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593A -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593A
KR20190080593A KR1020170183140A KR20170183140A KR20190080593A KR 20190080593 A KR20190080593 A KR 20190080593A KR 1020170183140 A KR1020170183140 A KR 1020170183140A KR 20170183140 A KR20170183140 A KR 20170183140A KR 20190080593 A KR20190080593 A KR 2019008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le
implant
surg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829B1 (ko
Inventor
한바울
허재찬
김기성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8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5Material properties using radio-opaque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치과용 임플란트 홀의 드릴링을 가이드하는 서지컬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의 축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에 있어서, 서지컬 가이드와 다른 재질로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홀에 삽입 및 분리되며 가이드 홀의 축방향에 맞추어지는 하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DEVICE FOR CHECKING AXIAL DIRECTION OF IMPLANT HOL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리브가 없는 서지컬 가이드에서 드릴 관통 홀 및 임플란트 식립 방향을 예측하기 위한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1236호에 제시된 임플란트용 드릴 가이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를 변경하였다. 임플란트용 드릴 가이드(1)는, 드릴(2)을 사용하여 치조골을 천공할 때 드릴날(2a)의 천공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슬라이더(10) 및 서지컬 가이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착부재(11)는 드릴(2)의 헤드에 로드(13)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드릴(2)의 헤드 하부에 밀착되고 드릴날(2a)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고정부(11a), 고정부(11a)에 드릴날(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로드(1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1b) 및 드릴(2)의 헤드 상부에 밀착되고 제1 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캡(1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릴(2)의 헤드가 고정부(11a)의 상측을 통해 고정부(11a)의 안쪽에 삽입된 후 고정캡(11c)이 고정부(11a)의 상측에 결합되면, 고정부(11a)와 고정캡(11c)은 드릴(2)의 헤드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서지컬 가이드(30)는 치조골의 천공시 구강 내에 결합되어 슬라이더(10)와 함께 드릴날(2a)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치조골 천공시 드릴날(2a)이 통과하는 관통홀(31) 및 로드(13)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홀(33)이 형성된다. 서지컬 가이드(30)는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하나 이상의 치조골과 이를 덮고 있는 잇몸(G)을 포함하여 주변의 치아들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치조골 천공시 드릴날(2a)의 천공위치, 천공방향 및 천공깊이를 안내하게 된다.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344호에 제시된 정밀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서지컬 가이드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를 변경하였다. 구강 모형(MD)이 준비되면, 임플란트 시술이 계획된 위치에 치조골 천공용 드릴의 진행을 유도하는 슬리브(40)를 구강 모형(MD)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즉, 컴퓨터 프로그램상에서 수립된 시술계획에는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 각도, 깊이는 물론 임플란트의 길이, 직경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정보에 기반하여 다축 가공기로 구강 모형(MD)에 정확하게 구멍을 가공한 후 슬리브(40)를 고정핀으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시술계획에 맞춰 정확한 위치에 슬리브(40)가 고정된 구강 모형(MD)이 준비되면, 슬리브(40)를 포함하는 구강 모형(MD)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1 열가소성 시트(S1)를 배치하고, 제1 열가소성 시트(S1)에 열을 가하면서 제1 열가소성 시트(S1)와 구강 모형(MD) 사이에 진공(VC)을 형성함으로써 구강 모형(MD)의 표면에 제1 열가소성 시트(S1)를 밀착시킨다.
여기서, 제1 열가소성 시트(S1)는 슬리브(40)를 감싸면서 밀착되도록 해야 하며, 완성된 서지컬 가이드(50)가 환자의 구강 안에 끼워졌을 때 흔들리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강 모형(MD)을 감싸야 한다. 제1 열가소성 시트(S1)가 구강 모형(MD) 전체를 다 감싸도록 만들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환자의 치아 개수가 충분하거나 이미 다른 보철물이 시술되어 있어 구강 모형(MD)에서 서지컬 가이드(50)를 빼내는 것이 어려울 염려가 있을 경우에는 일부분만 감싸도록 만들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구강 모형(MD)에 밀착되게 성형된 제1 열가소성 시트(S1) 위로 제2 열가소성 시트(S2)를 배치하고, 전 단계에서와 동일하게 제2 열가소성 시트(S2)에 열을 가하면서(70∼80℃), 제2 열가소성 시트(S2)와 제1 열가소성 시트(S1) 사이에 진공(VC)을 형성하여 제1 열가소성 시트(S1) 표면에 제2 열가소성 시트(S2)를 부착시킨다. 여기서, 제2 열가소성 시트(S2)의 두께는 제1 열가소성 시트(S1)보다 더 두꺼운 것이 사용된다. 이는 얇은 제1 열가소성 시트(S1)를 이용하여 복잡한 형태를 가진 구강 모형(MD)의 표면에 치밀하게 밀착시켜 가이드 서지컬 가이드(50)의 기본 형태를 정확하게 잡은 다음, 두꺼운 제2 열가소성 시트(S2)를 그 위에 부착함으로써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하다면 제2 열가소성 시트(S2) 위에 동일한 방법으로 제3, 제4의 열가소성 시트를 추가로 접합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적어도 두께가 다른 제1/제2 열가소성 시트(S1,S2)의 두 겹으로 서지컬 가이드(50)를 만드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라 할 것이다.
이후, 레이저(LS)를 이용하여 서지컬 가이드(50)의 필요한 부분을 남기고 제거한다.
도 3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9957호에 제시된 치과 임플란트용 수술가이드 제작 키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스테이지(72)는 결정된 식립 위치 및 식립 각도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다. 구강 모형(65) 및 서지컬 가이드(61)는 상호 결속된 상태로 스테이지(72)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실제 식립 위치(D)에 대응하여 드릴(76)이 드릴부(75)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실제 식립 위치(D)를 특정하기 위해서, 서지컬 가이드(61)를 분리한 구강 모형(65)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식립 위치(D)를 특정한 후 서지컬 가이드(61)를 다시 구강 모형(65)에 고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고정체(fixture), 어버트먼트(abutment) 및 보철물을 포함한다. 임플란트의 고정체는 치조골에 고정된다. 치조골에 구멍을 뚫고, 치조골의 구멍에 고정체를 넣어 고정한다. 이때, 고정체의 방향은 임플란트의 방향 및 위치 등을 결정한다. 기존에는 고정체의 위치 및 방향을 X-Ray 및 육안으로 결정하여 치조골에 구멍을 뚫었다. 만약 구멍의 위치, 방향 및 깊이 등을 잘못 결정한 경우, 임플란트의 위치가 수정되어야 할 수 있고, 치조골 아래에는 혈관이 지나가기 때문에 환자가 위험해질 수 있어 서지컬 가이드와 슬리브를 사용하여 사전에 계획한 위치, 방향 및 깊이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해왔다.
최근 서지컬 가이드를 만드는 방법은 3D 프린터 등을 통해 정밀하게 제작하는 방법들이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설명한 바와 같이 치아 모형을 만들어서 제작하는 방법에서 발전하여 최근에는 X-Ray, CT, 광학 3D 스캔 기술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3D 프린터로 제작하고 있다. 서지컬 가이드에 슬리브가 있는 경우 인접치가 가깝거나 치은 높이가 높은 경우 슬리브가 치아 사이에 삽입이 되지 않고, 시술 안정성 및 정확도를 높이는 측면에서 슬리브가 없는 서지컬 가이드의 제작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슬리브가 없는 서지컬 가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CT 나 X-Ray 상에서 서지컬 가이드에 형성된 홀의 위치 및 방향을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치과용 임플란트 홀의 드릴링을 가이드하는 서지컬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의 축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에 있어서, 서지컬 가이드와 다른 재질로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홀에 삽입 및 분리되며 가이드 홀의 축방향에 맞추어지는 하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1236호에 제시된 임플란트용 드릴 가이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344호에 제시된 정밀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서지컬 가이드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9957호에 제시된 치과 임플란트용 수술가이드 제작 키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서지컬 가이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서지컬 가이드의 사용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의 사용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홀(H;도 7참조)의 드릴링을 가이드하는 서지컬 가이드(200)에 형성된 가이드 홀(210)의 축방향(A)을 확인하기 위해 가이드 홀(210)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에 있어서, 서지컬 가이드(200)는 치아 또는 잇몸을 덮도록 형성되고, 서지컬 가이드(200)에는 임플란트가 설치될 자리와 대응되는 가이드 홀(210)이 형성된다. 서지컬 가이드(200)는 일반적으로 방사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3D 프린터를 이용해 형성된다.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는 몸체(110)와 스톱퍼(12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몸체(110)의 윗쪽에 위치하는 상부(111)와 몸체(110)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하부(113)를 포함한다. 하부(113)는 가이드 홀(210)의 축방향(A)에 맞추어 고정된다. 따라서 가이드 홀(210)의 축방향(A)에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의 축방향(A)이 일치한다. 몸체(110)는 서지컬 가이드(20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10)는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속이 비지 않도록(solidity)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는 몸체(110)의 상부(111)와 스톱퍼(120)는 서지컬 가이드(200)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부(113)는 서지컬 가이드(200) 내부에 삽입된다.
스톱퍼(120)는 상부(111)와 하부(113) 사이에 구비되며, 상부(111)와 하부(113) 사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스톱퍼(120)는 서지컬 가이드(200)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스톱퍼(120)가 서지컬 가이드(200)와 접촉함으로써 스톱퍼(129)의 위쪽이 가이드 홀(210)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다.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는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금속,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PEEK(PolyEtherEther Ketone;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일 수 있다.
하부(113)의 외측면은 가이드 홀(210)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가이드 홀(210)의 내측면과 접촉이 잘되도록 하부(113)에 구비된 몸체(11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도 5;13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부(111)에는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표시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21)는 홈, 돌기, 및 색상 등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21)는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몸체(110)의 상부(111)에 구비될 수 있다.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는 서지컬 가이드(200)로부터 분리가능하다.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를 서지컬 가이드(200)로부터 분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몸체(110)의 상부(111)가 서지컬 가이드(200)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이를 손으로 잡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CT 및 X-Ray 등 방사선 촬영시 가이드 홀(210)의 방향을 알려주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의 몸체(110)가 서지컬 가이드(200)의 가이드 홀(210)과 서지컬 가이드(200)의 외부까지 돌출되어 길게 형성되므로 서지컬 가이드(200)의 가이드 홀(210)의 방향과 깊이 및 예상경로를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즉, 상부(111)와 스톱퍼(120)는 서지컬 가이드(200)의 외부에 구비되며, 서지컬 가이드(200)에서 분리할 때, 사용자가 상부(111)를 잡고 분리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1)는 돌기(도 5a)나 홈(도 5b)이 있는 것이 손으로 잡고 분리하기 쉽다. 또한, 홈(도 5b) 있는 경우 하부(113)에는 돌기(131)가 있으므로 상부(111)와 하부(113)의 구분이 쉽다.
또한, CT 및 X-Ray 등 방사선 촬영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표시부(121)에 의해 주위의 치아(T) 및 잇몸(G)과 높이를 비교할 수 있다. 주변 치아 및 치조골의 해부학적 구조로부터 임플란트의 식립깊이를 비교하는 방법은 수술 전 임플란트 홀 확인 기구(100)가 결합된 서지컬 가이드(200)를 환자에게 장착하여, 방사선 촬영을 진행한다.
이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위에서 촬영된 사진상에서 임플란트 홀 확인 기구(100)의 상부, 하부, 홈 또는 돌기 및 외경(단면상)으로부터 연장선을 만들어 임플란트의 식립깊이를 비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지컬 가이드(200)는 가이드 홀(210)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주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따라서 상부(111)의 적어도 일부가 주변 치아와 마주하며, 주변 치아와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서지컬 가이드(200)는 상면(201)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측부(114)를 포함한다. 스톱퍼(120)는 몸체(110)의 하부(113)에 구비된다. 스톱퍼(120)는 서지컬 가이드(200)의 상면(201)과 접촉하도록 몸체(110)의 측부(114)로 돌출형성된다.
몸체(110)의 상부(111)는 하부(113)에 구비되며, 가이드 홀(210)의 외부로 돌출형성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의 몸체(110)는 상부(111)와 하부(113)의 중심을 관통하는 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11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133;slot)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133)이 형성되므로 하부(113)가 가이드 홀(210)에 삽입될 때, 탄성이 생겨 가이드 홀(210)에 쉽게 들어가고, 가이드 홀(210)에 삽입된 후에는 탄성을 통해 하부(113)가 가이드 홀(210)에 밀착될 수 있다. 하부(113)에는 돌출부(135)가 구비되어 가이드 홀(210)에 밀착하게 한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의 사용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와 같이 임플란트가 설치될 방향으로 가이드 홀(210)이 구비된 사용자의 치아(T)와 잇몸(G)에 맞춘 서지컬 가이드(200)를 준비한다.
도 7(b)와 같이 치아(T)와 잇몸(G)을 서지컬 가이드(200)가 덮은 상태로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를 가이드 홀(210)에 끼울 수 있다. 또한, 서지컬 가이드(200)의 가이드 홀(210)에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를 끼우고, 치아(T)와 잇몸(G)을 덮을 수도 있다. 도 7(b)와 같은 상태에서 CT 및 X-Ray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촬영한다.
도 7(c)는 도 7(b)의 사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서지컬 가이드(200)는 방사선을 투과시키고,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가 방사선을 불투과 시키므로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만 사진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의 축방향(A) 또는 외경(단면상)의 연장선을 통해 가이드 홀(210)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CT 및 X-Ray 사진을 통해 임플란트가 설치될 방향으로 가이드 홀(210)의 축방향(A)이 맞는지 확인 한다. 서지컬 가이드(200)는 방사선을 투과하여 도 7(c)의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이후, 도 7(d)와 같이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를 제거한다.
이후, 가이드 홀(210)의 축방향이 확인되면, 드릴(미도시) 등의 도구가 가이드 홀(210)을 관통해 잇몸(G) 및 치조골(B)에 홀(H)을 뚫는다. 잇몸(G) 및 치조골(B)에 형성된 홀(H)에 고정체를 설치하며, 치조골(B)에 고정체가 고정된 것을 확인하고 고정체와 어버트먼트를 삽입하고 보철물을 씌운다. 도면에서는 잇몸(G)과 치조골(B)을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를 사용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환자의 구강 내를 찍은 사진으로서, 서지컬 가이드(200)에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를 조립하여 치아와 잇몸에 서지컬 가이드(200)를 고정하여 두고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8(a)는 금속으로 형성된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를 사용한 것이고, 도 8(b)는 폴리머로 형성된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를 사용한 것이다.
금속은 빛을 반사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X-Ray, CT 등 방사선 촬영시 빛을 반사하여 약간의 빛 번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폴리머는 빛을 금속만큼 산란시키지 않아서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의 경계선을 확인하기가 쉽다.
도 8(a)의 단층 촬영한 사진(P1)과 같이 금속은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의 가장자리형상이 뚜렷하게 나오지 않고 약간 번지듯이 나타난다. 또한, 이로 인해 사진에서 밝게 보인다.
도 8(b)의 단층 촬영한 사진(P2)과 같이 폴리머는 금속보다 빛을 흡수하여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의 가장자리형상이 뚜렷하게 보인다. 그러나,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채도가 낮아서 눈에 띄게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몸체를 속이 비지 않게(solidity) 형성하여(즉, 단면이 넓게 형성되도록)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100)를 단층 촬영한 사진(P2)에서 시인성(Visibility)을 좋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치과용 임플란트 홀의 드릴링을 가이드하는 서지컬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의 축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에 있어서, 서지컬 가이드와 다른 재질로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홀에 삽입 및 분리되며 가이드 홀의 축방향에 맞추어지는 하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2) 몸체는, 하부 상에 구비되어, 가이드 홀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상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3) 몸체의 상부에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4) 하부 상에 구비되어, 서지컬 가이드 상면과 접촉하도록 몸체의 측부로 돌출형성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5) 몸체는 속이 찬(solid)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6) 몸체의 하부에는 슬릿을 포함하며, 가이드 홀에 몸체의 하부가 고정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7) 하부에는 돌기가 구비되어 가이드 홀에 고정되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8)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 홀이 위치하는 부분은 주변보다 낮게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에 의하면, 방사선 촬영시 슬리브가 없는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 홀의 축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다.
또 다른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에 의하면, 방사선 촬영시 몸체의 속이 비어있지 않아 시인성이 좋게 촬영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에 의하면, 방사선 촬영시 폴리머를 사용하여 가장자리의 윤곽선이 잘 보이도록 촬영할 수 있다.
100: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110:몸체 111:상부 113:하부 120:스톱퍼 200: 서지컬 가이드 210: 가이드 홀

Claims (8)

  1. 치과용 임플란트 홀의 드릴링을 가이드하는 서지컬 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의 축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에 있어서,
    서지컬 가이드와 다른 재질로서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가이드 홀에 삽입 및 분리되며 가이드 홀의 축방향에 맞추어지는 하부를 구비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는 하부 상에 구비되어, 가이드 홀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상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몸체의 상부에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 상에 구비되어, 서지컬 가이드 상면과 접촉하도록 몸체의 측부로 돌출형성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는 속이 찬(solid)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의 하부에는 슬릿을 포함하며,
    가이드 홀에 몸체의 하부가 고정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에는 돌기가 구비되어 가이드 홀에 고정되도록 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서지컬 가이드의 가이드 홀이 위치하는 부분은 주변보다 낮게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KR1020170183140A 2017-12-28 2017-12-28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KR102120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40A KR102120829B1 (ko) 2017-12-28 2017-12-28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40A KR102120829B1 (ko) 2017-12-28 2017-12-28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93A true KR20190080593A (ko) 2019-07-08
KR102120829B1 KR102120829B1 (ko) 2020-06-09

Family

ID=6725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140A KR102120829B1 (ko) 2017-12-28 2017-12-28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060B1 (ko) * 2023-03-31 2023-10-16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08B1 (ko) * 2007-08-27 2007-12-14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1199957B1 (ko) * 2011-07-04 2012-11-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수술가이드 제작 키트
KR20140029191A (ko) * 2012-08-28 2014-03-10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82232Y1 (ko) * 2015-11-06 2017-01-02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308B1 (ko) * 2007-08-27 2007-12-14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용 스텐트
KR101199957B1 (ko) * 2011-07-04 2012-11-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수술가이드 제작 키트
KR20140029191A (ko) * 2012-08-28 2014-03-10 김형우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82232Y1 (ko) * 2015-11-06 2017-01-02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060B1 (ko) * 2023-03-31 2023-10-16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829B1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90422A1 (en) Dental implant positioning
JP5243419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ドリルジグ
KR101346997B1 (ko) 치아고정 템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및 사용방법과 부품
US7845943B2 (en) Method for making and using a template for locating a dental implant and components relating thereto
KR101479186B1 (ko) 뼈 조직에 치과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디바이스, 수술용 템플릿 제조방법 및 뼈 조직에 치과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방법
US5556278A (en) Method for making and using a template for a dental implant osteotomy and components relating thereto
KR101631261B1 (ko) 개구부를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KR101632378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크라운 제조방법
US20100256649A1 (en) Method for producing a drill assistance device for at least one implant hole in a bone structure and device obtained
KR102246985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JP2010505598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外科的ガイド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5383659B2 (ja) ステント
KR101954988B1 (ko) 임플란트용 상악동거상술을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1797743B1 (ko) 인공치아의 이식 가이드 시스템
KR102091081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마커
KR20190080593A (ko) 임플란트용 홀 확인 기구
KR20170013678A (ko) 정렬기준이 표시된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43537B1 (ko) 임플란트 수술가이드 제작을 위한 컴퓨터 단층촬영용 플레이트
JP6619438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の埋入用キット
KR102237957B1 (ko) 캐드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제작방법
JP6063523B1 (ja) サージカルガイドの製造法
US20120225409A1 (en) Method For Producing Individual Drilling Templates For Dental Implant Surgery In A Patient's Jawbone
EP2591747A1 (en) System for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root
JP5252982B2 (ja) サージカルガイド、及びこれを使用したドリルの位置決め方法
ITMI20121012A1 (it) Metodo e kit per la realizzazione di dime chirurgiche per implantologia dent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