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363B1 - 메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363B1
KR100787363B1 KR1020020008810A KR20020008810A KR100787363B1 KR 100787363 B1 KR100787363 B1 KR 100787363B1 KR 1020020008810 A KR1020020008810 A KR 1020020008810A KR 20020008810 A KR20020008810 A KR 20020008810A KR 100787363 B1 KR100787363 B1 KR 10078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wheat
extract
composition
seed extract
all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969A (ko
Inventor
이원경
김상년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2000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3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메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allergy)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메밀추출물이 알러지의 주된 인자인 히스타민(histamine)의 유리를 탁월하게 억제하는것으로부터 착안하여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메밀가루추출물,메밀씨추추물,피부알러지,기능성식품

Description

메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Anti-allergic composition containing buckwheat extract}
본 발명은 메밀추출물이 알러지의 주된 인자인 히스타민(histamine)의 유리를 탁월하게 억제하는것으로부터 착안하여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알러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각막염, 피부 두드러기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비만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피부질환과 관련된 알러지의 기작에 대해서 알아보면, 조직속의 대식세포(macrophage)에서 외부 항원에 의해서 T-helper cell이 활성화되고 B cell에서 IgE가 생성된다. 비만세포막의 고친화성 IgE항체 수용체(FcRIα)에 결합한 복수의 IgE항체에 진드기, 꽃가루등의 다가 항원이 결합하여 가교를 이루면 수용체(FcRIα)가 응집한다. 수용체(FcRIα)의 가교 및 응집에 의하여 비만세포는 활성화 되어 세포질내의 칼슘이온(Ca++ ) 농도등이 상승하여 탈과립이 일어난다. 칼슘이온 농도를 상승시키는 세포막과 세포내의 정보전달기전에는 세포막 인지질을 기질로 하는 반응과 이노시톨 인지질의 분해항진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 다. 항원항체 반응에 의하여 포스포리페이스(phospholipase C, PLC)가 활성화되어 세포막상에서 생합성되어 포스파티딜이노시톨이인산(phospha - tidyl inositoldiphosphate, PIP2)을 분해한다. 분해산물의 하나인 포스파티딜삼인산 (inositol triphosphate, IP3)는 이차 전령사(second messenger)로서 세포내 소포체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소포체에서 칼슘이온을 유리시킨다. 또한 세포막의 수용체 작동성 경로가 작동하여 세포 외에서 칼슘이온을 유입시켜 세포직내의 칼슘이온 농도가 상승한다. 칼슘이온농도의 상승은 세포막의 콜레스테롤이나 세포골격계등 여러종류의 세포내 조정인자에 작용하여 과립을 세포막에 이동시킴과 동시에 과립의 공포화, 과립상호의 융합 및 과립과 세포막의 융합등을 거쳐 탈과립현상을 일으킨다. 이외에 세포막의 인지질에 작용하는 효소로서 포스포리페이스 A2 (phospholipase A2), 포스포리페이스 D(phospholipase D)가 있고 포스포리페이스 A2는 포스파디딜콜린(phosphatidylcholine)에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를 포스포리페이스 D(phospholipase D)는 포스파디딜콜린(phosphatidyl- choline)에서 포스파티딘(phosphatidine)을 생성한다. 탈과립시에 히스타민(histamine)과 같이 비만세포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화학전달물질(preformed mediator)이 유리되는 것과 동시에 새로합성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류코트리엔(leukotriene) (newly generated chemical mediator)등이 함께 분비된다. 탈과립으로 유리되는 화학전달물질에는 혈관확장, 혈관투과성 항진,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이나 분비항진 등의 작용을 갖는 히스타민, 세로토닌(serotonin) 및 류코트리엔 이외에 호산구나 호중구등 염증세포의 주화성 인자로 작용하는 NCF, ECF, PAF등이 이 있어서 1형 알 러지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비만세포에 대한 자극은 면역학적 자극이외에 렉틴 (lectin)이나 아나필라톡신(anaphylatoxin)등의 비면역적인 자극이 있다. 그외에 칼슘이온 운반체(calcium ionophore A23187), 컴파운드 48/80등의 히스타민 유리촉진제, 코데인, 모르핀, 섭스탄스 피(substance P)등의 약재도 비만세포를 탈과립하여 히스타민을 유리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분비된 히스타민이 혈관 내피세포와 결합하면 혈관세포의 수축이 일어나서 혈액속의 플라스마(plasma)를 조직으로 삼출(extravasation)시키며, 또한 내피세포는 혈관 근육세포를 이완시키는 프로스타사이클린(prostacyclin)과 산화질소 (nitric oxide)와 같은 물질의 합성을 유도하여 혈관팽창(vasodilataion)을 유발한다. 위와 같은 기작에 의하여 히스타민 분비에 의하여 부종(wheal), 발적(flare), 가려움(itching)의 반응을 나타내며 이는 제 1형 즉시형 과민반응의 전형적인 현상이다.
임상적으로 피부 알러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피부프릭 평가법(skin prick test)의 방법을 사용하며 여러종류의 알러젠(allergen)이나 안티-아이지-이 항체(anti-IgE antibody)를 피부에 떨어뜨린다음 소독된 바늘로 피부를 프릭(prick )하여 알러젠이 피부내로 주입하여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며 일반적으로 항히스타민제로 알려진 H1 수용체 안타고니스트(antagonist)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그러나 이들 약물은 복용시 중추신경 장애, 소화기 장애나 혼몽상태를 초래할 수 있어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지속적인 차세대 항히스타민제의 개발이 이루지고 있는 것과 동시에 최근에는 그 전단계로서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의 분비 를 억제하는 작용를 하는 천연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메밀추출물의 일반적 성상 및 약리작용>
본 발명의 특징으로 사용된 메밀추출물의 일반적인 성상 및 약리작용은 다음과 같다.
메밀의 학명은 Fagopyrum esculentum Moench로서 일반적으로 꽃이 피기 시작할 때 잎과 꽃이 붙은 윗가지를 베어 그대로 말려서 제약원료로 쓴다. 메밀의 주요성분은 루틴(rutin)으로서 재배 기간 및 식물부위, 약초를 말리는 방법에 따라 함량이 달라진다. 루틴함량은 씨를 심어 싹이 돋아날때부터 25~30일이 지나서 가장 높고 꽃이 피기직전이 가장높다. 부위별로 루틴의 함량은 꽃봉오리 4.5%, 핀꽃은 14%, 잎은 9~10%, 줄기는 0.3~0.4%이다. 루틴의 vitamine P의 작용을 하여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낮추고 취약성을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다. 작용기전이 확실하지는 않으나 아드레날린과 아스코르브산의 산화를 억제하여 체내 축적량을 늘리므로서 혈관저항성을 높인다고 생각되어진다. 동의칠에서 메밀쌀을 적체, 종창, 어린이 단독, 이지등의 항염증, 독풀이 열내림의 목적으로 사용하였으며, 민간에서는 고혈압, 간염을 앓을때에 메밀가루 반죽, 메밀죽을 만들어 먹으며, 루틴은 알약을 만들어 모세혈관출혈과 뇌출현의 예방, 동맥경화에 먹는다.
종래의 메밀은 기능성 건강식품조성물로서 메밀의 구성성분인 루틴은 혈관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므로 혈관계 질환을 예방, 치유할수 있는 효력을 갖는 건강보조 식품으로서 과자류, 빵류, 당과류, 국수류, 죽류등의 가공식품에 적당량 첨가함으로서 혈관의 확장 및 혈류의 증대, 혈관의 강화 및 노화 방지등에 유효한 기능 성 건강식품의 조성물을 제공하거나(공개특허 98-8050), 메밀내의 루틴함량을 증가시킨 차(茶)조성물(특0144792)등 식품과 음료등에 한정되어 있었고 알러지성 질환에 대한 것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식품용도로 많이 개발되어 있는 메밀 추출물로부터 알러지성 질환을 억제, 완화하는 기작을 밝히고 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알러지의 발생기전을 토대로 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히스타민의 유리 유발물질인 컴파운드 48/80을 사용하여 히스타민 유리를 유도했을 때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이 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한 처방을 발명하였다.
< 메밀 가루, 메밀씨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메밀가루와 메밀씨의 추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밀가루는 씨껍질을 제거하고 전분질 부분만을 건조분말화 한 것을 5배량의 추출 용매에서 2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메밀씨는 건조후 분쇄기로 50메쉬정도의 입자로 분쇄한다음 5배량의 추출 용매에서 2일간 냉침한 후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 때 각 원료의 추출을 위해 사용한 추출 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중에서 하나 또는 두종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Rat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 평가 실험>
Rat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8주령 이상의 웅성 Sprague Dawley 랫트(SD rat)를 이용하였다. 8주령 이상의 SD rat를 실험 이틀전부터 먹이를 주지 않아서 장관의 부피를 줄여서 복수 채취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표피를 핀셋으로 잡고 가위로 표피를 절개하고 buffer를 30㎖복강에 넣고 30초간 맛사지 한다음 파스퇴르 피펫을 이용하여 복수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복수를 1㎖을 22.5% metrizamide용액 2㎖ 층 위에 층이 혼합되지 않도록 넣은 다음 비중차이에 의해 원심분리하여 복수내에서 선택적으로 비만세포만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비만세포에 히스타민 유리 유발물질인 compound 48/80(이하 Co48/80)를 처리하여 히스타민 유리를 유발하였고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은 dimethyl sulfoxide(DMSO)에 녹여 세포배양 배지에 100분의 1의 부피로 처리하여 최종농도가 0.1%, 0.01%, 0.001%가 되도록 미리 30분간 비만세포에 처리한 후에 Co48/80을 50㎍/㎖, 15분간 처리하여 히스타민이 유리되도록 하였다. 유리된 히스타민을 정량하기 위하여 butanol과 hexane을 이용하여 상등액에서 히스타민을 추출/정제하였고 분리된 히스타민에 o-phthaldialdehyde를 결합시켜 excitation 360nm, emission 440nm에서 형광을 측정하여 유리된 히스타민의 양을 결정하였다.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유리억제율은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억제율(%) = (A-B) / A
A : Co48/80 단독 처리시의 Histamine 유리율
B : 시료 처리시의 Histamine 유리율
상기의 억제율 계산방법에 의한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2004924904-pat00001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의 rat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유리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각각의 추출물에서 최종농도가 0.1%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의 피내투여시 Co48/80에 의해 유발된 알러지 억제효과 평가 >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 평가를 위한 실험 동물모델로는 6~7주령 웅성 SpragueDawley rat(SD rat)를 사용하였으며 히스타민 유리 유발물질로는 컴파운드 48/80(Co 48/80)을 사용하였다. 우선 실험 동물의 등 부분의 피부에 주사할 곳 6 위치를 선정하고 각 위치에 컴파운드 48/80과 원하는 농도의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을 혼합하여 6위치 중 3위치에, 나머지 3위치에는 컴파운드 48/80만을 주사하였다.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은 메탄올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다음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의 최종농도가 각각 1.0%, 0.1%, 0.01% 과 0.1%, 0.01%, 0.001%이 되게 하였다. 약효물질을 피내주사 한다음 동시에 실험동물의 꼬리 부분에 1% 에반스 블루(Evans blue) 를 500㎕ 정맥주사한 후 1시간 동안 방치하였으며 그 후 치사시켜 주사부위를 절삭하여 에반스블루 용액이 조직으로 삼출된 부분을 가위로 잘라내었다. 잘라낸 조직을 1N KOH 용액 1㎖에 담그고 37℃에서 밤새 반응시켜 완전히 녹인다음 여기에 0.6M 인산용액(phosphoric acid) + 아세톤(5:13)을 9 ㎖ 가하여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620nm에서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억제율(%) = [(A-B)/A] ×100
A = Co48/80만을 주사한 부위에서 추출한 에반스블루의 양
B = Co48/80와 시료를 혼합하여 주사한 부위에서 추출한 에반스블루의 양
상기의 억제율 계산방법에 의한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2004924904-pat00002
메밀가루와 메밀씨추출물을 피내에 주사하여 히스타민 유리 억제정도를 평가한 결과 메밀가루는 1.0%에서 가장 우수했고 농도의존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메밀씨 추출물은 0.1%에서 메밀가루와 동등수준의 효과를 보였으나 제한된 용해도 때문에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효과를 확인할수 없었다.
< 사람 피부에 대한 Co48/80에 의해 유발된 알러지 억제효과 평가 >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에 대하여 사람 피부에 대한 Co48/80에 의한 혈관 반응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메밀가루 및 메밀씨 메탄올 추출물을 글리세린에 용해 또는 안정화된 형태로 분산시켜 메밀가루 추출물은 10%, 1%, 0.1%로 하고 메밀씨 추출물은 1%, 0.1%, 0.01%가 되게 준비하였다. 위와 같은 농도로 준비한 희석액 150㎍정도의 양을 피시험자 10명의 등 견갑골 아래쪽 부위에 hill top chamber와 스캔포어 테이프(scanpore tape)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16시간 이후 제거하였다. 시료제거 한시간 이후에 시료적용 부위에 Co48/80 1%용액을 한방울 떨어뜨린 다음 시린지 니들(syringe niddle)로 프릭(Prick)하고 15분후에 반응정도를 체크하였다. 반응정도는 발적이 유발된 지름의 크기로 평가하였고 글리세린 단독 도포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글리세린을 100으로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발적이 감소된 정도를 수치화 하였고 아래와 같이 육안판정 기준을 정하였다.
< 육안판정 기준 >
Grade/Score 설명
0 발적이 없슴
0.5 발적의 직경이 9.0mm 미만
1.0 발적의 직경이 9.0 ~ 19.5 mm
2.0 발적의 직경이 19.5 ~ 25.0 mm
3.0 발적의 직경이 25.0 mm 이상
Figure 112002004924904-pat00003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람피부에 대하여 유효성을 평가하였을때도 메밀가루의 경우 10%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농도에서는 제한된 용해도로 인하여 평가할수 없었다. 메밀씨 추출물은 글리세린에서 최대로 용해또는 분산될수 있는 농도인 1.0%이하에서 평가를 수행하였고 1.0%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고 그 이하에서는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표3에서는 글리세린 대비 80이하의 수치를 임상경험상 유효한 농도로 결정하였으며 각각 0.1%와 0.01% 이상에서 모두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위의 농도에서 피부에 전혀 자극이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메밀가루, 메밀씨 추출물을 전신용 로션(Body Lotion), 전신세정제(Body Cleanser), 비누의 조성물에 포함시켜 가려움증 및 알러지 유발에 대한 완화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를 포함한 조성물이 피부발적, 구진, 가려움 및 먹었을 경우 특이한 부작용은 나타내지 않으면서 피부 알러지 완화 효과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얻은 메밀가 루 및 메밀씨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조성물은 일반적인 각각 제품의 베이스를 기본으로 하며 각각의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을 각각 0.1~10중량%, 0.01~1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신로션, 전신세정제, 비누 베이스에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을 함유시키며 이밖에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물성개선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전신용로션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먼저 실시예 1내지 6 및 비교예 1의 제조를 위하여,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을 아래의 중량%별로 준비하고 유상과 수상을 75℃ 배합기에 따로 준비한 후 유상을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3000 rpm으로 10분간 유화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준비하였다.
Figure 112002004924904-pat00004

피부국소 도포시의 Co48/80에 의해 유발된 알러지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신용 로션을 도포하였을때 Co48/80에 의한 혈관반응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50㎍정도의 양을 피시험자 20명의 등 견갑골 아래쪽 부위에 hill top chamber와 스캔포어 테이프(scanpore tape)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16시간 이후 제거하였다. 시료제거 한시간 이후에 시료적용 부위에 Co48/80 1%용액을 한방울 떨어뜨린 다음 시린지 니들(syringe niddle)로 프릭(Prick)하고 15분후에 반응정도를 체크하였다. 반응정도는 발적이 유발된 지름의 크기에 따라 아래의 기준에 의해 육안평가하였다.
< 육안판정 기준 >
Grade/Score 설명
0 발적이 없슴
0.5 발적의 직경이 9.0mm 미만
1.0 발적의 직경이 9.0 ~ 19.5 mm
2.0 발적의 직경이 19.5 ~ 25.0 mm
3.0 발적의 직경이 25.0 mm 이상
Figure 112002004924904-pat00005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을 함유한 전신용 로션이 함유하지 않은 것보다 Co48/80에 의한 알러지억제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은 각각 10.0%, 1.0%이하에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0.1%와 0.01% 미만 첨가시 억제효과가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10%이상과 1.0% 이상은 용해되지 않아서 평가불가하였다.
나) 전신세정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전신세정제 베이스와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나온 중량%별로 각각 첨가하여 혼합기에서 교반, 가열, 탈기, 냉각 등의 과정을 거쳐 조성 물질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전신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2004924904-pat00006

피부국소 도포시의 Co48/80의 의한 알러지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신용 세정제를 도포하였을때 Co48/80에 의한 혈관반응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시험자 20명의 전완(forearm) 2㎝×2㎝부위에 시료 10% 수용액을 0.5㎖을 시린지로 조금씩 떨어뜨리면서 문질러서 거품을 낸후 30초간 기다렸다가 10초간 흐르는 물에 세척하였다. 세척 후 Co48/80 1%용액을 한방울 떨어뜨린 다음 시린지 니들(syringe niddle)로 프릭(prick)하고 15분후에 반응정도를 체크하였다. 반응정도는 발적이 유발된 지름의 크기에 따라 아래의 기준에 의해 육안평가하였다.
< 육안판정 기준 >
Grade/Score 설명
0 발적이 없슴
0.5 발적의 직경이 9.0mm 미만
1.0 발적의 직경이 9.0 ~ 19.5 mm
2.0 발적의 직경이 19.5 ~ 25.0 mm
3.0 발적의 직경이 25.0 mm 이상
Figure 112002004924904-pat00007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을 함유한 전신세정제가 함유하지 않은 것보다 Co48/80에 의한 알러지억제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은 각각 10.0%, 1.0%이하에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0.1%와 0.01% 미만 첨가시 억제효과가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10%이상과 1.0% 이상은 용해되지 않아서 평가불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된 전신용소로션의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의 함량은 0.1∼10%, 0.01~1.0% 범위 내에서 Co48/80에 의해 유발된 혈관확장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 비누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비누 베이스 (수분 및 각종 첨가제 포함)와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을 아래표의 처방에 따라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 절단, 형타하여 고형 비누 형태의 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2004924904-pat00008

피부국소 도포시의 Co48/80의 혈관반응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전신용 세정제를 도포하였을때 Co48/80에 의한 알러지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시험자 20명의 전완(forearm) 2㎝×2㎝부위에 시료 4% 수용액을 0.5㎖을 시린지로 조금씩 떨어뜨리면서 문질러서 거품을 낸후 30초간 기다렸다가 10초간 흐르는 물에 세척하였다. 세척 후 Co48/80 1% 용액을 한방울 떨어뜨린 다음 시린지 니들(syringe niddle)로 프릭(Prick)하고 15분후에 반응정도를 체크하였다. 반응정도는 발적이 유발된 지름의 크기에 따라 아래의 기준에 의해 육안평가하였다.
< 육안판정 기준 >
Grade/Score 설명
0 발적이 없슴
0.5 발적의 직경이 9.0mm 미만
1.0 발적의 직경이 9.0 ~ 19.5 mm
2.0 발적의 직경이 19.5 ~ 25.0 mm
3.0 발적의 직경이 25.0 mm 이상
Figure 112002004924904-pat00009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가 함유하지 않은 것보다 Co48/80에 의한 혈관확장 억제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서 보듯이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은 각각 10.0%, 1.0%이하에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0.1%와 0.01% 미만 첨가시 억제효과가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각각 10%이상과 1.0% 이상은 용해되지 않아서 평가불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된 비누의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의 함량은 0.1∼10%, 0.01~1.0% 범위 내에서 Co48/80에 의한 알러지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메밀가루 추출물 0.10∼10.00 중량%, 메밀씨 0.01~1.00중량%를 함유하는 전신용로션, 전신세정제, 비누는 Co48/80에 의해 유발된 알러지 억제효과가 우수한 평가되었으며 가려움증 예방 및 완화 효과 또한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의 경구투여(Oral administration)>
히스타민 유리 억제력 평가를 위한 실험 동물로는 6~7주령 웅성 Sprague-Dawley rat 를 사용하였으며 체중은 180g에서 250g 사이의 것을 사용하였고 히스타민 유리 유발 물질로는 컴파운드 48/80(Co 48/80)을 사용하였다.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은 메탄올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PBS에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각각 1.0g/kg body weight, 0.1g/kg body weight, 0.01g/kg body weight와 0.1g/kg body weight, 0.01g/kg body weight, 0.001g/kg body weight가 되도록 2㎖씩 경구투여하였고 대조군으로 PBS만 2㎖을 경구투여하였다. 각 군은 세마리씩으로 하였다. 시료를 5일간 매일 1회 투여하였고 5일째 마지막 투여 2시간후에 실험 동물의 등 부분을 실험용 면도기로 털을 제거한다음 피부에 주사할 곳 4위치를 선정하고 각 위치에 컴파운드 48/80 용액 0.1% 50㎕를 피내주사하여 였다. 약효물질을 피내주사 한다음 동시에 실험동물의 꼬리 부분에 1% 에반스 블루(Evans blue)를 500㎕ 정맥주사한 후 1시간 동안 방치하였으며 그 후 치사시켜 주사부위를 절삭하여 에반스블루 용액이 조직으로 삼출된 부분을 가위로 잘라내었다. 잘라낸 조직을 1N KOH 용액 1㎖에 담그고 37℃에서 밤새 반응시켜 완전히 녹인다음 여기에 0.6M 인산용액(phosphoric acid) + 아세톤(5:13)을 9 ㎖ 가하여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620nm에서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억제율(%) = [(A-B)/A] ×100
A = 대조군에서 추출한 에반스블루의 양
B = 각 농도의 시료를 투여한 군에서 추출한 에반스블루의 양
상기의 억제율 계산방법에 의한 메밀가루 추출물의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2004924904-pat00010
상기의 메밀가루와 메밀씨 추출물의 유효성 평가에서 각각 1.0g/kg체중과 0.1g/kg체중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메밀가루 추출물은 10g/kg body weight, 메밀씨 추출물은 1g/kg body weight 에서는 수용성 용매에 용해가 되지 않아서 평가하지 못하였고 0.01과 0.001g/kg body weight 이하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였다.
메밀은 곡물의 일종으로서 가루를 내어 면류나 선식등의 먹는 용도로 이용되 어 왔으며 위의 동물실험에서 메밀가루 추출물 및 메밀씨 추출물 투여 전기간을 통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간을 비롯한 장기의 기능에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위의 경구투여 시험법에서 메밀가루의 경우 0.01~1.0 g/kg BW와 메밀씨의 경우 0.001~0.1g/kg BW 범위에서 실험동물에 투여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알러지 예방 및 완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감미제, 향미제등을 추가로 포함할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액제와 같은 제제로 제형화 할수 있다.
라) 알러지 예방 및 완화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실시예
< 실시예 1 >
건조된 메밀가루를 식용에 적합하다고 판정이 난 주정에 4시간동안 침지한다음 60~70℃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스프레이 드라이하여 분말화 한 것을 10.00g, 비타민 C 0.05g, 인삼분말 20.00g, 기타 감미제 및 향미제 9.95g를 혼합하여 총중량 40.00g 건강보조 식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건조된 메밀가루를 식용에 적합하다고 판정이 난 주정에 4시간동안 침지한다음 60~70℃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스프레이 드라이하여 분말화 한 것을 5.00g, 비타민 C 0.05g, 인삼분말 20.00g, 기타 감미제 및 향미제 14.95g를 혼합하여 총중량 40.00g 건강보조 식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건조된 메밀가루를 식용에 적합하다고 판정이 난 주정에 4시간동안 침지한다음 60~70℃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스프레이 드라이하여 분말화 한 것을 1.00g, 비타민 C 0.05g, 인삼분말 20.00g, 기타 감미제 및 향미제 9.95g를 혼합하여 총중량 40.00g 건강보조 식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
건조된 메밀씨를 분쇄하여 식용에 적합하다고 판정이 난 주정에 4시간동안 침지한다음 60~70℃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스프레이 드라이하여 분말화 한 것을 5.00g, 비타민 C 0.05g, 인삼분말 20.00g, 기타 감미제 및 향미제 14.95g를 혼합하여 총중량 40.00g 건강보조 식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건조된 메밀씨을 분쇄하여 식용에 적합하다고 판정이 난 주정에 4시간동안 침지한다음 60~70℃에서 12시간동안 추출하여 스프레이 드라이하여 분말화 한 것을 0.50g, 비타민 C 0.05g, 인삼분말 20.00g, 기타 감미제 및 향미제 14.95g를 혼합하여 총중량 40.00g 건강보조 식품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비타민 C 0.05g, 인삼분말 20.00g, 기타 감미제 및 향미제 19.95g을 혼합하여 총중량 40g 의 건강보조 식품을 제조하였다.
<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알러지 완화효과 >
위의 실시예의 항알러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10세~20세 사이의 피부 알 러지 소인을 가진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위와 같이 제조한 건강보조식품을 1일 2회, 1회 0.8g 씩 2개월간 섭취하게 한다음 피부 알러지 예방 및 완화 만족도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02004924904-pat00011
위의 결과에서 메밀가루 추출물 0.4 g/kg BW/day 과 메밀씨 추출물 0.2 g/kg BW 을 함유한 제제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하의 농도에서는 농도의존적인 모습을 보였다. 메밀가루 및 메밀씨 추출물은 동물실험을 토대로 하여 설정한 농도가 각각 0.01~1.0g/kg BW과 0.001~0.1g/kg BW였으나에 실제 투여시 지속적인 장기간이 사용이 가능하며 건강보조 식품에는 제형상 더 높은 농도의 첨가가 가능하므로 므로 바람직하게는 메밀가루 추출물과 메밀씨 추출물 건조분말이 각각 0.04 ~ 0.4g/kg BW/day 과 와 0.02~0.2g/kg BW 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메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allergy)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메밀추출물이 알러지의 주된 인자인 히스타민(histamine)의 유리를 탁월하게 억제하는것으로부터 착안하여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5)

  1. 메밀가루 추출물 또는 메밀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이 피부에 적용하는 외용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메밀가루 추출물 또는 메밀씨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냉침 및 감압농축법에 의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그 함량이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메밀가루 추출물은 0.1내지 10중량% ,메밀씨 추출물은 0.01내지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메밀가루 추출물 또는 메밀씨 추출물을 1일 투여량으로서 체중 kg 당 메밀가루 추출물은 0.04 ~ 0.4g, 메밀씨 추출물은 0.02 ~ 0.2 g 투여 될 수 있도록 처방된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20020008810A 2002-02-19 2002-02-19 메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78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10A KR100787363B1 (ko) 2002-02-19 2002-02-19 메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10A KR100787363B1 (ko) 2002-02-19 2002-02-19 메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969A KR20030068969A (ko) 2003-08-25
KR100787363B1 true KR100787363B1 (ko) 2007-12-18

Family

ID=3222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810A KR100787363B1 (ko) 2002-02-19 2002-02-19 메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878B1 (ko) * 2017-02-02 2019-11-20 한국식품연구원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358713B1 (ko) * 2020-03-30 2022-02-07 심우필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를 위한 오가피, 교맥 및 목과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4), 300-5 (1991)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2), 280-7 (200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969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72684A1 (ja) マカ抽出物の製造方法
JP7357360B2 (ja) 抗老化剤
JP5842640B2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3阻害剤
JP4169244B2 (ja) 抗アレルギー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21840A (ja) 血中中性脂肪上昇抑制剤
KR100787363B1 (ko) 메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JP4491065B2 (ja) ヒスタミン遊離抑制剤
JP3977889B2 (ja) 蕎麦殻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薬剤
KR101816739B1 (ko)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05903A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6160198A (ja) 黒生姜含有組成物
KR100827195B1 (ko) 매실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700850B1 (ko) 소맥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면역반응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4137218A (ja) 脂肪分解促進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および飲食物
JP6190211B2 (ja) Pde3阻害剤
KR20040011236A (ko)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알러지 완화 및 예방용조성물
KR20040065498A (ko) 알러지성피부염 및 피부가려움 완화효과를 갖는 천연조성물
JP4105498B2 (ja) アトピー性疾患の症状の予防・緩和に有効な組成物
KR101184313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천연화장료 이로미스 No.4 콤플렉스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JP4076119B2 (ja) 抗アレルギー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0442B2 (ja) 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皮膚外用剤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411893B1 (ko) 밤나무 총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625598B1 (ko)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