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408B1 - 진공세척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세척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408B1
KR100787408B1 KR1020070067790A KR20070067790A KR100787408B1 KR 100787408 B1 KR100787408 B1 KR 100787408B1 KR 1020070067790 A KR1020070067790 A KR 1020070067790A KR 20070067790 A KR20070067790 A KR 20070067790A KR 100787408 B1 KR100787408 B1 KR 100787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vacuum
regeneration
liquid
wash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주)진공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공플랜트 filed Critical (주)진공플랜트
Priority to KR102007006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세척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세척물을 투입 및 배출할 수 있게 도어(11)가 구비되고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12)이 구비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피세척물을 진공세척건조하거나 세척액을 진공증발시키는 세척/증발실(10); 상기 세척/증발실(10)에 세척액을 진공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 공급하고 상기 세척/증발실(1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액을 자연낙하에 의해 회수하는 탱크로서 상기 세척/증발실(10)의 수평 레벨보다 낮은 수평 레벨에 위치되는 세척액 탱크(20); 상기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된 세척액의 증발분을 회수하고 회수된 재생액을 상기 세척액 탱크(20)와 세척/증발실에 공급하기 위해 대기와 항상 통기 상태에 있는 재생액 탱크(30); 상기 세척/증발실(10) 및 상기 세척액 탱크(20)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상기 재생액 탱크(30)의 재생액을 순환시키는 진공수단(40); 및 상기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된 세척액의 증발분을 응축하는 콘덴서(50)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세척/증발실, 세척액탱크, 재생액탱크, 콘덴서, 진공수단

Description

진공세척건조장치{vacuum cleaning and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세척건조장치로서, 세척용제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수단이 구비된 진공세척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세척건조장치는 세척 건조될 고형의 피처리물을 진공상태에서 세척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자에 의해 여러개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진공세척건조장치는 피처리물을 세척한 세척액을 재생하기 위해 별도의 재생실을 구비하고 있어서 그 제조비용이 높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피세척물을 투입 및 배출할 수 있게 도어가 구비되고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이 구비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피세척물을 진공세척건조하거나 세척액을 진공증발시키는 세척/증발실; 상기 세척/증발실에 세척액을 진공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 공급하고 상기 세척/증발실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액을 자연낙하에 의해 회수하는 탱크로서 상기 세척/증발실의 수평 레벨보다 낮은 수평 레벨에 위치되는 세척액 탱크; 상기 세척/증발실에 공급된 세척액의 증발분을 회수하고 회수된 재생액을 상기 세척액 탱크와 세척/증발실에 공급하기 위해 대기와 항상 통기 상태에 있는 재생액 탱크; 상기 세척/증발실 및 상기 세척액 탱크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상기 재생액 탱크의 재생액을 순환시키는 진공수단; 및 상기 세척/증발실에 공급된 세척액의 증발분을 응축하는 콘덴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세척건조장치에 의하면, 피처리물을 세척한 세척액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실을 세척/증발실로 하여금 겸용하게 하게 부가적인 재생실 을 배체시킴으로써, 진공세척건조장치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진공세척건조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세척건조장치(100)는 피세척물을 투입 및 배출할 수 있게 도어(11)가 구비되고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12)이 구비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피세척물을 진공세척건조하거나 세척액을 진공증발시키는 세척/증발실(10), 상기 세척/증발실(10)에 세척액을 진공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 공급하고 상기 세척/증발실(1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액을 자연낙하에 의해 회수하는 탱크로서 상기 세척/증발실(10)의 수평 레벨보다 낮은 수평 레벨에 위치되는 세척액 탱크(20), 상기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된 세척액의 증발분을 회수하고 회수된 재생액을 상기 세척액 탱크(20)와 세척/증발실(10)에 공급하기 위해 대기와 항상 통기 상태에 있는 재생액 탱크(30), 상기 세척/증발실(10) 및 상기 세척액 탱크(20)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상기 재생액 탱크(30)의 재생액을 순환시키는 진공수단(40), 및 상기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된 세척액의 증발분을 응축하는 콘덴서(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세척/건조실(10)의 상단에는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라인(L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 탱크(20)의 하단에는 상기 세척액 공급라인(L1)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액 공급라인(L1)의 도중에는 세척액공급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공급밸브(V1)와 상기 세척/증발기(10) 사이의 상기 세척액 공급라인(L1)의 도중에는 도중에 대기와 선택적으로 유 통시켜 진공을 파괴하는 진공파괴밸브(V2)가 개재된 진공파괴라인(L2)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건조실(10)의 하단에는 세척액을 회수하기 위한 세척액 회수라인(L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 탱크(20)의 상단에는 상기 세척액 회수라인(L3)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액 회수라인(L3)의 도중에는 세척액회수밸브(V3)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회수밸브(V3)와 상기 세척/증발기(10) 사이의 상기 세척액 회수라인(L3)의 도중에는 도중에 드레인밸브(V7)가 개재된 드레인라인(L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건조실(10)의 상단에는 상기 세척/건조실(10)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거나 상기 세척/건조실(10)에 있는 세척액의 증발분을 회수하기 위한 진공라인(L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진공라인(L5)의 타단은 진공수단의 흡입측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라인(L5)의 도중에는 상기 콘덴서(50)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건조실(10)의 상단에는 재생액을 공급받기 위한 재생액 공급라인(L8)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재생액 탱크(30)의 상단에는 상기 재생액 공급라인(L8)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액 공급라인(L8)의 도중에는 재생액공급밸브(V5)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액 탱크(20)의 상단에는 재생액을 공급하기 위한 재생액 회수라인(L6)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재생액 탱크(30)의 상단에는 상기 재생액 회수라인(L6)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재생액 회수라인(L6)의 도 중에는 재생액회수밸브(V6)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공수단(40)은 출구 측인 일단이 상기 재생액탱크(30)의 하단 위에 접속되어 있고 입구 측인 타단이 상기 재생액탱크(3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순환라인(L9), 상기 순환라인(L9) 도중에 이송방향 순으로 개재되어 있는 펌프(P)와 이젝터(E)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젝터(E)의 도중에는 상기 진공라인(L5)의 출구측인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진공수단(40)은, 별도의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측인 일단이 상기 재생액탱크(30)의 하단 위에 접속되어 있고 입구 측인 타단이 상기 재생액탱크(3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순환라인(L9), 및 상기 순환라인(L9) 도중에 개재되어 있는 진공펌프(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진공펌프(P')의 흡입측에는 상기 진공라인(L5)의 출구측인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증발실(10)에는 내부의 세척액 충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LS3), 상기 세척액 탱크(20)에는 내부의 세척액 충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LS1) 및 상기 재생액 탱크(30)에는 내부의 재생액 충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LS2)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증발실(10)에는 내부에 충전된 세척액 또는 재생액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T/C1)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세척/증발실(10)과 상기 콘텐서(50) 사이에 있는 상기 진공라인(L5)의 도중에는 세척액의 증발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T/C3)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액 탱크(20)에는 내부의 진공도를 감지하기 위한 진공센 서(V/S2)가 마련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세척/증발실(10)과 상기 온도센서(T/C3) 사이에 있는 상기 진공라인(L5)의 도중에는 세척/증발실(10)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기 위한 진공센서(V/S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액 탱크(20)에는 내부를 외부의 대기와 선택적으로 통기시킬 수 있는 통기밸브(V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증발실(10)에는 피처리물에 대한 보다 나은 세척을 위해, 선택적으로 초음파 발생 수단, 피처리물을 회전, 상하왕복운동시키는 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세척건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진공세척공정
1) 먼저, 세척/증발실(10)의 도어를 열고 세척건조될 피세척물을 투입한 후 도어를 닫는다.
2) 펌프(P)나 진공펌프(P')를 가동하여 세척/증발실이 설정 진공도에 도달되게 한다.[진공센서(V/S1)에 의해 설정 진공도 도달 여부 판단]
3) 진공파괴밸브(V2), 세척액회수밸브(V3), 재생액공급밸브(V5), 재생액회수밸브(V6) 및 드레인밸브(V7)를 닫은 상태에서, 세척액공급밸브(V1) 및 통기밸브(V4)를 열어서 상기 세척액 탱크(20)에 저장된 세척액을 세척/증발실(10)(진공상태)과 세척액 탱크(20)(대기압상태) 간의 압력차에 의해 세척/증발실(10)로 이송한다. 여기에서 상기 세척/증발실(10)에 구비된 레벨센서(LS3)에 의해 세척/증발실(10)의 세척액 수위가 설정 레벨에 도달된 것이 감지되면, 세척액공급밸브(V1) 및 통기밸브(V4)를 닫는다.
4) 온도센서(T/C1)가 설정온도를 감지할 때까지 히팅수단(12)을 가동하여 세척/증발실(10)의 내부를 가열한다.
5) 상기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된 세척액에 피세척물이 소정 시간 침적된 후 세척액공급밸브(V1)와 세척액회수밸브(V3)를 열어서 세척/증발실(10)과 상기 세척액탱크(20)를 동일한 압력의 진공도를 만든 상태에서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된 세척액을, 세척/증발실(10)과 세척액탱크(20) 간의 높이 차에 의한 자연낙하에 의해, 세척액탱크(20)로 회수시킨다.
5) 세척액 회수가 완료된 후 세척액공급밸브(V1)와 세척액회수밸브(V3)를 닫는다.
2. 린스공정
1) 재생액공급밸브(V5)를 열어서 진공상태의 세척/증발실(10)과 대기압 상태의 재생액탱크(30) 간의 압력차에 의해 재생액탱크(30)에 저장된 재생액을 세척/증발실(10)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레벨센서(LS3)에 의해 세척/증발실(10)이 재생액으로 소정된 레벨까지 충전되면, 재생액공급밸브(V5)를 닫는다.
2) 온도센서(T/C1)가 설정온도를 감지할 때까지 히팅수단(12)을 가동하여 세척/증발실(10)의 내부를 가열한다.
3) 세척/증발실(10)의 피세척물이 소정된 시간 동안 재생액에 침적된 상태에서 가열된 후, 세척액공급밸브(V1) 및 세척액회수밸브(V3)를 열어서 세척/증발 실(10)과 세척액탱크(20)를 동일한 압력의 진공도를 만든 상태에서 세척/증발실(10)과 세척액탱크(20) 간의 높이 차에 의한 자연낙하에 의해 세척/증발실(10)의 재생액을 세척액탱크(20)로 회수시키고 나서 세척액공급밸브(V1) 및 세척액회수밸브(V3)를 닫는다.
3.증기세척공정
1) 재생액공급밸브(V5)를 열어서 진공상태의 세척/증발실(10)과 대기압 상태의 재생액탱크(30) 간의 압력차에 의해 재생액탱크(30)에 저장된 재생액의 소량을 세척/증발실(10)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레벨센서(LS3)에 의해 세척/증발실(10)이 재생액으로 소정된 레벨까지 충전되면, 재생액공급밸브(V5)를 닫는다.
2) 온도센서(T/C3)가 설정온도를 감지할 때까지 히팅수단(12)을 가동하여 세척/증발실(10)의 내부를 가열하여서, 피세척물과 재생액 간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재생액을 증발 기화시켜서 피세척물을 소정 시간 동안 증기 세척한다.
3) 증기 세척 완료 후, 세척액공급밸브(V1) 및 세척액회수밸브(V3)를 열어서 세척/증발실(10)과 세척액탱크(20)를 동일한 압력의 진공도를 만든 상태에서 세척/증발실(10)과 세척액탱크(20) 간의 높이 차에 의한 자연낙하에 의해 세척/증발실(10)의 잔류 재생액을 세척액탱크(20)로 회수시키고 나서 세척액공급밸브(V1) 및 세척액회수밸브(V3)를 닫는다.
4. 진공건조공정
1) 온도센서(T/C1)가 설정온도를 감지할 때까지 히팅수단(12)을 가동하여 세 척/증발실(10)의 내부를 가열한 상태에서 설정 시간 동안 피세척물을 진공건조처리 한 후, 펌프(P) 또는 진공펌프(P')를 가동중지시키고 그리고 히티수단(12)도 가동중지 시킨다.
2) 진공파괴밸브(V2)를 열어서 세척/증발실(10)의 내부의 진공상태를 대기상태로 만든 후 세척/증발실(10)의 도어를 열어서 피세척물을 배출시킨다.
5. 사용된 세척액 정제 재생공정
1) 세척/증발실(10)의 도어(11)를 닫은 상태에서 펌프(P) 또는 진공펌프(P')를 가동시켜서 진공센서(V/S1)이 설정된 진공도를 감지할 때까지 세척/증발실(10)의 내부를 상기 설정된 진공도를 만든다.
2) 세척/증발실(10)의 내부를 히팅수단(12)에 의해 가열하는 상태에서 세척액탱크(20)의 통기밸브(V4)와 그리고 세척액공급밸브(V1)를 열어서 대기압 상태의 세척액탱크(20)와 진공상태의 세척/증발실(10) 간의 압력차에 의해 세척액탱크(20)에 저장된 세척액이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되고, 그리고 레벨센서(LS3)가 소정된 레벨을 감지할 때까지 세척액공급밸브(V1)를 열고 닫고를 반복한다.
3)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되어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세척액은 순증기로 기화되어 콘덴서(50)에 의해 응축되어 재생액으로 진공수단(40)을 경유하여 재생액탱크(30)에 이송되며, 이러한 이송에 의해 재생액이 재생액탱크(30)에 소정된 레벨 이상으로 충전되는 것이 레벨센서(LS2)에 의해 감지되면, 재생액회수밸브(V6)를 열고 닫고를 반복하여 재생액탱크(30)에 저장된 재생액을 세척액탱크(20)에 회수시키면서 상기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된 세척액을 연속 재생시킨다.
4) 세척액공급밸브(V1)를 닫으면, 세척/증발실에 있는 페세척액은 농축되어 폐유 이물질 등의 불순물만 남게 되며, 상기 불순물이 세척/증발실에 소정량 남게되면, 펌프(P) 또는 진공펌프(P')를 가동중지시키고 히팅수단(12)도 가동중지시킨다.
5) 진공파괴밸브(V2)를 열어서 세척/증발실(10)의 진공상태를 파괴한 후, 드레인 밸브(V7)를 열어서 상기 불순물을 상기 드레인라인(L7)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세척공정 및 린스공정에서, 선택적으로 초음파 발생 수단, 피처리물을 회전, 상하왕복운동시키는 수단 등에 의해, 상기 세척/증발실(10)에 침적된 피처리물에 초음파를 가하거나, 회전 또는 상항왕복운동을 가하여 보다 나은 세척을 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진공수단에 대한 별도 실시예도.

Claims (10)

  1. 피세척물을 투입 및 배출할 수 있게 도어(11)가 구비되고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12)이 구비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피세척물을 진공세척건조하거나 세척액을 진공증발시키는 세척/증발실(10),
    상기 세척/증발실(10)에 세척액을 진공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 공급하고 상기 세척/증발실(1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액을 자연낙하에 의해 회수하는 탱크로서 상기 세척/증발실(10)의 수평 레벨보다 낮은 수평 레벨에 위치되는 세척액 탱크(20),
    상기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된 세척액의 증발분을 회수하고 회수된 재생액을 상기 세척액 탱크(20)와 세척/증발실(10)에 공급하기 위해 대기와 항상 통기 상태에 있는 재생액 탱크(30),
    상기 세척/증발실(10) 및 상기 세척액 탱크(20)를 진공 상태로 만들고 상기 재생액 탱크(30)의 재생액을 순환시키는 진공수단(40), 및
    상기 세척/증발실(10)에 공급된 세척액의 증발분을 응축하는 콘덴서(5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건조실(10)의 상단에는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라인(L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 탱크(20)의 하단에는 상기 세척액 공급라인(L1)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 공급라인(L1)의 도중에는 세척액 공급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공급밸브(V1)와 상기 세척/증발기(10) 사이의 상기 세척액 공급라인(L1)의 도중에는 도중에 대기와 선택적으로 유통시켜 진공을 파괴하는 진공파괴밸브(V2)가 개재된 진공파괴라인(L2)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척/건조실(10)의 하단에는 세척액을 회수하기 위한 세척액 회수라인(L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 탱크(20)의 상단에는 상기 세척액 회수라인(L3)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 회수라인(L3)의 도중에는 세척액회수밸브(V3)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회수밸브(V3)와 상기 세척/증발기(10) 사이의 상기 세척액 회수라인(L3)의 도중에는 도중에 드레인밸브(V7)가 개재된 드레인라인(L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척/건조실(10)의 상단에는 상기 세척/건조실(10)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거나 상기 세척/건조실(10)에 있는 세척액의 증발분을 회수하기 위한 진공라인(L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진공라인(L5)의 타단은 진공수단의 흡입측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진공라인(L5)의 도중에는 상기 콘덴서(5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세척/건조실(10)의 상단에는 재생액을 공급받기 위한 재생액 공급라인(L8)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재생액 탱크(30)의 상단에는 상기 재생액 공급라인(L8)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재생액 공급라인(L8)의 도중에는 재생액공급밸브(V5)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 탱크(20)의 상단에는 재생액을 공급하기 위한 재생액 회수라인(L6)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재생액 탱크(30)의 상단에는 상기 재생액 회수라인(L6)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재생액 회수라인(L6)의 도중에는 재생액회수밸브(V6)가 개재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세척액 탱크(20)에는 내부를 외부의 대기와 선택적으로 통기 시킬 수 있는 통기밸브(V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건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증발실(10)에는 내부의 세척액 충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LS3), 상기 세척액 탱크(20)에는 내부의 세척액 충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LS1) 및 상기 재생액 탱크(30)에는 내부의 재생액 충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LS2)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건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증발실(10)에는 내부에 충전된 세척액 또는 재생액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T/C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건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증발실(10)과 상기 콘텐서(50) 사이에 있는 상기 진공라인(L5)의 도중에는 세척액의 증발분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T/C3)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건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 탱크(20)에는 내부의 진공도를 감지하기 위한 진공센서(V/S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건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증발실(10)과 상기 온도센서(T/C3) 사이에 있는 상기 진공라인(L5)의 도중에는 세척/증발실(10)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기 위한 진공센서(V/S1)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건조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40)은 출구 측인 일단이 상기 재생액탱크(30)의 하단 위에 접속되어 있고 입구 측인 타단이 상기 재생액탱크(3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순환라인(L9), 상기 순환라인(L9) 도중에 이송방향 순으로 개재되어 있는 펌프(P)와 이젝터(E)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이젝터(E)의 도중에는 상기 진공라인(L5)의 출구측인 단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건조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수단(40)은, 출구 측인 일단이 상기 재생액탱크(30)의 하단 위에 접속되어 있고 입구 측인 타단이 상기 재생액탱크(3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순환라인(L9), 및 상기 순환라인(L9) 도중에 개재되어 있는 진공펌프(P')를 포함하고 있고,
    여기에서 상기 진공펌프(P')의 흡입측에는 상기 진공라인(L5)의 출구측인 단 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건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증발실(10)에는 초음파 발생 수단, 및 피처리물을 회전, 상하왕복운동시키는 수단 으로 이루어진 수단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세척건조장치.
KR1020070067790A 2007-07-06 2007-07-06 진공세척건조장치 KR100787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790A KR100787408B1 (ko) 2007-07-06 2007-07-06 진공세척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790A KR100787408B1 (ko) 2007-07-06 2007-07-06 진공세척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408B1 true KR100787408B1 (ko) 2007-12-21

Family

ID=3914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790A KR100787408B1 (ko) 2007-07-06 2007-07-06 진공세척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4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8745A (en) * 2010-03-16 2011-09-21 Psi Innovation Ltd A parts washer
KR101917118B1 (ko) * 2017-04-21 2018-11-09 김범구 건조효율이 향상된 성형물의 진공 건조장치
KR200490273Y1 (ko) * 2019-07-19 2019-10-23 김상범 세척액 여과수단이 구비된 진공세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687A (ja) * 1994-01-20 1995-08-11 Tsunehisa Kajiyama 蒸気洗浄方法と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1687A (ja) * 1994-01-20 1995-08-11 Tsunehisa Kajiyama 蒸気洗浄方法とその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8745A (en) * 2010-03-16 2011-09-21 Psi Innovation Ltd A parts washer
KR101917118B1 (ko) * 2017-04-21 2018-11-09 김범구 건조효율이 향상된 성형물의 진공 건조장치
KR200490273Y1 (ko) * 2019-07-19 2019-10-23 김상범 세척액 여과수단이 구비된 진공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12126B (zh) 废水回收装置及包含其的废水回收洗涤设备
KR970007621B1 (ko) 유기용제를 이용하는 세척방법 및 장치
CN101563495B (zh) 用于将棉绒从家用器具的热交换器去除的方法及相应的家用器具
US5180438A (en) Cleaning and drying system
KR101869643B1 (ko) 친환경 신재생 지능형 세척시스템
KR100787408B1 (ko) 진공세척건조장치
JP2019107598A (ja) 水系1槽式真空洗浄乾燥機および自動搬送ユニット付き洗浄システム
JP7069527B2 (ja) 洗浄装置
US9777427B2 (en)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fabrics or the like
KR2009006578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3306110A (zh) 家用干洗装置、干洗方法及干洗溶剂回收方法
US3801274A (en) Method for cleaning fabrics and clothes
KR10135103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17984B1 (ko) 진공세척 건조장치
EP2598685B1 (en) Machine and method for dry cleaning articles
EP3359721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0969293B1 (ko) 세척건조장치 및 방법
JP5515731B2 (ja) 洗浄方法
JP5541498B2 (ja) 洗浄装置
KR10146777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505028B1 (ko)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JP2001096266A (ja) 生ゴミ処理機
DK179189B1 (en) Method for restoring damaged electronic devices by cleaning and apparatus
JP2001308058A (ja) 半導体材料等の乾燥処理装置
KR101504751B1 (ko) 천일염의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