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763B1 -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763B1
KR100786763B1 KR1020067024446A KR20067024446A KR100786763B1 KR 100786763 B1 KR100786763 B1 KR 100786763B1 KR 1020067024446 A KR1020067024446 A KR 1020067024446A KR 20067024446 A KR20067024446 A KR 20067024446A KR 100786763 B1 KR100786763 B1 KR 100786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led
measuring
liqui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7275A (ko
Inventor
마틴 레흐만
Original Assignee
마틴 레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틴 레흐만 filed Critical 마틴 레흐만
Publication of KR2006012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flexible or elastic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81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removably mounted in a test cell
    • G01M3/329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removably mounted in a test cell for verifying the internal pressure of closed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내부와 외부 사이에 형성된 압력차(△p)에 따라, 액체로 채워진 용기들에 대한 기밀성 시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체 내용물과 접촉하고 있는 용기 및 용기의 벽들의 불침투성에 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때문에, 임피던스 측정(7)은 측정 전극들(3a,3b)에 의해 용기(1)의 외부 상에서 실행된다.
용기, 누수, 임피던스 측정, 압력차

Description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METHOD FOR PRODUCING UNLEAKY LIQUID CONTENT-FILLED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방법을 일반적인 양상들로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따르는 기본적인 시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가장 양호한 실시예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을 따르는 시험실 및 시험 시스템 설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따르는 시스템 그리고 도 2에 대응하는 본 발명을 따르는 방법의 양호한 평가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을 따르는 평가 유니트의 양호한 실시예를 논리도/기능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한다.
도 5는 앰플 세트를 시험하기 위해 본 발명을 따르는 시험실의 실시예에 대한 간략화된 투시도를 보여주는 반면에, 본 발명을 따르는 시험실의 단지 반만이 나타내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을 따르는 시험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논리도/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동 충전물(flowable filling)이 채워지는 비누수형 용기 - 이 용기에서 용기 내벽과 용기 외벽 사이에서 외부와의 압력차가 생성된다 - 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입 소스(suction source)를 시험실에 적용함으로써, 용기 내부와 용기 주변 사이에서 용기의 주변에 대한 방향으로 압력차가 생기는 밀폐 용기에 대한 누출 시험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용기들에 대한 누출 여부 결정은 소정 압력차를 인가한 후에, 시험실로부터 요구된 흡입 소스를 떼어냄으로써 이루어지고, 그리고 기본적으로 용기의 내부와 그 주변 간의 이 압력차는 시간에 걸쳐 관측 및 기록된다. 예를 들면, 이것은 2개의 서로 다른 시간에서 용기 외부에서의 압력 값들을 측정하여 수행된다. 누출 정도에 따라, 용기 내부와 외부 사이의 압력 조정이 더 빨리 일어나거나 또는 더 느리게 일어난다. 이와 같은 기술에 관해, 예컨대 본 출원과 같은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WO 94/05991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 특히 WO 94/05991에 따르면, 극히 작은 양의 누출도 검출할 수 있다. 시험 대상의 용기들이 자유 유동 충전물, 특히 엷은 액체 충전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질 시 문제가 발생한다. 적용된 압력차가 액체 충전물와 그 주변 사이의 용기 벽을 따라 확장되며, 흡입 또는 압력 효과로 인해 누출이 있는 경우 액체 충전물은 이 누출을 통해 주변으로, 즉 용기의 외벽으로 빠져나간다. 빠져나가는 액체 충전물의 실링(sealing) 효과로 인해, 용기 벽에 액체가 적재된 면적에서의 누출은, 특히 생산 라인상에서 용기들을 연속적으로 시험하는 경우에 매우 유 익하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주기에 걸쳐 관측을 하는 경우에 압력 측정 수단에 의해서만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유형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방법에서는 전술된 압력 시험의 단점들이 제거된다. 이 때문에, 전술된 방법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라 구별되고, 전술된 경우와 같이 액체 충전물이 적용된 압력차로 인해 용기 벽 내의 누출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경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검출된다.
용기 외벽 면적에서 빠져나가는 액체 충전물은 이 면적에 설치된 적어도 한 쌍의 임피던스 측정 전극들 사이의 전기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며, 이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충전물에 의해 야기된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편리하게도 전기 AC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수단에 의해 빠져나가는 충전물을 식별하고, 반면에 특히 플라스틱 벽들과 같은 전기 절연 벽들을 갖는 용기들을 시험하는 경우 그리고 전도성 성질은 갖는 충전물들의 경우에, DC 측정, 바람직하게는 저전압 DC 저항 측정이, 예컨대 50V 이하의 DC 전압을 이용하여 실시되어야 한다고 제안되었다.
시험될 용기의 부분 면적에 단일 임피던스 측정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예컨대 용기상의 특정 점들의 누출에 대해 시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충분할지라도, 전체 용기에 대해 누출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시험될 용기를 따라 여러 개의 병렬 임피던스 측정 경로들을 제공하도록 더 제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피던스 측정에 근거한 이 누출 시험 방법은 전술된 압력 측정과 매우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통의 경우처럼, 액체 충전물외에 공기 함유물을 포함하도록 자유 유동 충전물이 단지 부분적으로 채워진 용기들을 시험해야 하는 경우, 용기 내에 위치하는 공기와 액체의 위치는 결코 확실하지 않다. 기밀성 또는 누출 검출에 대한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 외에, 특히 용기가 밀폐 환경에서 압력을 감시하여 시간에 대한 압력차가, 공기 함유물의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그리고 이들이 주어진 소정 순간에 용기 내 어느곳에 위치하느냐에 상관없이 기록되기 때문에, 이것은 용기 누출에 관한 결합된 상태를 가져온다. 즉, 전기 임피던스 측정은 충전물로 순간적으로 채워지는 용기 벽 부분들에서의 누출을 나타내는 반면에, 압력차 검출은 공기 함유물을 포함하는 벽 부분들에 관해 누출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 용기의 내부와 밀폐 환경 사이의 기설정된 압력하에서 달성한 후에, 그리고 시스템의 압력을 흡입 소스로부터 면하게 한 후에, WO94/05991에 공지된 고정밀도의 기술이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즉 2개의 서로 다른 시간들에서 밀폐 환경의 압력을 기록하여, 그리고 압력차를 기밀성의 표시 도수로 평가하여 기밀성 또는 누출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매우 민감한 측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압력이 측정되는 제 1 시간점, 영 이탈 신호가 압력 값과 함께 기준 신호로서 결정되고, 그리고 제 2 시간점에서, 압력차는 제1 시간점에 대한 영 조정 값에 관련하여 결정된다. 이것은 보다 높은 해상력을 얻기 위해서 전술된 차이와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평가 신호를 보강하게한다.
이 점에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도 전개되는 임피던스 차를 나타내는 신호에 대한 평가는 전개되는 압력차 평가에 관해 동일한 절차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변형의 경우에, 압력뿐만 아니라 임피던스 측정이 제공되고, 그리고 동일한 평가 유니트가 이용되도록 이 시험 시스템에 대한 매우 양호한 배열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DC 전압이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병렬 전극 경로들 간의 경로상에 있는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정밀 저항을 통해 인가되고, 그리고 정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측정 신호로서 평가되는 경우, 전압이 평가 유니트에 인가되며, 즉 고정 저항의 전압 및 상기 전압은 측정 경로 상의 저항에 따라 변하는 전류에 의존한다. 평가 유니트 자신이 전압 측정 장치가 된다. 시험실에 제공된 측정 센서로 스위칭함으로써, 동일한 평가 유니트가 센서의 압력에 의존하는 출력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 시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시험실을 갖는 복수의 시험 시스템들의 경우에, 압력 측정에 대한 주 평가 유니트 및 임피던스 평가에 대한 주 평가 유니트가 제공된다는 특별한 이점을 갖고, 상기 주 평가 유니트는 개별적으로 시험 시스템들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하나의 평가 유니트만이 개별적인 시험 시스템들 사이에서 그리고 압력과 임피던스 측정 사이에서 앞뒤로 스위칭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동일한 시기에 동일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WO 98/50770을 참조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방법, 시험실, 시험 장치는 물론 시험 시스템도 전기 절연 벽, 유익하게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벽들을 갖는 시험 용기들을 위해 이용되고, 특히 플라스틱 앰플과 같은 의학 분야의 용기들을 위해 이용된다. 기밀성 시험은 세트를 형성하는 복수의 용기들에 대해 실행되는 반면에, 이들 용기들 중 하나 또는 이들 앰플들 중 하나가 누출을 갖는 경우, 전체 세트는 가리지 않고 불합격된다.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시험될 용기(1)의 내부(I)와 용기 주변(U) 사이에서, 용기 주변(U)에 대한 방향으로 압력차(
Figure 112006085412213-pat00001
P)가 생성된다. 용기의 외벽 부근에 인접되게 적어도 하나(도 1에서는 여러 개)의 임피던스 측정 경로(복소 임피던스(
Figure 112006085412213-pat00002
)로 표시됨)가 제공된다. 임피던스 측정 경로들은 각각 측정 전극 쌍(3a,3b) 사이에서 형성되고, 이들 전극은 도체들(5a,5b)과 번갈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임피던스 측정 경로들(
Figure 112006085412213-pat00003
)이 도체들(5a,5b) 사이에서 병렬로 접속되게 한다. 도체들(5a,5b)은 임피던스 측정 유니트(7)에 접속되며, 이 임피던스 측정 유니트(7)의 출력은 임계값(threshold)(문턱값 이라고도 칭함) 감응 유니트(9)에 영향을 미친다. 충전물 액체가 누출로 인해 용기(1)로부터 용기 주변(U)로 빠져나가는 경우, 임피던스들(
Figure 112006085412213-pat00004
)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한다. 임피던스에서의 변화는 임피던스 측정 유니트(7)에 의해 검출된다. 만일 임피던스가 유니트(9)의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게 변하는 경우, 시험을 거친 용기(1)는 누출을 갖는 것으로 인식되어 불합격 처리된다.
비록 응용에 따라 임피던스 측정 경로 상의 복소 AC 임피던스들을 유니트(7) 에 의해 측정 및 평가할 수도 있지만은, 임피던스 측정은 특히 전기 절연 벽을 갖고 그리고 전도성 충전물을 갖는 용기들을 시험하기 위해 DC 저항 측정에서와 같이 실행되며, 이 임피던스 측정 유니트(7)는 실제로 전기 저항계가 된다.
임피던스 측정에 기초하여 원리적으로 도 1에 설명된 방법은 압력 측정에 기초한 공지된 기밀성 시험 방법에도 최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험실(9)은 시험될 용기(1)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부분들, 즉 9o 및 9u 로 나타내어지는 상측 및 하측 반으로 구성된다. 수용되는 용기(1)와 함께 시험실(9)은 밀폐된 용기 주변(U)을 정의한다. 도 1의 전극들(3a,3b)을 형성하는 전기 도전 표면들의 패턴이 시험실 내벽(11)에 제공된다. 물론, 전극들(3a,3b)은 절연성 벽 물질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시험실 전체 내부를 따라 임피던스 측정 경로들의 균등한 분포가 용기(1)를 따라 제공되게 된다.
게다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13)가 제공되고 시험실 내부와 동작 관계를 갖게 된다. 압력 센서(13)는 주변(U)에 대응하는 시험실 내부 공간에서의 압력(Pu)을 측정한다. 절연 벽을 갖는 시험 용기(1)를 삽입한 후에, 시험실은 밀폐되고 그리고 도1에서 언급된 압력차(
Figure 112006085412213-pat00005
P)가, 예컨대 펌프(15)에 의해 생성된다. 이후, 용기 벽은 시험실(9) 내벽 상의 전극 영역(3)에 대고 밀접하게 가압된다. 용기(1)의 벽 영역 내의 액체 충전물(F)이 도면부호 17로 나타내 어진 것처럼 빠져나가는 경우, 관련 전극들(3) 간의 임피던스는 변하며, 이 임피던스는 전기 저항계로서 설계된 임피던스 측정 유니트(7)에 의해 측정된다. 임계 값 유니트(9)는 측정된 저항이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작아졌는지 또는 그것을 초과하였는지를 검출한다. 만일 그러하면, 이 시험 용기는 누출이 있는 경우 불합격 처리된다. 공기 함유물로 채워진 용기 영역(G)에 누출이 존재하는 경우, 누출은 영역(G) 및 주변(U) 사이의 압력 조정에 기인하여 주변(U)에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압력 변화는 센서(13)에 접속된 압력 측정 유니트(19)에 의해 측정되고 그리고 상기 압력측정 유니트(19)의 출력 신호는 또 하나의 임계 값 감응 유니트(21)로 전달된다. 이 주변 압력은 제1 시간점(t1)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 간격 후에 나중 시간점(t2)(제 2 시간점)에서 측정되어, 결과적인 압력차(
Figure 112006085412213-pat00006
P)가 기록된다. 만일 이 압력차가 임계 값 감응 유니트(21)에 설정된 임계 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시험 용기(1)는 누출이 있는 것으로서 판정되어 불합격 처리된다. 용기의 벽이 압력차에 기인하여 이 벽에 달라붙게 될 지라도, 연속적인 환경 공간(23)이 용기 주위로 연장하는 식으로, 시험실 내벽이 설계된다. 원칙적으로, 이것은 25로 개별적으로 나타내어지는 지지물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리고 이는 가장 양호한 방법으로서 내벽(11)을 거칠게하여 실현된다. 이것은 영역들(G,F)이 용기내에 위치하는 장소에는 상관없이, 기밀성이 전체 용기 상에서 측정되게 하여준다. 용기의 벽이 이 시험실의 내벽에 달라붙을 지라도 연속적인 환경 공간(23)을 보장해 주는 기술에 관한 것은 동일 출원인의 EP-A-0 379 986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임피던스 측정에 대한 하나의 평가 유니트(7') 및 압력차(19)를 기록하기 위한 하나의 평가 유니트가 제공되는 반면에, 도 3을 따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단일 평가 유니트(197)가 제공된다. 기본적으로, 이것은 동일한 측정 신호들이 임피던스 측정 및 압력 센서(13)의 출력 신호을 측정하도록 제공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3에 따르면, 예컨대, 이것은 (도 3에서 Rx로 표시된 측정될 저항들에 대응하는) 측정 경로들(3a/5a 및 3b/5b)을 한편으로는 저전압 범위, 예컨대 15V인 DC 전압원(27)에 접속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측정 저항(RM)에 접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압계로서 설계된 평가 유니트(197)의 입력은 수동 또는 자동 스위칭(29)에 의해 센서(13)의 출력으로 및 측정 저항(RM)으로 번갈아 스위칭된다. 한 경우에서는 센서(13)의 출력 전압을 측정하고 그리고 다른 경우에서는 RX 에 따라 변하는 측정 저항(RM)에서의 전압, 즉 UM 을 측정한다.
압력 측정 기술에 대해서는 전술된 WO94/05991을 참조하기 바란다. 그러나, 본원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 유니트가 도 3에 보인 방법에 따라, 매우 정밀한 임피던스 및 저항 측정을 위해 이용된다. 측정 저항(RM)으로부터 또는 일반적으로 저항 측정 경로로부터의 센서(13) 출력 신호는 변환기 단(121)으로 제공되고, 이 변환기 단은 입력측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1a)를 포함하고, 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바로 위에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21b)가 연결된다. 지지 털/아날로그 변환기(121b)의 출력은, 압력 및 저항 측정 유니트들(13,RM)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같이, 공지된 방법으로 설치된 차등증폭기 유니트(123)에 제공된다. 이 차등증폭기 유니트(123)의 출력은 또 하나의 증폭기 단(125)에 접속되고, 이 증폭기 단(125)의 출력은 저장 유니트(127)를 통해 미분 유니트(128)에서 증폭기(125)로의 입력 신호 상에서 중첩된다. 변환기 유니트(121) 및 저장 유니트(127)는 시간 펄스 제어기(129)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임피던스차 및 저항차 뿐만아니라 압력차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제1 시간점에서, 측정 전압이 변환기 유니트(121)에 접속되고 그리고 동시에 필요한 경우, 또다른 변환기 유니트(122)를 통해 증폭기 유니트(123)의 2개의 입력에 접속된다. 증폭기(123)의 출력단에서의 결과 신호는 영 신호가 이상적이다. 신호가 영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이 신호 값은 저장 유니트(127)에 영 보상 신호로서 저장된다. 저항이 저항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나중 시간점에서 다시 측정되는 경우, 저장 유니트(127)에 저장된 이전 값은 영 보상 신호로서 작용하고, 그리고 유니트(121)에 저장된 값은 기준 신호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증폭 유니트(125)에서 설정될 해상도를 극적으로 증가시키는 증폭을 가능하게 한다. 동일한 영 조정 원리가, WO94/05991에서 상세히 설명된 것처럼, 압력차를 측정할 시 2개의 시간점들에서 이용된다. 저장 유니트(127)는 압력차 영 보상 신호뿐만 아니라 저항차 영 보상 신호를 저장하도록 설계되고 그리고 유사하게 유니트(121)는 할당된 기준 값들을 저장하도록 2중으로 돼있다. 측정 주기가 압력을 측정하는 것인지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냐에 따라, 할당된 보상 신호 값은 미분 유니트(128)로 제공되고 그리고 할당된 기준 신호 값은 저장되거나 또는 변환기 유니트(121)로 스위칭된다.
도 5는 의학 응용에서 특별히 이용되는 것으로서 앰플 시험 세트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시험실의 제1 절반(9a 또는 9b)에 대한 개략 사시도를 나타낸다. 앰플 세트들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계된 거친 리세스(30) 내에 배치되고, 그 다음 이 시험실(9)은 제2 절반으로 덮어 밀폐된다. 도시된 것처럼, 이 시험실은 절연 물질(32)에 의해 서로 분리 및 절연되는 도전 라미나(lamina)(34)로 구성되며, 상기 시험실 내에 리세스(30)가 머시닝된다. 결과적으로, 리세스(30) 내벽에 연속적인 인피던스 측정 전극들의 패턴이 생성되게 된다. 이 전극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들(5a,5b)과 번갈아 접속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 일실시예를 논리/기능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WO 98/50770 참조). 시험장치는 여러개의 시험실(9)을 포함하고, (도 6에서 13 및 RM으로 식별되는) 압력 센서 및 임피던스 경로 출력들은 스위칭 유니트(36)에 접속된다. 스위칭 유니트(36)의 출력은 멀티플렉서 유니트(38)에 접속된다. 멀티플렉서 유니트(38)의 출력들은 평가 유니트(40)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타이머(50)가 이 시험실들마다 특정한 스위칭 주기 - 압력 센서/임피던스 측정 - 를 제어함과 아울러 임피던스 및 압력 평가 유니트로서 역할을 하는 유니트(40)와 개별적인 시험실(9)과의 접속을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임피던스 및 압력 측정에 근거하여 즉, 각각의 용기들(1)이 액체 및 가스로 채워졌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그리고 각 각의 용기들(1)이 액체 및 가스로 채워진 장소에 무관하게, 전자 유니트들을 거의 갖지 않는 복수의 시험실(9)내에서 용기들에 대한 기밀성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정화 가스 선로(35)(도5)가 시험실(9)에 제공되며, 이 정화 가스 선로(35)에 인해 누출 용기를 시험한 후에 상기 시험실을 환기(blow out) 및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용기에 누수 여부를 확실히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누수가 없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에 액체 충진 내용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도록 상기 용기내에 상기 액체 충진 내용물을 채우는 단계와;
    상기 채워진 용기를 밀봉하여 밀폐시키는 단계와;
    밀봉을 통해 밀폐가능한 시험 챔버의 벽면에 의해 상기 충진된 용기를 감싸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시험 챔버의 상기 벽면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며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표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시험 챔버의 주변과 상기 용기 내부에 대한 압력차이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표면 영역의 적어도 한 쌍의 사이에서 전기적 임피던스를 누수 표시로서 측정하는 단계와;
    만일 상기 누수 표시가 비누수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추가의 검사를 위해 용기를 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차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시험 챔버를 배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된 용기는 공기 유입으로 밀봉하여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표면 영역은 상기 시험 챔버의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벽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 챔버의 상기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표면 영역은 상기 시험 챔버의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벽 상의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충진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표면 영역의 복수의 쌍들 간의 전기적 임피던스를 누수 표시로서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벽을 가지며, 상기 액체 충진 내용물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유기 또는 플라스틱 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플라스틱 앰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쌍들 간에 DC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표면 영역들을 적어도 2개의 각각의 측정 탭들에 대해 그룹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탭들 간의 전기적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누설 표시로서 상기 용기의 외부벽과 상기 챔버의 상기 벽면 간의 공간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단계는 임피던스 측정 유닛에 의해 제 1 시간 포인트와 적어도 제 2 시간 포인트에서 상기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시간 포인트에서 측정된 상기 전기 임피던스들의 차이를 상기 누설 표시로서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포인트에서 출력신호가 0이 되도록 상기 제 1 시간 포인트에서 상기 측정 유닛을 자동으로 오프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이 있고 전기 절연성이 있는 물질층들의 샌드위치된 물질의 상기 챔버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기 전도성이 있고 전기 절연성이 있는 상기 벽의 상기 표면 영역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및 상기 동일한 시험 챔버 내의 하나 보다 많은 용기를 시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개별적으로 폐쇄된 다수의 서브-용기로 이루어진 복합 용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플라스틱 물질 벽을 갖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앰플 또는 한 세트의 상호링크된 앰플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KR1020067024446A 1997-05-07 1998-05-05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KR100786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107528A EP0786655B1 (de) 1997-05-07 1997-05-07 Verfahren zur Dichtheitsprüfung geschlossener Behälter, Prüfkammer, Prüfanordnung und Prüfanlage hierfür
EP97107528.8 1997-05-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329A Division KR100728100B1 (ko) 1997-05-07 1998-05-05 밀폐 용기에 대한 기밀성 시험 방법, 이 시험을 위한 시험실 및 시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275A KR20060127275A (ko) 2006-12-11
KR100786763B1 true KR100786763B1 (ko) 2007-12-18

Family

ID=82267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446A KR100786763B1 (ko) 1997-05-07 1998-05-05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KR1019997010329A KR100728100B1 (ko) 1997-05-07 1998-05-05 밀폐 용기에 대한 기밀성 시험 방법, 이 시험을 위한 시험실 및 시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329A KR100728100B1 (ko) 1997-05-07 1998-05-05 밀폐 용기에 대한 기밀성 시험 방법, 이 시험을 위한 시험실 및 시험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962776A (ko)
EP (1) EP0786655B1 (ko)
JP (2) JP2001523344A (ko)
KR (2) KR100786763B1 (ko)
CN (1) CN1322319C (ko)
AU (1) AU738753B2 (ko)
CA (1) CA2288657A1 (ko)
RU (1) RU2213333C2 (ko)
WO (1) WO1998050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6654A3 (de) * 1997-05-07 1997-12-10 Martin Lehmann Behälter-Dichtheitsprüfanlage
US6129613A (en) * 1998-01-30 2000-10-10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in-situ pressure across a wafer
US6308556B1 (en) 1999-12-17 2001-10-30 Atc, Inc. Method and apparatus of nondestructive testing a sealed product for leaks
US6584828B2 (en) 1999-12-17 2003-07-01 Atc, Inc. Method and apparatus of nondestructive testing a sealed product for leaks
US6840087B2 (en) * 2000-09-26 2005-01-11 Martin Lehman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testing closed containers
PT2040054E (pt) 2000-09-26 2014-04-29 Wilco Ag Método e aparelho para verificação de fugas em recipientes fechados
GB2408801A (en) * 2003-12-03 2005-06-08 Boc Group Plc Detection of seal leak using differential pressure measurement
US8104328B2 (en) * 2006-03-22 2012-01-31 Atmi Packaging,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leak detection in bioprocessing bags
US20070295060A1 (en) * 2006-06-13 2007-12-27 Delgado Juan C Ampoule card leak detector assembly
US8692186B2 (en) 2010-08-10 2014-04-08 Wilco Ag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testing containers
US20120037795A1 (en) 2010-08-10 2012-02-16 Martin Lehmann Method and apparatuses for quality evaluation and leak testing
US10845266B2 (en) 2011-11-16 2020-11-24 Inficon Gmbh Quick leak detection on dimensionally stable/slack packaging without the addition of test gas
EP2859318B1 (en) 2012-06-08 2018-08-08 Wilco AG Multistage container leak testing
US9038257B2 (en) 2012-10-31 2015-05-26 Martin Lehmann High-speed loading/unloading of objects
CN103091048A (zh) * 2013-02-05 2013-05-08 山西省玻璃陶瓷科学研究所 一种陶瓷瓶渗漏检测方法
CN104535282B (zh) * 2014-11-24 2017-12-22 应达利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石英晶体谐振器气密性检测方法和装置
CN107356379A (zh) * 2017-06-08 2017-11-17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药瓶轧盖检漏方法
CN112197917B (zh) * 2020-10-12 2023-08-25 苏州钢盾人防工程有限公司 一种防空门密闭性检测方法
CN115751196B (zh) * 2022-09-28 2023-06-20 源单新材料科技(成都)有限责任公司 一种rtm市政管道实时监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249A (en) 1974-02-22 1976-08-03 Toyo Aluminium K. K.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from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US4404516A (en) 1980-10-29 1983-09-13 Johnson Jr Victor R System for detecting leaks from liquid-containing reservoirs and conduit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49A (en) * 1889-02-05 Support for persons cleaning windows
US1749826A (en) * 1926-06-08 1930-03-11 Lubach Walter Electric hygrometer
NL7109071A (ko) * 1971-07-01 1973-01-03
JPS507485U (ko) * 1973-05-21 1975-01-25
JPS5178386A (en) * 1974-12-28 1976-07-07 Toyo Aluminium Kk Mitsupuyokino morekenshutsuhoho
JPS5395688A (en) * 1977-02-02 1978-08-22 Tokyo Tatsuno Kk Leak detecting method
JPS55143424A (en) * 1979-04-25 1980-11-08 Suntory Ltd Checking method for liquid leakage of porcelain container
JPS589057A (ja) * 1981-07-10 1983-01-19 Hitachi Ltd 流体漏れ検出装置
JPS5940833U (ja) * 1982-09-07 1984-03-15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テ−プ状物体固着具
JPS59195140A (ja) * 1983-04-20 1984-11-06 Sanpo:Kk 容器の気密度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S63273031A (ja) * 1987-04-30 1988-11-10 Osaka Hoki Seisakusho:Kk 密封容器等の不良検査方法
JPH0230038U (ko) * 1988-08-18 1990-02-26
US5497654A (en) * 1989-01-27 1996-03-12 Lehmann; Marti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testing a container
DE3902435A1 (de) * 1989-01-27 1990-08-02 Martin Lehmann Pruefkammer fuer gefuellte, verschlossene behaelter
JPH04279850A (ja) * 1991-03-08 1992-10-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液体容器のピンホール検出装置
US5513516A (en) * 1992-05-01 1996-05-07 Visi-Pac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testing a container
CH685887A5 (de) * 1992-08-12 1995-10-31 Martin Lehmann Verfahren zur Pruefung von Behaeltnissen Anwendung des Verfahrens sowie Pruefanordnung
US5915270A (en) * 1992-08-27 1999-06-22 Lehmann; Martin Method for testing containers, use of the method, and a testing device
JP2777954B2 (ja) * 1992-12-24 1998-07-23 富士通電装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液漏れ検出装置
EP0786654A3 (de) * 1997-05-07 1997-12-10 Martin Lehmann Behälter-Dichtheitsprüfanl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249A (en) 1974-02-22 1976-08-03 Toyo Aluminium K. K.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from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US4404516A (en) 1980-10-29 1983-09-13 Johnson Jr Victor R System for detecting leaks from liquid-containing reservoirs and cond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86655B1 (de) 2002-07-24
CA2288657A1 (en) 1998-11-12
US5962776A (en) 1999-10-05
EP0786655A3 (de) 1997-12-10
KR20010012377A (ko) 2001-02-15
EP0786655A2 (de) 1997-07-30
WO1998050769A1 (de) 1998-11-12
CN1261955A (zh) 2000-08-02
RU2213333C2 (ru) 2003-09-27
KR100728100B1 (ko) 2007-06-14
AU738753B2 (en) 2001-09-27
AU7026598A (en) 1998-11-27
KR20060127275A (ko) 2006-12-11
JP2009075133A (ja) 2009-04-09
CN1322319C (zh) 2007-06-20
JP4637949B2 (ja) 2011-02-23
US6185987B1 (en) 2001-02-13
JP2001523344A (ja) 2001-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763B1 (ko) 액체 내용물이 충진되는, 비누수 용기 제작 방법
KR20010020450A (ko) 용기에 대한 리크 시험 장치
KR100647886B1 (ko) 누설 검사 방법 및 누설되지 않는 밀폐 용기의 제조 방법
US6202477B1 (en) Method for leak testing and leak testing apparatus
JPH0835906A (ja) 中空容器の試験方法及び装置
US3973249A (en)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from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RU99125617A (ru)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на герметичность закрытых сосудов, испытательная камера, испыт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испыта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этого
US485846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eaks in sealed packages
US20030033857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detect leaks in sealed packages
KR100633873B1 (ko) 누설 검사 방법 및 장치
KR940005950A (ko) 절대압력 검출센서 및 그 센서를 이용한 용기의 누설상태 검사장치
JPH08178819A (ja) 水分計校正装置
JPH07218379A (ja) 漏れ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