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490B1 -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490B1
KR100785490B1 KR1020060011302A KR20060011302A KR100785490B1 KR 100785490 B1 KR100785490 B1 KR 100785490B1 KR 1020060011302 A KR1020060011302 A KR 1020060011302A KR 20060011302 A KR20060011302 A KR 20060011302A KR 100785490 B1 KR100785490 B1 KR 10078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anion
polymer
microporous membrane
micro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149A (ko
Inventor
박정기
이용민
이준영
이제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6001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4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다공성 분리막 표면에 고분자형 음이온 고정화 물질을 코팅한 후 리튬염이 유기용매에 녹아있는 액체 전해액에 함침시켜 제조되며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분리막은 양이온전도도, 전기화학적 안정성, 계면 저항 및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은 코팅층의 음이온 고정화 효과로 인하여 음이온의 분해 및 이동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전압 구동이 필요한 리튬이차전지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Description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Coated separator with anion recept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도 1은 기존의 분리막(비교예)과 본 발명의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분리막(실시예)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분리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분리막, 2-코팅층)
도 3은 기존의 분리막(비교예)과 본 발명의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분리막(실시예)의 precycling 전후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기존의 분리막(비교예)과 본 발명의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분리막(실시예)의 수명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리막 2 : 코팅층
본 발명은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다공성 분리막 표면에 고분자형 음이온 고정화 물질을 코팅한 후 리튬염이 유기용매에 녹아있는 액체 전해액에 함침시켜 제조되며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분리막은 양이온전도도, 전기화학적 안정성, 계면 저항 및 충방전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전자, 통신 및 컴퓨터 산업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고성능, 고안전성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대되어 왔으며, 특히 전기, 전자 제품의 경박 단소화 및 휴대화 추세에 따라 이 분야의 핵심부품인 이차전지도 경량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대량보급에 따른 대기오염과 소음 등의 환경공해 문제 및 석유고갈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수급원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왔으며 이들의 동력원으로서 고출력,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고성능 차세대 첨단 신형 전지 중의 하나가 리튬 이차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기존전지에 비해 단위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크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적층에 의한 고전압, 대용량의 전지개발이 용이하고, 카드뮴이나 수은 같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아서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크게 부극(anode), 분리막(separator), 정극(cathode)으로 구성되는데, 부극 활물질로는 리튬, 탄소 등이 사용되며, 정극 활물질로는 전이금속산화물, 금속칼코겐 화합물, 전도성 고분자 등이 사용된다. 전극은 정극인 경우 알루미늄 호일에 활물질을 코팅하여 사용하고 부극인 경우 구리 호일에 활물질을 코팅하여 사용한다. 이들은 스태킹(stacking)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런 구조로 인해 대면적의 전지는 용량을 증대시키고 전지 형태를 간단히 하는 장점이 있으나 전극과 분리막을 단순히 적층할 경우 전극 면적이 넓어져 전극과 분리막 사이의 균일한 밀착이 어렵고 전해액을 전극 전체에 균일하게 함침시키고 충방전 사이클 테스트 진행시에 전극의 모든 부분에서 균일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은 미국특허출원(US 6881515 B2, Apr.19, 2005; Separator for polymer battery)은 전지용 고분자 분리막에 관한 것이고, 판카이 등(Pankaj Arora and Zhengming Zhang, Chemical review ,104 (2004) 4419)이 쓴 논문에 언급된 분리막은 본 발명과는 기술적 구성이 다른 것들이다.
종래의 미세다공성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접촉을 차단하고, 내부 기공에 액체전해액을 담지하여 이온 전달의 통로를 제공하는 피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분자형 음이온 고정화 물질을 미세다공성 분리막에 코팅 함으로써, 전해질 내에서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음이온의 이동 및 분해 반응을 제어하는 데 있다. 따라서 전지의 양이온전도도,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고전압 구동이 가능한 전해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된 분리막은 보레이트(Borate) 계열의 코팅 물질을 이용하여 음이온의 고정화 효과를 통한 전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분리막에 유기고분자로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음이온 고정화 물질로 보레이트 계열의 화합물(화학식 1)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을 제공한다.
Figure 112006008725989-pat00001
(화학식 1)
상기의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각각 0에서 150사이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분리막 제조 공정은 (a) 선형고분자와 보레이트 계열의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의 코팅 용액을 올레핀계 미세 다공성 분리막에 캐스팅하는 단계; (c) 용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막을 리튬염이 유기용매에 녹아있는 액체전해액에 함침시켜 제조되는 리튬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분리막 코팅에 사용될 수 있는 선형고분자는 일반적으로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것은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선형고분자의 일예로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물질간의 조성비는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는 않는다. 상기 선형고분자의 분자량은 특별한 한정을 요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질량 평균 분자량 5,000∼5,000,000인 것이 좋다.
분리막에 함유되는 음이온 고정화제로서 화학식(2)와 동일한 화합물의 중합물 또는 화학식(2)로 나타나는 화합물을 이용, 화학식 (1)과 같은 붕산 또는 무수붕산에 의해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붕산 에스테르 화합물의 중합물이다.
R4 - [(A1O)a-R5]b(화학식 2)
상기 화학식(2)에서 R4은 1∼7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잔기 또는 수산기이고, A1O은 탄소수가 2∼5의 옥시 알킬렌기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고, a = 0∼200, b = 1∼6이고 ab = 0∼400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 이다.
폴리올레핀계 미세 다공성 분리막은 코팅된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고, 과충전 및 과방전시에 일정온도 이상에서 기공폐쇄를 유도하기 위해 도입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계 분리막은 특별한 한정을 요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폴리설폰의 박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두께는 5∼50㎛, 기공이 0.01∼10㎛, 다공도가 30∼90%인 것이 좋다.
코팅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을 요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1∼40㎛로 한다. 만일 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두께 이하가 되는 경우, 음이온 고정화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상기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층의 두께가 두꺼워져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으로 부적합해질 우려가 있다.
선형고분자를 용해하기 위한 용매는 선택된 선형고분자의 용해에 적합한 것이라면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는 않으며, 대표적인 용매로 아세톤, 톨루엔, 메탄올, 에탄올,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감마부틸로락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선형고분자를 기준으로 100∼2,000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유기고분자로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음이온 고정화 물질로 보레이트 계열의 화합물이 코팅된 분리막을 함유하는 리튬-고분자 이차 전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음이온 고정화 물질의 합성
음이온 고정화 역할을 하는 PEGB(폴리에틸렌글라이콜보레이트(poly ethylene glycol borate)는 다음 반응식 1과 같이 합성하였다.
500mL 3구 플라스크에 교반장치, 온도계, 질소 주입 장치를 설치한 후, 반응 개시 전 질소를 2시간 이상 흘려 플라스크 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반응기 내에서 톨루엔 100mL에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인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20g 용해시킨 후 boron oxide 0.12g을 첨가하여 100℃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부반응물인 물은 딘스탁트랩(dean stack trap)을 이용해 제거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생성물인 PEGB를 얻었다.
Figure 112006008725989-pat00002
(반응식 1)
<실시예 2> 분리막 제조
메탄올 80mL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PEGB 1g과 폴리비닐아세테이트 2.5g를 용해시켜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20㎛의 폴리올레핀계 분리막(1)에 캐스팅하여 코팅층(2)을 형성한 후, 건조시켜 25㎛ 두께의 미세다공성 분리막을 얻었다. 상기과정을 통해 제조된 미세다공성 분리막을 50℃에서 진공전조하여 잔여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였다(도 2 참조).
<시험예 1> 이온전도도 측정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미세다공성 분리막을 아르곤 분위기의 글로브 박스내로 옮겨 액체 전해액 [EC/DEC/PC(30/65/5,w/w/w) /1M LiPF6]에 함침시킨 후, 두 개의 스테인레스 스틸 전극사이에 접착시켜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알루미늄 포장재로 밀봉한 다음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미세다공성 분리막과 비교예인 폴리에틸렌 분리막의 이온전도도 값과 양이온 수율, 양이온 전도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표 1.
구 분 이온전도도 (S/cm) 양이온수율 양이온전도도 (S/cm)
PE 분리막(비교예) 8.3 ×10-4 0.21 1.7 ×10-4
코팅된 분리막(실시예) 8.6 ×10-4 0.32 2.8 ×10-4
<시험예 2> 전기화학적 안정성 평가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실시예)과 기존의 폴리에틸렌 분리막(비교예)을 액체 전해질[EC/DEC/PC(30/65/5,w/w/w) /1M LiPF6]에 함침시킨 후, SUS/리튬 전지를 만들어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기준전극으로는 리튬 전극을 작업 전극으로 SUS를 선택하여, 0V에서 7V까지 2mV/sec의 속도로 전압을 인가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코팅 분리막이 기존의 폴리에틸렌 분리막에 비하여 향상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단위전지이 충방전 특성 평가
액체 전해질 [EC/DEC/PC(30/65/5,w/w/w) /1M LiPF6]을 함유한 음이온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실시예)과 폴리에틸렌 분리막(비교예)을 리튬코발트옥사이트(LiCoO2)양극과 그라파이트(Graphite)음극사이에 단순 적층하여 단위전지를 제조하여 상온 충방전 실험을 수행하였다. (충전조건:CC/CV 0.50mA/cm2 (C/5rate) to 4.2V, 방전조건: 0.50mA/cm2 to 3.0V)과 같다.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 단위전지를 precycling 전후의 임피던스 값을 도 3에 나타냈다. 그리고 싸이클 특성은 도4와 같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분리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다공성 분리막은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층에 존재함으로써, 전해질 내에서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음이온의 이동 및 분해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코팅된 분리막을 단위 전지에 적용할 경우 우수한 충방전 특성이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고전압 구동이 예상되는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의 분리막 소재로서 적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1)

  1. 미세다공성 분리막 표면에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 화학식 2와 동일한 화합물의 중합물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붕산 또는 무수붕산에 의해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중합물인 음이온 고정화 물질과 선형고분자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Figure 112007065189370-pat00008
    (화학식 1)
    R4 - [(A1O)a-R5]b(화학식 2)
    상기의 화학식 1에서 R1, R2 및 R3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n은 각각 0에서 150사이의 정수이다.
    상기의 화학식 2에서 R4은 1∼7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잔기 또는 수산기이고, A1O은 탄소수가 2∼5의 옥시 알킬렌기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고, a = 0∼200, b = 1∼6 이고 ab = 0∼400이고, R5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 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미세다공성 분리막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 폴리설폰의 박막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5. 제 4항에 있어서, 미세다공성 분리막은 두께가 5∼50㎛이고 기공의 크기가 0.01∼10㎛, 다공도가 30∼90% 특징으로 하는 미세다공성 분리막.
  6. 제 1항에 있어서, 선형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7. 제 6항에 있어서, 선형고분자는 질량평균분자량이 5,000∼5,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8.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코팅층의 두께는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9. (a) 선형고분자와 보레이트 계열의 화합물을 아세톤, 톨루엔, 메탄올, 에탄올,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감마부틸로락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서 선형고분자를 기준으로 100∼2,000중량% 사용한 용매에 용해하는 단계;
    (b) 상기의 코팅 용액을 올레핀계 미세 다공성 분리막에 캐스팅하는 단계;
    (c) 용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 1항의 분리막을 리튬염이 유기용매에 녹아있는 액체 전해액에 함침시켜 제조되는 리튬-고분자 이차 전지.
KR1020060011302A 2006-02-06 2006-02-06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078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02A KR100785490B1 (ko) 2006-02-06 2006-02-06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302A KR100785490B1 (ko) 2006-02-06 2006-02-06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149A KR20070080149A (ko) 2007-08-09
KR100785490B1 true KR100785490B1 (ko) 2007-12-13

Family

ID=3860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302A KR100785490B1 (ko) 2006-02-06 2006-02-06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913B1 (ko) * 2007-08-28 2009-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무가습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307A (ko) * 1998-12-17 2001-11-14 추후제출 전기화학 전지용 격리판을 위한 보호 코팅
US6500584B1 (en) 1998-03-27 2002-12-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nganese dry batteries
KR100413608B1 (ko) 2001-10-16 2004-01-03 주식회사 에너랜드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KR100467705B1 (ko) 2002-11-02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무기 보호막을 갖는 세퍼레이타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0584B1 (en) 1998-03-27 2002-12-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nganese dry batteries
KR20010101307A (ko) * 1998-12-17 2001-11-14 추후제출 전기화학 전지용 격리판을 위한 보호 코팅
KR100413608B1 (ko) 2001-10-16 2004-01-03 주식회사 에너랜드 리튬이온 2차 전지용 격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포함하여 제조되는 리튬이온 2차 전지
KR100467705B1 (ko) 2002-11-02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무기 보호막을 갖는 세퍼레이타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149A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357B1 (ko)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CN106169630B (zh) 锂空气电池和制造其的方法
KR101488917B1 (ko) 유기 및 무기 혼합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전지
US11114670B2 (en) Negative electrode and method for preparing negative electrode
KR102592147B1 (ko) 복합분리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2562680B1 (ko) 리튬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한 리튬이차전지
US8592072B2 (en)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11394056B2 (en) Composite solid polymer electrolytes for energy storage devices
US20200058957A1 (en) Lithium-air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126503A (ko) 복합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EP2720290A1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s,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 method for producing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onaqueous electrolyte electricity storage device
CN113488612A (zh) 硅氧预锂化负极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20359912A1 (en) Composite solid-state battery cell
JP2020532841A (ja) リチウム−硫黄電池用分離膜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硫黄電池
KR100726887B1 (ko) 다공성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및 상기 고체 고분자 전해질을 함유하는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KR100785490B1 (ko) 음이온 고정화 물질이 코팅된 미세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CN112840480A (zh) 负极和包含所述负极的锂二次电池
JP2013020957A (ja) 非水電解質蓄電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0047B1 (ko) 이차전지용 유무기 다공성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유무기 다공성분리막
KR102003306B1 (ko) 리튬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60126279A (ko)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EP2824752A1 (en) ELECTROLYTE FOR Li STORAGE BATTERY, AND Li STORAGE BATTERY
WO2012172785A1 (ja) 非水電解質蓄電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490500A (zh) 蓄电设备用电解液和蓄电设备以及蓄电设备的制造方法
EP2720294A1 (en)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accumulators, non-aqueous electrolyte accumulator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