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028B1 -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 Google Patents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028B1
KR101505028B1 KR1020140128084A KR20140128084A KR101505028B1 KR 101505028 B1 KR101505028 B1 KR 101505028B1 KR 1020140128084 A KR1020140128084 A KR 1020140128084A KR 20140128084 A KR20140128084 A KR 20140128084A KR 101505028 B1 KR101505028 B1 KR 101505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ank
cleaning
washing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길
Original Assignee
드림열처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열처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드림열처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028B1/ko
Priority to PCT/KR2014/009336 priority patent/WO2015053511A1/ko
Priority to CN201480055871.1A priority patent/CN105612126B/zh
Priority to US15/027,376 priority patent/US10537921B2/en
Priority to EP14852763.3A priority patent/EP3056472A4/en
Priority to JP2016521640A priority patent/JP627756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028B1/ko
Priority to JP2017143139A priority patent/JP6516194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by means of vapour com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for obtaining ultra-pur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재생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부에는 폐수 유입관이 연결되고,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된 후 증기의 형태로 다시 외부 장치 내부의 사용수 속으로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증기 공급관이 연결되며, 상기 폐수 유입관에는 폐수 유입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폐수 유입관에서 상기 폐수 유입 펌프와의 사이에는 유입 체크밸브가 구비된 재생조;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폐수를 가열하는 가열히터;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폐수 레벨게이지;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게이지; 상기 재생조의 하부에 침전되는 폐수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재생조의 하부에 구비된 폐슬러지 배출 어셈블리; 및,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되어 올라오는 수증기에서 증기 버블이 제거되도록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서 상기 폐수 레벨게이지보다 상부에 구비된 버블 제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세척조나 도금조 또는 정화조 등에 연결되어 사용수가 처리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사용수 처리장치의 사용수 처리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waste water recycling apparatus and wash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제품과 같은 피세척물이 공업용수나 알칼리 용수와 같은 세척액 속에 잠기도록 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세척조나 도금조 또는 정화조 등에 연결되어 폐수를 재활용할 수 있는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기계장치 및 장비와 같은 금속제품은 제조 가공 또는 조립 단계를 거친 후에 세척장치의 세척조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 속에 잠기도록 하여 세척 처리되어 진다.
이러한 세척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55086호(2001년11월12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세척조 외에도 도금조나 정화조 등을 포함하는 설비에는 내부에 수용된 사용수가 처리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세척조, 도금조, 정화조 등을 포함하는 설비는 사용수의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수가 오염되고 오염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처리능력이 저하되거나 오염된 사용수가 잔존되어 2차 오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수 처리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수의 청정도를 유지하고 사용수 처리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수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줘야 하는 등 유지관리가 번거롭고 비용이 증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55086호(2001년11월12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조나 도금조 또는 정화조 등에 연결되어 사용수가 처리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사용수 처리장치의 사용수 처리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지관리가 용이 해지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재생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부에는 폐수 유입관이 연결되고,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된 후 증기의 형태로 다시 외부 장치 내부의 사용수 속으로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증기 공급관이 연결되며, 상기 폐수 유입관에는 폐수 유입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폐수 유입관에서 상기 폐수 유입 펌프와의 사이에는 유입 체크밸브가 구비된 재생조;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폐수를 가열하는 가열히터;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폐수 레벨게이지;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게이지; 상기 재생조의 하부에 침전되는 폐수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재생조의 하부에 구비된 폐슬러지 배출 어셈블리; 및,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되어 올라오는 수증기에서 증기 버블이 제거되도록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서 상기 폐수 레벨게이지보다 상부에 구비된 버블 제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블 제거유닛은 수증기의 증기 버블이 물리적으로 충돌되어 터지도록 상기 재생조의 내벽에 상호 엇갈리게 마련된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와 수증기의 증기 버블을 고온으로 터뜨리는 버블 제거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수 레벨게이지는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됨에 따라 수위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레벨 안정화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생조에는 상기 재생조 내부의 압력이 허용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허용 압력이상으로 회복되도록 하는 복압 체크밸브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서 상기 증기 공급관이 연결된 부위에는 상기 버블 제거유닛에 의해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증기 버블 또는 액상 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선회하면서 원추벽을 따라 하강 되고 증기 버블 또는 액상 물질이 분리된 순수 증기만이 상기 증기 공급관으로 상승 유입되도록 하는 액상 분리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는: 내부에 세척액이 수용되며, 상부가 밀폐되게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가 구비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로 인입되는 피세척물이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 속으로 잠기도록 상기 피세척물을 승강시키는 세척 승강 구동부가 구비된 세척 장입부; 상기 세척조와 상기 세척 장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피세척물에 접촉되는 세척액에 압력을 가해 피세척물을 세척하며 세척액을 순환시키는 세척 순환부; 및, 상기 세척조와는 별도로 분리되게 구비되되 상기 세척조로부터 배출되는 폐 세척액이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내부에 저장된 폐 세척액이 가열된 후 증기의 형태로 다시 상기 세척조 내부의 세척액 속으로 세척 폭기 노즐을 통해 공급되도록 상부에 구비된 증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세척조에 연결되는 재생조와,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폐 세척액을 가열하는 가열히터와,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저장된 폐 세척액이 가열되어 올라오는 수증기에서 증기 버블이 제거되도록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구비된 버블 제거유닛으로 이루어진 폐수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버블 제거유닛은 수증기의 증기 버블이 물리적으로 충돌되어 터지도록 상기 재생조의 내벽에 상호 엇갈리게 마련된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와 수증기의 증기 버블을 고온으로 터뜨리는 버블 제거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 순환부는,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과,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 일부가 추출되어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도록 상기 세척조와 상기 스프레이 노즐 사이에 구비된 스프레이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레이 노즐은 상기 세척 장입부의 내부에도 구비되고,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내부에 수용된 재생 세척액이 상기 세척 장입부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서 공급되도록 재생 세척액 순환배관이 연결된 재생 세척액 저장조가 구비되며, 상기 재생 세척액 저장조의 내부에는 상기 증기 공급관에 연결된 재생 폭기 노즐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는 상기 증기 공급관에 연결된 세척 열교환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기 공급관은 상기 세척 장입부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서 증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된 스프레이 배관에도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 장입부의 후방에는 상기 세척조에서 세척이 완료된 피세척물이 상기 세척 장입부로 상승 되어 추가로 샤워 세척된 후 이송되어 건조되는 건조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증기 공급관은 상기 건조챔버의 내부에 구비된 증기분사노즐을 통해서 증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증기분사노즐이 구비된 증기노즐배관에도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폐수 재생장치 및 상기 세척 장입부의 사이에는 상기 폐수 재생장치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유지되며 상기 버블 제거유닛이 내부에 추가로 설치된 추가 버블 제거장치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조나 도금조 또는 정화조 등에 연결되어 사용수가 처리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사용수 처리장치의 사용수 처리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지관리가 용이 해지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재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재생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조(110)와, 가열히터(120)와, 폐수 레벨게이지(140)와, 압력게이지(160)와, 폐슬러지 배출 어셈블리(170)와, 버블 제거유닛(180)을 포함한다.
재생조(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사용수 처리장치(10)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부에는 사용수 처리장치(10)의 하부에 연결된 폐수 유입관(111)이 연결되고,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된 후 증기의 형태로 다시 사용수 처리장치(10) 내부의 사용수 속으로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증기 공급관(117)이 연결되며, 폐수 유입관(111)에는 폐수 유입 펌프(113)가 구비되고, 폐수 유입관(111)에서 폐수 유입 펌프(113)와의 사이에는 역류방지용 유입 체크밸브(115)가 구비되며, 가열히터(120)에 의해 가열되는 폐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재생조 온도센서(130)가 내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세척조를 포함하는 세척장치나 도금조를 포함하는 도금장치 또는 정화조를 포함하는 정화장치 등과 같은 외부의 사용수 처리장치(10)에 폐수 재생장치(100)의 재생조(110)가 연결되어 사용수가 처리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가 재생조(110)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입 체크밸브(115)는 폐수 유입 펌프(113)에 의해 재생조(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가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수 유입관(111)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도 담당하며, 폐수 유입관(111)에서 폐수 유입 펌프(113)의 전방에는 수동 밸브(51)가, 수동 밸브(51)의 전방에는 전자 밸브(55)를 사이에 두고 스트레이너(strainer)(57)가, 폐수 유입관(111)이 재생조(110)에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는 유입 체크밸브(115)의 후방에는 또 다른 수동 밸브(51)가 설치된다.
한편, 증기 공급관(117)은 외부의 사용수 처리장치(10)의 내부로 연장되고, 가열히터(120)에 의해 재생조(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 중 물 성분이 가열에 의해 수증기의 형태로 바뀌어 자연대류 방식으로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사용수 처리장치(10) 내부의 사용수 속으로 폭기(aeration)될 수 있도록 증기 공급관(117)의 단부에는 폭기 노즐(119)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조(110)에는 내부의 압력이 허용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허용 압력이상으로 회복되도록 하는 복압 체크밸브(19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압 체크밸브(190)에 의해 재생조(110)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폐수 재생장치(100)에 의해 재생되는 증기가 사용수 처리장치(10)의 내부로 원활히 공급되어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생조(110)의 내부에서 증기 공급관(117)이 연결된 부위에는 버블 제거유닛(180)에 의해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증기 버블 또는 액상 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선회하면서 원추벽을 따라 하강 되고 증기 버블 또는 액상 물질이 분리된 순수 증기만이 증기 공급관(117)으로 상승 유입되도록 하는 액상 분리부(195)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분리부(195)는 나선형 흡입구가 마련된 나선형 사이클론(cyclone)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히터(120)는 재생조(110)의 내부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재생조(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폐수 중 물 성분이 가열에 의해 수증기의 형태로 바뀌어 자연대류 방식으로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외부의 사용수 처리장치(10) 내부의 사용수 속으로 폭기될 수 있도록 폐수를 가열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히터(120)는 재생조(110)의 내부로 유입된 폐 세척액의 온도를 높여주어 폐 세척액이 가열 및 증발되도록 재생조(110)의 내부로 연장되게 재생조(110)에 전기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폐수 레벨게이지(140)는 재생조(110)에 구비되어 재생조(110)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폐수 레벨게이지(140)를 통해 재생조(110) 내부의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폐수 유입 펌프(113) 또는 전자 밸브(55)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재생조(110)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입량과 사용수의 목표 청정도 및 목표 온도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레벨게이지(140)는 재생조(110)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히터(120)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끓어오르면서 수위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레벨 안정화 커버(150)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 안정화 커버(150)에는 내부에서 보호되는 폐수 레벨게이지(140) 측으로 폐수가 유입되어 수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통공(151)이 관통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레벨 안정화 커버(150)의 통공(151)은 메쉬(mesh) 형태로 된 측벽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압력게이지(160)는 재생조(110)에 구비되어 재생조(1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가열히터(120)의 작동에 따라 발생 되는 수증기의 양을 내부의 압력 감지를 통해 센싱하여 증기 공급관(117)에 구비된 전자 밸브(55)를 제어함으로써 재생조(110) 내부의 수증기 량과 사용수 처리장치(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수증기 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폐슬러지 배출 어셈블리(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조(110)의 하부에 침전되는 폐수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재생조(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재생조(110)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배관(171)과, 배출배관(171)을 통해 재생조(110)에서 배출되는 폐수 슬러지가 유입 저장되는 배출탱크(173)와, 배출탱크(173)에 구비되어 배출탱크(173)에 저장된 폐수 슬러지의 수위를 감지하는 폐슬러지 레벨게이지(17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사용수 처리장치(10)에서 사용수를 처리하는 동안 오염된 폐수가 폐수 유입 펌프(113)의 작동에 의해 사용수 처리장치(10)로부터 폐수 유입관(111)을 통해 재생조(110)의 내부로 유입되면 가열히터(120)가 작동되어 폐수가 재생조(110) 내에서 가열 및 증발되어 순수한 물 성분은 증기의 형태로 다시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사용수 처리장치(10) 내부의 사용수 속으로 공급되고 나머지 오염물질은 수분을 빼앗긴 상태로 배출탱크(173)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배관(171)에서 수동 밸브(51)와 전자 밸브(55)의 사이에는 또 다른 스트레이너(57)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버블 제거유닛(180)은 재생조(110)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되어 올라오는 수증기에서 증기 버블이 제거되도록 재생조(110)의 내부에서 폐수 레벨게이지(140)보다 상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블 제거유닛(180)은 수증기의 증기 버블이 물리적으로 충돌되어 터지도록 재생조(110)의 내벽에 상호 엇갈리게 마련된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181)와 수증기의 증기 버블을 고온으로 터뜨리는 버블 제거히터(1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버블 제거유닛(180)은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181)만으로 마련되거나 버블 제거히터(183)만으로 마련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181)와 버블 제거히터(183)가 함께 구성되어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버블 제거유닛(180)이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181)와 버블 제거히터(183)가 함께 구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라, 재생조(110)의 내부에서 가열히터(120)에 의해 폐수가 가열되어 상부로 올라오는 수증기가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181)를 통과하며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증기 버블을 터뜨려 제거하고 그래도 남은 수증기 속의 액상 물질들은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181)들 사이의 이격된 틈 사이를 빠져나가 물기둥의 형태로 상승하여도 버블 제거히터(183)에 접촉되어 고온으로 가열 제거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순수 증기에 가까운 성분만이 재생조(110)의 상부에 연결된 액상 분리부(195)를 거쳐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외부의 사용수 처리장치(1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조나 도금조 또는 정화조 등에서 사용수가 처리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폐수를 폐수 재생장치(100)를 통해 재활용하여 사용수 처리장치(10)의 사용수 처리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방호 플레이트(181)는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지만, 복수의 봉 부재들이 서로 복잡하게 엇갈려 상부와 하부의 공간이 증기가 통과될 수 있는 작은 틈을 통해서만 이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블 제거히터(183)는 메쉬 형태나 나선형 형태로 된 전기 히터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재생장치(100)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1 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 재생장치(100) 및 세척 장치(200)를 포함하고, 세척 장치(200)는, 세척조(210)와, 세척 장입부(220)와, 세척 순환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의 세척 장치(200)를 먼저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세척조(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세척액이 수용되며, 상부가 밀폐되게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211)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세척 순환부(230)에 연결되어 세척조(210)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 일부를 뽑아낼 수 있도록 세척액 취출관(213)이 연결된다.
이때, 세척조(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액은 사용수로서 공업용수나 알칼리 용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조(210)에는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세척조 온도센서(215)와, 세척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세척조 레벨센서(217)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척조 온도센서(215), 세척조 레벨센서(217)는 제어부(59)에 연결된다. 또한, 세척조(210)에는 세척액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측정 결과를 제어부(59)로 전달하는 세척조 오염측정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세척조 온도센서(215) 또는 세척조 오염측정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59)가 폐수 재생장치(100)의 폐수 유입 펌프(113)와 가열히터(12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세척액의 목표 청정도와 목표 온도를 관리할 수 있고, 세척조 레벨센서(217)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59)가 폐수 유입 펌프(113)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세척액의 적정 수위를 관리할 수 있다.
세척 장입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2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방에는 도어 승강 구동부(221)에 의해 승강되어 세척 장입부(220)를 개폐하는 도어(223)가 구비되며, 내부로 인입되는 금속제품과 같은 피세척물(1)이 세척조(210)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 속으로 잠기도록 피세척물(1)을 승강시키는 세척 승강 구동부(225)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조(210)의 상부는 밀폐되게 구비되되, 세척 장입부(220)와는 연통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 승강 구동부(225)에는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로 인입된 피세척물(1)이 안착되는 승강 운반대(227)가 장착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승강 운반대(227) 또는 피세척물(1)의 하부에는 컨베이어 벨트(conveyer belt)와 같은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피세척물(1)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 순환부(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210) 및 세척 장입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피세척물(1)에 접촉되는 세척액에 압력을 가해 피세척물(1)을 세척하며 세척액을 순환시키는 것으로서, 세척액 취출관(213)이 연결되어 세척액 일부가 분사되는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스프레이 배관(231)과, 세척조(21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233)과, 세척조(210)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의 일부가 추출되어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분사되도록 세척조(210) 및 스프레이 노즐(233) 사이에 구비된 스프레이 펌프(23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배관(231)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순환부(230)는 스프레이 노즐(233) 및 스프레이 펌프(235)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세척 순환부(230)는 세척조(210)의 내부에서 에어 버블(air bubble)을 일으키는 수단이나 월풀(whirlpool) 방식으로 세척조(210)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 내부에 와류를 일으키는 수단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노즐(233)은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에도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로 인입된 피세척물(1)이 세척 승강 구동부(225)의 구동에 의해 세척조(210)로 하강되어 세척액 속으로 잠긴 후에 세척액 속에서 하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미리 한번 세척된 뒤에 세척 승강 구동부(225)의 구동에 의해 세척조(210)로부터 상승되어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반출되기 전에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에서 상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액에 의해 다시 한번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레이 배관(231)은 스프레이 펌프(235)의 작동에 의해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이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분사되도록 세척조(210)와 스프레이 노즐(233) 사이를 연결하여 세척액이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배관(231)은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로 연장된 상부 배관과 세척조(210)의 내부로 연장된 하부 배관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펌프(235)는 제어부(59)의 제어에 의해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세척액이 분사되도록 스프레이 배관(231)의 상부 배관 및 하부 배관이 서로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프레이 펌프(235)에서 스프레이 노즐(233)까지 연결된 상부 배관 및 하부 배관에서 스프레이 펌프(235)에 인접된 위치에는 각각 제어부(59)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과 같은 전자 밸브(55)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스프레이 배관(231)의 상부 배관 및 하부 배관에 각각 구비된 전자 밸브(55)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부(59)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세척액이 상부의 스프레이 노즐(233) 및 하부의 스프레이 노즐(233)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스프레이 배관(231)에서의 세척액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밸브(55)는 경우에 따라서 수동 밸브(51)로 대체될 수도 있다.
폐수 재생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210)와는 별도로 분리되게 구비되되, 세척조(210)로부터 배출되는 폐 세척액이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내부에 저장된 폐 세척액이 가열된 후 증기의 형태로 다시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 속으로 세척 폭기 노즐(119a)을 통해 공급되도록 상부에 구비된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세척조(210)에 연결되는 재생조(110)와, 재생조(110)에 구비되어 폐 세척액을 가열하는 가열히터(120)와, 폐 세척액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오염물질은 수분을 빼앗긴 상태로 별도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폐슬러지 배출 어셈블리(170)와, 재생조(110)의 내부에 저장된 폐 세척액이 가열되어 올라오는 수증기에서 증기 버블이 제거되도록 재생조(110)의 내부에 구비된 버블 제거유닛(180)을 포함한다.
재생조(110)는 세척조(210)로부터 별도로 구비되되 세척조(210)로부터 배출되는 폐 세척액이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부에는 폐수 유입관(111)이 연결되고, 폐수 유입관(111)에는 폐수 유입 펌프(113)가 구비되며, 폐수 유입관(111)에서 폐수 유입 펌프(113)와의 사이에는 유입 체크밸브(115)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폐수 유입관(111) 상에 구비된 전자 밸브(55)와 폐수 유입 펌프(113)가 제어부(59)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세척조(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가 세척이 수행되는 동안 오염된 폐 세척액이 재생조(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증기 공급관(117) 상에 구비된 전자 밸브(55)가 제어부(59)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재생조(110)의 내부에서 폐 세척액이 가열 및 증발되어 발생된 증기가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 속으로 공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재생조(110)에는 재생조(110)의 내부에 저장되어 가열히터(120)에 의해 가열되는 폐 세척액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재생조 온도센서(130)가 구비되고, 재생조(110)의 내부에 저장된 폐 세척액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폐수 레벨게이지(140)가 구비되며, 재생조(1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압력게이지(16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재생조 온도센서(130) 또는 폐수 레벨게이지(14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59)가 폐수 유입 펌프(113) 또는 전자 밸브(55)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세척액의 목표 청정도와 목표 온도를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고, 가열히터(120)의 작동에 따라 발생 되는 수증기의 양을 내부의 압력 감지를 통해 센싱하여 증기 공급관(117)에 구비된 전자 밸브(55)를 제어부(59)가 제어함으로써 재생조(110) 내부의 수증기 량과 세척조(2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수증기 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가열히터(120)는 재생조(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폐 세척액 중 물 성분이 가열에 의해 수증기의 형태로 바뀌어 자연대류 방식으로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 속으로 폭기될 수 있도록 재생조(110)에 구비되어 폐 세척액을 가열한다.
이때,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세척액의 내부로 공급되는 수증기 기포들이 세척액 속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세척액으로 피세척물(1)을 세척하는 능력이 향상되도록 증기 공급관(117)에서 세척조(2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세척액 속에 잠기는 단부에는 외주면 상에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세척 폭기 노즐(119a)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척 폭기 노즐(119a)을 통해 폐수 재생장치(100)로부터 증기가 세척조(210)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으로 공급되어 세척액을 가열시키고 응축되어 깨끗한 상태의 세척액이 계속 유지되도록 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히터(120)는 재생조(110)의 내부로 유입된 폐 세척액의 온도를 높여주어 폐 세척액이 가열 및 증발되도록 재생조(110)의 내부로 연장되게 재생조(110)에 전기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폐슬러지 배출 어셈블리(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조(110)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배관(171)과, 재생조(110)의 일측에 별도로 분리되게 구비된 배출탱크(173)와, 재생조(110)로부터 폐슬러지의 배출 흐름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배출배관(171)에 구비된 수동 밸브(51) 및 전자 밸브(5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피세척물(1)을 세척하는 동안 오염된 폐 세척액이 폐수 유입 펌프(113)의 작동에 의해 세척조(210)로부터 폐수 유입관(111)을 통해 재생조(110)의 내부로 유입되면 가열히터(120)가 작동되어 폐 세척액이 재생조(110) 내에서 가열 및 증발되어 순수한 물 성분은 증기의 형태로 다시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 속으로 공급되고 나머지 오염물질은 수분을 빼앗긴 상태로 배출탱크(173)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폐수 재생장치(100)의 가열히터(120)에 의해 가열 및 증발되어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 속으로 다시 공급되는 증기는 그 온도가 고온으로서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을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간접적으로 가열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세척액을 간접적으로 가열시키는 동안 열을 빼앗긴 수증기는 세척액 속에서 응축되어 세척액 속에 포함됨으로써 물의 외부로부터의 추가적인 공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출탱크(173)는 재생조(110)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배관(171)을 통해 재생조(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자 밸브(55)가 제어부(59)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재생조(110)의 내부에서 폐 세척액이 가열 및 증발되어 수분을 빼앗긴 상태로 된 폐슬러지가 선택적으로 배출 또는 배출 차단되도록 할 수 있고, 배출탱크(173)가 배출배관(17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전자 밸브(55)가 제어부(59)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재생조(110) 내부의 폐슬러지가 배출탱크(173)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버블 제거유닛(180)은 수증기의 증기 버블이 물리적으로 충돌되어 터지도록 재생조(110)의 내벽에 상호 엇갈리게 마련된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181)와 수증기의 증기 버블을 고온으로 터뜨리는 버블 제거히터(1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버블 제거유닛(180)이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181)와 버블 제거히터(183)가 함께 구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세척 장입부(220)의 도어 승강 구동부(221)가 작동되어 도어(223)가 개방된 상태에서 피세척물(1)이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로 인입되면 도어(223)는 도어 승강 구동부(221)의 구동에 의해 하강 및 폐쇄되어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한다.
다음에, 세척 승강 구동부(225)의 구동에 의해 승강 운반대(227)가 세척조(210)로 하강되어 피세척물(1)이 세척액 속으로 잠기도록 한다.
그리고, 스프레이 배관(231)의 하부 배관에 구비된 스프레이 펌프(235)가 작동되도록 하여 세척조(210)의 내부에서 하부에 위치되게 연장된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세척액이 피세척물(1)로 스프레이 분사되도록 한다.
피세척물(1)이 세척액 속에 잠긴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세척 승강 구동부(225)의 구동에 의해 피세척물(1)이 세척조(210)로부터 상승되어 다시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고, 스프레이 배관(231)의 상부 배관에 구비된 스프레이 펌프(235)가 작동되도록 하여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로 연장된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세척액이 피세척물(1)로 스프레이 분사되도록 한다.
세척 장입부(220)에서 스프레이 세척을 마친 피세척물(1)은 도어 승강 구동부(221)의 구동에 의해 도어(223)가 개방되면 세척 장입부(220)의 외부로 반출되어 진다.
피세척물(1)의 세척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세척조(210)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은 상술한 세척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게 됨에 따라 점차 이물질이 증가되어 오염도가 증가하게 되고 세척 능력이 저하된다.
이때, 세척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세척조 온도센서(215)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59)는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세척액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폐수 재생장치(100)의 폐수 유입 펌프(113) 및 가열히터(120) 등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폐수 유입 펌프(113)의 작동에 의해 세척조(210)로부터 폐 세척액이 폐수 유입관(111)을 통해 재생조(110)로 유입되면 제어부(59)는 가열히터(120)를 작동시켜 폐 세척액이 재생조(110) 내에서 가열 및 증발되어 수증기가 되도록 하고, 발생된 수증기는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세척조(210)의 내부로 다시 공급되도록 하여 세척액의 온도를 다시 승온시켜 주게 된다.
한편, 재생조(110) 내에서의 수증기 발생으로 인한 폐 세척액의 수위 저하는 폐수 레벨게이지(140)를 통해 감지되어 폐수 유입 펌프(113)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보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충이 수십 회 반복되면 재생조(110) 내의 폐 세척액의 오염농도가 더욱 높아지게 되어 끓는점 또한 높아지게 된다.
이때, 재생조 온도센서(130)를 통해 폐 세척액의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된 것으로 제어부(59)가 판단하면 전자 밸브(55)를 작동시켜 폐슬러지가 배출탱크(173)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에 의해 일정주기로 폐슬러지가 배출탱크(173)에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재생조(110)의 내부에서 가열히터(120)에 의해 폐 세척액이 가열되어 수증기의 형태로 상부로 올라오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181)를 통과하며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수증기 속의 증기 버블은 터져 제거되고 그래도 남은 수증기 속의 액상 물질들은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181)들 사이의 이격된 틈 사이를 빠져나가 상승하여도 버블 제거히터(183)에 접촉되어 고온으로 가열 제거되어 최종적으로는 순수 증기에 가까운 성분만이 재생조(110)의 상부에 연결된 액상 분리부(195)를 거쳐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세척 장치(200)의 세척조(210)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 속으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세척액이 지속적으로 정화되고 순환되어 세척액의 청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폐수 재생장치(100)가 세척조(210)와는 별도로 분리되게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가 마련됨으로써 세척액의 오염을 예방하여 피세척물(1)의 세척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세척액을 일일이 교체해줄 필요가 없도록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가 마련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 해지고 폐수 발생의 최소화 및 절수 등을 통해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210)의 일측에 격벽(241)에 의해 구획되며 내부에 수용된 재생 세척액이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서 공급되도록 재생 세척액 순환배관(243)이 연결되어 폐 세척액이 증발되면서 발생되는 증기를 응축하여 저장하는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가 구비되고,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의 내부에는 증기 공급관(117)에 연결된 재생 폭기 노즐(119b)이 구비된다는 것이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폐수 재생장치(100)의 증기 공급관(117)이 세척조(210)의 내부와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의 내부로 각각 연장되어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재생조(110)에서 공급되는 순수 증기는 세척 폭기 노즐(119a)과 재생 폭기 노즐(119b)을 통해 세척조(210)와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에 모두 공급되고,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에는 신선 세액 공급배관(240a)이 구비됨으로써,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의 내부에는 세척조(210)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보다 더 청정한 상태의 세척수가 저장되고, 재생 세척액 순환배관(243)에 구비된 재생 세척액 순환펌프(245)의 구동에 의해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의 내부에 수용된 청정 세척수가 재생 세척액 순환배관(243)을 통해 스프레이 노즐(233)이 구비된 스프레이 배관(231)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에는 재생 세척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재생 세척액 온도센서(247)와, 재생 세척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재생 세척액 레벨센서(249)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피세척물(1)이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 속에 잠긴 상태에서 스프레이 펌프(235)의 구동에 의해 하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고압의 에어 버블링으로 1차 세척된 후, 세척 승강 구동부(225)의 구동에 의해 세척조(210)로부터 상승되어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에서 인출되기 전에, 스프레이 펌프(235)의 구동에 의해 상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2차로 샤워 세척되고(2차 샤워 세척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음), 재생 세척액 순환펌프(245)의 구동에 의해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의 내부에 수용된 청정 세척수로 상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3차로 샤워 세척되고 나서, 세척 장입부(220)의 외부로 반출되도록 함으로써, 피세척물(1)의 세척 품질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210)의 내부에서 증기 공급관(117)에 연결된 세척 열교환부(250)가 구비된다는 것이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이때, 응축된 재생 세척액은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 속에서 세척 열교환부(250)가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재생조(110)에서 공급되는 증기의 열을 이용하여 세척액과 열교환 되도록 함으로써 세척액의 온도를 상승시켜 세척액의 세척성능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공급관(117)이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서 증기를 공급하도록 스프레이 노즐(233)이 구비된 상부의 스프레이 배관(231)에도 연결된다는 것이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의 차이점이다.
이에 따라, 피세척물(1)이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 속에 잠긴 상태에서 스프레이 펌프(235)의 구동에 의해 하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고압의 에어 버블링으로 1차 세척된 후, 세척 승강 구동부(225)의 구동에 의해 세척조(210)로부터 상승되어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에서 인출되기 전에, 스프레이 펌프(235)의 구동에 의해 상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2차로 샤워 세척되고, 재생 세척액 순환펌프(245)의 구동에 의해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의 내부에 수용된 청정 세척수로 상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3차로 샤워 세척되며,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폐수 재생장치(100)에서 공급되어 상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분사되는 고온의 증기로 건조 및 잔존 세척액이 제거되고 나서, 세척 장입부(220)의 외부로 반출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시설이나 에너지 소모 없이도 피세척물(1)의 세척 품질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장입부(220)의 후방에 세척조(210)에서 세척이 완료된 피세척물(1)이 세척 장입부(220)로 상승 되어 추가로 샤워 세척된 후 이송되어 건조되는 건조챔버(260)가 구비되고, 증기 공급관(117)은 건조챔버(260)의 내부에 구비된 증기분사노즐(261)을 통해서 증기를 공급하도록 증기분사노즐(261)이 구비된 증기노즐배관(263)에도 연결된다는 것이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의 차이점이다.
이에 따라, 피세척물(1)이 세척조(210) 내부의 세척액 속에 잠긴 상태에서 스프레이 펌프(235)의 구동에 의해 하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고압의 에어 버블링으로 1차 세척된 후, 세척 승강 구동부(225)의 구동에 의해 세척조(210)로부터 상승되어 세척 장입부(220)의 내부에서 인출되기 전에, 스프레이 펌프(235)의 구동에 의해 상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2차로 샤워 세척되고, 재생 세척액 순환펌프(245)의 구동에 의해 재생 세척액 저장조(240)의 내부에 수용된 청정 세척수로 상부의 스프레이 노즐(233)을 통해 3차로 샤워 세척되며, 피세척물(1)이 건조챔버(260)의 내부로 장입 되도록 이송하고 증기 공급관(117) 및 증기노즐배관(263)을 통해 폐수 재생장치(100)에서 공급되어 증기분사노즐(261)을 통해 분사되는 고온의 증기로 건조 및 잔존 세척액이 제거되고 나서, 건조챔버(260)로부터 세척 장입부(220)를 거쳐 외부로 반출되도록 이송함으로써, 피세척물(1)의 세척 품질이 더욱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건조챔버(260)의 내부에서 건조가 좀더 빠르게 진행되도록 건조챔버(260) 내에는 건조 히터(265)나 건조챔버(260) 내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공기순환 블로어(267)와 같은 순환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건조챔버(260) 내부에 차게 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벤트 밸브(26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 재생장치(100) 및 세척 장입부(220)의 사이에 폐수 재생장치(100)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유지되며 버블 제거유닛(180)이 내부에 추가로 설치된 추가 버블 제거장치(300)가 구비되어 세척조(210)에 먼저 연결된 재생조(110)에서 가열 처리된 증기가 추가 버블 제거장치(300)로 순차적으로 유입되도록 구비된다는 것이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의 차이점이다.
이에 따라, 폐수 재생장치(100)의 재생조(110)에서 증기 공급관(117)을 통해 공급되는 증기에 버블이나 액상 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잔존하더라도 추가 버블 제거장치(300)로 유입되어 내부의 저압으로 버블은 제거되고 버블 제거유닛(180)에 의해 액상 물질이 완전히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세척 장치(200)로는 이물질이 섞이지 않은 보다 순수한 증기만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액을 일일이 교체해줄 필요가 없게 되고 유지관리가 용이 해지며 폐수 발생의 최소화 및 절수 등을 통해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폐수 재생장치 110 : 재생조
120 : 가열히터 140 : 폐수 레벨게이지
150 : 레벨 안정화 커버 160 : 압력게이지
170 : 폐슬러지 배출 어셈블리 180 : 버블 제거유닛
181 : 방호 플레이트 183 : 버블 제거히터
190 : 복압 체크밸브 195 : 액상 분리부
210 : 세척조 220 : 세척 장입부
230 : 세척 순환부 240 : 재생 세척액 저장조
250 : 세척 열교환부 260 : 건조챔버
300 : 추가 버블 제거장치

Claims (13)

  1. 외부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부에는 폐수 유입관이 연결되고,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된 후 증기의 형태로 다시 외부 장치 내부의 사용수 속으로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증기 공급관이 연결되며, 상기 폐수 유입관에는 폐수 유입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폐수 유입관에서 상기 폐수 유입 펌프와의 사이에는 유입 체크밸브가 구비된 재생조;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폐수를 가열하는 가열히터;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폐수 레벨게이지;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게이지;
    상기 재생조의 하부에 침전되는 폐수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재생조의 하부에 구비된 폐슬러지 배출 어셈블리; 및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상기 폐수 레벨게이지를 감싸는 구조로 구비되되, 일측에는 폐수가 유출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레벨 안정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생장치.
  2. 외부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도록 하부에는 폐수 유입관이 연결되고,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된 후 증기의 형태로 다시 외부 장치 내부의 사용수 속으로 공급되도록 상부에는 증기 공급관이 연결되며, 상기 폐수 유입관에는 폐수 유입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폐수 유입관에서 상기 폐수 유입 펌프와의 사이에는 유입 체크밸브가 구비된 재생조;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폐수를 가열하는 가열히터;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폐수 레벨게이지;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게이지;
    상기 재생조의 하부에 침전되는 폐수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재생조의 하부에 구비된 폐슬러지 배출 어셈블리; 및
    상기 재생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 내부의 압력이 허용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허용 압력이상으로 회복되도록 하는 복압 체크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저장된 폐수가 가열되어 올라오는 수증기에서 증기 버블이 제거되도록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서 상기 폐수 레벨게이지보다 상부에는 버블 제거유닛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제거유닛은 수증기의 증기 버블이 물리적으로 충돌되어 터지도록 상기 재생조의 내벽에 상호 엇갈리게 마련된 복수의 방호 플레이트와 수증기의 증기 버블을 고온으로 터뜨리는 버블 제거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서 상기 증기 공급관이 연결된 부위에는 상기 버블 제거유닛에 의해서도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증기 버블 또는 액상 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선회하면서 원추벽을 따라 하강 되고 증기 버블 또는 액상 물질이 분리된 순수 증기만이 상기 증기 공급관으로 상승 유입되도록 하는 액상 분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생장치.
  6. 내부에 세척액이 수용되며, 상부가 밀폐되게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가 구비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로 인입되는 피세척물이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 속으로 잠기도록 상기 피세척물을 승강시키는 세척 승강 구동부가 구비된 세척 장입부;
    상기 세척조와 상기 세척 장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피세척물에 접촉되는 세척액에 압력을 가해 피세척물을 세척하며 세척액을 순환시키는 세척 순환부; 및
    상기 세척조와는 별도로 분리되게 구비되되 상기 세척조로부터 배출되는 폐 세척액이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내부에 저장된 폐 세척액이 가열된 후 증기의 형태로 다시 상기 세척조 내부의 세척액 속으로 세척 폭기 노즐을 통해 공급되도록 상부에 구비된 증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세척조에 연결되는 재생조와,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폐 세척액을 가열하는 가열히터와,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저장된 폐 세척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폐수 레벨게이지와, 상기 재생조의 내부에 상기 폐수 레벨게이지를 감싸는 구조로 구비되되 일측에는 폐 세척액이 유출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레벨 안정화 커버로 이루어진 폐수 재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7. 내부에 세척액이 수용되며, 상부가 밀폐되게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가 구비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로 인입되는 피세척물이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수용된 세척액 속으로 잠기도록 상기 피세척물을 승강시키는 세척 승강 구동부가 구비된 세척 장입부;
    상기 세척조와 상기 세척 장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피세척물에 접촉되는 세척액에 압력을 가해 피세척물을 세척하며 세척액을 순환시키는 세척 순환부; 및
    상기 세척조와는 별도로 분리되게 구비되되 상기 세척조로부터 배출되는 폐 세척액이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내부에 저장된 폐 세척액이 가열된 후 증기의 형태로 다시 상기 세척조 내부의 세척액 속으로 세척 폭기 노즐을 통해 공급되도록 상부에 구비된 증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세척조에 연결되는 재생조와, 상기 재생조에 구비되어 폐 세척액을 가열하는 가열히터와, 상기 재생조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조 내부의 압력이 허용 압력보다 낮아지면 다시 허용 압력이상으로 회복되도록 하는 복압 체크밸브로 이루어진 폐수 재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내부에 수용된 재생 세척액이 상기 세척 장입부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서 공급되도록 재생 세척액 순환배관이 연결된 재생 세척액 저장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는 상기 증기 공급관에 연결된 세척 열교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관은 상기 세척 장입부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서 증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스프레이 노즐이 구비된 스프레이 배관에도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입부의 후방에는 상기 세척조에서 세척이 완료된 피세척물이 상기 세척 장입부로 상승 되어 추가로 샤워 세척된 후 이송되어 건조되는 건조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증기 공급관은 상기 건조챔버의 내부에 구비된 증기분사노즐을 통해서 증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증기분사노즐이 구비된 증기노즐배관에도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재생장치 및 상기 세척 장입부의 사이에는 상기 폐수 재생장치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유지되며 폐 세척액이 가열되어 올라오는 수증기에서 증기 버블이 추가로 제거되는 추가 버블 제거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13. 삭제
KR1020140128084A 2013-10-10 2014-09-25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KR101505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084A KR101505028B1 (ko) 2014-09-25 2014-09-25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PCT/KR2014/009336 WO2015053511A1 (ko) 2013-10-10 2014-10-02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CN201480055871.1A CN105612126B (zh) 2013-10-10 2014-10-02 废水回收装置及包含其的废水回收洗涤设备
US15/027,376 US10537921B2 (en) 2013-10-10 2014-10-02 Wastewater reclamation apparatus and wastewater-recycling washing equipment including same
EP14852763.3A EP3056472A4 (en) 2013-10-10 2014-10-02 Wastewater reclamation apparatus and wastewater-recyling washing equipment including same
JP2016521640A JP6277568B2 (ja) 2013-10-10 2014-10-02 廃水再生装置
JP2017143139A JP6516194B2 (ja) 2013-10-10 2017-07-24 廃水リサイクル洗浄設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084A KR101505028B1 (ko) 2014-09-25 2014-09-25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028B1 true KR101505028B1 (ko) 2015-03-23

Family

ID=5302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084A KR101505028B1 (ko) 2013-10-10 2014-09-25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0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32264A (zh) * 2022-10-25 2023-06-27 江苏赛维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清洗废弃塑料表面有机污染物的回流洗涤系统及使用方法
CN117185393A (zh) * 2023-11-06 2023-12-08 海普欧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蒸发式污水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423A (ko) * 1998-04-06 1999-11-05 정덕우 전기 스팀 보일러용 수조
JP2001046801A (ja) * 1999-08-06 2001-02-20 Act Five Kk 蒸留再生器
KR101364248B1 (ko) * 2013-10-10 2014-02-17 드림열처리 주식회사 폐수 재활용 세척장치
KR101438681B1 (ko) * 2014-06-13 2014-09-12 다운환경 (주) 거품 제어구조를 갖는 증발농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423A (ko) * 1998-04-06 1999-11-05 정덕우 전기 스팀 보일러용 수조
JP2001046801A (ja) * 1999-08-06 2001-02-20 Act Five Kk 蒸留再生器
KR101364248B1 (ko) * 2013-10-10 2014-02-17 드림열처리 주식회사 폐수 재활용 세척장치
KR101438681B1 (ko) * 2014-06-13 2014-09-12 다운환경 (주) 거품 제어구조를 갖는 증발농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32264A (zh) * 2022-10-25 2023-06-27 江苏赛维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清洗废弃塑料表面有机污染物的回流洗涤系统及使用方法
CN116332264B (zh) * 2022-10-25 2023-09-19 江苏赛维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清洗废弃塑料表面有机污染物的污水的处理系统及方法
CN117185393A (zh) * 2023-11-06 2023-12-08 海普欧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蒸发式污水处理装置
CN117185393B (zh) * 2023-11-06 2024-01-30 海普欧环保集团有限公司 一种蒸发式污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6194B2 (ja) 廃水リサイクル洗浄設備
KR101869643B1 (ko) 친환경 신재생 지능형 세척시스템
KR102354361B1 (ko) 기판 액처리 장치, 탱크 세정 방법 및 기억 매체
EP05602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metal articles and apparatus for rinsing metal articles
US10000880B1 (en) Laundry wash water recycle system
JPH09506032A (ja) マルチプロセスパワースプレーウォッシャー装置
KR101505028B1 (ko)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KR101557121B1 (ko) 고효율 약액 반응 탈취장치
US6257254B1 (en) Cleaning system for a washer
WO2005102399A1 (en) Disinfection apparatus with pump device
KR100799185B1 (ko) 엽채류 세척 및 살균장치
KR101130950B1 (ko) 작업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KR101364248B1 (ko) 폐수 재활용 세척장치
JPH1156735A (ja) 食器洗浄装置
KR100787408B1 (ko) 진공세척건조장치
RU2494668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тролем уровня для отдел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их примесей
KR101744532B1 (ko) 열처리 부품용 세척장치
EP1240106B1 (en) A method for cleaning objects by means of a heated liquid and a plant for the accomplishment of said method
EP3481563B1 (en) Method for restoring damaged electronic devices by cleaning and apparatus therefor
KR101355880B1 (ko) 국소가열구조의 살균기능을 갖는 에너지 절약형 음용수 공급장치
KR101565947B1 (ko) 전착도장용 폐수 재활용 장치
AU2006246459A1 (en) Water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of water recovery
JPH05239678A (ja) 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JP3363557B2 (ja) 一槽式処理装置
JPH10211844A (ja) 電気集塵機用極板洗浄乾燥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