 또는 티밍 레들 크레인(Teeming ladle crane)은 제철소내 제강공장의 전로 전후단에서 레들(Ladel)에 담긴 쇳물(용선 또는 용강)을 전로나 연주설비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용선 크레인과 티밍 레들 크레인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용선 크레인과 티밍 레들 크레인이 취급하는 레들(5)에 담긴 쇳물을 전로에 장입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레들(5)을 뒤집는 동작으로 인하여, 메인 트롤리(Main trolley, 1)와 서브 트롤리(Sub trolley, 2)로 구성된 2개의 트롤리 장치가 메인 거더(3)와 서브 거더(4) 상에 장착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운전하게 되며, 취급하는 레들의 특성상 높은 권상 하중의 크레인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적용 사례이다.
상기와 같은 2대의 트롤리 장치가 서로 독립적으로 운전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크레인을 구성하는 각종 기계장치와 구조물의 배치가 매우 복잡해지며, 이 같은 구조적 복잡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크레인을 크게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나, 크레인 외형 증가에 따른 건물크기가 증가하는 등 높은 설비 투자비의 증가를 허용할 수 없는 발주처의 입장에 따라 가능한 작은 공간상에 대용량의 크레인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한편,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완제품의 원료인 쇳물(용선 또는 용강)이 담긴 레들(5)의 권상 작업은 메인 트롤리(1)상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 권상장치(Main Hoist)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메인 권상장치는 구동원인 모타(6)와 감속기(7), 와이어 로프(12)를 감아두는 로프 드럼(8) 등으로 구성된다.(도 1 및 도 2 참조)
쇳물(Hot metal)이 담긴 레들(5)을 들고 있는 레들 빔(9)의 권상하 동작은 메인 트롤리(1) 상에 배치된 상부 시브 블록(30)과 레들 빔(9)상에 배치된 하부 시브 블록(11) 사이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 로프(12)가 메인 권상장치의 구동에 따라 로프 드럼(8)에서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 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모타(6), 감속기(7) 등으로 구성된 권상장치들과 와이어 로프(12)가 감기는 로프드럼(8)과 시브 블록(30,11) 등의 배치는 높은 중량과 큰 크기로 인한 정비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메인 트롤리(1) 상면에 배치토 록 하여 정비자가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나, 초기 설치비를 고려한 결과로 확정된 작은 공간 내에서 2대의 트롤리(1,2)가 간섭없이 서로 원활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려면, 필연적으로 일부 기계장치들을 트롤리 하부에 배치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같은 간섭 해소를 위한 공간상의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 메인 트롤리(1)와 레들 빔(9)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12)가 감겨있는 상부 시브 블록(30)을 메인 트롤리(1) 하부에 배치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을 언더헝(Under hung) 구조의 시브 블록이라 한다.
도 3은 시브 블록(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 시브 블록(10)은 시브 블록 프레임(10)에 설치되며, 다수의 시브(13)들과, 시브(13)들을 지지하는 시브 베어링(14), 및 이들을 지지하는 시브 핀(1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도 1과 같이 상부 시브 블록(30)을 메인 트롤리(1) 하부에 배치하게 되는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30)의 경우, 장시간 사용에 따른 상부 시브(13)의 마모로 인한 교체, 또는 시브 베아링(14) 교체 등의 작업이 필요할 시, 좁은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크기가 크고 상당히 높은 중량인 시브(13)를 분리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워, 별도의 특수 지그와 대형 크레인등을 동원하여 정비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철강 제품의 원재료인 쇳물을 취급하는 용선 크레인과 티밍 레들 크레인의 운전 성능은 곧바로 제철소의 생산성과 직결되는바, 정비의 어려움으로 인한 장시간의 정비 시간 투입은 생산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 시브 블록이 메인 트롤리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별도의 특수 지그와 대형 크레인의 사용 없이, 시브와 베어링 등의 시브 블럭의 교체나 정비작업을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언더헝(Under hung)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시브 블록 분리 장치가 설치된 메인 트롤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시브 블록 분리 장치가 장착된 메인 트롤리가 설치되는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 크레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는, 메인 트롤리 하부에 시브 블럭이 설치되는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을 용선 크레인과 티밍 레들 크레인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트롤리에 하부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시브 블록 프레임; 다수의 시브와, 상기 각각의 시브가 지지되는 시브 베어링, 및 상기 시브와 시브 베어링이 결합되는 시브 핀을 포함하는 시브 블록; 상기 시브 블록의 시브 핀이 결합 지지되며, 상기 시브 블록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 블록; 및, 하단부가 상기 시브 블록 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시브 블록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브 블록이 상기 크레인에 설치되어 정상 동작 상태일 때의 위치인 제 1 위치 및 상기 시브 블록이 상기 크레인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하는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는, 상기 상단부가 상기 시브 블록 프레임에 핀 결합하도록 핀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핀 구멍은 슬롯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는, 그 중간부에 상기 회전방향 상의 수평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 상기 시브 블록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용 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시브 블록의 시브 핀의 양쪽 끝단은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의 하단부에 구비된 해체 가능한 커버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는, 상기 시브 블록이 결합된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후크를 구비하는 정비용 크레인과, 상기 메인 트롤리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 상에 안착되어 가이드되며 일단이 상기 정비용 크레인의 후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어링 블록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 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는 시브 블록 프레임(10), 시브 블록(30), 베어링 블록(18),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 및 이송유닛(35)을 포함한다.
시브 블록 프레임(10)은 메인 트롤리(1)에 고정 설치되며, 메인 트롤리(1)의 수직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시브 블록(30)은 다수의 시브(13)들과, 각각의 시브(13)를 지지하는 시브 베어링(14), 및 상기 시브(13)와 시브 베어링(14)이 결합되는 시브 핀(15)을 포함한다. 한편, 시브 핀(15)은 다수의 베어링 블록(18)에 축 결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시브 블록(30)은 베어링 블록(18)에 결합되므로 베어링 블록(18)과 같이 이동한다.
베어링 블록(18)은 시브 블록 프레임(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어링 블록(18)은 시브 블록 프레임(10)에 볼트(23)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는 하단부가 상기 시브 블록(3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시브 블록 프레임(10)에 상부 핀(17)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는 시브 블록(30)이 크레인 내에서 정상 동작 상태일 때의 위치인 제 1 위치(점선 표시)와, 시브 블록(30)이 정비나 교체 작업을 위해 분리되는 위치인 제 2 위치(실선 표시) 사이에서 회전 이동한다.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의 회전 이동에 의해, 이에 결합된 시브 블록(30) 및 베어링 블록(18) 역시 회전 이동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의 상단부는 상부 핀(17)이 관통하는 핀 구멍(2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핀 구멍(24)은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의 회전 시 회전반경상의 차이에서 오는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슬롯(slot)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한편,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의 중간부에는 돌출부(28)가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8)는 위치고정용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가 시브 블록(30)의 교체 작업을 위해 제 2 위치(실선 표시)로 이동 시, 상기 시브 블록 프레임(10)에 설치된 고정용 핀(19)에 안착된다(도4 및 도5 참조). 따라서,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는 제 2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의 하단부에는 분리 가능한 커버(26)가 설치되며, 이 커버(26)는 상기 시브 블록(30)의 시브 핀(15) 끝단과 볼트(27)에 의해 결합된다.
이송유닛(35)은 시브 블록(30)이 결합된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유닛(35)은 구체적으로 티밍 레들 크레인이나 용선 크레인(도1 참조)이 운전되는 건물의 천정(미도시)에 설치되어 있는 정비용 크레인(22)과, 메인 트롤리(1)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20), 및 와이어 로프(21)를 포함한다. 와이어 로프(21)는 가이드 롤러(20) 상에 안착되 어 가이드되며, 일단이 상기 정비용 크레인(22)의 후크(29)에 연결되고 타단이 베어링 블록(18)에 연결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시브 블록 분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티밍 레들 크레인이나 용선 크레인이 운전되는 정상 동작일 때에는, 상기 시브 블록(30) 및 이와 연결된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점선)에 있다.
시브 블록(30)의 교체나 정비를 위해 분리하는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3)을 해체하여 베어링 블록(18)과 시브 블록 프레임(10)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리고, 이송유닛(35)의 와이어 로프(21)를 정비용 크레인(22)의 후크(29)와 베어링 블록(18)에 결박한 후, 정비용 크레인(22)을 권상시켜 시브 블록(30) 및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를 도 4의 제 2 위치(실선)까지 들어올린다. 그 후, 시브 블록 프레임(10)에 설치된 고정용 핀(19)에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의 돌출부(28)를 고정시킨다.
시브 블록(30)과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가 제 2 위치에 고정되면, 와이어 로프(21)를 정비용 크레인(22)의 후크(29)와 베어링 블록(18)에서 해체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정비용 크레인(22)의 후크(29)를 시브 블록(30)에 걸고 정비용 크레인(22)을 권상시켜 시브 블록(30)을 상부로 들어올리게 된다.
한편, 시브 블록(30)을 들어 올리기 전에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를 시브 블록(30)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7)를 해체하여 커버(26)를 시브 핀(15)의 끝단과 분리시킨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는 시브 블록(30)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 후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의 돌출부(28)를 고정용 핀(19)으로부터 분리하면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16)는 자중에 의해 원래의 제 1 위치(점선)으로 복귀하게 된다.
시브 블록(30)을 들어올려 원하는 장소에 위치시킨 후, 시브(13)나 시브 베어링(14) 등의 교체나 정비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특수 지그와 별도의 대형 크레인의 사용 없이 시브 블록의 교체 작업을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선 크레인과 티밍 레들 크레인의 조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철소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메인 트롤리 하부에 시브 블럭이 설치되는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을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 크레인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트롤리에 하부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시브 블록 프레임;
    다수의 시브와, 상기 각각의 시브가 지지되는 시브 베어링, 및 상기 시브와 시브 베어링이 결합되는 시브 핀을 포함하는 시브 블록;
    상기 시브 블록의 시브 핀이 결합 지지되며, 상기 시브 블록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 블록;
    하단부가 상기 시브 블록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시브 블록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시브 블록이 상기 크레인에 설치되어 정상 동작 상태일 때의 위치인 제 1 위치 및 상기 시브 블록이 상기 크레인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하는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는,
    상기 상단부가 상기 시브 블록 프레임에 핀 결합하도록 핀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핀 구멍은 슬롯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는,
    그 중간부에 상기 회전방향 상의 수평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 상기 시브 블록 프레임에 형성된 고정용 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의 시브 핀의 양쪽 끝단은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의 하단부에 구비된 해체 가능한 커버와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 블록이 결합된 상기 메인터넌스 암 조립체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후크를 구비하는 정비용 크레인과, 상기 메인 트롤리에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 상에 안착되어 가이드되며 일단이 상기 정비용 크레인의 후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어링 블록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개시된 시브 블록 분리 장치가 설치된 메인 트롤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개시된 시브 블록 분리 장치가 장착된 메인 트롤리가 설치되는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 크레인.
KR1020060138392A 2006-12-29 2006-12-29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인트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크레인 KR100788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392A KR100788129B1 (ko) 2006-12-29 2006-12-29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인트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392A KR100788129B1 (ko) 2006-12-29 2006-12-29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인트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129B1 true KR100788129B1 (ko) 2007-12-21

Family

ID=3914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392A KR100788129B1 (ko) 2006-12-29 2006-12-29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인트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1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881A (ja) * 1992-10-08 1994-04-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ブームにおけるガイドシーブの取り付け装置
JPH06156984A (ja) * 1992-11-20 1994-06-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ブーム
JPH06156985A (ja) * 1992-11-20 1994-06-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補助ジブ付きクレーンブーム
KR0128813Y1 (ko) * 1995-07-31 1998-12-01 유상부 트렌스퍼 크레인의 스프레더
US6186346B1 (en) 1998-03-20 2001-02-13 Grove U.S. L.L.C. Multi-position low profile boom no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881A (ja) * 1992-10-08 1994-04-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ブームにおけるガイドシーブの取り付け装置
JPH06156984A (ja) * 1992-11-20 1994-06-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ブーム
JPH06156985A (ja) * 1992-11-20 1994-06-03 Hitachi Constr Mach Co Ltd 補助ジブ付きクレーンブーム
KR0128813Y1 (ko) * 1995-07-31 1998-12-01 유상부 트렌스퍼 크레인의 스프레더
US6186346B1 (en) 1998-03-20 2001-02-13 Grove U.S. L.L.C. Multi-position low profile boom no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99563B (zh) 铸造用新型底注式浇注机
CN103754775B (zh) 一种动臂塔机的拆臂方法及辅助拆卸装置
CN112239153A (zh) 一种港口大型货物机械搬运设备
CN211945916U (zh) 一种板钩距离可调的吊具
JP2005187193A (ja) ジブクレーン
KR100788129B1 (ko) 언더헝 구조의 시브 블록 분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인트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용선 크레인 또는 티밍 레들크레인
CN215048020U (zh) 多功能中间罐铸造起重机
CN107285213A (zh) 一种油浸式变压器有载调压开关吊装器
JP2009285689A (ja) 鍋蓋搬送装置
CN109622932B (zh) 大型连铸钢包回转台回转轴承的快速更换方法
CN214243521U (zh) 一种冶金专用桥式起重机
EP251122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ncrete mix casting equipment dismountably attached to a crane and a concrete mix casting equipment dismountably attached to a crane
CN112173957A (zh) 一种可以快速更换定滑轮的吊运钢水包包梁
KR100951763B1 (ko) 제철용 용선 크레인의 후크이동설비
KR101024582B1 (ko) 크레인 와이어 교환장치
CN219860113U (zh) 一种铝合金方棒出井吊具
JP2013049065A (ja) 溶鋼流出ゲート開閉装置の着脱台車
CN212924071U (zh) 铸轧辊轴承箱平衡吊装装置
CN209811223U (zh) 一种大包回转台拆除平衡架
KR102309266B1 (ko) 중량체반전용 회전장치
JPH09164456A (ja) 取鍋ターレット兼鋳型アセンブリ交換装置および鋳型アセンブリ交換方法
CN213950332U (zh) 一种可以快速更换定滑轮的吊运钢水包包梁
RU2317177C1 (ru) Стенд для сталеразливочных ковшей
CN215093664U (zh) 一种起重机车轮加工的搬运夹具
RU100508U1 (ru) Кантователь подвесн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