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263A -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 Google Patents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263A
KR20180091263A KR1020170016200A KR20170016200A KR20180091263A KR 20180091263 A KR20180091263 A KR 20180091263A KR 1020170016200 A KR1020170016200 A KR 1020170016200A KR 20170016200 A KR20170016200 A KR 20170016200A KR 20180091263 A KR20180091263 A KR 20180091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tooth
customized
extract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738B1 (ko
Inventor
강남원
Original Assignee
강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남원 filed Critical 강남원
Priority to KR102017001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738B1/ko
Priority to PCT/KR2017/013113 priority patent/WO2018143547A1/ko
Publication of KR2018009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80Dental aids fixed to teeth during treatment, e.g. tooth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보조기구는 맞춤형 임플란트의 인접치와 접착되는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단부에 오목면을 형성하는 보호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접합부가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접치와의 결합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맞춤형 임플란트 매식체와 보조 기구 사이의 유격을 형성하여 식립된 맞춤형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접적인 자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본 발명은 맞춤형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에 식립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 매식체의 안정적인 골유착을 위한 임플란트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타늄소재로 만들어지는 치과 임플란트는 자연치가 부족한 환자들에게 치아를 제공하기 위해 인공 치아의 임플란트 매식체를 턱뼈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임플란트 매식체가 잇몸뼈와 완전히 골융합(osseointegration)되면 매식체(fixture)에 지대주(abutment)를 연결한 후 그 상부에 치아형태로 적합한 최종 보철물(crown)을 연결하여 치료를 완료하게 된다. 가장 마지막 단계인 보철물이 정확히 위치되기 위해서는 지대주 및 임플란트 매식체의 위치가 중요한데, 이러한 임플란트 매식체(fixture)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시술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매식체가 치조골과 완전히 융합되기 위한 골유착의 치유 기간이 중요하다. ‘골유착’은 임플란트 시술을 통해 이식된 나사 형태의 임플란트 매식체인 인공 치아 뿌리가 인체의 뼈세포와 융합되는 것으로, 임플란트 매식체가 치조골에 심어진 후, 저작력(씹는 힘)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완전히 굳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골유착 기간은 3 내지 6개월 동안 뼈세포와 임플란트가 안정적으로 결합 되기를 기다리는 기간을 말하며, 이러한 초기 안정성이 임플란트 수술의 성패를 결정짓는 것으로 알려진다. 특히 전문가들은 이 기간 동안 골유착을 방해하는 행위로 인해 임플란트 시술 실패 또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본 발명은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가 치조골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의 직접적인 자극을 방지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의 보조 기구(100)에 있어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300)의 인접치(200)와 접착되는 접착부(10)와, 상기 접착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단부에 오목면(21)을 형성하는 보호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300)는 발거대상치아의 뿌리가 삽입되는 치조골(400)의 입체공간(401)을 이미지화 하여 제조된 임플란트 매식체(fixture)이다. 또한, 상기 보조 기구(100)는 지르코니아(zirconia) 또는 치과용 레진(resin)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이며, 상기 접착은 35% 농도의 인산 겔(phosphoric acid gel)의 화학처리로 실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부(10)는 다공성 구조체 이며, 상기 보호부(20)는 맞춤형 임플란트 상단의 노출 부위(30)의 표면과 유격을 형성하며 덮어씌우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접합부(10)가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인접치(200)와 결합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립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300)와 보호부(20) 사이에 격을 형성함으로써 식립되어 있는 맞춤형 임플란트(300)의 직접적인 자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별 맞춤형으로 제작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300)를 보호함으로써 추가적인 수술의 필요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0)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복된 보호부(20)를 갖는 임플란트 보조 기구(101)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3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치(200)가 최후방 구치인 것으로 적용된 일방형의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2)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치(200)가 최후방 구치인 것으로 적용된 일방형의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2)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형의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3)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치(200)가 전치로 적용된 쌍방형의 임플란트 보조 기구(104)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치(200)가 전치로 적용된 쌍방형의 임플란트 보조 기구(104)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규격화되어있는 기존의 나사 형태의 임플란트는 치조골(400)에 식립한 후, 잇몸뼈 이식술, 상악동 거상술 등의 추가적 수술 또는 시술을 실시하여 치조골(400)과의 골융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치주(500)속에 묻어둔 상태로 치유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는 치조골(400)과 골유착(osseointegration)이 이루어지는 기간이 필요하며, 약 3 내지 6 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이 기간은 임플란트 시술의 성패를 결정지을 수 있는 주요한 초기 안정성 단계일 수 있다. 반면,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하여 제조한 맞춤형 임플란트(300)는 치아의 뿌리 부분과 머리 부분이 연결되게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는 상단의 머리 부분이 자연스럽게 치주(500) 밖으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골유착 치유 기간의 과도한 하중에 영향을 받을 위험이 클 수 있으므로, 주변의 자극 또는 구강 내에 지속적인 저작력으로 인해 가해지는 자극을 방지하는 보조 기구(100)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임플란트(이하 ‘맞춤형 임플란트(300)’이라고 함)의 보조 기구(1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0)는 맞춤형 임플란트(300)의 인접치(200)와 접착되는 접착부(10)와, 상기 접착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단부에 오목면(21)을 형성하는 보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맞춤형 임플란트(300)는 발거대상치아의 뿌리가 삽입되는 치조골(periodental alveolar bone)(400)의 입체공간(401)을 이미지화 하여 제조된 임플란트 매식체(fixture)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거대상치아 또는 발거대상치아가 식립되는 치조골(400)의 입체공간(401)을 3차원으로 촬영하여, 발거대상치아의 뿌리에 해당하는 3차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임플란트의 재료를 3D printing하거나 정밀절삭가공하여 별도의 지대주 및 크라운과 함께 결합하여 인공치아로 완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거대상치아 또는 발거대상치아가 식립되는 치조골(400)의 입체공간(401)을 3차원으로 촬영하여, 발거대상치아의 뿌리 내지 머리에 해당하는 3차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임플란트의 재료를 3D printing하거나 정밀절삭가공하여 별도의 지대주 및 크라운이 결합하지 않는 인공치아로 완성되는 것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 맞춤형 임플란트(300)는 타이트한 고정(식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뿌리 부분의 크기가 입체공간(401)보다 약간 클 수 있으며, 표면에 요철(301)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기구(100)는 지르코니아(zirconia) 또는 치과용 레진(resin)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은 35% 농도의 인산 겔(phosphoric acid gel)의 화학처리로 실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10)는 다공성 구조체이며, 상기 보호부(20)는 맞춤형 임플란트(300) 상단의 노출 부위(30)의 표면과 유격을 형성하며 덮어씌우는 것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유격은 25 내지 100 μm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기구(100)는 환자의 구강에서 채득된 3차원 이미지 자료와 인상 자료로 만든 치아 모델을 바탕으로 3D CAD/CAM 또는 3D 프린팅 기술에 의해 맞춤형 제작될 수 있으며, 각 치아 부위에 맞게 최후방 구치(어금니), 일반 구치(대구치, 소구치), 전치(앞니)에 각각 맞는 기본 디자인을 기초로 맞춤형 제작을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기호, 외관의 심미성 또는 인접치(200)의 개수 따라 쌍방형의 보조 기구(100) 또는 일방형의 보조기구(103)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3차원 이미지는 치과용 구강 3D 스캐너(scanner) 또는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기(CT)로 촬영할 수 있으며, 발거대상치아의 뿌리 길이와 두께 등의 형태를 치수로 표현되어 3차원 이미지를 형상화할 수 있고, 제거한 경우에는 발거대상치아의 뿌리가 삽입되어 있던 입체공간(401)의 깊이와 폭 등이 치수로 표현되어 3차원 이미지를 형상화 할 수 있으나, 3차원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장비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와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0)를 도시한 측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 기구(100)는 접착부(10)와 보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기구(100)는 인접치(200)와의 크기, 모양, 색에 의해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접치(200)의 색과 유사할 수 있으며, 접착이 가능한 재료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니아(zirconia), 치과용 레진(resin)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치아 또는 뼈와 접촉할 수 있는 생물학적 호환이 가능한 금속(metal)으로 제작 될 수 있다.
접착부(10)는 보조 기구(100)에 있어서, 식립된 맞춤형 임플란트(300)에 인접한 인접치(200)와 접착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접치(200)와의 결합 강도 또는 접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홀(11)을 형성하는 다공성 구조일 수 있으며, 물리적 또는 화학적 처리로 접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접착은 인접치(200)의 표면을 35% 농도의 인산 겔(Phosphoric acid gel)로 15 내지 30초 동안 부식시키는 화학적 처리 후, 치과용 레진(resin) 또는 접착제(dental cement)로 인접치(200)와 보조 기구(100)의 접착을 완료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접착부(10)는 인접치(200)의 양면에 접착될 수 있는 보조 기구(100)로 제조 될 수 있으며, 인접치(200)의 일면에 접착 될 수 있는 보조 기구(104)와 같이 제조 될 수 있다. 이는 개개인의 기호 또는 외관의 심미성에 따라 선택이 가능 할 수 있다.
보호부(20)는 접착부(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단부에 오목면(21)을 형성하여 식립된 맞춤형 임플란트(300)에 직접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오목면(21)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맞춤형 임플란트(300) 상단의 노출 부위(30)와 보조 기구(100)사이에 갭(gap)을 형성하도록 하여 맞춤형 임플란트(300)의 직접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기 위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주(500)의 밖으로 돌출된 노출 부위(30)의 표면을 완전히 덮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격을 형성하며 덮는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μm의 유격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인접치(200)가 교합력을 받을 때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약 25 내지 100μm일 수 있으며, 이는 보조 기구(100)가 접착된 인접치(200)에 교합력이 가해졌을 때 하방의 임플란트를 보호하는 완충 거리가 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보호부(20)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1)의 상면도이다. 보조 기구(101)의 보호부(20)는 복수개 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맞춤형 임플란트(300) 또는 복수개의 맞춤형 임플란트(300)가 연속되는 위치로 식립된 경우에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임플란트(3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발거대상치아, 발거대상치아가 식립되어 있거나 또는 식립되어진 치조골의 입체공간(401)과 동일하게 제조되는 맞춤형 임플란트(300)가 입체공간(401)에 식립될 경우, 타이트한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없으므로, 입체공간(401)보다 약간 크게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임플란트(300)의 뿌리부분에 해당되는 측면에 요철(301)을 형성하게 하여 타이트한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맞춤형 임플란트 상단의 노출 부위(30)는 별도의 지대주 및 크라운과 연결되는 기능의 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거대상치아의 머리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최후방 구치에 적용된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3)의 측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10)는 인접치(200)의 개수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의해 보호부(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쌍방형 보조 기구(100) 또는 일측에만 형성되는 일방형 보조 기구(103)와 같이 접착부(1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3c는 접촉부와 동일한 재료의 보호부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3)로, 인접치(200)에 접착하지 않은 도 3a에 도시된 보조 기구(102)일 수도 있으며, 하나의 재료로 일체되어 제조될 수 있는 보조 기구(103)이므로, 다공성 구조에 따른 홀(11)의 형성은 재료에 따라 보조 기구(103)와 같이 전체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인접치(200)가 전치인 윗니에 적용되도록 제작된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104)의 측면도와 상면도이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0)는 보조 기구(100)의 인접치(200)의 양단면을 포함하여 접착되는 양면형 접착부(20)일 수 있으나, 외관상의 심미성을 위해 입 안쪽, 입 천장 쪽 또는 혀 쪽으로 인접치(200)의 일단면만 접착되는 단면형의 접착부(20)가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 접착부
11 : 홀
20 : 보호부
21 : 오목면
30 : 맞춤형 임플란트 상단의 노출 부위
100 :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101 : 복수개의 보호부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102 : 일방형 접착부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103 : 접촉부와 동일한 재료의 보호부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104 : 일면형 접착부를 갖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200 : 인접치
300 : 맞춤형 임플란트
301 : 요철
400 : 치조골
401 : 치조골의 입체공간
500 : 치주

Claims (7)

  1.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의 보조 기구에 있어서,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의 인접치와 접착되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단부에 오목면을 형성하는 보호부;
    를 포함하는 맞춤형 임플란트의 보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거대상치아를 복제한 맞춤형 임플란트는 발거대상치아의 뿌리가 삽입되는 치조골의 입체공간을 이미지화 하여 제조된 임플란트 매식체(fixtu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구는 지르코니아(zirconia) 또는 치과용 레진(resin)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은 35% 농도의 인산 겔(phosphoric acid gel)의 화학적 처리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다공성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맞춤형 임플란트 상단의 노출 부위의 표면과 유격을 형성하며 덮어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은 25 내지 1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임플란트 보조 기구.
KR1020170016200A 2017-02-06 2017-02-06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KR101928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00A KR101928738B1 (ko) 2017-02-06 2017-02-06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PCT/KR2017/013113 WO2018143547A1 (ko) 2017-02-06 2017-11-17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00A KR101928738B1 (ko) 2017-02-06 2017-02-06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520A Division KR20180132592A (ko) 2018-12-07 2018-12-07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263A true KR20180091263A (ko) 2018-08-16
KR101928738B1 KR101928738B1 (ko) 2019-03-12

Family

ID=6303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200A KR101928738B1 (ko) 2017-02-06 2017-02-06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8738B1 (ko)
WO (1) WO2018143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3838B (zh) * 2019-08-06 2020-03-20 四川大学 一种修复体分区粘接引导组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9449B1 (en) * 1996-01-11 2001-10-09 Ronald Stanley Carlson Immediate, laminated, light-cured direct multi-composite bridge
KR20060002492A (ko) * 2004-07-02 2006-01-09 박상규 인공치아의 즉시 부하를 위한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WO2008016917A2 (en) * 2006-08-01 2008-02-07 Vitali Bondar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20100150985A1 (en) * 2008-04-24 2010-06-17 George Just Dental Implant, Endodontic Instrument, and Dental Filling Material Coated with a Peptide-Based Antimicrobial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KR100970341B1 (ko) * 2008-12-19 2010-07-15 이준호 다목적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JP2010269034A (ja) * 2009-05-22 2010-12-02 Advance Co Ltd 歯科用補綴代用物
KR101053052B1 (ko) * 2010-06-12 2011-08-01 임익준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KR20130136614A (ko) * 2012-06-05 2013-12-13 강남원 개인별 자연치아 복제 맞춤형 인공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인공치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9449B1 (en) * 1996-01-11 2001-10-09 Ronald Stanley Carlson Immediate, laminated, light-cured direct multi-composite bridge
KR20060002492A (ko) * 2004-07-02 2006-01-09 박상규 인공치아의 즉시 부하를 위한 임플란트의 커버타입 고정인서트
WO2008016917A2 (en) * 2006-08-01 2008-02-07 Vitali Bondar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US20100150985A1 (en) * 2008-04-24 2010-06-17 George Just Dental Implant, Endodontic Instrument, and Dental Filling Material Coated with a Peptide-Based Antimicrobial and Methods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KR100970341B1 (ko) * 2008-12-19 2010-07-15 이준호 다목적 스텐트 및 그 제작 방법
JP2010269034A (ja) * 2009-05-22 2010-12-02 Advance Co Ltd 歯科用補綴代用物
KR101053052B1 (ko) * 2010-06-12 2011-08-01 임익준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KR20130136614A (ko) * 2012-06-05 2013-12-13 강남원 개인별 자연치아 복제 맞춤형 인공치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인공치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3547A1 (ko) 2018-08-09
KR101928738B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52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spatial gingival soft tissue relationship to implant placement within alveolar bone for immediate-implant placement
US11173017B2 (en) Overdenture and dental implant framework
KR101608017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마커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제조방법
US20080057467A1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US20110318711A1 (en) Implant prosthetic part s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plication plaster model including abutment using the same
US20150173864A1 (en) Abutment assembly for dental implants
US6986661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Zeighami et al. Full mouth reconstruction of a bruxer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a clinical report
AU2002236309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EP3272304B1 (en) Soft-tissue preservation arrangement
Jain A prosthetic alternative treatment for severe anterior ridge defect using fixed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rew’s Bar system
KR101675503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928738B1 (ko)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KR101544776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이중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20180132592A (ko)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KR20210080199A (ko) 골결합 인공 치아 구조
KR200242258Y1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
KR20230089463A (ko)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Ahmed et al. Emergence profile in anterior implant region by gingival recontouring–2 year follow up
Zeighami et al. Case Report Full Mouth Reconstruction of a Bruxer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A Clinical Report
Jaysa et al.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an edentulous patient with Telescopic Overdenture
Howard Eliminating an Implant Level Impression.
Bhandari et al.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A Case Report
Kosinski et al. The Next Step in the Evolution of Full-Arch Implant Restorations
JP2004344321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義歯固定用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