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293B1 - 세척건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세척건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293B1
KR100969293B1 KR1020080027972A KR20080027972A KR100969293B1 KR 100969293 B1 KR100969293 B1 KR 100969293B1 KR 1020080027972 A KR1020080027972 A KR 1020080027972A KR 20080027972 A KR20080027972 A KR 20080027972A KR 100969293 B1 KR100969293 B1 KR 100969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liquid
washing liquid
drying chamb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496A (ko
Inventor
이동기
김덕훈
박지애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2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29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07Heating the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건조실에 대한 세척액의 투입을 순환/공급펌프에 의해 수행시키고, 종래의 1차 세척공정시 수행되었던 피세척물 을 흔들어 주는 장치 대신에 상기 순환/공급펌프에 의해 세척액 회수통과 세척건조실 간에 세척액을 순환시키는 것으로 대체하고, 아울러 세척건조실에서 세척액 회수통에 세척액을 복귀시키는 것을 통기구를 사용함 없이 자연낙하에 의해서만 수행하게 하여, 인체에 해로운 염소계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피세척물을 흔드는 장치를 배제시킴으로써 세척건조장치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Figure R1020080027972
세척건조실, 세척액회수통, 진공증발기, 재생액탱크

Description

세척건조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d drying }
본 발명은 기계부품이나 전기 전자제품 또는 광학부품 등 여러 산업분야에 걸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을 세척 및 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척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세척력이 우수한 염소계의 세척제를 이용하여 각종 가공 부품을 세척/건조하는 세척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척건조장치는 본 발명자에 의해 다수 출원된 바 있다.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세척건조장치는 세척 건조될 고형의 피처리물을 진공상태에서 세척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상기 세척건조장치들의 주 특징은 진공을 이용하여 세척액을 세척건조실에 충전하고 나서 피세척물을 흔들어 1차 세척한 다음, 다시 진공을 이용하여 새로운 세척액을 세척건조실에 충전하고 나서 초음파 발생에 의해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것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세척건조장치는 1차 세척작업시 피세척물을 흔들어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
또한, 세척건조실에 투입된 세척액을 세척액 회수통에 복귀시킬 때 세척건조 실을 대기압상태로 만들고 세척액 회수통을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압력차에 의해 복귀시키는 것이어서, 세척액이 인체에 해로운 염소계인 경우에는, 세척건조실의 대기압상태를 위해 개방된 통기구를 통하여 염소계 액체가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된다고 하는 것에, 상기 종래의 진공세척건조장치들은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에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세척건조실에 대한 세척액의 투입을 순환/공급펌프에 의해 수행시키고, 종래의 1차 세척공정시 수행되었던 피세척물을 흔들어 주는 장치 대신에 상기 순환/공급펌프에 의해 세척액 회수통과 세척건조실 간에 세척액을 순환시키는 것으로 대체하고, 아울러 세척건조실에서 세척액 회수통에 세척액을 복귀시키는 것을 통기구를 사용함 없이 자연낙하에 의해서만 수행되게 하면, 상기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인체에 해로운 염소계 세척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피세척물을 흔드는 장치를 배제시킴으로써 세척건조장치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건조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세척건조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세척건조장치(100)는 인체에 해롭고 비점이 낮은 세척제(예를 들면, 염소계 세척제)를 이용하여 각종 부품을 세척하는 데 적합한 장치이다.
상기 세척건조장치(100)는, 초음파발생기(10), 피세척물을 담기 위한 캐리어(20)가 내장되어 있는 세척건조실(30), 상기 세척건조실(30)보다 낮은 높이 레벨에 위치된 세척액회수통(40), 상기 세척액회수통(40)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세척액회수통(40)에 저장된 세척액을 이송받아 증발시키는 진공증발기(50), 그리고 상기 진공증발기(50)에서 증발된 염소계의 세척액 증발분을 저장하다가 상기 세척액회수통(40)에 공급하는 재생액탱크(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세척건조실(30)의 상단에는 도중에 밸브(V4)와 콘덴서(C1)가 개재되어 있는 제 1진공라인(L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 1진공라인(L4)의 타단에는 진공펌프(P1)의 흡입측이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콘덴서(C1)는 세척액회수통(40)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콘텐서(C1)의 배출측에는 도중에 밸브(V5)가 개재되어 있는 제 2진공라인(L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 2진공라인(L5)의 타단은 상기 세척액회수통(4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세척액회수통(40)에는 가열수단(히팅)이 구비되어 있어 세척액회수통에 저장된 세척액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세척액회수통(40) 내에는 세척액통(41)과 린스액통(42)이 구획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린스액통(42)에 저장된 린스액이 일정 레벨 저장되면 상기 세척액통으로 월류될 수 있도록 상기 린스액통과 상기 세척액통 간에는 벽(W)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척액통(41)의 상단에는 도중에 밸브(V1)가 개재된 폐액배출라인(L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폐액배출라인(L1)의 타단은 상기 세척건조실(30)의 바닥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린스액통(42)의 상단에는 도중에 밸브(V6)가 개재된 준폐액배출라인(L6)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준폐액배출라인(L6)의 타단은 상기 폐액배출라인(L1)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세척액통(41)의 하단에는 도중에 밸브(V2), 필터(F), 순환/공급펌프(P2), 및 밸브(V3)가 개재되어 있는 세척액공급라인(L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세척액공급라인(L3)의 타단은 상기 세척건조실(3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린스액통(42)의 하단에는 도중에 밸브(V7)가 개재된 린스액공급라인(L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린스액공급라인(L7)의 타단은 상기 필터(F)의 흡입측인 상기 세척액 공급라인(L3)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척액통(41)의 하단에는 도중에 밸브(V9)가 개재된 폐액처리라인(L9)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폐액처리라인(L9)의 타단은 상기 진공증발기(5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진공증발기(50) 상단에는 도중에 콘덴서(C2) 및 진공펌프(P3)가 개개되어 있는 증발분배출라인(L1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증발분배출라인(L10)의 타단은 재생액탱크(6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재생액탱크(60)의 상단에는 재생액공급라인(L11)의 일단이 접속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재생액공급라인(L11)의 타단은 상기 린스액통(42)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서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투입공정
먼저, 캐리어(20)에 담겨진 피세척물을 세척건조실(30)에 투입한다.
2. 세척공정
2-1. 세척액순환공정
밸브(V1, V2, V3)들을 열고, 순환/공급펌프(P2)를 가동하여 세척액통(41)에 저장된 염소계의 세척액을 세척건조실(30)을 경유하여 설정시간 동안 순환시키게 한다. 그 다음,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 밸브(V1)를 닫고 세척건조실(30) 내에 일정 수위의 세척액을 충전한 다음, 밸브(V2, V3)를 닫고 순환/공급펌프(P2)를 가동중지시킨다.
상기 세척액순환공정은 세척액이 세척건조실(30) 내에서 폭포물이 낙하하듯이 세척건조실(30)에 투입된 피세척물에 낙하하게 되어서, 피세척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 이탈되어 세척액과 함께 폐액배출라인(L1)을 경유하여 세척액통에 복귀되는 수순을 반복한 다음, 세척건조실(30)내에 소정 수위가 될 때까지 세척액을 채운다.
2-2. 1차 진공초음파세척공정
밸브(V4)를 열고, 진공펌프(P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30) 내를 소정의 진공도로 만들고 나서 진공펌프(P1)를 가동중지시킨다.
그 다음, 초음파발생기(10)를 소정 시간 동안 가동하여 피세척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킨다.
그 다음, 밸브(V4, V5, V1)를 열어, 세척건조실(30)과 세척액통(41) 간의 압력을 동일하게 만들어 세척건조실(30)에 충전된 세척액을 자연낙하에 의해 세척액통(41)에 유입시키고 나서, 밸브(V4, V5, V1)를 닫는다.
3. 린스(rinse)공정
3-1. 린스액 순환공정
밸브(V6, V7, V3)들을 열고, 순환/공급펌프(P2)를 가동하여 린스액통(42)에 저장된 염소계의 세척액(세척액통에 저장된 세척액보다 순도가 높은 염소계의 세척액)을 세척건조실(30)을 경유하여 설정시간 동안 순환시키게 한다. 그 다음, 설정시간이 경과된 후, 밸브(V6)를 닫고 세척건조실(30) 내에 일정 수위의 세척액을 충전한 다음, 밸브(V7, V3)를 닫고 순환/공급펌프(P2)를 가동중지시킨다.
상기 린스액 순환공정도, 세척액 순환공정과 같이, 순도가 높은 세척액이 세척건조실(30) 내에서 폭포물이 낙하하듯이 세척건조실(30)에 투입된 피세척물에 낙하하게 되어서, 피세척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이 피세척물에 대하여 이탈되어, 세척액과 함께 준폐액배출라인(L6)을 경유하여 린스액통(42)에 복귀되는 수순을 반복한 다음, 세척건조실(30)내에 소정 수위가 될 때까지 세척액을 채운다.
3-2. 2차 진공초음파 린스공정
밸브(V4)를 열고, 진공펌프(P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30) 내를 소정의 진공도로 만들고 나서, 밸브(V4)를 닫고, 진공펌프(P1)를 가동중지시킨다.
그 다음, 초음파발생기(10)를 소정 시간 동안 가동하여 피세척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킨다.
그 다음, 밸브(V4, V5, V1)를 열어, 세척건조실(30)과 세척액통(41) 간의 압력을 동일하게 만들어 세척건조실(30)에 충전된 세척액을 자연낙하에 의해 세척액통(41)에 유입시키고 나서, 밸브(V4, V5, V1)를 닫는다.
4. 건조공정
밸브(V4)를 열고, 진공펌프(P1)를 가동하여 세척건조실(30) 내를 소정의 진공도로 만들고 나서 진공펌프(P1)를 가동중지시키고,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밸브(V4)를 닫는다.
상기 세척건조실(3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 피세척물이 붙어 있는 세척액이 증발되어 그 증발분이 콘텐서(C1)에 유입된다.
그 이유는 염소계의 세척물은 물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이하게 증발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염소계의 세척물이 낮은 압력 상태에 있으면 그만큼 대기압 상태에서의 증발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증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 밸브(V5)를 열어서, 콘덴서(C1)와 세척액통(41) 간의 압력을 동일하게 만들어서, 세척건조실(30)에서 증발된 염소계 세척액을 유입받아 콘덴서(C1)에서 응축된 응축액(염소계 세척액)을 자연낙하에 의해 세척액통(41)에 회수시킨다.
5. 세척액 재생공정
밸브(V9)를 열고 진공펌프(P3)를 가동시키면, 불순물이 함유된 상태로 세척 액통에 저장된 세척액이 진공증발기(50)에 유입되어 증발처리되어 콘덴서(C2)에 의해 응축되어서 재생액탱크(60)에 액상으로 유입되게 되고, 재생액탱크(60)에 유입된 액상의 재생 세척액은 진공펌프(P3)의 배출압에 의해 재생액공급라인(L11)을 경유하여 린스액통(42)에 회수된다.
상기 린스액통(42)에 저장된 재생액이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재생액이 벽(W)을 넘어 월류하여 상기 세척액통(41)에 유입되어 세척액통(41)에 저장된 세척액과 혼합되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진공세척장치에 대한 개념도.

Claims (9)

  1. 인체에 해롭고 비점이 낮은 세척제를 이용하여 각종 부품을 세척하는 세척건조장치로서,
    초음파발생기(10) 및 피세척물을 담기 위한 캐리어(20)가 내장되어 있는 세척건조실(30);
    상기 세척건조실(30)보다 낮은 높이 레벨에 위치된 세척액회수통으로서 세척액통(41)과 린스액통(42)이 구획형성되어 있는 상기 세척액회수통(40);
    상기 세척액회수통(40)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세척액회수통(40)에 저장된 세척액을 이송받아 증발시키는 진공증발기(50); 그리고
    상기 진공증발기(50)에서 증발된 염소계의 세척액 증발분을 저장하다가 상기 세척액회수통(40)에 공급하는 재생액탱크(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세척건조실(30)의 상단에는 도중에 밸브(V4)와 콘덴서(C1)가 개재되어 있는 제 1진공라인(L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 1진공라인(L4)의 타단에는 진공펌프(P1)의 흡입측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콘텐서(C1)의 배출측에는 도중에 밸브(V5)가 개재되어 있는 제 2진공라인(L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 2진공라인(L5)의 타단은 상기 세척액통(4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통(41)의 상단에는 도중에 밸브(V1)가 개재된 폐액배출라인(L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폐액배출라인(L1)의 타단은 상기 세척건조실(30)의 바닥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세척액통(41)의 하단에는 도중에 밸브(V2), 필터(F), 순환/공급펌프(P2), 및 밸브(V3)가 개재되어 있는 세척액공급라인(L3)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세척액공급라인(L3)의 타단은 상기 세척건조실(3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린스액통(42)에 저장된 린스액이 일정 레벨 저장되면 상기 세척액통(41)으로 월류될 수 있도록 상기 린스액통(42)과 상기 세척액통(41) 간에는 벽(W)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린스액통(42)의 상단에는 도중에 밸브(V6)가 개재된 준폐액배출라인(L6)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준폐액배출라인(L6)의 타단은 상기 폐액배출라인(L1)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으며,
    린스액통(42)의 하단에는 도중에 밸브(V7)가 개재된 린스액공급라인(L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린스액공급라인(L7)의 타단은 상기 필터(F)의 흡입측인 상기 세척액 공급라인(L3)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액통(41)의 하단에는 도중에 밸브(V9)가 개재된 폐액처리라인(L9)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폐액처리라인(L9)의 타단은 상기 진공증발기(5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증발기(50) 상단에는 도중에 콘덴서(C2) 및 진공펌프(P3)가 개재되어 있는 증발분배출라인(L1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증발분배출라인(L10)의 타단은 재생액탱크(60)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재생액탱크(60)의 상단에는 재생액공급라인(L11)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재생액공급라인(L11)의 타단은 상기 린스액통(42)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건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C1)는 세척액회수통(40)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건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회수통(40)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건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인체에 해롭고 비점이 낮은 세척제를 이용하여 각종 부품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세척물을 세척건조실(30)에 투입하는 투입단계;
    순환/공급펌프(P2)를 가동하여 세척액통(41)에 저장된 세척액을 세척건조실(30)을 경유하여 설정시간 동안 순환시키게 한 다음, 세척건조실(30) 내에 일정 수위의 세척액을 충전하는 세척액순환단계;
    세척건조실(30) 내를 진공도로 만들고 나서 초음파발생기(10)를 소정 시간 동안 가동하여 피세척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킨 다음, 세척건조실(30)과 세척액통(41) 간의 압력을 동일하게 만들어 세척건조실(30)에 충전된 세척액을 자연낙하에 의해 세척액통(41)에 유입시키는 1차 진공초음파세척단계;
    순환/공급펌프(P2)를 가동하여 린스액통(42)에 저장된 세척액을 세척건조실(30)을 경유하여 설정시간 동안 순환시키게 한 다음, 세척건조실(30) 내에 일정 수위의 세척액을 충전하는 린스액 순환단계;
    세척건조실(30) 내를 진공도로 만들고 나서 초음파발생기(10)를 소정 시간 동안 가동하여 피세척물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이탈시킨 다음, 세척건조실(30)과 세척액통(41) 간의 압력을 동일하게 만들어 세척건조실(30)에 충전된 세척액을 자연낙하에 의해 세척액통(41)에 유입시키는 2차 진공초음파 린스단계; 그리고
    세척건조실(30) 내를 진공도로 만들어서, 피세척물이 붙어 있는 세척액을 증발시켜, 그 증발분을 콘덴서(C1)에서 응축하여 세척액통(41)에 자연낙하에 의해 회수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건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불순물이 함유된 상태로 세척액통에 저장된 세척액을 진공증발기(50)에 유입하여 증발처리하여서 그 증발분을 콘덴서(C2)에 의해 응축하여 재생액탱크(60)에 액상으로 유입시킨 다음, 재생액탱크(60)에 유입된 액상의 재생 세척액을 린스액통(42)에 회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건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액통(42)에 저장된 재생액이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재생액이 벽(W)을 넘어 월류하여 상기 세척액통(41)에 유입되어 세척액통(41)에 저장된 세척액과 혼합하게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건조방법.
KR1020080027972A 2008-03-26 2008-03-26 세척건조장치 및 방법 KR10096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972A KR100969293B1 (ko) 2008-03-26 2008-03-26 세척건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972A KR100969293B1 (ko) 2008-03-26 2008-03-26 세척건조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96A KR20090102496A (ko) 2009-09-30
KR100969293B1 true KR100969293B1 (ko) 2010-07-09

Family

ID=4135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972A KR100969293B1 (ko) 2008-03-26 2008-03-26 세척건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2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2571A (zh) * 2018-10-18 2019-03-19 合肥常青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清洗控制方法
KR200490273Y1 (ko) * 2019-07-19 2019-10-23 김상범 세척액 여과수단이 구비된 진공세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974B1 (ko) * 2011-01-27 2013-03-14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고속 순환류를 이용한 진공세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893A (ja) * 1996-07-25 2000-11-28 Aqua Kagaku Kk 洗浄装置
KR20030038926A (ko) * 2001-11-09 2003-05-17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시험편 자동 세척장치
JP2005144349A (ja) 2003-11-17 2005-06-09 Technica:Kk 超音波洗浄システム
KR100530019B1 (ko) 2005-08-05 2005-11-22 염규설 용제 재생기가 장착된 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893A (ja) * 1996-07-25 2000-11-28 Aqua Kagaku Kk 洗浄装置
KR20030038926A (ko) * 2001-11-09 2003-05-17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시험편 자동 세척장치
JP2005144349A (ja) 2003-11-17 2005-06-09 Technica:Kk 超音波洗浄システム
KR100530019B1 (ko) 2005-08-05 2005-11-22 염규설 용제 재생기가 장착된 세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2571A (zh) * 2018-10-18 2019-03-19 合肥常青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零件清洗控制方法
KR200490273Y1 (ko) * 2019-07-19 2019-10-23 김상범 세척액 여과수단이 구비된 진공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96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737A (en) Carbon dioxide dry cleaning system
EP0405941A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recovering of solvents in dry cleaning machines
KR101869643B1 (ko) 친환경 신재생 지능형 세척시스템
KR100969293B1 (ko) 세척건조장치 및 방법
US6216302B1 (en) Carbon dioxide dry cleaning system
CN108451469B (zh) 洗涤电器的控制方法及洗涤电器
JP2019107598A (ja) 水系1槽式真空洗浄乾燥機および自動搬送ユニット付き洗浄システム
CN104508196B (zh) 用于清洗织物的机器和方法
CN101969830B (zh) 洗碗机和用于清洁可洗器具的方法
KR100617984B1 (ko) 진공세척 건조장치
KR100787408B1 (ko) 진공세척건조장치
JP6242032B1 (ja) 洗浄溶剤の真空蒸留回収装置
JP2011183324A (ja) 洗浄装置
KR101243974B1 (ko) 고속 순환류를 이용한 진공세척장치
KR101446121B1 (ko) 속성 건조수단을 구비한 세정장치
JP6351195B1 (ja) 被洗浄物の洗浄装置
JP2000325893A (ja) 洗浄装置
JP7120592B2 (ja) 真空蒸気洗浄方法
JP3096241B2 (ja) 洗浄装置
JP2636319B2 (ja) 有機溶剤を用いる洗浄装置に於ける有機溶剤蒸気の回収方法
EP3481563B1 (en) Method for restoring damaged electronic devices by cleaning and apparatus therefor
JP2000233160A (ja) 洗浄機
KR20150058162A (ko) 이중-용매 증기 디그리싱 시스템에서 린스 유체로부터 세척 용매의 연속적인 분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7289788A (ja) 石油系溶剤用ドライ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石油系溶剤によるドライ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5312604A (ja) 液体二酸化炭素を用いた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