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990B1 - 광학 데이타 저장용 블록 코폴리머 - Google Patents

광학 데이타 저장용 블록 코폴리머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990B1
KR100785990B1 KR1020027016280A KR20027016280A KR100785990B1 KR 100785990 B1 KR100785990 B1 KR 100785990B1 KR 1020027016280 A KR1020027016280 A KR 1020027016280A KR 20027016280 A KR20027016280 A KR 20027016280A KR 100785990 B1 KR100785990 B1 KR 10078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formula
group
block
block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7781A (ko
Inventor
호르스트 베르네트
토마스 비링거
라이너 하겐
세르게이 코스트로미네
한스-베르너 시미트
악셀 뮐러
스테판 질커
카르스텐 프렌쯔
토마스 브라이너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0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side groups
    • C08F290/1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 C08F293/0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using free radical "living" or "controlled" polymerisation, e.g. using a complex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Holo Graph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데이타 저장용 블록 코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 데이타 저장용 블록 코폴리머{BLOCK COPOLYMERS FOR OPTICAL DATA STORAGE}
본 발명은 블록 폴리머 및 그의 광학데이타 저장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포토어드레서블 폴리머(photoaddressable polymer)(전자광학 및 포토광학 활성매체로 사용되는 폴리머)는 알려져 있다[V.P. Shibaev(ed.), Springer Verlag, New York 1995]. 이 목적으로 특히 적당한 것은 측쇄기를 갖는 폴리머(side-group polymer)인데, 이 중에서도 코폴리머군이 성질 변화의 가능성이 매우 넓다는 점 때문에 두드러진다. 이들의 독특한 특색은 흡수, 방출, 반사, 복굴절, 산란과 같은 이들의 광학 성질이 광 유도에 의해 가역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종류의 폴리머는 특유의 빗모양 구조(선형 등뼈(spine)에 전자파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측쇄기가 스페이서로 작용하는 분자 부분에 의해 연결되어 위치함)를 갖는다. 이 종류의 예는 염료 분자, 특히 US-A 5 173 381에 따르는 아조벤젠기를 포함하는 측쇄기를 갖는 폴리머이다. 상기 물질은 편광 조사시에 방향성 복굴절을 일으키는 능력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각인된(inscribed) 복굴절 패턴은 편광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편광에 의해 상기 폴리머의 층들에는 어느 지점에라도 편광방향 회전시 이에 일치하여 주축이 움직이는 국부적으로 제한된 복굴절이 각인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K. Anderle, R. Birenheide, M. Eich, J.H. Wendorff, Markromol. Chem., Rapid Commun. 10, 477-483(1989), J. Stumpe et al., 20th Freiburg Working Conference on Liquid Crystals 1991).
주로, 포토어드레서블 기판 제조에 적당한 것은 방향성 복굴절이 각인될 수 있는 모든 폴리머(전자광학 및 포토광학 활성 매체로서의 폴리머)(V.P. Shibaev(ed.), Springer Verlag, New York 1995; Natansohn et. al., Chem. Mater. 1993,403-411)이다. 이들은 특히 측쇄기를 갖는 폴리머이고, 이 중에서도 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이러한 코폴리머는 예를들면 DE-A 43 10 368 및 DE-A 44 34 966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들은 하기 화학식의 반복단위를 갖는 등뼈로서 작용하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주쇄를 포함한다.
(여기서, R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점은 주쇄의 추가 단위의 연결을 의미하고, 측쇄는 카르보닐기에 연결됨)
DE-A-19 620 588에는 주쇄로부터 분기된 화학식 -S-T-Q-P(P=A,M), 즉 하기 화학식 I 및 II를 갖는 측쇄를 포함하는 폴리머가 알려져 있다:
-S1-T1-Q1-A (I)
-S2-T2-Q2-M (II)
여기서,
S1, S2는 서로 독립적으로 O 원자, S 원자 또는 NR1기를 의미하고,
R1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을 의미하고,
T1,T2는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로 -O-, -NR1- 또는 -OSiR1 2O-에 의해 단속될 수 있고(있거나) 메틸 또는 에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CH2)n기를 의미하고,
n은 2, 3 또는 4를 의미하고,
Q1, Q2는 2가기를 의미하고,
A는 전자파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단위이고,
M은 12개 이상의 π-전자를 갖는 편극될 수 있는 방향족기를 의미한다.
M의 기능은 실제 흡수 단위와 함께 협력적으로 재배향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재배향 및 재배향된 분자의 안정화가 강화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Q1,Q2는 서로 독립적으로 Z1, Z2 또는 -Z1-X-Z2 기를 의미하고,
Z1,Z2는 서로 독립적으로 -S-, -SO2-, -O-, -COO-, -OCO-, -CONR1 -, -NR1CO-, -NR1-, -N=N-, -CH=CH-, -N=CH-, -CH=N- 또는 -(CH2)m-(m = 1 또는 2)기를 의미하고,
X는 5원 또는 6원 지환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이고, Z1 = -COO- 또는 -CONR1-인 경우에는, 직접 연결 또는 -(CH=CH)m-(여기서, m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이고,
A는 650 내지 340 nm의 파장 범위에서 흡수하는 모노-아조 염료의 잔기를 의미하고,
M은 12개 이상의 π-전자를 갖는 편극된 및 추가로 편극될 수 있는 방향족 선형구조계의 잔기를 의미하는 폴리머이다.
바람직한 A기는 하기 화학식에 대응한다:
(여기서, R2 내지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C1-C4-알콕시, CF3, CCl3 , CBr3, SO2CF3, C1-C6-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C1-C6-알킬아미노술포닐, 페닐아미노술포닐, 아미노카르보닐, C1-C 6-알킬아미노카르보닐, 페닐아미노카르보닐 또는 COOR1을 의미함)
바람직한 M기는 하기 화학식에 대응한다:
(여기서, R8 내지 R1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C1-C4-알콕시, CF3, CCl3 , CBr3, SO2CF3, C1-C6-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C1-C6-알킬아미노술포닐, 페닐아미노술포닐, 아미노카르보닐, C1-C 6-알킬아미노카르보닐, 페닐아미노카르보닐 또는 COOR1을 의미하고, Y는 -COO-, -OCO-, -CONH-, -NHCO-, -O-, -NH-, -N(CH3)- 또는 단일결합을 의미함)
비결정질 폴리머, 즉 거시적으로 분간할 수 있는 액정상을 형성하지 않는 것들이 바람직하다. "비결정질"이라는 용어는 광학적으로 등방성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폴리머는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초기 등방성 상태에서는 가시광을 산란시키지도 않고 복굴절을 가지지도 않는다.
라디칼 중합을 일으키는 방법도 언급되어 있다.
홀로그래픽 데이타 저장용 물질도 알려져 있다.
홀로그래피는 두개의 간섭성 광 비임(신호파 및 기준파)의 간섭을 통해, 물체가 적당한 저장물질에 이미지화될 수 있고, 이 이미지를 광(리딩(reading) 비임)으로 다시 리딩할 수 있는 과정이다[D. Gabor, Nature 151, 454(1948), N.H. Farath, Advances in holography, Vol. 3, Marcel Decker(1977), H.M. Smith, Holographic recording materials, Springer(1977)]. 한편에서는 신호파와 기준파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키고, 다른 한편에서는 홀로그래픽 저장물질을 변화시킴으로써, 많은 홀로그램이 저장물질에 각인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개별적으로 다시 리딩할 수 있다. 대체로, 레이저광이 간섭성 광원으로 쓰인다. 저장물질로는 많은 다양한 물질, 예를들면 LiNbO3와 같은 무기 결정, 유기 폴리머(예: M. Eich, J.H. Wendorff, Makromol. Chem., Rapid Commun. 8, 467(1987), J.H. Wendorff, M. Eich, Mol. Cryst. Liq. Cryst. 169, 133(1989)) 또는 포토폴리머(Uh-Sock Rhee et al., Applied Optics, 34(5), 846(1995))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물질들은 아직도 홀로그래픽 기록매체의 모든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특히, 그들은 각인된 홀로그램의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지 못한다. 새 홀로그램이 각인될 때 이미 각인된 홀로그램 위에 겹쳐써서 그것이 지워지기 때문에, 다중 각인은 대체로 극히 제한된 정도로만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한 안정성 문제를 보상하기 위해 복잡한 열처리를 받는 무기 결정에 특히 적용된다. 이에 비해, 포토폴리머는 홀로그래픽 이미지화 성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수축 문제를 나타낸다.
각인된 홀로그램의 안정성이 높은 물질도 마찬가지로 알려져 있다(예: EP-A 0 704 513).
그러나, 상기 물질들의 높은 광학밀도는 저장물질에 많은 홀로그램을 저장하는 데 요구되는 고용량 홀로그래픽 스토어의 제조를 가능케 하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히 두꺼운 고용량 홀로그래픽 스토어의 제조에 적당한 물질이 필요하다. 그 물질의 두께는 밀리미터(mm) 범위에 있어야 한다. 종래 기술의 물질의 경우, 레이저 비임의 통과는 높은 광학밀도로 인한 문제를 거의 항상 일으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피하고, 동시에 높은 저장효율을 보장하는 것이다. 코폴리머 중의 염료의 희석을 증가시키면(광학밀도 감소), 또한 홀로그래픽 회절효율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특수한 구조(architecture)를 갖는 폴리머가 상기 단점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은 하기 화학식 CI의 반복단위를 3개 이상 갖는 블록(A) 하나 이상 및 하기 화학식 CII의 반복단위를 갖는 블록(B)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다만, P가 A인 폴리머(B)는 항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블록을 갖는 폴리머를 제공한다:
(여기서,
R100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701은 수소, 또는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를 갖지 않는 C1-C8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을 나타내고,
R702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703은 [-S-T-Q-P]를 나타내고, P는 A 및(또는) M을 나타낸다.
주쇄로부터 분기된 화학식 S-T-Q-P(여기서, P = A(염료기), M(메소겐))의 측쇄는 다음 정의에 의해 지배된다:
S-T-Q-P = S1-T1-Q1-A
S-T-Q-P = S2-T2-Q2-M
여기서,
S1, S2는 서로 독립적으로 O 원자, S 원자 또는 NR1기를 의미하고,
R1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을 의미하고,
T1,T2는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로 -O-, -NR1- 또는 -OSiR1 2O-에 의해 단속될 수 있고(있거나) 메틸 또는 에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CH2)n기를 의미하고,
n은 2, 3 또는 4를 의미하고,
Q1, Q2는 2가기를 의미하고,
A는 전자파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단위이고,
M은 12개 이상의 π-전자를 갖는 편극될 수 있는 방향족기를 의미한다.
M의 기능은 실제 흡수 단위와 함께 협력적으로 재배향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재배향 및 재배향된 분자의 안정화가 강화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Q1,Q2는 서로 독립적으로 Z1, Z2 또는 -Z1-X-Z2 기를 의미하고,
Z1,Z2는 서로 독립적으로 -S-, -SO2-, -O-, -COO-, -OCO-, -CONR1 -, -NR1CO-, -NR1-, -N=N-, -CH=CH-, -N=CH-, -CH=N- 또는 -(CH2)m-(여기서, m = 1 또는 2)기를 의미하고,
X는 5원 또는 6원 지환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이고, Z1 = -COO- 또는 -CONR1-인 경우에는, 직접 결합 또는 -(CH=CH)m-(여기서, m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이고,
A는 650 내지 340 nm의 파장 범위에서 흡수하는 모노-아조 염료의 잔기를 의미하고,
M은 12개 이상의 π-전자를 갖는 편극된 및 추가로 편극될 수 있는 방향족 선형구조계의 잔기를 의미하는 폴리머이다.
바람직한 A기는 하기 화학식에 대응한다:
(여기서, R2 내지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C1-C4-알콕시, CF3, CCl3 , CBr3, SO2CF3, C1-C6-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C1-C6-알킬아미노술포닐, 페닐아미노술포닐, 아미노카르보닐, C1-C 6-알킬아미노카르보닐, 페닐아미노카르보닐 또는 COOR1을 의미함)
바람직한 M기는 하기 화학식에 대응한다:
(여기서, R8 내지 R1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실,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C1-C4-알킬, C1-C4-알콕시, CF3, CCl3 , CBr3, SO2CF3, C1-C6-알킬-술포닐, 페닐술포닐, C1-C6-알킬아미노술포닐, 페닐아미노술포닐, 아미노카르보닐, C1-C 6-알킬아미노카르보닐, 페닐아미노카르보닐 또는 COOR1을 의미하고, Y는 -COO-, -OCO-, -CONH-, -NHCO-, -O-, -NH-, -N(CH3)- 또는 단일결합을 의미함)
블록(A)에 반복단위가 5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0개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5개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 특히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또, 블록(B)에도 다수의 반복단위가 존재하여야 하고,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개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0개 이상의 반복단위가 포함된다.
당연히, 본 발명에는 하나 초과의 블록(A) 및(또는) (B)가 포함되는 것도 포함된다.
블록(B)의 모노머의 합 대 블록(A)의 모노머의 합의 비가 1:1 내지 1:10000,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300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15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1000인 경우에 매우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블록(A)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머가 바람직하다.
STQP를 갖는 성분을 가지는 블록(B)가 존재할 때 좋은 결과가 얻어진다. 개선된 실시태양은 화학식 [STQP]를 갖는 2개 이상의 다른 모노머를 포함하고, 이 모노머 중 하나 이상이 염료기 A, 바람직하게는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를 갖는 것인 블록(B)에 있다. 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상기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가 아조기인 것이다.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가 하기 화학식 CIV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R101 및 R10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비이온성 치환체를 나타내고,
m 및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의 범자연수(whole number)를 나타내고,
X101은 S101T101Q101과의 연결을 나타내고, 즉 X101은 X101'의 의미를 가지고, X101'은 2가 원자가를 갖는 Q와 연결되고,
X102는 X102'-R104를 나타내고,
X101' 및 X102'는 직접 결합, -O-, -S-, -(N-R105)-, -C(R106R 107)-, -(C=O)-, -(CO-O)-, -(CO-NR105), -(SO2)-, -(SO2-O)-, -(SO2-NR105 )-, -(C=NR18)- 또는 -(CNR18-NR15)-을 나타내고,
R104, R15 및 R1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C3-C10-시클로알킬, C2-C20-알케닐, C6-C10-아릴, C1-C20-알킬-(C=O)-, C3-C10-시클로알킬-(C=O)-, C2-C20-알케닐-(C=O)-, C6-C10-아릴-(C=O)-, C1-C20-알킬-(SO2)-, C3-C10-시클로알킬-(SO2)-, C2-C20-알케닐-(SO2)- 또는 C6-C10-아릴-(SO2)-를 나타내거나,
X102'-R104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F3 또는 CCl3를 나타내고,
R106 및 R10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C1-C20-알콕시, C3-C10-시클로알킬, C2-C20-알케닐 또는 C6-C10-아릴을 나타내고,
S101은 O 원자, S 원자 또는 NR109기를 나타내고,
R109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T101은 임의로 -O-, -NR109- 또는 -OSiR109 2O-에 의해 단속될 수 있고(있거나) 메틸 또는 에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CH2)x기를 의미하고,
x는 2, 3 또는 4를 의미하고,
Q101은 Z101, Z102 또는 -Z101-X100-Z102 기를 의미하고,
Z101 및 Z102는 서로 독립적으로 -S-, -SO2-, -O-, -COO-, -OCO-, -CONR 109-, -NR109CO-, -NR109-, -N=N-, -CH=CH-, -N=CH-, -CH=N- 또는 -(CH2)y -(여기서, y = 1 또는 2)기를 의미하고,
X100는 5원 또는 6원 지환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의미하고, Z101 = -COO- 또는 -CONR109-인 경우에는, 직접 결합 또는 -(CH=CH)y-(여기서, y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기를 의미함)
비이온성 치환체는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20-알킬, C1-C20 -알콕시, 페녹시, C3-C10-시클로알킬, C2-C20-알케닐, C6-C 10-아릴, C1-C20-알킬-(C=O)-, C6-C10-아릴-(C=O)-, C1-C20-알킬-(SO2)-, C1-C20-알킬-(C=O)-O-, C1-C20-알킬-(C=O)-NH-, C6-C10-아릴-(C=O)-NH-, C1-C20-알킬-O-(C=O)-, C1-C20-알킬-NH-(C=O)- 또는 C6-C10-아릴-NH-(C=O)-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및 아릴기는 각각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20-알킬, C1-C20-알콕시, C3-C10-시클로알킬, C 2-C20-알케닐 또는 C6-C10-아릴로부터 선택되는 3개 이하의 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알킬 및 알케닐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 특히 불소 및 요오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를 갖는 모노머가 하기 화학식 CV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R102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나머지 기들은 위에서 정의한 의미를 가짐)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 A를 갖는 모노머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 A를 갖는 모노머,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CV를 갖는 것들 이외에, 하기 화학식 CVI의 편극될 수 있는 방향족기 M을 갖는 모노머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코폴리머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Z200은 하기 화학식 CVIa 또는 CVIb 의 기를 나타내고,
B는 O, S 또는 N-C1-C4-알킬을 나타내고,
X103은 -X103'-(Q102)j-T102-S102를 나타내고,
X104는 X104'-R203를 나타내고,
X103' 및 X104'는 서로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O-, -S-, -(N-R205)-, -C(R206R207)-, -(C=O)-, -(CO-O)-, -(CO-NR205), -(SO2)-, -(SO 2-O)-, -(SO2-NR205)-, -(C=NR208)- 또는 -(CNR208-NR205)-을 나타내고,
R205, R208 및 R20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 -알킬, C3-C10-시클로알킬, C2-C20-알케닐, C6-C10-아릴, C1-C20-알킬-(C=O)-, C3-C10-시클로알킬-(C=O)-, C2-C20-알케닐-(C=O)-, C6-C10-아릴-(C=O)-, C1-C20-알킬-(SO2)-, C3-C10-시클로알킬-(SO2)-, C2-C20-알케닐-(SO2)- 또는 C6-C10-아릴-(SO2)-를 나타내고,
X104'-R203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F3 또는 CCl3를 나타내고,
R206 및 R20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C1-C20-알콕시, C3-C10-시클로알킬, C2-C20-알케닐 또는 C6-C10-아릴을 나타내고,
Y200은 단일결합, -COO-, OCO-, -CONH-, -NHCO-, -CON(CH3)-, -N(CH3)CO-, -O-, -NH- 또는 -N(CH3)-를 나타내고,
R201, R202 및 R20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20-알킬, C1-C20-알콕시, 페녹시, C3-C10-시클로알킬, C2 -C20-알케닐, C6-C10-아릴, C1-C20-알킬-(C=O)-, C6-C10-아릴-(C=O)-, C1-C20-알킬-(SO2)-, C1-C20-알킬-(C=O)-O-, C1-C20-알킬-(C=O)-NH-, C6-C10-아릴-(C=O)-NH-, C1-C20-알킬-O-(C=O)-, C1-C20-알킬-NH-(C=O)- 또는 C6-C10-아릴-NH-(C=O)-를 나타내고,
q, r 및 s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의 범자연수를 나타내고,
Q102는 -O-, -S-, -(N-R205)-, -C(R206R207)-, -(C=O)-, -(CO-O)-, -(CO-NR205)-, -(SO2)-, -(SO2-O)-, -(SO2-NR205)-, -(C=NR208)-, (CNR208-NR205)-, -(CH2)p-, p- 또는 m-(C6H4)- 또는 화학식 의 2가 기를 나타내고,
j는 0 내지 4의 범자연수를 나타내고, j>1인 경우 각각의 Q102는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고,
T102는 -O-, -NR209- 또는 -OSiR220 2O-에 의해 단속될 수 있는 -(CH2)p-기를 나타내고,
S102는 직접 결합, -O-, -S- 또는 -NR209-를 나타내고,
p는 2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특히 2 내지 4의 범자연수를 나타내고,
R209는 수소,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을 나타내고,
R220은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냄)
비등방성 형태를 나타내는 이러한 기 M을 갖는 바람직한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CVII를 갖는다.
(여기서, R102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나머지 다른기들은 위에서 정의한 의미를 가짐)
화학식 CVII를 갖는 비등방성 형태를 나타내는 모노머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코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A) 이외에
a)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CV를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진 폴리머(B) 하나 이상,
b)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CV를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진 폴리머(B) 하나 이상 및 화학식 CVII를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진 폴리머(B) 하나 이상,
c)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CV를 갖는 모노머 및 화학식 CVII를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진 폴리머(B) 하나 이상
도 포함한다.
a)의 경우, 폴리머(B)의 화학식 CV를 갖는 모노머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이것은 b) 및 c) 경우의 폴리머(B)의 모노머 CV 및(또는) CVII에도 적용된다.
화학식 CV 및 화학식 CVII를 갖는 모노머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코폴리머에서 1:1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10의 비로 사용된다.
조절된 라디칼 중합 이외에, 음이온 중합 및 뒤이은 폴리머-유사 반응 (polymer-analogous reaction)의 조합에 의해 본원에 기재된 AB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무엇보다도 우선, 연속 리빙 음이온 중합에 의해 블록 A 또는 B에 보호된 관능기를 포함하는 AB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한다. 중합 후, 관능기를 유리시킨다.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및(또는) 메소겐 측쇄기를 폴리머-유사 전환(polymer-analogous conversion)에 의해 도입한다. 측쇄기는 화학식(IV)에 주어진 구조와 동일하다. 폴리머-유사 전환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의 전환율로 일어난다.
본 발명의 중요한 변수는 라이팅(writing) 레이저의 파장 및 1 ㎜ 샘플 두께의 경우에 대해 ≤ 2, 바람직하게는 ≤ 1, 특히 바람직하게는 ≤ 0.3의 값을 갖는 광학밀도이다. 이렇게 하여, 화학광선이 저장매체 전체를 균일하게 투사하게 되고, 두꺼운 홀로그램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광학밀도는 시판 UV/VIS 분광광도계(예: CARY, 4G)로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코폴리머는 투사된 두께가 ≥ 0.1 ㎜, 특히 ≥ 0.5 ㎜, 바람직하게는 ≥ 1 ㎜,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인 물질이다.
전자파 방사선과 상호작용하는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료, 바람직하게는 390 내지 800 nm의 파장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650 nm의 범위,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510 내지 570 nm의 범위에서 흡수하는 염료이다. Nd:YAG 레이저(λ = 532 nm)가 대표적인 시험 레이저로 사용될 수 있다.
리딩(reading)의 경우, 리딩 물질은 라이팅 동안처럼 2개의 간섭하는 비임에 노출되는 것이 아니고, 오직 1개의 비임(리딩 비임)에만 노출된다.
리딩 비임의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신호파 및 기준파의 파장보다 더 길고, 예를들면 70 내지 500 nm 더 길다. 그러나, 라이팅 레이저의 파장으로 리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것은 특히 고용량 홀로그래픽 스토어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때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 리딩 작업 동안 리딩 비임의 에너지가 노출강도 또는 노출시간의 감소에 의해 또는 노출강도 및 노출시간의 감소에 의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코폴리머의 광학밀도는 코폴리머 물질 중의 하나 이상의 염료의 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조절된 중합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관능화된 AB 블록 코폴리머를 합성하는 방법
관능화된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를 갖는 AB 블록 코폴리머의 합성은 조절된 라디칼 중합을 이용하거나 또는 음이온 중합 및 뒤이은 폴리머-유사 반응의 조합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이 경우, 비관능화된 블록은 매트릭스(A 블록)을 형성하고, 한편 B 블록에는 광활성 또는 메소겐 측쇄가 0 - 6 개의 CH2 단위를 갖는 스페이서를 통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에 결합된다. 또한, B 블록은 광활성 성분의비율이 0 내지 100%일 수 있는 광활성 또는 메소겐 모노머의 스태틱 코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된 라디칼 중합에 있어서 종래기술(예: Kathryn L. Beers, Sohyun Boo, Scott G. Gaynor, and Krzysztof Matyjaszewski, Macromolecules 1999, 32, 5772-5776; Andreas Muhlbach, Scott G. Gaynor, Krzysztof Matyjaszewski, Macromolecules 1999, 31, 6046-6052; Devon A. Shipp, Jen-Lung Wang and Krzysztof Matyjaszewski, Macromolecules 1999, 32, 5772-5776)과 비교해 볼 때, 본원에 기재된 폴리머는 가시광 파장 영역에서 전자파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기 A 및(또는) 비등방성 형태를 보이는 메소겐 기를 나타내는 기 M을 측쇄로서 갖는 모노머를 조절된 라디칼 중합에 처음으로 이용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제1 단계에서는 블록 코폴리머(BCP)의 제2 성분을 위한 거대개시제로서 사용되는 호모폴리머를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거대개시제는 관능화된 모노머의 중합에서 용해촉진제 역할을 하는 비관능화된 호모폴리머이다.
목적하는 블록 폴리머 합성을 위한 추가의 가능성은 음이온 중합 기술 및 뒤이어 측쇄기 도입을 위한 폴리머-유사 전환을 이용하는 것에 있다.
후에 관능화될 모노머로서 OH기 대신에 OH-(CH2)n-OH(여기서, n으로는 2 내지 6이 가능함)기를 갖는 메타크릴산 유도체가 이용된다. 음이온 중합을 위해서는, OH기가 보호기에 의해 보호되며, 트리메틸실릴 또는 tert-부틸디메틸실릴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 I : 화합물 BCP1의 합성
다음 합성 명세에 따라 중합을 수행하였다. 무엇보다도 먼저, 거대개시제를 제조하였다.
모노머(n-부틸 아크릴레이트), 리간드(PMDETA), 데칸(내부 표준물) 및 액체 개시제(MBP)의 첨가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일어났다. 각 경우에 중합을 위해 n-부틸 아크릴레이트 2g, 에틸 아세테이트 5g 및 구리(I) 브로마이드 44.8 ㎎을 사용하였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전환율 측정을 위한 내부 표준물로서 데칸 0.2g을 사용하였다.
중합은 5℃로의 급속 냉각 및 THF 첨가로 종결시켰다. 폴리머 용액으로부터의 구리 브로마이드 분리는 활성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이용한 여과에 의해 수행하였다. 여기에는 산 및 염기 물질이 둘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중합온도는 80℃이었다.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는 대응하는 양의 상기 거대개시제(N-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Mn = 13000 g/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1 ㎖에 용해시킴으로써 수행하였다. 마찬가지로, 모노머(하기 화학식 I) 570 ㎎을 에틸 아세테이트 2.5 ㎖에 용해시키고, 두 용액을 탈기시켰다. 리간드(PMDETA) 48.5 μl 및 구리(I) 브로마이드 33 ㎎의 첨가는 불활성 분위기에서 수행하였다.
(I)
실시예 II: 화합물 BCP2의 합성
거대개시제는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제조하되, 개시제 양을 대응하게 감소시켜 첨가함으로써 스티렌 보정을 기준으로 하여 19000 g/mol의 블록 길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개시제를 블록 코폴리머 제조에 대한 상기 명세와 유사하게 사용하였다. 이 경우, 거대개시제(n-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Mn = 19000g/mol) 1.5g을 에틸 아세테이트 1.5 ㎖에 용해시켰다. 하기 관능화된 모노머(II: 151 ㎎, III: 499 ㎎)를 에틸 아세테이트 2 ㎖에 용해시키고, 두 용액을 불활성 기체 하에서 탈기시킨 후 혼합하였다.
구리(I) 브로마이드 23.8 ㎎ 및 리간드(PMDETA) 34.8 μl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은 55 ℃에서 수행하였다. 폴리머에 대한 워크업은 실시예1과 유사하게 수행하였다.
그러나, 여기서, B 블록은 상기 A 또는 M의 성질에 대응하는 측쇄기를 갖는 모노머를 가지는 통계적 폴리머로 이루어졌다. 여기서, 몰비는 30:70(A:M)이었다.
(II)
(III)
별법으로, 음이온 중합 및 폴리머-유사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 III: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합성
중합은 다음 합성 명세에 따라 수행하였다. THF 400 ㎖를 칼륨을 이용해서 수 일 동안 가열한 후,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반응기(불활성 기체)에 공급하였다. 용액을 55 ℃로 냉각시켰다. 개시제 용액(헥산 중의 1.3M sec.BuLi 용액) 1.69 ㎖ 및 이어서 디페닐 에틸렌 용액 0.85 ㎖를 격벽을 통해 첨가하였다. 5분 후, tert-부틸디메틸실릴에 의해 보호된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0.4g을 격벽을 통해 첨가하였다. 40분 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5g을 반응기에 앰플을 이용해서 첨가하고, 온도를 0℃로 설정하였다. 30분 후, 메탄올 1 ㎖를 첨가하여 중합을 종결시켰다. 폴리머를 10배 과량의 메탄올 용액에서 침전시키고, 추후 사용전에 여러번 재침전시켰다.
실릴 보호기는 블록 코폴리머를 디옥산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블록 코폴리머로부터 분리되었고, 4배 과량의 반농축 염산을 첨가하였다. 보호되지 않은 블록 코폴리머를 폴리머-유사 반응 전에 고진공 하에서 수일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폴리머를 무수 THF 중에 용해시키고,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N-메틸 피롤리돈 중에 용해된 아조 산클로라이드를 서서히 적가하였다. 반응을 가속시키기 위해, 과량의 피리딘을 첨가하였다. 반응시간은 55 ℃에서 48시간이었다. 반응 후, 반응되지 않은 아조 염료를 분리하였다.
AB 블록 코폴리머의 다른 합성은 메타크릴레이트 및 보호된 메타크릴레이트의 음이온 중합에 의해 수행하였다.
중합은 THF 중에서 메타크릴레이트를 음이온 중합시키는 것에 관한 일반 명세(Henry L. Hsieh, Roderic P. Quirk, 1996, Marcel Dekker, 특히 p.640 ff)에 따라 수행하였다. 보호기의 분리는 메탄올 중에 폴리머를 침전시키거나 또는 디옥산 중에 용해시키고 묽은 염산을 첨가하여 가열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전자파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A기 및(또는) 비등방성 형태를 보이는 메소겐 기를 나타내는 M기를 가질 수 있는 측쇄기의 결합은 측쇄의 말단기를 나타내는 산 클로라이드를 이용한 전환에 의해 수행하였다.
본 출원에서, 광학소자는 회절 및 홀로그래픽 광학소자인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출원은 어떤 경우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기재(base)의 보호된 OH-관능화된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는 모노머의 음이온 중합, 및 관능화된 모노머의 조절된 라디칼 중합 둘 모두를 기술로서 이용하여 조절된 중합에 의해 코폴리머 중의 개별 블록의 구조 및 분자량이 한정된 폴리머를 합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AB 블록 코폴리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코폴리머는 데이타 저장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홀로그래피가 사용되는 광학 소자 및 스토어 제조에 우수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매우 좋은 정보가 레이저 비임에 의해 광학소자에 각인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정당화된다.
본 출원은 ≥ 0.1 ㎜, 바람직하게는 ≥ 0.5 ㎜,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1 ㎝의 투사된 두께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머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용량 스토어를 제공한다.
필름, 시트, 플레이트 및 큐보이드(cuboid) 형태의 고용량 스토어의 제조가 외부장 및(또는) 표면효과의 이용이 요구되는 귀찮은 배향방법 없이도 가능하다. 그것은 스핀코팅, 침지법, 주입법 또는 기술적으로 다루기 쉬운 다른 코팅방법에 의해 기판에 적용되거나, 압착 또는 유입(inflow)에 의해 두 투명 플레이트 사이에 넣거나, 또는 주입법 또는 압출법에 의해 자기 지지형(self-supporting) 물질로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 시트, 플레이트 및 큐보이드는 급냉각에 의해, 즉 > 100 K/분의 냉각속도에 의해, 또는 상기 의미의 구조적 성분을 포함하는 액정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로부터의 신속한 용매 추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층 두께는 ≥ 0.1 ㎜, 바람직하게는 ≥ 0.5 ㎜, 특히 바람직하게는 ≥ 1 ㎜이다. 밀리미터(㎜) 범위의 층 제조를 위한 특히 바람직한 방법은 사출성형방법으로 대표된다. 이 방법에서는, 폴리머 용융물을 노즐을 통해 성형 서포트(support)내로 밀어보내고, 냉각 후 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출원은 보호층에 의해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되는 고용량 스토어를 제공한다.
홀로그래픽 데이타 저장 방법은 예를들면 문헌[LASER FOCUS WORLD, November 1996, p.81 ff]에 기재되어 있다.
홀로그램을 라이팅하는 동안, 상기 폴리머 필름에는 요구된 광유도 재배향을 일으키는 파장의 두개의 간섭성 레이저 비임이 조사된다. 하나의 비임, 즉 물체 비임은 저장될 광학 정보, 예를들면 2차원적인 체스보드형 픽셀 구조(데이타 사이드)를 통해 광 비임이 통과함으로 인해 얻어지는 세기 곡선을 포함한다. 그러나, 주로, 선택적 2차원 또는 3차원 물체로부터 회절, 산란 또는 반사되는 광이 물체 비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매체에서는 물체 비임이 제2 레이저 비임, 즉 일반적으로 평면파(level) 또는 원형파인 기준 비임의 간섭을 받게 된다. 이렇게 하여 생긴 간섭 패턴은 저장매체에 광학상수(굴절률 및(또는) 흡광계수)의 변조로 각인된다. 상기 변조는 조사된 영역 전체, 특히 저장매체의 두께를 횡단한다. 이제 물체파가 차단되고 매체에 기준 비임만 조사되면, 변조된 저장매체가 기준 비임을 위한 일종의 회절격자 역할을 한다. 회절로 인한 세기 분포는 저장될 물체로부터 유래된 세기 분포에 대응하고, 따라서, 광이 물체 자체로부터 나오는지 또는 기준비임의 회절 때문에 생기는 것인지를 더 이상 구별할 수 없다.
샘플 위치에 다양한 홀로그램을 저장하는 데는 다양한 다중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파장 다중화, 시프트(shift) 다중화, 위상 다중화, 페리스트로픽(peristrophic) 다중화 및(또는) 각도 다중화. 각도 다중화의 경우, 현 각도 하에서 홀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와 기준 비임 사이의 각도가 변화된다. 각도 변화가 발생한 후로는 원래의 홀로그램이 사라진다(브래그 미스매칭(Bragg mismatch)): 입사 기준 비임은 물체의 재구성 동안 저장매체에 의해 더 이상 편향될 수 없다. 이러한 것이 일어나는 각도는 저장매체의 두께 (및 매체에 발생한 광학상수의 변조)에 결정적으로 좌우되고, 매체가 두꺼울수록, 기준 비임이 변화되어야 하는 각도가 작아진다.
상기 새로운 각도 배치에서 추가의 홀로그램이 각인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을 리딩하는 것도 역시 저장매체와 거기에 라이팅하는 기준 비임 사이의 정확하게 동일한 각도 배치에서 작용한다.
따라서, 매체와 라이팅 비임 사이의 각도를 연속 변화시킴으로써 저장매체의 동일 지점에 수개의 홀로그램이 각인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한 모든 폴리머, 방법 및 용도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사출성형에 의한 광학소자 및 저장소자, 바람직하게는 고용량 홀로그래픽 스토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성형품을 폴리싱(polishing)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사출성형에 의한 광학소자 및 저장소자, 바람직하게는 고용량 홀로그래픽 스토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성형품의 폴리싱은 파동 프런트 변형(wave-front distortion) 및 표면 페노러티(surface phenority) 같은 시간이 λ/10보다 더 좋을 때까지 수행한다. 파동 프런트 변형은 성형품이 파장 λ의 라이팅 레이저 비임에 노출되는 동안 성형품을 예를 들면 CCD 카메라에 이미지화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출원은 투명 보호층을 적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사출성형에 의한 광학소자 및 저장소자, 바람직하게는 고용량 홀로그래픽 스토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광학소자 및 스토어, 바람직하게는 고용량 스토어, 특히 바람직하게는 고용량 홀로그래픽 스토어를 제공한다.

Claims (26)

  1. 하기 화학식 CI의 반복단위를 3개 이상 갖는 블록(A) 하나 이상 및 하기 화학식 CII의 반복단위를 갖는 블록(B)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다만, P가 A인 폴리머(B) 블록 하나 이상은 항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블록을 갖는 폴리머.
    <화학식 CI>
    <화학식 CII>
    (여기서,
    R100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701은 수소, 또는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를 갖지 않는 C1-C8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을 나타내고,
    R702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703은 [-S-T-Q-P]를 나타내고, P는 A 및(또는) M을 나타내고,
    주쇄로부터 분기된 화학식 S-T-Q-P(여기서, P = A(염료기), M(메소겐))의 측쇄는 일반적으로 다음 정의에 의해 지배되고:
    S-T-Q-P = S1-T1-Q1-A,
    S-T-Q-P = S2-T2-Q2-M
    여기서, S1, S2는 서로 독립적으로 O 원자, S 원자 또는 NR1기를 의미하고,
    R1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을 의미하고,
    T1,T2는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로 -O-, -NR1- 또는 -OSiR1 2O-에 의해 단속될 수 있고(있거나) 메틸 또는 에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CH2)n기를 의미하고,
    n은 2, 3 또는 4를 의미하고,
    Q1, Q2는 2가 기를 의미하고,
    A는 전자파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단위이고,
    M은 12개 이상의 π-전자를 갖는 편극될 수 있는 방향족기를 의미함).
  2. 제1항에 있어서, 블록(A)에 5개 이상의 반복단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블록(B)에 3개 이상의 반복단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하나를 초과하는 블록(A) 및(또는) (B)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블록(B)의 모노머의 합 대 블록(A)의 모노머의 합의 비가 1:1 내지 1:10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블록(A)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블록(B)가 화학식 [STQP]를 갖는 2개 이상의 다른 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모노머 중 1개 이상은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블록(B)가,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가 아조기인 모노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9.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가 하기 화학식 CIV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화학식 CIV>
    (여기서,
    R101 및 R10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비이온성 치환체를 나타내고,
    m 및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범자연수(whole number)를 나타내고,
    X101은 S101T101Q101와의 연결을 나타내고, 즉 X101은 X101'의 의미를 가지고, X101'은 2가 원자가를 갖는 Q와 연결되고,
    X102는 X102'-R104를 나타내고,
    X101' 및 X102'는 직접 결합, -O-, -S-, -(N-R105)-, -C(R106R107)-, -(C=O)-, -(CO-O)-, -(CO-NR105)-, -(SO2)-, -(SO2-O)-, -(SO2-NR105)-, -(C=NR18)- 또는 -(CNR18-NR15)-을 나타내고,
    R104, R15 및 R1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C3-C10-시클로알킬, C2-C20-알케닐, C6-C10-아릴, C1-C20-알킬-(C=O)-, C3-C10-시클로알킬-(C=O)-, C2-C20-알케닐-(C=O)-, C6-C10-아릴-(C=O)-, C1-C20-알킬-(SO2)-, C3-C10-시클로알킬-(SO2)-, C2-C20-알케닐-(SO2)- 또는 C6-C10-아릴-(SO2)-를 나타내거나,
    X102'-R104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F3 또는 CCl3를 나타내고,
    R106 및 R10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C1-C20-알콕시, C3-C10-시클로알킬, C2-C20-알케닐 또는 C6-C10-아릴을 나타내고,
    S101은 O 원자, S 원자 또는 NR109기를 나타내고,
    R109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T101은 임의로 -O-, -NR109- 또는 -OSiR109 2O-에 의해 단속될 수 있고(있거나) 메틸 또는 에틸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CH2)x기를 의미하고,
    x는 2, 3 또는 4를 의미하고,
    Q101은 Z101, Z102 또는 -Z101-X100-Z102-기를 의미하고,
    Z101 및 Z102는 서로 독립적으로 -S-, -SO2-, -O-, -COO-, -OCO-, -CONR109-, -NR109CO-, -NR109-, -N=N-, -CH=CH-, -N=CH-, -CH=N- 또는 -(CH2)y-(여기서, y = 1 또는 2)기를 의미하고,
    X100는 5원 또는 6원 지환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의미하고, Z101 = -COO- 또는 -CONR109-인 경우에는, 직접 결합 또는 -(CH=CH)y-(여기서, y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기를 의미함).
  10.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를 갖는 모노머가 하기 화학식 CV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화학식 CV>
    (여기서, R102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나머지 다른 기들은 위에서 정의된 의미를 가짐).
  11. 제10항에 있어서, 광이성질화될 수 있는 기를 갖는 모노머가 하기 화학식들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12.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편극될 수 있는 방향족기 M이 하기 화학식 CVI에 대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화학식 CVI>
    (여기서,
    Z200은 화학식 CVIa () 또는 화학식 CVIb ()의 기를 나타내고,
    B는 O, S 또는 N-C1-C4-알킬을 나타내고,
    X103은 -X103'-(Q102)j-T102-S102를 나타내고,
    X104는 X104'-R203을 나타내고,
    X103' 및 X104'는 서로 독립적으로 직접 결합, -O-, -S-, -(N-R205)-, -C(R206R207)-, -(C=O)-, -(CO-O)-, -(CO-NR205)-, -(SO2)-, -(SO2-O)-, -(SO2-NR205)-, -(C=NR208)- 또는 -(CNR208-NR205)-을 나타내고,
    R205, R208 및 R20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C1-C20-알킬, C3-C10-시클로알킬, C2-C20-알케닐, C6-C10-아릴, C1-C20-알킬-(C=O)-, C3-C10-시클로알킬-(C=O)-, C2-C20-알케닐-(C=O)-, C6-C10-아릴-(C=O)-, C1-C20-알킬-(SO2)-, C3-C10-시클로알킬-(SO2)-, C2-C20-알케닐-(SO2)- 또는 C6-C10-아릴-(SO2)-를 나타내고,
    X104'-R203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F3 또는 CCl3를 나타낼 수 있고,
    R206 및 R20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20-알킬, C1-C20-알콕시, C3-C10-시클로알킬, C2-C20-알케닐 또는 C6-C10-아릴을 나타내고,
    Y200은 단일결합, -COO-, OCO-, -CONH-, -NHCO-, -CON(CH3)-, -N(CH3)CO-, -O-, -NH- 또는 -N(CH3)-를 나타내고,
    R201, R202 및 R20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시아노, 니트로, C1-C20-알킬, C1-C20-알콕시, 페녹시, C3-C10-시클로알킬, C2-C20-알케닐, C6-C10-아릴, C1-C20-알킬-(C=O)-, C6-C10-아릴-(C=O)-, C1-C20-알킬-(SO2)-, C1-C20-알킬-(C=O)-O-, C1-C20-알킬-(C=O)-NH-, C6-C10-아릴-(C=O)-NH-, C1-C20-알킬-O-(C=O)-, C1-C20-알킬-NH-(C=O)- 또는 C6-C10-아릴-NH-(C=O)-를 나타내고,
    q, r 및 s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범자연수를 나타내고,
    Q102는 -O-, -S-, -(N-R205)-, -C(R206R207)-, -(C=O)-, -(CO-O)-, -(CO-NR205)-, -(SO2)-, -(SO2-O)-, -(SO2-NR205)-, -(C=NR208)-, -(CNR208-NR205)-, -(CH2)p-, p- 또는 m-(C6H4)- 또는 화학식 의 2가 기를 나타내고,
    j는 0 내지 4의 범자연수를 나타내고, j>1인 경우 각각의 Q102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고,
    T102은 -O-, -NR209- 또는 -OSiR220 2O-에 의해 단속될 수 있는 -(CH2)p-기를 나타내고,
    S102는 직접 결합, -O-, -S- 또는 -NR209-를 나타내고,
    p는 2 내지 12의 범자연수를 나타내고,
    R209는 수소,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을 나타내고,
    R220은 메틸 또는 에틸을 나타냄).
  1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비등방성 형태를 나타내는 기 M을 갖는 모노머가 하기 화학식 CVII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화학식 CVII>
    (여기서, R102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나머지 다른 기들은 위에서 정의한 의미를 가짐).
  14. 제13항에 있어서, 비등방성 형태를 나타내는 기 M을 갖는 모노머가 하기 화학식들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1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화학식 CV의 모노머 및 화학식 CVII의 모노머가 1:1 내지 1:30의 비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1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광학밀도가 ≤ 2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폴리머.
  17.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기재(base)의 보호된 OH-관능화된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는 모노머의 음이온 중합, 및 관능화된 모노머의 조절된 라디칼 중합 둘 모두를 기술로서 이용하여 조절된 중합에 의해 코폴리머 중의 개별 블록의 구조 및 분자량이 한정된 폴리머를 합성하는, 제1항 또는 2항에 따른 블록 폴리머의 제조방법.
  18. 제1항 또는 2항에 따른 블록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소자 또는 저장소자.
  19. 제18항에 있어서, 광학소자가 데이타 저장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
  20. 제18항에 있어서, 광학소자 또는 저장소자가 홀로그래피에 의한 데이타 저장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
  21. 제18항에 있어서, 정보가 레이저 비임에 의해 광학소자 또는 저장소자에 각인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
  22. 투사된 두께가 ≥ 0.1㎜인 제1항 또는 2항에 따른 블록 폴리머 1개 이상을 포함하는 저장소자.
  23. 제1항 또는 2항에 따른 블록 폴리머를 사출성형시킴으로써 광학소자 또는 저장소자를 제조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추가로 성형품을 폴리싱(polish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추가로 투명 보호층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6. 제23항에 따라 제조된 광학소자 또는 저장소자.
KR1020027016280A 2000-05-31 2001-05-18 광학 데이타 저장용 블록 코폴리머 KR100785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7153A DE10027153A1 (de) 2000-05-31 2000-05-31 Blockcopolymere zur optischen Datenspeicherung
DE10027153.7 2000-05-31
PCT/EP2001/005710 WO2001092360A1 (de) 2000-05-31 2001-05-18 Blockcopolymere zur optischen datenspeich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781A KR20030007781A (ko) 2003-01-23
KR100785990B1 true KR100785990B1 (ko) 2007-12-14

Family

ID=764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280A KR100785990B1 (ko) 2000-05-31 2001-05-18 광학 데이타 저장용 블록 코폴리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18684B2 (ko)
EP (1) EP1294785A1 (ko)
JP (1) JP2003535196A (ko)
KR (1) KR100785990B1 (ko)
AU (1) AU2001262298A1 (ko)
DE (1) DE10027153A1 (ko)
WO (1) WO2001092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4325C1 (de) * 1999-03-30 2000-07-06 Bayer Ag Wiederbeschreibbares optisches Aufzeichnungsmaterial für blaue Laser
DE10007410A1 (de) * 2000-02-18 2001-08-23 Bayer Ag Neues optisches Speicherverfahren für wiederbeschreibbare digitale Datenträger
DE10027153A1 (de) * 2000-05-31 2001-12-06 Bayer Ag Blockcopolymere zur optischen Datenspeicherung
DE10027152A1 (de) * 2000-05-31 2001-12-13 Bayer Ag Moschpolymere zur optischen Datenspeicherung
EP1432745B1 (de) 2001-09-27 2011-01-05 Bayer MaterialScience AG Wiederbeschreibbares optisches aufzeichnungsmaterial mit guter löslichkeit
JP4649821B2 (ja) * 2002-06-07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2005274628A (ja) * 2004-03-22 2005-10-06 Fuji Xerox Co Ltd 光記録材料、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再生装置
US7897296B2 (en) * 2004-09-30 2011-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holographic storage
US20060078802A1 (en) * 2004-10-13 2006-04-13 Chan Kwok P Holographic storage medium
DE102005028145A1 (de) * 2005-06-17 2006-12-28 Bayer Materialscience Ag Optischer Datenspeicher,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WO2007028510A1 (de) * 2005-09-05 2007-03-15 Bayer Innovation Gmbh Speichermedium für vertrauliche informationen
DE102006005860A1 (de) * 2006-02-09 2007-08-30 Bayer Innovatio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olarisationshologrammen
DE102006062457A1 (de) 2006-12-28 2008-07-03 Bayer Innovation Gmbh Optische Speichermedi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8647794B2 (en) * 2009-02-24 2014-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forming holograms in polymer composites with confined crystallization
CN109153857B (zh) * 2016-03-31 2022-04-26 日产化学株式会社 偏光层形成组合物
CN109154685B (zh) * 2016-03-31 2022-04-19 日产化学株式会社 配向层形成组合物
WO2024071364A1 (ja) * 2022-09-29 2024-04-04 日産化学株式会社 重合体組成物及び単層位相差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1510A (en) * 1990-02-07 1991-08-20 Hoechst Celanese Corp. Acrylic copolymers exhibiting nonlinear optical response
US5155195A (en) * 1991-05-16 1992-10-13 Hoechst Celanese Corp. Sidechain copolymers exhibiting nonlinear optical response
US5384378A (en) * 1992-09-26 1995-01-24 Basf Aktiengesellschaft Copolymers with non-linear optical properties and the use thereof
EP0704513A1 (de) * 1994-09-30 1996-04-03 Bayer Ag Seitengruppenpolymere und ihre Verwendung für optische Bauelement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8097A1 (de) * 1989-08-25 1991-02-28 Bayer Ag Polyorganosiloxan-polycarbonat-blockcopolymere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optischer datenspeicher
WO1991007449A1 (en) * 1989-11-15 1991-05-30 Eastman Kodak Company Polymers for photographic elements
US5087672A (en) * 1990-06-13 1992-02-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uorine-containing acrylate and methacrylate side-chain liquid crystal monomers and polymers
US5173381A (en) * 1991-08-05 1992-12-22 Queen's University Azo polymers for reversible optical storage
US5212250A (en) * 1991-09-17 1993-05-18 Hoechst Celanese Corp. Poly(maleic anhydride) copolymers with side chains exhibiting nonlinear optical response
US5620781A (en) * 1991-10-23 1997-04-15 Fuji Xerox Co., Ltd. Erasable display medium
US5466496A (en) * 1991-11-30 1995-11-14 Samsung Electron Devices Co., Ltd. Liquid crystal-dispersed polymeric film
US5359008A (en) 1992-05-18 1994-10-2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Second-order nonlinear optical polym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H05323296A (ja) * 1992-05-25 1993-12-07 Seiko Epson Corp 高分子重合体、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液晶表示素子
EP0622789B1 (de) * 1993-03-30 2002-08-07 Bayer Ag Flächenhafte Gebilde aus Seitengruppenpolymeren
US5496670A (en) * 1993-08-30 1996-03-05 Riso National Laboratory Optical storage medium
DE69419120T2 (de) 1993-12-24 1999-10-28 Dainippon Ink & Chemicals Polymerisierbare Flüssigkristallzusammensetzung und optisch anisotroper Film, der eine solche Zusammensetzung enthält
DE4431823A1 (de) * 1994-09-07 1996-03-14 Bayer Ag Verfahren zur Verstärkung von Information in photoadressierbaren Seitenkettenpolymeren
US5763548A (en) * 1995-03-31 1998-06-09 Carnegie-Mellon University (Co)polymers and a novel polymerization process based on atom (or group)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CN1178959C (zh) 1996-05-22 2004-12-08 拜尔公司 快速光寻址基片和具有高诱导双折射的光寻址侧基聚合物
US6803153B1 (en) * 1997-04-11 2004-10-12 Fuji Xerox Co., Ltd. Optical storage medium, optical storage method; optical storage apparatus, optical reading method, optical reading apparatus, optical retrieving method and optical retrieving apparatus
US6106948A (en) * 1997-06-06 2000-08-22 University Of Massachusetts Nonlinear optical structure and methods of making
DE19841559A1 (de) 1998-09-11 2000-03-23 Goldschmidt Ag Th Polyacrylsäureester und ihre Verwendung als Entlüfter für Lacke und Farben
DE19910247A1 (de) * 1999-03-08 2000-09-28 Bayer Ag Neues holographisches Aufzeichnungsmaterial
DE19910248A1 (de) * 1999-03-08 2000-10-05 Bayer Ag Holographisches Aufzeichnungsmaterial
DE19914325C1 (de) * 1999-03-30 2000-07-06 Bayer Ag Wiederbeschreibbares optisches Aufzeichnungsmaterial für blaue Laser
DE10027153A1 (de) * 2000-05-31 2001-12-06 Bayer Ag Blockcopolymere zur optischen Datenspeicherung
JP4649821B2 (ja) * 2002-06-07 2011-03-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1510A (en) * 1990-02-07 1991-08-20 Hoechst Celanese Corp. Acrylic copolymers exhibiting nonlinear optical response
US5155195A (en) * 1991-05-16 1992-10-13 Hoechst Celanese Corp. Sidechain copolymers exhibiting nonlinear optical response
US5384378A (en) * 1992-09-26 1995-01-24 Basf Aktiengesellschaft Copolymers with non-linear optical properties and the use thereof
EP0704513A1 (de) * 1994-09-30 1996-04-03 Bayer Ag Seitengruppenpolymere und ihre Verwendung für optische Bauelem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781A (ko) 2003-01-23
DE10027153A1 (de) 2001-12-06
JP2003535196A (ja) 2003-11-25
US7018684B2 (en) 2006-03-28
WO2001092360A1 (de) 2001-12-06
EP1294785A1 (de) 2003-03-26
US20030183959A1 (en) 2003-10-02
AU2001262298A1 (en) 2001-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990B1 (ko) 광학 데이타 저장용 블록 코폴리머
JP3626224B2 (ja) 側鎖基重合体から製造した平板材料
CA2255935C (en) Photo-addressable substrates and photo-addressable side-group polymers with highly inducible double refraction
US6046290A (en) Photoaddressable side group polymers of high sensitivity
KR100774779B1 (ko) 광학 데이타 저장용 코폴리머
WO2008013775A2 (en) Non-linear optical device sensitive to green laser
Blasco et al. Smart polymers for optical data storage
Audorff et al. Holographic gratings and data storage in azobenzene-containing block copolymers and molecular glasses
TWI261153B (en) Recording material for a holographic volume storage medium, holographic volume storage medium, the dyes used therei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970730B1 (ko) 아조벤젠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기록용 조성물
JP4113123B2 (ja) 優れた溶解性を有する書換可能型光記録材料
KR102311861B1 (ko) 함질소 헤테로방향족 포함 아조벤젠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청색 홀로그램 기록용 조성물
KR20010103044A (ko) 홀로그래피 기록 재료
JP4348446B2 (ja) ホ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252948B1 (ko) 정보저장매체로사용하기위한열방성액정고분자및이것을이용한기록박막의제조방법
KR102311860B1 (ko) 함질소 헤테로방향족 포함 아조벤젠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녹색 홀로그램 기록용 조성물
Sánchez-Somolinos Light-sensitive azobenzene-containing liquid crystalline polymers
Lee et al. Silicon‐containing azo polymers with paired mesogens and their applications to optical memory media
Wang et al. Synthesis and photoinduced surface‐relief grating of well‐defined azo‐containing polymethacrylates via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KR100317294B1 (ko) 정보 저장용 고분자 화합물, 그것이 코팅된 박막, 상기 박막을 이용한 정보 저장 장치 및 그 방법
Shishido et al. High-performance rewritable Bragg hologram with high multiplicities
Ikeda Photoresponsive Behavior of Photochromic Liquid-Crystalline Polymers
Shishido et al. Rewritable Bragg holograms of azobenzene polymers with fast response
Ikeda et al. A simple formulation for rewritable Bragg holograms with angle and polarization multipli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