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858A -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858A
KR20120136858A KR1020110056042A KR20110056042A KR20120136858A KR 20120136858 A KR20120136858 A KR 20120136858A KR 1020110056042 A KR1020110056042 A KR 1020110056042A KR 20110056042 A KR20110056042 A KR 20110056042A KR 20120136858 A KR20120136858 A KR 20120136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oral
rapid
model
pi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357B1 (ko
Inventor
이태경
정제교
정대교
Original Assignee
이태경
정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정제교 filed Critical 이태경
Priority to KR102011005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35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28Instruments or appliances for wax-shaping or wax-remo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Abstract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는, 치조골 천공 위치와 직경과 깊이 및 방향에 관한 임플란트 시술정보가 병합된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따라 쾌속조형기로 제조된 쾌속조형 구강모델; 및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치조골을 천공할 때 사용되는 가공툴(GD)의 진퇴를 유도하는 가이드 부싱이 쾌속조형 구강모델상에 배치되는 정해진 위치를 지정하도록 쾌속조형 구강모델에 결합되는 스터드 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Rapid prototype of oral model assembly for fabricating intraoral appliance used for implant oper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intraoral appliance used for implant oper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학의 한 분야인 치과보철학은 인공적인 장치물 또는 장착물을 이용하여 발치 또는 소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의 결손을 회복하여 줌으로써 구강기능을 원래의 상태대로 회복시켜 주거나 유지되도록 하는 치과보철에 관하여 연구하고 시술하는 학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치과보철학에서 다루는 보철 중 근래 가장 널리 연구되고 대중에게도 친숙해진 것으로는 임플란트(implant)를 손꼽을 수 있다.
임플란트란 심하게 손상되어 발치된 또는 발치될 치아를 대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공치아로서 치아가 빠진 부분에 특수금속(주로 티타늄이나 티타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픽스쳐, Fixture)을 치조골에 이식하고 치조골 조직과 골융합시켜 단단히 고정시킨 후, 이것을 바탕으로 인공치아를 형성함으로써 본래 자신의 치아가 가진 기능적, 심미적 역할을 회복시켜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적인 시술방법 또는 이와 같이 시술된 인공치아 자체를 통칭하는 것이다.
임플란트는 틀니, 브릿지 등을 이용한 시술 방법과 비교할 때, 시술이 필요한 치아를 제외한 주변의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수명이 길며, 자연치아에 매우 유사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서 최근 크게 각광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의 시술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면, 먼저 임플란트를 시술할 환자의 치은(잇몸)을 절개하여 치조골을 노출시킨 후 임플란트를 삽입할 위치에 드릴과 같은 천공 도구(이하, '가공툴')를 사용하여 치조골의 일부분을 삭제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식립할 구멍을 형성하고, 천공된 구멍에 인공치근을 식립한다. 이후 인공치근이 치조골과 충분히 골융합하여 단단히 고정되면, 인공치근의 상부구조인 어버트먼트(지대주, Abutment)와 인공치관(crown)을 조립함으로써 모든 시술이 완성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 여부는 전적으로 인공치근과 치조골 사이의 골융합에 좌우된다 말하여도 과언이 아니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조골의 골밀도나 골량이 모자라는 것과 같이 골질이 불량하거나,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티타늄 재질의 인공치근의 표면에 생물막(biofilm)이 형성되어 골융합이 원활히 일어나지 못하면 인공치근의 고정강도가 부족해 반복적인 저작(咀嚼)에 의한 충격에 견디지 못하여 임플란트 전체가 이탈될 우려가 높아진다.
지대주와 치조골 사이의 골융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다양한데, 그 중 시술과정 자체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인자로는 치조골 천공의 부정확성을 들 수 있다. 즉, 최적의 천공 위치와 각도에서 벗어나 골질이나 골두께가 부족한 부분을 천공하거나, 또는 천공 작업시 흔들림이 생겨 계획된 직경보다 큰 영역이 생김으로써 미생물이 침투해 생물막이 형성될 공간을 만들어버리게 되면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런 치조골 천공의 부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한 도구로서, 가공툴의 천공 위치와 방향 및 깊이를 흔들림 없이 유도하기 위한 구내장착물이 제안되었다. 임플란트 시술 유도를 위한 구내장착물은 환자의 구강조직, 즉 치아 및/또는 치은에 임시적으로 장착되는 시술 보조물로서, 환자의 구강조직에 상보하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어 정확한 위치로 장착될 수 있는 동시에 가공툴의 천공을 유도하는 가이드 부싱이 매립되어 있다. 임플란트 시술 유도용 구내장착물의 예로서는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한국등록특허 제0920727호와 제1039287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런 임플란트 시술 유도용 구내장착물의 효용성은 매우 높은데, 그 제작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와 같이 치과용 인상재를 통해 환자의 구강구조를 복제한 인상모형을 틀로 삼아 제작하는 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환자의 구강내 영상정보인 3차원 스캔데이터, CT나 MRI와 같이 환자의 해부학적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 유도용 구내장착물을 설계한 후 쾌속조형(RP, Rapid, Prototype)으로 직접 만드는 방식이다.
전자의 방식은 인상모델 위에 레진을 도포해 구내장착물 본체의 외형을 제작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높은 숙련도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고 비용이 적게 들며 구내조직의 상보형상을 상당한 정밀도로 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 가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 문제점은 가공툴의 천공을 실질적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가이드 부싱을 시술계획에 따라 구내장착물 안의 정확한 3차원적 지점에 매립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보통 임플란트 시술 계획은 CT나 MRI로 촬영한 환자의 구강내 해부학적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상에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시술자(치과의)가 자신의 치의학적 지식에 근거해 수립하는데, 이 시술 계획 역시 컴퓨터상에서 데이터로서 삽입된다.
여기서 구강내 해부학적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임플란트 시술에 관한 데이터를 어떻게 인상모형에 그대로 이식시키기냐의 문제, 즉 좌표이식의 문제가 발생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모색되었다. 본 출원인 역시 임플란트 시술 데이터를 인상모형에 이식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여러 가지로 강구하였으며, 임상시술에서도 그 현실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관한 상세한 기술은 본 출원의 범위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하며, 이에 관련된 내용은 한국등록특허 제0998311호와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5907호, 제2010-0117384호, 제2010-0117385호를 참조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방식은 환자의 해부학적 영상 데이터에 삽입된 임플란트 시술정보를 쾌속조형기에 그대로 직접 입력하여 구내장착물을 만드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자의 방식처럼 인상모형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 데이터를 인상모형에 이식하는 복잡한 과정 역시 불필요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적으로 보이는 후자의 방식이 현실에 있어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쾌속조형기로 만들어진 구내장착물이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근본적인 결함을 가진다는 것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내장착물은 치조골 천공시 가공툴의 진입방향과 깊이를 유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적정 수준 이상의 기계적 강도가 요구된다. 그런데 이 기계적 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수지를 이용해 쾌속조형으로 구내장착물을 제작하면, 수지의 경화과정에서 수축이 일어나 환자의 구내에 장착되지 못하거나 또는 장착된다 하더라도 환자가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빈발하였으며, 더 큰 문제는 경과과정에서의 수축으로 인해 구내장착물의 변형이 일어나 설계된 대로 가공툴을 유도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상에서 구내장착물을 설계할 때 구내조직의 상보형상은 환자의 해부학적 영상 데이터로부터 쉽게 만들어지지만, 구내장착물의 외연을 이루는 데이터는 일일이 수작업으로 생성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쾌속조형기에 입력될 구내장착물의 형상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것이 어렵다는 것도 문제로 꼽힌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구강내 해부학적 영상 데이터상의 임플란트 시술에 관한 데이터를 인상모형에 좌표이식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가공툴의 천공을 유도하는 가이드 부싱을 시술계획에 따라 구내장착물의 정확한 3차원적 지점에 매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쾌속조형기를 이용해 수지로 구내장착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지의 수축으로 인한 구내장착물의 변형과, 구내장착물의 외연을 이루는 데이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생성하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치조골 천공 위치와 직경과 깊이 및 방향에 관한 임플란트 시술정보가 병합된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따라 쾌속조형기로 제조된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및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치조골을 천공할 때 사용되는 가공툴(GD)의 진퇴를 유도하는 가이드 부싱(230)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에 배치되는 정해진 위치를 지정하도록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결합되는 스터드 핀 부재(120);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은, 치아(T)의 언더컷(U) 부위에 대응하는 설측(L), 협측(B), 근심(M), 원심(G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돌출면(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은,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외부로 노출된 상부에는 제1단턱(1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120a)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감축되는 상단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내주면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외부로 노출된 상부에는 제1단턱(1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120a)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있다.
또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상기 상단부의 단면적보다 확장된 디스크 형상의 확단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턱(120a)은,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그 위치가 정해진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상기 제1단턱(120a) 하방에 형성된 제2단턱(120b)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단턱(120a)은, 상기 제2단턱(120b)과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형성된 홀(111)의 내주면에 구비된 단턱(112)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그 위치가 정해진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저면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대한 3차원 데이터가 시술정보로 지정된 위치로 상기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병합되어, 상기 쾌속조형기에 의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및 스터드 핀 부재(120)는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치조골 천공 위치와 직경과 깊이 및 방향에 관한 임플란트 시술정보를 병합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따라 쾌속조형기로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생성하는 제2단계; 치조골을 천공할 때 사용되는 가공툴(GD)의 진퇴를 유도하는 가이드 부싱(230)이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정해진 위치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에 배치되도록 지정하는 스터드 핀 부재(120)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결합하는 제3단계;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부싱(230)과 함께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구현된 치조골, 잇몸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T)의 협측(B), 설측(L), 근심(M), 원심(D) 및 교합측을 감싸도록 레진을 도포하는 제4A단계; 및 상기 레진을 경화시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완성하고,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하는 제5A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을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 상에서 치아(T)의 언더컷(U) 부위에 대응하는 설측(L), 협측(B), 근심(M), 원심(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면(113)에 관한 정보가 더 병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치조골 천공 위치와 직경과 깊이 및 방향에 관한 임플란트 시술정보를 병합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따라 쾌속조형기로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생성하는 제2단계; 치조골을 천공할 때 사용되는 가공툴(GD)의 진퇴를 유도하는 가이드 부싱(230)이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정해진 위치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에 배치되도록 지정하는 스터드 핀 부재(120)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결합하는 제3단계;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와 함께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구현된 치조골, 잇몸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T)의 협측(B), 설측(L), 근심(M), 원심(D) 및 교합측을 감싸도록 레진을 도포하는 제4B단계; 및 상기 레진을 경화시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만들고,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시킨 후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의해 형성된 공동에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결합하는 제5B단계;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 상에서 치아(T)의 언더컷(U) 부위에 대응하는 설측(L), 협측(B), 근심(M), 원심(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면(113)에 관한 정보가 더 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상면에는 상단부의 단면적보다 확장된 디스크 형상의 확단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A단계 또는 제4B단계는, 상기 레진이 상기 확단부(124)의 상면을 노출시키도록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은,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A단계 또는 제5B단계에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함에 있어서는, 상기 왁스 재질의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용융시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대한 3차원 데이터가 시술정보로 지정된 위치로 상기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통합되어, 상기 쾌속조형기에 의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및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A단계 또는 제5B단계는, 상기 왁스 재질의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및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용융시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A단계 또는 제5B단계 이후에, 상기 분리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내면 중 상기 치아(T)의 언더컷(U) 부위에 형성된 공동부(250)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260)를 매립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260)는, 상기 레진이 경화된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탄성계수보다 더 큰 탄성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조골 천공 위치와 직경과 깊이 및 방향에 관한 임플란트 시술정보가 병합된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따라 제작된 쾌속조형 구강모델과, 가이드 부싱의 구내장착물상의 결합위치 및 방향을 지정하도록 쾌속조형 구강모델에 결합되는 스터드 핀 부재로 구성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인상모형을 구내장착물의 주형으로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과 비교해, 구강내 해부학적 영상 데이터상의 임플란트 시술에 관한 데이터를 구내장착물의 주형이 되는 인상모형에 좌표이식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를 인상모형으로 이용하여 가이드 부싱을 시술계획에 따라 구내장착물상의 정확한 3차원적 지점에 매립시킬 수 있다.
또한, 인상모형을 이용하지 않고 쾌속조형기를 이용해 수지로 구내장착물을 직접 제작하는 기존의 방식과 비교해, 구내장착물을 구성하는 고강성 수지의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던 수축으로 인한 구내장착물의 변형과 피시술자의 고통, 구내장착물의 외연을 이루는 데이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생성하던 번거로움 없이,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를 주형으로 하여 용이하게 구내장착물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스터드 핀 부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도 2의 정면도
도 4 -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4A단계 중 가이드 부싱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4A단계 중 레진을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5A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 스터드 핀 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 도 8의 정면도
도 10 -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11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4B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5B단계 중 구내장착물을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5B단계 중 가이드 부싱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 - 스터드 핀 부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 - 도 14의 정면도
도 16 -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17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4B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5B단계 중 구내장착물을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5B단계 중 가이드 부싱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구내장착물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
도 21 - 도 20의 D-D선 단면도 및 구내장착물이 피시술자의 구강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는,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의 지정위치에 돌출되게 결합되는 스터드 핀 부재(12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은 임플란트 시술 시 티타늄 등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fixture)을 식립하기 위한 치조골의 천공 위치와 직경과 깊이 및 방향에 관한 임플란트 시술정보를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병합하고, 이 병합된 데이터에 따라 쾌속조형기(RP, Rapid Prototyping)로 제조된다.
상기 쾌속조형기의 구조 및 작동원리, 상기 쾌속조형기에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를 입력하여 3차원 구강모델을 제조하는 과정은 공지기술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는, 임플란트 시술 등의 편의를 위해 구강에 장착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도 20 참조)을 제작하기 위한 주형을 제공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된 것으로, 상기 구내장착물(200)에는 시술자가 기설정한 상기 치조골의 천공위치, 방향을 따라 가공툴(GD)의 진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싱(230)이 결합된다.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상기 구내장착물(20)상의 지정위치에 지정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정확하게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조립면을 제공하는 요소로, 상기 치조골의 천공위치,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와, 각도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결합된다.
도 2, 3, 4는 각각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 9, 10은 각각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도 1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4, 15, 16은 각각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1실시예는,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관통하는 결합부(121)와, 상기 결합부(121) 상부에 보다 확장된 너비로 연결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122)와, 상기 돌출부(122) 상부에 보다 축소된 너비로 연결형성되는 축경부(123A)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외부로 노출된 상기 돌출부(122)와 축경부(123A)간의 경계부에는 제1단턱(120a)이 형성되며,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결합부(121)와 돌출부(122)간의 경계부에는 제2단턱(120b)이 형성된다.
상기 제1단턱(120a)은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설치위치와 방향이 기설정된 상기 구내장착물(200)상의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단턱(120a) 하방에 형성된 상기 제2단턱(120b)은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에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홀(111)의 내주면에 구비된 단턱(112)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설정위치에 신뢰성있게 조립가능하도록 하는 조립면을 제공한다.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의 홀(111)에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제2단턱(120b) 및 상기 돌출부(122)의 저면이 상기 단턱(112)에 접촉되도록 조립하면, 상기 제1단턱(120a)은 상기와 같이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설치위치와 방향이 기설정된 상기 구내장착물(200)상의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저면에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축경부(123A)는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내주면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부싱(230)은 상기 제1단턱(120a) 및 돌출부(122)의 상단을 저면이 접촉되는 기준면으로 하여 상기 축경부(123A)상에 끼워진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2실시예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축경부(123A)가 아닌 확경부(123B)가 상기 돌출부(122) 상부에 보다 확장된 너비로 연결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확경부(123B)는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제작된 상기 구내장착물(200)의 모델 상부에는 상기 확경부(123B)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단턱(120a)을 저면이 접촉되는 기준면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내부에 끼울 수 있는 조립홀(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스터드 핀 부재(130)의 제3실시예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의(120)의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확경부(123B) 상부에 상기 확경부(123B)의 단면적보다 확장된 디스크 형상의 확단부(124)가 더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스터드 핀 부재(120)를 별도로 제작하고 상호 조립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는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제작하기 위한 주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외형을 동일하게 구현가능하다면 그 구현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스터드 핀 부재(120)를 각각 왁스(wax)와 금속재(metal)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하면, 피시술자(대상)에 따라 개별적으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부분은 일회성으로 이용하고,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와 같이 피시술자와 무관하게 일관되게 적용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다수회 재사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스터드 핀 부재(120)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제작을 위한 상기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상에 병합하면, 상기 쾌속조형기를 이용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쾌속조형기상에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일체로 제작하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에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조립하는 별도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 오차 발생 소지를 차단함으로써 보다 고정도로 제작가능하다.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또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하면, 상기 구내장착물(200) 제작을 위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주형으로 하여 레진(resin)(상기 구내장착물(200) 구성 소재)이 도포, 경화된 상태에서 뜨거운 물이나 증기 등을 이용하여 일부 또는 전체를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구내장착물(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는, 어금니 4개에 해당되는 다수의 임플란트 시술 개소에 대해, 도 2, 3에 도시된 제1실시예, 도 8, 9에 도시된 제2실시예, 도 14, 15에 도시된 제3실시예를 포함한 다양한 실시예의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가 적용된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구현함에 있어서 다양한 임플란트 시술 조건을 고려하여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가능함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는 임플란트 시술 조건에 따라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1, 2, 3실시예를 포함한 다수의 실시예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복합적으로 적용되거나,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1, 2, 3실시예 중 하나만이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실시예를 포함한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다양한 형상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상기 구내장착물(200)의 제작방법 또한 다르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형상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제작방법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제작방법은,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제작하는 과정인 제1단계와, 제2단계, 제3단계와,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이용해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제작하는 과정인 제4A단계, 제5A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치조골 천공 위치와 직경과 깊이 및 방향에 관한 임플란트 시술정보를 병합시키며,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제1단계를 거쳐 생성된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쾌속조형기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생성하며,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결합한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별도로 제작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생성을 위한 상기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통합하여 상기 쾌속조형기에 의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제4A단계 중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제4A단계 중 레진(resin)을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상에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상기 제5A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6을 참조하면, 상기 제4A단계에서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의 제1단턱(120a)에 저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부싱(230)과 함께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구현된 치조골, 잇몸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T)의 협측(buccal)(B), 설측(lingual)(L), 근심(M), 원심(D) 및 교합측(occlusal)을 감싸도록 레진(resin)을 도포한다.
상기 4A단계에서 레진을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에 도포함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하여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피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5A단계에서는 상기 레진을 경화시키고,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하여, 상기 가이드 부싱(230)이 결합된 상태의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완성한다.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또는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스터드 핀 부재(120)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하면, 상기 제5A단계는, 왁스 재질의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또는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뜨거운 물이나 증기 등을 이용하여 용융시키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상기 구내장착물(200)의 손상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제작방법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제작방법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제작방법과 비교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이용해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4B단계, 제5B단계를 포함하는 차이점을 가진다.
도 11은 상기 제4B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제5B단계 중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상기 제5B단계 중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4B단계에서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와 함께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구현된 치조골, 잇몸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T)의 설측(L), 협측(B), 근심(M), 원심(D) 및 교합측을 감싸도록 레진을 도포한다.
도 12,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5B단계에서는, 상기 레진을 경화시켜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모델(상기 레진만으로 구성된 상태)을 만들고,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모델을 분리시킨 후,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의해 형성된 공동(조립홀)에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결합하여 완성한다.
상기 제5B단계에서 상기 레진이 경화되어 생성된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 모델의 공동상에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의 제1단턱(120a)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턱(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은, 상기 제5B단계에서 상기 공동 내부에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끼워져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싱(230) 저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설정깊이로 신뢰성있게 조립가능한 조립면을 제공하면서, 가공툴(GD)의 사용 등에 의해 하향가압력이 상기 가이드 부싱(230)에 작용할 시에도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하향 이동을 명확하게 구속하는 걸림턱을 제공한다.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또는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하면, 상기 제5B단계에서 상기 구내장착물(200)의 모델을 분리시킴에 있어서, 뜨거운 물이나 증기 등을 이용하여 용융시키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상기 구내장착물(200)의 손상없이 용이하게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와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제작방법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제작방법은,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제작방법과 마찬가지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이용해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제4B단계, 제5B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4B단계, 제5B단계에서 상기 구내장착물(200)의 모델에 형성된 상기 중공의 형태에 있어서 차이점을 가진다.
도 17은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4B단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5B단계 중 구내장착물을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의 제5B단계 중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4B단계에서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와 함께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구현된 치조골, 잇몸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T)의 설측(L), 협측(B), 근심(M), 원심(D) 및 교합측을 감싸도록 상기 레진을 도포하되, 상기 레진이 상기 확단부(124)의 상면을 노출시키도록 도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5B단계에서 생성되는 상기 구내장착물(200) 모델의 공동상에는, 도 18,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2)와 확경부(123B)간의 경계부와, 상기 확경부(123B)와 확단부(124)간의 경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다수의 개소에서 상부로 갈수록 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지는 형상을 이루며 다단으로 단턱(도면부호 미표기)이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상기 공동의 다수의 단턱 중 상기 스터드 핀 부재의 제1단턱(120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단턱에 저면이 접촉되도록 상기 구내장착물(200) 모델상에 조립하면,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확단부(124)의 저면에 대응되는 평탄면이 형성된다.
상기 평탄면은, 가공툴(GD)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부싱(230) 내지 공동 둘레의 불규칙한 요철면으로 인해 상기 가공툴(GD)과 상기 구내장착물(200)간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된 접촉면을 제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와, 상기와 같은 제작과정을 거쳐 제작된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는 피시술자의 구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에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가 인공치근(fixture)의 시술 위치와 방향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된 것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은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주형으로 하여 제작됨에 따라 피시술자의 치아를 포함한 구강에 장착가능한 저면 형상을 가지되,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내면상에 상기 가이드 부싱(230)이 결합된 형상을 가진다.
도 20에 도시된 가공툴(GD)은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피시술자의 구강에 장착한 상태에서 인공치근을 시립하기 위한 치조골의 천공 시 사용되는 시술 도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구내장착물의 가이드 부싱(230)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가시적으로 설명하고자 도시한 것이다.
도 21의 (a), (b)는 각각 도 20의 D-D선 단면도와 상기 구내장착물(200)이 피시술자의 구강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은 피시술자의 구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나, 치아(T)에는 최대풍륭부(height of contour)를 기준으로 하여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축소되는 언더컷(U) 부위가 있어, 완전히 구강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경우, 양각 또는 음각의 주형 방식으로 제작된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로부터 분리시키는 데 어려움이 따르며, 완성된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실제로 피시술자의 구강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부터 끼워 장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제작함에 있어서,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T)의 언더컷(U) 부위에 대응하는 설측(L), 협측(B), 근심(M), 원심(G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실제 치아의 형상보다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돌출면(113)을 형성하면, 상기 언더컷(U)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여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주형으로 하여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제작한 후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로부터 일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피시술자의 구강에도 원만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상기 제1단계에서,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상기 돌출면(113)에 관한 정보를 더 병합함으로써 상기 제2단계를 거쳐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면(113)을 가지는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를 주형으로 하여 제작된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피시술자의 구강에 장착하면, 도 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T)의 설측(L), 협측(B), 근심(M) 또는 원심(GD)과 상기 구내장착물(200)과의 사이에는 공동부(250)가 형성된다.
상기 공동부(250)로 인해 상기 구내장착물(200)과 피시술자의 구강이 상호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함에 따라, 상기 구내장착물(200)이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작용하는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초기 장착위치를 쉽게 이탈하고 상기 가이드 부싱(230)으로 가공툴(GD)의 진퇴를 신뢰성있게 가이드할 수 없게 된다.
구내장착물을 피시술자의 구강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기술의 개시되어 있으며, 임플란트 시술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적합한 것을 선택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5A단계 또는 제5B단계 이후에,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내면 중 상기 치아(T)의 언더컷(U) 부위에 형성된 상기 공동부(250)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260)를 매립하는 제6단계를 추가로 거치면, 상기 탄성체(2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내장착물(200)을 피시술자의 구강에 용이하게 끼워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구내장착물(200)이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지정 장착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체(260)를 구성함에 있어서, 레진(resin)이 경화되어 형성된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탄성계수보다 더 큰 탄성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내장착물(200)과의 점착력을 함께 고려하여 실리콘 등의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110 : 쾌속조형 구강모델
111 : 홀 112 : 단턱
113 : 돌출면 120, 120A, B, C : 스터드 핀 부재
120a : 제1단턱 120b : 제2단턱
121 : 결합부 122 : 돌출부
123A : 축경부 123B : 확경부
124 : 확단부 200 : 구내장착물
230 : 가이드 부싱 250 : 공동부
260 : 탄성체 B : 협측
D : 원심 G : 치은
GD : 가공툴 L : 설측
M : 근심 T : 치아
U : 언더컷

Claims (23)

  1. 치조골 천공 위치와 직경과 깊이 및 방향에 관한 임플란트 시술정보가 병합된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따라 쾌속조형기로 제조된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및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치조골을 천공할 때 사용되는 가공툴(GD)의 진퇴를 유도하는 가이드 부싱(230)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에 배치되는 정해진 위치를 지정하도록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결합되는 스터드 핀 부재(120);
    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은,
    치아(T)의 언더컷(U) 부위에 대응하는 설측(L), 협측(B), 근심(M), 원심(G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돌출면(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은,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외부로 노출된 상부에는 제1단턱(1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120a)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감축되는 상단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내주면 직경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외부로 노출된 상부에는 제1단턱(1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120a)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상기 상단부의 단면적보다 확장된 디스크 형상의 확단부(124);
    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턱(120a)은,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그 위치가 정해진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상기 제1단턱(120a) 하방에 형성된 제2단턱(120b)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단턱(120a)은,
    상기 제2단턱(120b)과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형성된 홀(111)의 내주면에 구비된 단턱(112)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그 위치가 정해진 상기 가이드 부싱(230)의 저면에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대한 3차원 데이터가 시술정보로 지정된 위치로 상기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병합되어, 상기 쾌속조형기에 의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가 일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및 스터드 핀 부재(120)는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11.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치조골 천공 위치와 직경과 깊이 및 방향에 관한 임플란트 시술정보를 병합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따라 쾌속조형기로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생성하는 제2단계;
    치조골을 천공할 때 사용되는 가공툴(GD)의 진퇴를 유도하는 가이드 부싱(230)이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정해진 위치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에 배치되도록 지정하는 스터드 핀 부재(120)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결합하는 제3단계;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부싱(230)과 함께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구현된 치조골, 잇몸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T)의 협측(B), 설측(L), 근심(M), 원심(D) 및 교합측을 감싸도록 레진을 도포하는 제4A단계; 및
    상기 레진을 경화시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완성하고,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하는 제5A단계;
    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 상에서 치아(T)의 언더컷(U) 부위에 대응하는 설측(L), 협측(B), 근심(M), 원심(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면(113)에 관한 정보가 더 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13.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치조골 천공 위치와 직경과 깊이 및 방향에 관한 임플란트 시술정보를 병합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따라 쾌속조형기로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생성하는 제2단계;
    치조골을 천공할 때 사용되는 가공툴(GD)의 진퇴를 유도하는 가이드 부싱(230)이 상기 임플란트 시술정보에 따라 정해진 위치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상에 배치되도록 지정하는 스터드 핀 부재(120)를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결합하는 제3단계;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와 함께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에 구현된 치조골, 잇몸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T)의 협측(B), 설측(L), 근심(M), 원심(D) 및 교합측을 감싸도록 레진을 도포하는 제4B단계; 및
    상기 레진을 경화시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제작하고,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10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시킨 후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의해 형성된 공동에 상기 가이드 부싱(230)을 결합하는 제5B단계;
    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피시술자의 해부학적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 상에서 치아(T)의 언더컷(U) 부위에 대응하는 설측(L), 협측(B), 근심(M), 원심(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면(113)에 관한 정보가 더 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의 상면에는 상단부의 단면적보다 확장된 디스크 형상의 확단부(1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B단계는,
    상기 레진이 상기 확단부(124)의 상면을 노출시키도록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은,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5A단계 또는 제5B단계에서 는,
    상기 왁스 재질의 쾌속조형 구강모델(110)을 용융시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에 대한 3차원 데이터가 시술정보로 지정된 위치로 상기 3차원 구강구조 데이터에 통합되어, 상기 쾌속조형기에 의해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과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가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및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는,
    50?130℃ 사이의 융점을 갖는 왁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5A단계 또는 제5B단계에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함에 있어서는,
    상기 왁스 재질의 쾌속조형 구강모델(110) 및 상기 스터드 핀 부재(120)를 용융시켜 상기 쾌속조형 구강모델(110)로부터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22.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5A단계 또는 제5B단계 이후에, 상기 분리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내면 중 상기 치아(T)의 언더컷(U) 부위에 형성된 공동부(250)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체(260)를 매립하는 제6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60)는,
    상기 레진이 경화된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200)의 탄성계수보다 더 큰 탄성계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KR1020110056042A 2011-06-10 2011-06-10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KR101240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042A KR101240357B1 (ko) 2011-06-10 2011-06-10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042A KR101240357B1 (ko) 2011-06-10 2011-06-10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858A true KR20120136858A (ko) 2012-12-20
KR101240357B1 KR101240357B1 (ko) 2013-03-07

Family

ID=4790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042A KR101240357B1 (ko) 2011-06-10 2011-06-10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3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067B1 (ko) * 2013-03-06 2014-11-03 이태경 임플란트 시술유도 홀 공정용 부재
KR101528032B1 (ko) * 2013-08-14 2015-06-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점막관통형 임플란트 가이드
US9993312B2 (en) 2013-08-30 2018-06-12 Zfx Gmbh Intraoral reference bod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82Y1 (ko) * 2013-11-06 2015-03-23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KR102016221B1 (ko) * 2017-10-19 2019-08-29 이태경 정밀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가이드 템플릿 제작용 구강 모델
KR102588060B1 (ko) * 2023-03-31 2023-10-16 이젠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852A (en) 1995-01-06 1997-03-25 Board Of Regents Univ Of Ne At Lincoln Dental implant drill guide system
JP5021660B2 (ja) * 2005-10-24 2012-09-12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歯科用インプラント構成要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0920727B1 (ko) * 2007-10-24 2009-10-07 이태경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탄성체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TW201034634A (en) 2009-03-19 2010-10-01 Pou Yu Biotechnology Co Ltd Production method of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067B1 (ko) * 2013-03-06 2014-11-03 이태경 임플란트 시술유도 홀 공정용 부재
KR101528032B1 (ko) * 2013-08-14 2015-06-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점막관통형 임플란트 가이드
US9993312B2 (en) 2013-08-30 2018-06-12 Zfx Gmbh Intraoral referenc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357B1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2804A1 (en) Overdenture and Dental Implant Framework
JP4399257B2 (ja) 上部構造体と対応ドリル治具とを製造する方法
US8899984B2 (en) CT-based, side-loading surgical and laboratory dental implant guide system and method
KR101240357B1 (ko)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 제작을 위한 쾌속조형 구강모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구내장착물의 제작방법
US10426711B2 (en) Dental implant framework
KR100693806B1 (ko) 치아 어버트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키트
KR101638558B1 (ko)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디지털 원바디 어버트먼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76682Y1 (ko)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KR101152851B1 (ko) 영상정합용 구내장착물
TWI394560B (zh) 植牙手術導板及其製作方法
KR19990087401A (ko) 단일 치아 복구 시스템
KR102246985B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KR101544774B1 (ko) 정렬피스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의 고정방법
JP2013138752A (ja) 維持機構を有する人工歯
PT1261293E (pt)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dentes
KR20110074186A (ko) 보철물을 설계하는 방법
KR101895328B1 (ko) 틀니 제조방법
JP2013526352A (ja) 顎内に歯科インプラントを設けるためのテンプレートを製造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適用するスキャン補綴物
TWI686182B (zh) 植牙輔具及其製造方法
KR102212408B1 (ko) 오버덴쳐 구조물 및 오버덴쳐 구조물의 구축방법
JP6708856B2 (ja) 人工臼歯排列用治具
KR101544776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이중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200408616Y1 (ko) 임플란트용 지대주 아날로그
CN113995536A (zh) 加强构造一举埋入式有基托义齿及其制作方法
KR101871117B1 (ko) 수술 전의 치은 피개형 임플란트 임시 보철물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