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308B1 - 임플란트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308B1
KR100786308B1 KR1020070085942A KR20070085942A KR100786308B1 KR 100786308 B1 KR100786308 B1 KR 100786308B1 KR 1020070085942 A KR1020070085942 A KR 1020070085942A KR 20070085942 A KR20070085942 A KR 20070085942A KR 100786308 B1 KR100786308 B1 KR 100786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unit
coupling
protrusion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범
류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
Priority to KR102007008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6/5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66Radiopaque markers visible in an X-ray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5Material properties using radio-opaque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임플란트용 스텐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스텐트는, 임플란트 시술 시 치조골에 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홀에 인접한 치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결합유닛; 치아결합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스텐트몸체와, 제1 스텐트몸체에 마련되어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식립될 홀을 형성하는 드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덮개를 구비하는 제1 단위 스텐트유닛; 및 제1 단위 스텐트유닛 및 치아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제1 단위 스텐트유닛과 치아결합유닛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벌크(bulk)가 종래보다 작아져서 다루기 쉬울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홀을 형성하는 시간이 종래보다 덜 소요되며,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쉽게 변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할 수 있다.
임플란트, 스텐트, 인상체, 촬영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스텐트{STENT FOR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를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Implant)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치아 시술은,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임플란트가 식립될 치조골의 위치에 천공한 후, 임플란트를 그 치조골의 천공 구멍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키고, 이어서 임플란트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 움으로써 완료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어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한편, 임플란트는 드릴 등을 사용하여 환자의 치조골을 천공한 후 식립되기 때문에, 치조골의 천공 작업이 신뢰성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용 스텐트가 사용되는데, 이하에서는 종래의 임플란트용 스텐트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무 재질의 인상재료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하악의 인상체를 채득하고, 채득된 인상체에 석고를 부어 환자의 상·하악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석고모형을 제작한다.
이어서, 석고모형을 인공교합기에 결합시켜 환자의 상태와 거의 같은 유사한 턱관절 및 상·하악 치아의 상호 관계를 구강 밖에서 재현한 후, 이를 토대로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서지컬 스텐트(Surgical Stent)를 제작한다. 여기서, 서지컬 스텐트란, 천공될 위치를 대략적으로 선정한 후 시술자의 경험과 판단에 따라 식립을 위한 홀을 형성하기 위한 기구를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고정식 형태로 마련된다.
서지컬 스텐트의 제작이 완료되면, 서지컬 스텐트 및 드릴을 이용하여 환자 의 구강 내의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정하기 위해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상재료를 이용하여 인상체를 채득한 후 제작되는 서지컬 스텐트를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를 선정할 수 있었고, 이어서 소정의 치조골에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홀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텐트 즉 서지컬 스텐트에 있어서는, 벌크(bulk)가 커서 구강 내에서 소정의 홀을 형성시키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홀을 형성하는 데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리며, 또한 각 환자에 맞게 제작이 완료되면 환자의 구강 내 상태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그 상태에 맞게 변형이 어려우며,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치과에서도 CT(Computer Tomography, 컴퓨터 단층촬영) 장치를 도입하여 뼈의 3차원적인 모습을 재현하고 이를 통해 임플란트가 식립될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시도하고 있는데, 종래의 임플란트용 스텐트는 비금속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러한 CT 활용 임플란트 시술 또는 엑스레이(X-Ray) 활용 임플란트 시술에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벌크(bulk)가 종래보다 작아져서 다루기 쉬울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홀을 형성하는 시간이 종래보다 덜 소요되며,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쉽게 변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 시 치조골에 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홀에 인접한 치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결합유닛; 상기 치아결합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스텐트몸체와, 상기 제1 스텐트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치조골에 상기 임플란트가 식립될 홀을 형성하는 드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덮개를 구비하는 제1 단위 스텐트유닛; 및 상기 제1 단위 스텐트유닛 및 상기 치아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단위 스텐트유닛과 상기 치아결합유닛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덮개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스텐트몸체와 별도로 제작되며, 상기 제1 스텐트몸체는 상기 가이드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덮개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덮개 몸체부; 및 상기 가이드덮개 몸체부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직경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드릴을 안내하는 드릴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드릴가이드는 상기 드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1 결합돌기 측을 향하도록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마 련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제1 돌기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치아결합유닛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돌기수용부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돌기수용부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돌기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스크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돌기는 볼(ball)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1 수나사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제1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외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장돌출부; 및 상기 제1 걸림돌기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복수의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연장돌출수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스텐트몸체에 마련되며, CT(Computer Tomography) 촬영 또는 엑스 레이(X-Ray) 촬영을 통해 상기 임플란트가 식립될 상기 홀의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하도록 하는 불투과성 금속 재질의 피촬영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스텐트몸체는 상기 피촬영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피촬영덮개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에 결합되는 불투과성 금속 재질의 피촬영덮개 몸체부; 및 상기 피촬영덮개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 직립되게 마련되어 상기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하도록 하는 불투과성 금속 재질의 위치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텐트몸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스텐트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위 스텐트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단위 스텐트유닛; 및 상기 제1 단위 스텐트유닛과 상기 제2 단위 스텐트유닛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 및 상기 제2 스텐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 상기 제2 결합돌기 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스텐트몸체 및 상기 제2 스텐트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제2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돌기수용부는 상기 제2 스텐트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돌기수용부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결합돌기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스크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돌기는 볼(ball)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 및 상기 제2 스텐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수나사부; 및 상기 제2 수나사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스텐트몸체 및 상기 제2 스텐트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제2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결합되는 "U"자 형상의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연장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제2 연장돌출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2 스텐트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연장돌출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제2 연장돌출수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연장돌출부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돌출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복수의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스텐트몸체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영역에는 다수의 위치조절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위치조절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조절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장돌출부의 외측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돌출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치아결합유닛은, 상기 치아에 걸림 결합되도록 "U"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벌크(bulk)가 종래보다 작아져서 다루기 쉬울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홀을 형성하는 시간이 종래보다 덜 소요되며,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쉽게 변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촬영덮개가 금속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CT(Computer Tomography) 촬영 또는 엑스 레이(X-Ray) 촬영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보다 정확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임플란트될 구강에 도 1의 임플란트용 스텐트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제1 스텐트몸체에 가이드덮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제1 스텐트몸체에 피촬영덮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 텐트(1)는, 인접한 치아(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결합유닛(10)과, 치아결합유닛(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과,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과, 치아결합유닛(10)과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 사이에서 둘 간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40)와,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과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 사이에서 둘 간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50)를 포함한다. 단, 이하에서는, 단위 스텐트유닛(20, 30)이 두 개로 구성된 것에 대해 설명할 것이나 단위 스텐트유닛(20, 30)은 치조골에 천공하고자 하는 홀(hole) 수에 따라 또는 구강 내의 상황에 따라 그보다 많은 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과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을 중심으로 단위 스텐트유닛(20, 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치아결합유닛(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고자 하는 홀과 인접한 치아(3)에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치아(3)에 걸림 결합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치아결합유닛(10)의 일측에는 치아결합유닛(10)을 제1 단위스텐트유닛(20)에 결합시키는 제1 결합돌기(41)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의 기본 몸체가 되는 중공 형상의 제1 스텐트몸체(21)와, 제1 스텐트몸체(2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홀 형성 시 드릴을 가이드(guide)하는 가이드덮개(23)와, 가이드덮개(23)가 결합되는 제1 스텐트몸체(21)의 상부에 가이드덮개(23)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이드덮개(23)는, 제1 스텐트몸체(21)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덮개 몸체부(24)와, 가이드덮개 몸체부(24)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내경을 갖도록 마련되어 드릴(7)을 실질적으로 안내하는 드릴가이드(25)를 구비한다. 여기서, 가이드덮개 몸체부(24)와 드릴가이드(25)는 불투과성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다면 중앙 영역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덮개 몸체부(24)를 마련한 후 그 중앙 영역의 하면에 드릴가이드(25)를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가이드덮개(23)는 불투과성 금속 재질이 함유된 플라스틱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덮개 몸체부(24)는 제1 스텐트몸체(21)의 상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제1 스텐트몸체(2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되, 그 중앙 영역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드릴가이드(25)는 가이드덮개 몸체부(24)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원통 부분으로서, 외경은 제1 스텐트몸체(2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내경은 그 내부를 통과하는 드릴(7, 도 2 참조)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되 드릴(7)로 천공 작업 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드릴(7)의 외경보다는 다소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드릴가이드(25)는, 천공 작업 시 드릴(7)로 인해 드릴가이드(25)가 손상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마련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텐트몸체(21)에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홀 형성 전에 CT 촬영 또는 엑스레이 촬영에 의해서 홀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피촬영덮개(2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촬영덮개(27)와 전술한 가이드덮개(23)는 제1 스텐트몸체(21)의 상부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결합되며, 제작이 용이하다면 가이드덮개(23)가 제1 스텐트몸체(21)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고 그 상부에 다시 피촬영덮개(2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피촬영덮개(27)는, 가이드덮개(23)가 결합되는 제1 스텐트몸체(21)의 상부에 결합되며, 촬영에 의해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피촬영덮개(27)는,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텐트몸체(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불투과성 금속 재질의 피촬영덮개 몸체부(28)와, 피촬영덮개 몸체부(28)의 중앙에 직립되게 마련되되 피촬영덮개 몸체부(28)와 동일 금속 재질로 일체로 마련되어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하도록 하는 금속 재질의 위치확인부(29)를 구비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피촬영덮개 몸체부(28)와 위치확인부(29)가 일체로 마련된다고 설명하였지만, 제작이 용이하다면 별개로 제작한 후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피촬영덮개(27)는 본 실시 예와 같이 불투과성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나, 불투과성 금속 재질이 함유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피촬영덮개 몸체부(28)는, 제1 스텐트몸체(21)의 상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제1 스텐트몸체(2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그 상부에 위치확인부(29)가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받침 역할을 담당한다.
위치확인부(29)는, 피촬영덮개 몸체부(28)의 상면 중앙에 직립되게 마련되어 촬영에 의해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하도록 하며, 또한, 상실된 치아의 대합치 또는 인근 치아(3)와의 간섭 여부 등을 파악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CT(Computer Tomography) 촬영 또는 엑스 레이(X-Ray) 촬영을 통해 구강 내에서 위치확인부(29)의 위치를 확인하고 촬영된 정보를 기초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1)를 최종적으로 세팅함으로써 임플란트가 식립될 치조골(5)에 정확한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 예의 임플란트용 스텐트(1)는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CT 활용 임플란트 시술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위치확인부(29)를 통해 획득된 촬영 정보를 토대로 임플란트용 스텐트(1)의 위치를 정확히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 및 치아결합유닛(10)이 결합되되 구강 상태에 따라 적절히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유연성 있게 결합되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 및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의 결합 또한 구강 상태에 따라 적절히 위치 조절될 수 있도록 유연성 있게 결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사이에 결합부(40, 50)를 마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결합부(40, 50) 중 치아결합유닛(10)과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 사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40)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이후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 및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 간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결합부(4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결합유닛(10)의 일 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41)와, 제1 결합돌기(41) 측을 향하도록 제1 스텐트몸체(21)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 결합돌기(41)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제1 돌기수용부(4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결합돌기(41)는 치아결합유닛(10)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돌기수용부(45)는 제1 스텐트몸체(21)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결합돌기(41)는, 그 선단 부분이 볼(ball)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제1 결합돌기(41)가 제1 돌기수용부(45)에 결합되더라도 제1 결합돌기(41)는 제1 돌기수용부(45)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1 돌기수용부(45)는, 제1 결합돌기(4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스텐트몸체(2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되 그 내부가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 결합부(40)의 구성에 의해, 제1 돌기수용부(45)와 일체를 이루는 제1 스텐트몸체(21)가 제1 돌기수용부(45)와 일체를 이루는 치아결합유닛(10)에 대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동할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1)의 배치를 어느 정도 변형시킬 수 있어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유연성 있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40)는 치아결합유닛(10) 및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의 결합이 환자의 구강 상태에 맞게 세팅이 완료되는 경우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이 치아결합유닛(10)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제1 돌기수용부(45)의 측부를 관통하여 제1 결합돌기(41)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 스크루(47)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수용부(45)에는 가압 스 크루(47)가 통과할 수 있는 소정의 스크루홀(46)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크루홀(46)을 통과한 가압 스크루(47)가 제1 결합돌기(41)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제2 결합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 및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 간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유연성 있게 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 스텐트몸체(21)의 타측(전술한 제1 스텐트몸체(21)의 일측의 반대편)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51)와, 제2 결합돌기(51) 측을 향하도록 제2 스텐트몸체(31)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2 결합돌기(5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돌기수용부(5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 돌기수용부(55)는 제1 돌기수용부(4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2 결합돌기(51)는 치아결합유닛(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결합돌기(4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전술한 제1 결합부(40)가 치아결합유닛(10) 및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 간을 결합시키는 것이라면, 제2 결합부(5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합 방법으로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 및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 간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은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적절히 위치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구강 상태에 맞게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 및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의 위치가 정해진 경우 제2 돌기수용부(55)의 스크루홀(56)을 관통한 가압 스크루(미도시)가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의 제2 결합돌기(51)를 가압 고 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홀 형성 시 임플란트용 스텐트(1)가 견고히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령 치조골(5)에 두 개의 홀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단위 스텐트유닛(20, 30)을 배치하는 경우,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의 제2 결합돌기(51)는 필요없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에는 제2 결합돌기(51)가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치조골(5)에 세 개의 홀을 형성하기 위해 세 개의 홀을 형성하는 경우 세 번째의 단위 스텐트유닛(미도시)은 결합돌기가 마련되지 않은 단위 스텐트유닛으로 선택되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로 인해, 임플란트용 스텐트(1)의 벌크(bulk)를 더욱 더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가 다소 협소하더라도 천공 작업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1)를 종래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임플란트용 스텐트(1)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5)에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인상재료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하악의 인상체를 채득하고, 채득한 인상체에 석고를 부어 환자의 상·하악의 형태와 똑같은 석고모형을 제작한다.
이어서, 석고모형을 인공교합기에 결합시켜 환자의 상태와 거의 유사한 턱관절 및 상·하악 치아의 상호 관계를 구강 밖에서 재현한다. 이후, 재현된 인공 턱관절 및 상·하악 치아를 이용하여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 로 치아결합유닛(10) 및 다수의 단위 스텐트유닛(20, 30)을 결합부(40, 50)로 연결한다. 다시 말해, 재현된 치아 구조에 맞게 임플란트용 스텐트(1)를 세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환자의 구강 내에 환자의 구강 상태에 맞게 세팅된 임플란트용 스텐트(1)를 배치한 후, 치아결합유닛(10)을 인접한 치아(3)에 결속시킨다. 이때 임플란트용 스텐트(1)의 각각의 단위 스텐트유닛(20, 30)에는 피촬영덮개(27)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임플란트용 스텐트(1)를 배치한 후 CT(Computer Tomography) 촬영 또는 엑스 레이(X-Ray) 촬영을 통해 임플란트용 스텐트(1)가 정확한 위치에 놓였는지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피촬영덮개(27)는,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대합치와의 간격 및 인접한 치아와의 간섭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방향으로 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촬영에 의해 획득된 촬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임플란트용 스텐트(1)의 위치를 최종적으로 세팅한 후, 피촬영덮개(27)를 각각의 스텐트몸체(21, 31)로부터 분리하고 그 자리에 가이드덮개(23)를 결합시킨다. 이후, 가이드덮개(23)의 드릴가이드(25)에 드릴(7)을 위치시킨 후 드릴(7)을 작동시켜 임플란트가 식립될 치조골(5)에 다수의 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임플란트용 스텐트(1)가 인접한 치아(3)를 기준으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는 벌크(bulk)를 갖기 때문에 시술자가 용이하게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이 종래보다 덜 소요될 수 있으며, 또한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변형이 종래보다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CT(Computer Tomography) 촬영 또는 엑스 레이(X-Ray) 촬영을 통해 임플란트용 스텐트(1)의 위치를 정확히 세팅함으로써 천공 작업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최근의 CT 활용 임플란트 시술에도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 스텐트몸체 및 제1 스텐트몸체에 마련되는 결합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1a)는, 치아결합유닛(10a)과, 제1 스텐트몸체(21a)와 제1 스텐트몸체(2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덮개(23a)를 구비하는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a)과,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a)과, 치아결합유닛(10a)과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a)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40a)와,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a)과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a)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50a)와, 제1 스텐트몸체(2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촬영덮개(27a)를 포함한다.
치아결합유닛(10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 지나, 제1 결합부(4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약간 차이가 있다.
먼저 제1 결합부(40a)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 예의 제1 결합부(40a)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결합유닛(10a)의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는 제1 연장돌출부(41a)와, 제1 연장돌출부(41a) 측을 항하도록 제1 스텐트몸체(21a)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 연장돌출부(41a)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장돌출수용부(45a)를 구비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볼(ball) 형상의 제1 결합돌기(41, 도 3 참조)가 제1 돌기수용부(45)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과는 달리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연장돌출부(41a)가 제1 연장돌출수용부(45a)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둘 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즉, 제1 연장돌출부(41a)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42a)가 돌출 형성되고, 제1 연장돌출수용부(45a)의 내측면에는 이러한 걸림돌기(42a)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턱(48a)이 마련되어 치아결합유닛(10a) 및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a) 간의 결속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a) 및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a)은 제2 결합부(50a)에 의해 결합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결합부(50, 도 3 참조)와 그 구성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결합부(50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텐트몸체(21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연결몸체(52a) 및 제2 스텐트몸체(31a)의 제2 연장돌출수용부(55a)에 결합되는 제2 연장돌출부(53a)를 구비하는 "Y" 자 형상의 연결부재(51a)와, 제2 연장돌출부(53a)를 향하 도록 제2 스텐트몸체(31a)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2 연장돌출부(53a)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장돌출수용부(55a)를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부재(51a)의 연결몸체(52a)가 제1 스텐트몸체(21a)의 외주면에 결합될 때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제1 스텐트몸체(21a)의 외면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다수의 위치조절홈(22a)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몸체(52a)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위치조절홈(22a) 중 어느 하나의 위치조절홈(22a)에 걸려 위치 조절되는 위치조절돌기(52b)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연장돌출부(53a)와 제2 연장돌출수용부(55a)는, 전술한 치아결합유닛(10a)의 제1 연장돌출부(41a)와 제1 연장돌출수용부(45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구조에 비해서는 다소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지만 연장돌출부(41a, 53a)들을 연장돌출수용부(45a, 55a)들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어느 정도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몸체(52a)와 스텐트몸체(21a) 간의 결합 시 위치를 조절하여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적절히 변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치아결합유닛(10a) 및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a) 간, 그리고 단위 스텐트유닛(20a, 30a)들 간의 결합력이 강화됨으로써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비하여 높은 고정성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보다 신뢰성 있는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1b)는, 전술한 일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나 제1 결합부(40b) 및 제2 결합부(50b)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제1 결합부(40b)는, 치아결합유닛(10b)의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수나사부(41b)와, 제1 수나사부(41b) 측을 향하도록 제1 스텐트몸체(21b)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 수나사부(41b)가 나사 결합되는 제1 암나사부(45b)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부(50b) 또한, 제1 스텐트몸체(21b)의 타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외면에 수나사산(52b)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수나사부(51b)와, 제2 수나사부(51b)를 향하도록 제2 스텐트몸체(31b)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2 수나사부(51b)가 나사 결합되는 제2 암나사부(55b)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단위 스텐트유닛(20b, 30b)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 결합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적절히 변형할 수 있으며, 또한 단위 스텐트유닛(20b, 30b)들 간의 결합력이 강화됨으로써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비하여 높은 고정성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보다 신뢰성 있는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다른 실시 예 및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1c)는 다른 실시 예의 임플란트용 스텐트(1a)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나 제1 결합부(40c) 및 제2 결합부(50c)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제1 결합부(40c)는, 치아결합유닛(10c)의 일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며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수나사부(41c)와, 제1 수나사부(41c) 측을 향하도록 제1 스텐트몸체(21c)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 수나사부(41c)가 나사 결합되는 제1 암나사부(45c)를 구비함으로써, 치아결합유닛(10c)과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c)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부(5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제2 결합부(50a, 도 8 참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나, 제2 연장돌출부(53c) 및 제2 연장돌출수용부(55c)의 형상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연장돌출부(53c)의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연장돌출수용부(55c)의 내측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단위 스텐트유닛(20c)과 제2 단위 스텐트유닛(30c)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단위 스텐트유닛(20c, 30c)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 결합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적절히 변형할 수 있으며, 또한 단위 스텐트유닛(20c, 30c)들 간의 결합력이 강화됨으 로써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비하여 높은 고정성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보다 신뢰성 있는 천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일 실시 예에서는, 결합돌기의 형상이 볼 형상으로 제작되고 돌기수용부의 형상이 이러한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고 상술하였으나, 결합돌기 및 돌기수용부가 전술한 다른 실시 예의 결합돌기 및 돌기수용부의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임플란트될 구강에 도 1의 임플란트용 스텐트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스텐트몸체에 가이드덮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스텐트몸체에 피촬영덮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 스텐트몸체 및 제1 스텐트몸체에 마련되는 결합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임플란트용 스텐트 10 : 치아결합유닛
20 : 제1 단위 스텐트유닛 21 : 제1 스텐트몸체
23 : 가이드덮개 25 : 드릴가이드
27 : 피촬영덮개 29 : 위치확인부
30 : 제2 단위 스텐트유닛 31 : 제2 스텐트몸체
40 : 제1 결합부 41 : 제1 결합돌기
45 : 제1 돌기수용부 50 : 제2 결합부

Claims (18)

  1. 임플란트 시술 시 치조골에 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홀에 인접한 치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치아결합유닛;
    상기 치아결합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스텐트몸체와, 상기 제1 스텐트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치조골에 상기 임플란트가 식립될 홀을 형성하는 드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덮개를 구비하는 제1 단위 스텐트유닛; 및
    상기 제1 단위 스텐트유닛 및 상기 치아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단위 스텐트유닛과 상기 치아결합유닛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덮개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스텐트몸체와 별도로 제작되며,
    상기 제1 스텐트몸체는 상기 가이드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덮개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덮개 몸체부; 및
    상기 가이드덮개 몸체부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직경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드릴을 안내하는 드릴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드릴가이드는 상기 드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결합돌기; 및
    상기 제1 결합돌기 측을 향하도록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제1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돌기는 상기 치아결합유닛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돌기수용부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돌기수용부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돌기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스크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돌기는 볼(ball)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 란트용 스텐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1 수나사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제1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외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장돌출부; 및
    상기 제1 걸림돌기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치아결합유닛 및 상기 제1 스텐트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복수의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연장돌출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몸체에 마련되며, CT(Computer Tomography) 촬영 또는 엑스 레이(X-Ray) 촬영을 통해 상기 임플란트가 식립될 상기 홀의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하도록 하는 불투과성 금속 재질의 피촬영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몸체는 상기 피촬영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피촬영덮개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에 결합되는 불투과성 금속 재질의 피촬영덮개 몸체부; 및
    상기 피촬영덮개 몸체부의 상면 중앙에 직립되게 마련되어 상기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하도록 하는 불투과성 금속 재질의 위치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몸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스텐트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단위 스텐트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단위 스텐트유닛; 및
    상기 제1 단위 스텐트유닛과 상기 제2 단위 스텐트유닛을 결합시키는 제2 결 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 및 상기 제2 스텐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결합돌기;
    상기 제2 결합돌기 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스텐트몸체 및 상기 제2 스텐트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결합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제2 돌기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돌기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돌기수용부는 상기 제2 스텐트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돌기수용부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결합돌기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스크루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돌기는 볼(ball)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 및 상기 제2 스텐트몸체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수나사부; 및
    상기 제2 수나사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 스텐트몸체 및 상기 제2 스텐트몸체 중 다른 하나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는 제2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스텐트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영역을 감싸며 결합되는 "U"자 형상의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2 연장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제2 연장돌출부 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2 스텐트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2 연장돌출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제2 연장돌출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돌출부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돌출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걸림 되는 복수의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텐트몸체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영역에는 다수의 위치조절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몸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위치조절홈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조절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돌출부의 외측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돌출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결합유닛은,
    상기 치아에 걸림 결합되도록 "U"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20070085942A 2007-08-27 2007-08-27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0786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942A KR100786308B1 (ko) 2007-08-27 2007-08-27 임플란트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942A KR100786308B1 (ko) 2007-08-27 2007-08-27 임플란트용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308B1 true KR100786308B1 (ko) 2007-12-14

Family

ID=3914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942A KR100786308B1 (ko) 2007-08-27 2007-08-27 임플란트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308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92Y1 (ko) 2009-08-24 2009-11-04 이창선 치과용 확장 시술 유닛
KR100943508B1 (ko) 2008-07-01 2010-02-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식위치 가이드 핀
KR100954553B1 (ko) 2008-04-23 2010-04-23 이태경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장치
KR100970341B1 (ko) 2008-12-19 2010-07-15 이준호 다목적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KR101169450B1 (ko) 2010-10-29 2012-07-27 (주)이비아이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키트
KR101291754B1 (ko) 2011-08-08 2013-08-05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1312787B1 (ko) 2013-07-10 2013-09-27 정재봉 임플란트용 드릴 인디케이터
KR101536288B1 (ko) * 2014-03-21 2015-07-14 황동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가이드 장치
KR20160012582A (ko) * 2014-07-24 2016-02-03 김래회 임플란트 시술기구와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WO2016075284A1 (de) * 2014-11-14 2016-05-19 Ivoclar Vivadent Ag Abutment-werkzeugset sowie zahnersatz-erzeugungsvorrichtung
KR101675500B1 (ko) * 2015-07-14 2016-11-11 주식회사 디오 무치악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80593A (ko) * 2017-12-28 2019-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KR20190140702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신일덴텍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CN111419452A (zh) * 2020-05-06 2020-07-17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牙种植定位导板
KR102512463B1 (ko) 2021-12-21 2023-03-20 배정호 임플란트 가이드 장치
CN111419452B (zh) * 2020-05-06 2024-05-14 高峰医疗器械(无锡)有限公司 牙种植定位导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833A (en) 1990-07-10 1991-04-16 Implant Plastics Corporation Buttress channel
US5997299A (en) 1995-09-01 1999-12-07 Unger; Heinz-Dieter Anchor for dental implants and device for the alignment of the anchor
US6056547A (en) 1997-03-05 2000-05-02 Medentech, Inc. Impression and foundation system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is
US6692254B1 (en) 2002-02-01 2004-02-17 Barry A. Kligerman Implant supported dental prosthesis foundation b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7833A (en) 1990-07-10 1991-04-16 Implant Plastics Corporation Buttress channel
US5997299A (en) 1995-09-01 1999-12-07 Unger; Heinz-Dieter Anchor for dental implants and device for the alignment of the anchor
US6056547A (en) 1997-03-05 2000-05-02 Medentech, Inc. Impression and foundation system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is
US6692254B1 (en) 2002-02-01 2004-02-17 Barry A. Kligerman Implant supported dental prosthesis foundation bar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553B1 (ko) 2008-04-23 2010-04-23 이태경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장치
KR100943508B1 (ko) 2008-07-01 2010-02-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식위치 가이드 핀
KR100970341B1 (ko) 2008-12-19 2010-07-15 이준호 다목적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KR200446492Y1 (ko) 2009-08-24 2009-11-04 이창선 치과용 확장 시술 유닛
KR101169450B1 (ko) 2010-10-29 2012-07-27 (주)이비아이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키트
KR101291754B1 (ko) 2011-08-08 2013-08-05 정충현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1312787B1 (ko) 2013-07-10 2013-09-27 정재봉 임플란트용 드릴 인디케이터
KR101536288B1 (ko) * 2014-03-21 2015-07-14 황동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가이드 장치
WO2015142119A1 (ko) * 2014-03-21 2015-09-24 황동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가이드 장치
KR101645090B1 (ko) 2014-07-24 2016-08-12 김래회 임플란트 시술기구
KR20160012582A (ko) * 2014-07-24 2016-02-03 김래회 임플란트 시술기구와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WO2016075284A1 (de) * 2014-11-14 2016-05-19 Ivoclar Vivadent Ag Abutment-werkzeugset sowie zahnersatz-erzeugungsvorrichtung
KR20170035943A (ko) * 2014-11-14 2017-03-31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지대치 공구 세트, 및 치아 대치물의 제조 장치
KR102028338B1 (ko) 2014-11-14 2019-10-04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지대치 공구 세트, 및 치아 대치물의 제조 장치
KR101675500B1 (ko) * 2015-07-14 2016-11-11 주식회사 디오 무치악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80593A (ko) * 2017-12-28 2019-07-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KR102120829B1 (ko) * 2017-12-28 2020-06-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KR20190140702A (ko) * 2018-06-12 2019-12-20 주식회사 신일덴텍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KR102203856B1 (ko) 2018-06-12 2021-01-15 주식회사 신일덴텍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CN111419452A (zh) * 2020-05-06 2020-07-17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牙种植定位导板
CN111419452B (zh) * 2020-05-06 2024-05-14 高峰医疗器械(无锡)有限公司 牙种植定位导板
KR102512463B1 (ko) 2021-12-21 2023-03-20 배정호 임플란트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308B1 (ko) 임플란트용 스텐트
US11890150B2 (en) Method of install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US9498307B2 (en) Method of install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KR10179715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JP2012500671A (ja) 上部構造物および対応テンプレート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トランスファ部材
TW201634012A (zh) 製作牙科手術導板及局部缺牙患者植入贗復體之方法
KR200476682Y1 (ko)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KR10129175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2013298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CA2887429C (en) A cradle for positioning a final dental prosthesis, a system incorporating the cradl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675503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2068525B1 (ko)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20120136858A (ko)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CN111789688B (zh) 可定制的牙科器具
KR100611946B1 (ko)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1360953B1 (ko) 치과용 천공 가이드장치
US20120107764A1 (en) Method for preparing a surgical mask for the installation of dental implants
KR102212408B1 (ko) 오버덴쳐 구조물 및 오버덴쳐 구조물의 구축방법
KR20160071279A (ko) 임플란트 보철물 구멍 형성 가이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Soardi et al. Clinical and radiological 12-year follow-up of full arch maxilla prosthetic restoration supported by dental implants positioned through guide flapless surgery
KR20180072623A (ko) 맞춤형 인공치아
US20200397540A1 (en) Dentur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ure
JP2011501998A (ja) 精密誘導植立のためのインプラント用のステント固定体
KR20180091263A (ko)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TWM562107U (zh) 牙科手術導引板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