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702A -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702A
KR20190140702A KR1020180067524A KR20180067524A KR20190140702A KR 20190140702 A KR20190140702 A KR 20190140702A KR 1020180067524 A KR1020180067524 A KR 1020180067524A KR 20180067524 A KR20180067524 A KR 20180067524A KR 20190140702 A KR20190140702 A KR 20190140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diagnostic
implant
radiation
diagnostic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856B1 (ko
Inventor
박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덴텍
Priority to KR102018006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8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03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using imaging means, e.g. by X-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6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는, 구강에 끼워지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진입시킬 수 있는 진입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서부터 돌출되며 방사선이 투과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부와, 상기 방사선 투과부 내부에 배치되는 방사선 불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단용 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진단용 슬리브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의 중심은,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이 상기 진입공간을 진입할 때의 상기 임틀란트 식립 드릴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진단용 슬리브는,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서부터 돌출되며 방사선이 투과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부와, 상기 방사선 투과부 내부에 배치되는 방사선 불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Implant stent using diagnostic sleeve and Diagnostic sleeve}
본 발명은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선 불투과부를 포함하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함에 따라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는 손실된 치아의 뿌리를 대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치조골에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진행하기 위해, 수술 전에 모델과 방사선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3차원적인 식립 위치를 결정하고, 식립 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를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인상체를 이용하여 구강 내 모델을 제작하고,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통해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임플란트 식립 드릴의 진행을 유도할 수 있는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를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수술 전 미리 제작된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는 임플란트 식립 수술시에 예상치 못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오차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에 실패하거나, 지정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재수술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에 발생하는 오차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수술 전 모델을 제작할 때 모델 제작을 위한 구강 내 인상체득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인상체를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할 때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 방사선 촬영시에도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방사선 촬영시에 환자가 움직이거나 촬영자의 기술적인 능력의 미비 등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오차에 의해 수술 전 미리 제작된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를 통해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진행하는 것에 대한 신뢰성이 담보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임플란트 식립 수술의 장점을 살리면서 임플란트 식립 수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선 불투과부를 포함하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함에 따라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는, 구강에 끼워지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진입시킬 수 있는 진입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서부터 돌출되며 방사선이 투과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부와, 상기 방사선 투과부 내부에 배치되는 방사선 불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단용 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진단용 슬리브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의 중심은,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이 상기 진입공간을 진입할 때의 상기 임틀란트 식립 드릴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는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서부터 돌출되며, 내부에 드릴 진입홀이 마련되어 있는 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술용 슬리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진단용 슬리브 및 상기 수술용 슬리브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의 상기 수술용 슬리브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었을 때의 상기 드릴 진입홀의 중심은, 상기 진단용 슬리브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었을 때의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의 상기 진단용 슬리브의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수술용 슬리브의 상기 제2결합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결합부는 바 형상의 제1상부 결합부와, 상기 제1상부 결합부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상부 결합부 보다 길게 돌출되는 바 형상의 제1하부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의 상기 진단용 슬리브의 상기 방사선 투과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단용 슬리브의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는 가타퍼차(gutta-perch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단용 슬리브는, 구강에 끼워지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진입시킬 수 있는 진입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에 결합되는 슬리브로,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서부터 돌출되며 방사선이 투과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부와, 상기 방사선 투과부 내부에 배치되는 방사선 불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방사선 투과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는 가타퍼차(gutta-perch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방사선 불투과부를 포함하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함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통해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진행하기 전에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용 슬리브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슬리브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용 슬리브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슬리브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용 슬리브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슬리브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용 슬리브가 본체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용 슬리브가 본체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방사선 불투과부를 포함하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함에 따라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는 본체부(110), 진단용 슬리브(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는 구강에 끼워지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진입시킬 수 있는 진입공간(11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는 인상체를 이용하여 구강 내 모델을 제작하고,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통해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입공간(112)은 임플란트가 식립되는 위치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 식립 드릴이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상기 진입공간(112)에는 후술할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와 수술용 슬리브(13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와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는 일측이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부(110)에서 상기 진입공간(112)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와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는 상기 본체부(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에는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와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입공간(112)의 측면에 상기 고정부(1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진입공간(112)의 측면에서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와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의 일측이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고정부(111)에 끼워지면서,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와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가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고정부(111)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1)는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와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를 끼우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의 제1결합부(122)와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의 제2결합부(13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1결합부(122)는 제1상부 결합부(122a)와 제1하부 결합부(122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132)는 제2상부 결합부(132a)와 제2하부 결합부(13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1)는 상기 제1결합부(122)와 상기 제2결합부(132)의 형상에 대응되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11)도 상부 고정부(111a)와 하부 고정부(1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111a)는 상기 제1상부 결합부(122a), 상기 제2상부 결합부(132a)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상부 고정부(111a)에는 상기 제1상부 결합부(122a) 또는 상기 제2상부 결합부(132a)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결합부(122)와 상기 제2결합부(132)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부(111a)는 상기 제1상부 결합부(122a), 상기 제2상부 결합부(132a)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각형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부(111b)는 상기 제1하부 결합부(122b), 상기 제2하부 결합부(132b)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하부 고정부(111b)에는 상기 제1하부 결합부(122b) 또는 상기 제2하부 결합부(132b)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고정부(111b)는 상기 제1하부 결합부(122b), 상기 제2하부 결합부(132b)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통형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는 임플란트 식립 수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종래의 수술 전 미리 제작된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는 임플란트 식립 수술시에 예상치 못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오차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에 실패하거나, 지정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재수술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는 상기 진입공간(112)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110)와 결합되는 상기 제1결합부(122)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122)에서부터 돌출되며 방사선이 투과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부(121a)와 상기 방사선 투과부(121a) 내부에 배치되는 방사선 불투과부(1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a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부(122)는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는 부분이 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고정부(111)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결합부(122)를 통해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가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면, 상기 제1결합부(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122)는 바 형상의 제1상부 결합부(122a)와 상기 제1상부 결합부(122a)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상부 결합부 보다 길게 돌출되는 바 형상의 제1하부 결합부(1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3a는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를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기 때문에, 상기 제1하부 결합부(122b)가 위쪽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상부 결합부(122a)는 사각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하부 결합부(122b)는 원통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하부 결합부(122b)는 상기 제1상부 결합부(122a) 보다 길게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2)는 상기 고정부(111)에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상부 고정부(111a)는 상기 제1상부 결합부(122a)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고정부(111b)는 상기 제1하부 결합부(122b)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2)의 형상을 상술하였으나, 상기 제1결합부(1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의 상기 방사선 투과부(121a)는 상기 제1결합부(122)에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진입공간(112)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사선 투과부(121a)는 방사선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는 상기 방사선 투과부(121a)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는 방사선이 투과될 수 없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는 방사선이 투과될 수 없는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타퍼차(gutta-perch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사선 투과부(121a)에는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멍에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재질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타퍼차는 방사선이 투과되지 않은 재질이면서 상온에서 부드럽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멍에 삽입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는 상기 가타퍼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가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중심은,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이 상기 진입공간(112)을 진입할 때의 상기 임틀란트 식립 드릴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중심과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의 중심축이 일치함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 수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는 상기 방사선 투과부(121a)와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하고 방사선 촬영을 진행하면,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위치가 목적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일치하게 되면,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이 목적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정확하게 들어가게 된다. 즉,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의 중심축 -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중심 - 목적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가 일치함을 확인함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 수술에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임플란트 식립 수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상기 진입공간(112)을 통해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수술용 슬리브(13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는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을 참조하면,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는 상기 진입공간(112)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110)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132)가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132)에서부터 돌출되며, 내부에 드릴 진입홀(131b)이 마련되어 있는 유도부(13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b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결합부(132)는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는 부분이 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상기 고정부(111)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결합부(132)를 통해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가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면, 상기 제2결합부(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결합부(132)는 바 형상의 제2상부 결합부(132a)와 상기 제2상부 결합부(132a)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상부 결합부(132a) 보다 길게 돌출되는 바 형상의 제2하부 결합부(1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3b는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를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기 때문에, 상기 제2하부 결합부(132b)가 위쪽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상부 결합부(132a)는 사각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하부 결합부(132b)는 원통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하부 결합부(132b)는 상기 제2상부 결합부(132a) 보다 길게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32)는 상기 고정부(111)에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상부 고정부(111a)는 상기 제2상부 결합부(132a)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하부 고정부(111b)는 상기 제2하부 결합부(132b)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32)의 형상에 상술하였으나, 상기 제2결합부(13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를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도부(131a)는 상기 제2결합부(132)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며, 내부에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이 진입할 수 있는 상기 드릴 진입홀(131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도부(131a)는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의 진입을 유도할 수 있는 프레임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은 상기 드릴 진입홀(131b)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유도부(131a)를 따라서 진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10)에는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 및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목적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이 진입하는 위치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실제로 진입시킬 때는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가 상기 본체부(110)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와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동일한 위치(상기 고정부(111))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의 상기 제1결합부(122)는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의 상기 제2결합부(13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부(122)와 상기 제2결합부(132)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결합부(122)와 상기 제2결합부(132)는 모두 상기 고정부(111)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와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동일한 위치(상기 고정부(111))에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데,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가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었을 때의 상기 드릴 진입홀(131b)의 중심은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가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었을 때의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6과 같이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가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었을 때의 상기 진입공간(112)에서의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중심은, 도 7과 같이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가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되었을 때의 상기 진입공간(112)에서의 상기 드립 진입홀(131b)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의 중심축을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중심과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목적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 -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중심 - 상기 드릴 진입홀(131b)의 중심 -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의 중심축을 일치시킴에 따라,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이 목적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진입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임플란트 식립 수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용 슬리브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에 사용되는 진단용 슬리브(120)와 동일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의 사용방법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인상체를 이용하여 구강 내 모델을 제작하고, 구강 내 방사선 촬영을 통해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임플란트 식립 드릴의 진행을 유도할 수 있는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를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임플란트 수술용 스텐트는 임플란트 식립 수술시에 예상치 못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오차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에 실패하거나, 지정된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재수술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는 이와 같은 오차가 발생하였는지 미리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플란트 식립 수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를 포함하는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시키고 방사선 촬영을 하면,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위치와 목적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가 동일한지 혹은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오차가 발생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를 통해 오차를 확인함에 따라,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임플란트 식립 실패나, 임플란트 식립 재수술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임플란트 식립 수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를 통해 오차가 없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 대신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를 상기 본체부(110)에 결합한다.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는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의 진입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의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중심은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의 상기 드릴 진입홀(131b)의 중심 및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의 중심축과 일치하기 때문에, 상기 수술용 슬리브(130)를 통해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진입시키면, 목적하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이 정확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단용 슬리브(120)를 통해 방사선 촬영을 진행하였을 때, 목적하는 임플란트 식립위치와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의 위치 사이에 오차가 발생하면, 임플란트 스텐트를 다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임플란트 식립 실패나, 임플란트 식립 재수술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는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121b)를 포함하는 상기 진단용 슬리브(130)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통해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진행하기 전에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본체부 111...고정부
111a...상부 고정부 111b....하부 고정부
112...진입공간 120...진단용 슬리브
121a...방사선 투과부 121b...방사선 불투과부
122...제1결합부 122a...제1상부 결합부
122b...제1하부 결합부 130...수술용 슬리브
121a...유도부 121b...드릴 진입홀
132...제2결합부 132a...제2상부 결합부
132b...제2하부 결합부

Claims (8)

  1. 치과에서 사용되는 임플란트 스텐트에 있어서,
    구강에 끼워지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진입시킬 수 있는 진입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서부터 돌출되며 방사선이 투과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부와, 상기 방사선 투과부 내부에 배치되는 방사선 불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단용 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진단용 슬리브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의 중심은,
    상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이 상기 진입공간을 진입할 때의 상기 임틀란트 식립 드릴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서부터 돌출되며, 내부에 드릴 진입홀이 마련되어 있는 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술용 슬리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진단용 슬리브 및 상기 수술용 슬리브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슬리브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었을 때의 상기 드릴 진입홀의 중심은,
    상기 진단용 슬리브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었을 때의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슬리브의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수술용 슬리브의 상기 제2결합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바 형상의 제1상부 결합부와, 상기 제1상부 결합부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상부 결합부 보다 길게 돌출되는 바 형상의 제1하부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슬리브의 상기 방사선 투과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단용 슬리브의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는 가타퍼차(gutta-perch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7. 구강에 끼워지며, 임플란트 식립 드릴을 진입시킬 수 있는 진입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에 결합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진입공간에 배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에서부터 돌출되며 방사선이 투과할 수 있는 방사선 투과부와,
    상기 방사선 투과부 내부에 배치되는 방사선 불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슬리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투과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사선 불투과부는 가타퍼차(gutta-perch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슬리브.
KR1020180067524A 2018-06-12 2018-06-12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KR102203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524A KR102203856B1 (ko) 2018-06-12 2018-06-12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524A KR102203856B1 (ko) 2018-06-12 2018-06-12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702A true KR20190140702A (ko) 2019-12-20
KR102203856B1 KR102203856B1 (ko) 2021-01-15

Family

ID=6906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524A KR102203856B1 (ko) 2018-06-12 2018-06-12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653A (ko) 2021-05-26 2022-12-05 김용건 압박패드부를 포함하는 응급처치용 압박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1275A (ja) 2003-11-14 2007-05-10 タング,ブライアン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骨切削を行う熱可塑性手術用テンプレートおよびその方法
KR100786308B1 (ko) * 2007-08-27 2007-12-14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용 스텐트
JP2017508595A (ja) * 2014-03-19 2017-03-30 ジーアールエス ガイド システ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Grs Guide System,Inc. 外科用穿孔装置の位置決めおよび装着、並びに関連する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1834765B1 (ko) 2016-11-11 2018-03-06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1275A (ja) 2003-11-14 2007-05-10 タング,ブライアン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骨切削を行う熱可塑性手術用テンプレートおよびその方法
KR100786308B1 (ko) * 2007-08-27 2007-12-14 주식회사 메가젠 임플란트용 스텐트
JP2017508595A (ja) * 2014-03-19 2017-03-30 ジーアールエス ガイド システ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Grs Guide System,Inc. 外科用穿孔装置の位置決めおよび装着、並びに関連する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1834765B1 (ko) 2016-11-11 2018-03-06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653A (ko) 2021-05-26 2022-12-05 김용건 압박패드부를 포함하는 응급처치용 압박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856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459B2 (en) Guided dental implantation system and associated device and method
CN102014783B (zh) 牙科植入物的定位
KR101693911B1 (ko) 디지털 인상 코핑의 구강 내 스캐닝으로부터 환자의 특정 수복물을 설계 및 제조하는 방법
US8435033B2 (en) Dental navigation techniques
KR101452849B1 (ko) 다기능 어버트먼트 세트를 이용한 치아보철물 제조방법
KR101632377B1 (ko) 디지털 어버트먼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0786308B1 (ko) 임플란트용 스텐트
EP2538856B1 (en) Method of producing a customized drilling jig for implantation of a hearing aid
KR101538097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CA2690407A1 (en) Dental prosthesis system
KR102246985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KR101953692B1 (ko) 레퍼런스 마커에 기반하여 설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5473662A (en) Radiographic instrument for osseointegration implant
KR102013298B1 (ko) 디지털 오버덴쳐 제조방법
KR20220052951A (ko) 시술지원시스템 및 위치정합장치
KR20190140702A (ko) 진단용 슬리브를 사용하는 임플란트 스텐트 및 진단용 슬리브
WO2012007615A2 (es) Metodo de planificacion de un implante dental
ES2791985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detectar la orientación de al menos un casquillo de perforación en una plantilla de perforación fabricada para la implantación de implantes dentales en posición correcta
KR102191798B1 (ko) 임플란트 수술결과 평가방법 및 장치, 그를 위한 스캔정보 획득방법
KR101706332B1 (ko) 정렬기준이 표시된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7743B1 (ko) 인공치아의 이식 가이드 시스템
KR102407028B1 (ko) 맞춤형 치과용 장치
KR101675503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443537B1 (ko) 임플란트 수술가이드 제작을 위한 컴퓨터 단층촬영용 플레이트
KR10208291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장치,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가이드장치 제작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