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477B1 -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477B1
KR100783477B1 KR1020060109952A KR20060109952A KR100783477B1 KR 100783477 B1 KR100783477 B1 KR 100783477B1 KR 1020060109952 A KR1020060109952 A KR 1020060109952A KR 20060109952 A KR20060109952 A KR 20060109952A KR 100783477 B1 KR100783477 B1 KR 100783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carrier
base
grinding
column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배
이현걸
Original Assignee
서종배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이현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배,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이현걸 filed Critical 서종배
Priority to KR1020060109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삭기에 피삭제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에 있어서, 연삭작업이 이루어지는 연삭숫돌 사이에 유휴시간을 최대한 줄이면서 피삭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효율을 높인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연삭기의 가이드에 제1클램프조 및 제2클램프조로 구성되는 제공급부와; 상기 가이드에는 구동장치에 의해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송판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판에는 하단에는 각각 제1,2클램프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에 의하면 연삭작업의 유휴시간을 줄여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자동반전기능이 첨가되어 피삭제의 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3쌍의 클램프가 동시에 작동하므로 연삭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피삭제, 자동, 연삭기, 리프트케리어, 클램프, 연삭숫돌

Description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AUTO SUPPLYING DEVICE FOR GRIND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형성된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형성된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의 제1클램프조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형성된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의 반전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형성된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의 피삭제의 형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삭제 10 : 베이스
20, 21 : 칼럼 30 : 가이드
31 : 구동장치 35 : 이동판
40 : 작업베드 50 : 리프트케리어
60 : 반전장치 70 : 공급조
71 : 제1클램프조 75 : 제2클램프조
본 발명은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삭기에 피삭제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에 있어서, 연삭작업이 이루어지는 연삭숫돌 사이에 유휴시간을 최대한 줄이면서 피삭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효율을 높인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삭기는 부품이나 장비의 표면을 보다 강하게 하고 공차를 줄일 수 있도록 최종단계에서 가공하는 것으로 연삭숫돌을 사이에 두고, 피삭제의 표면을 가공하는 장비이다.
상기 연삭기에는 회전하는 연삭숫돌에 자동적으로 피삭제를 교체투입하기 위해서 피삭제 자동공급장치가 형성되는데, 상기 피삭제 자동공급장치는 피삭제를 잡는 클램프가 3쌍 1조로 구성되어 있어서, 연삭작업의 유휴시간이 길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삭제를 한번의 연삭작업으로 작업을 완성하지 못하고, 방향을 바꾸어 다른 면을 연삭해야하는 등의 여러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피삭제의 방향을 바꿔주기 위해서 자동공급장치가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1) 연삭작업의 유휴시간을 줄여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2) 자동반전기능이 부가되어 피삭제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한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3) 3쌍의 클램프가 동시에 작동가능한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단에 두개의 연삭숫돌이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업베드와;
상기 작업베드와 이격되게 베이스의 상단으로 형성된 두 개의 칼럼과:
상기 두 개의 칼럼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측면에 구동장치가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연설되고 피삭제가 놓이는 리프트케리어와;
상기 리프트케리어의 측면에 연설되고, 피삭제를 회전시키는 반전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에는 구동장치에 의해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공급조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급조는 이송판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판에는 제1이송몸체와 제2이송몸체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2이송몸체의 상단에는 각각 제1,2실린더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각각 제1,2클램프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베이스(10)의 상단에 두개의 연삭숫돌이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업베드(40)와; 상기 작업베드(40)와 이격되게 베이스(10)의 상단으로 형성된 두 개의 칼럼(20,21)과: 상기 두 개의 칼럼(20,21)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측면에 구동장치(31)가 형성된 가이드(30)와; 상기 베이스(10)의 측면에 연설되고 피삭제(1)가 놓이는 리프트케리어(50)와; 상기 리프트케리어(50)의 측면에 연설되고, 피삭제(1)를 회전시키는 반전장치(60)와;
상기 가이드(30)에는 구동장치(31)에 의해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공급조(7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급조(70)는 이송판(35)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판(35)에는 제1이송몸체(72)와 제2이송몸체(77)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2이송몸체(72,77)의 상단에는 각각 제1,2실린더(73,76)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각각 제1,2클램프조(71,75)가 형성된다.
상기 작업베드(40)는 연삭숫돌 사이에서 피삭제(1)를 정위치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피삭제(1)는 도 4와 같이 사각형상의 몸체(1a)에 각각의 측면에 내개의 원기둥형상의 제1,2연삭면(1b,1c)이 십자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클램프(90)가 제2연삭면(1c)을 잡고 제1연삭면(1b)을 연삭한 후 다시 90도로 회전시켜 제1연삭면(1b)을 잡고 제2연삭면(1c)를 연삭해야 연삭작업이 끝나는 것이다.
상기 리프트케리어(50)는 피삭제(1)를 공급 및 배출하는 위치로, 공급조(70)가 클램프(90)를 이용해서 피삭제(1)를 파지하고, 내려놓는 위치이다.
상기 리프트케리어(50)에는 피삭제(1)가 삽입되는 수집구(51)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집구(51)에 공급조(70)가 클램프(90)를 이용해서 피삭제(1)를 파지하고, 내려놓게 된다.
상기 수집구(51)의 개수는 공급조(70)의 제1,2클램프조(71,75)에 형성된 각각의 클램프(90)의 개수와 동일하다.
상기 수집구(51)는 피삭제(1)의 제1연삭면(1b) 또는 제2연삭면(1c)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30)에는 공급조(7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급조(70)는 구동장치(31)에 의해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송판(35)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판(35)에는 제1이송몸체(72)와 제2이송몸체(77)가 나란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2이송몸체(72,77)의 상단에는 각각 제1,2실린더(73,76)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다수개의 클램프(90)가 형성된 제1,2클램프조(71,7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2이송몸체(72,77)는 각각 전후방 두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후방은 이송판(35)에 고정되고, 전방은 제1,2실린더(73,76)의해서 각각 상하로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이송몸체(72)의 하단에는 제1실린더(73)에 의해서 상하로 이송가능한 제1클램프조(7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클램프조(71)는 3개의 클램프(90)가 조실린더(95)에 의해서 동시에 작동되는데, 상기 각각의 클램프(90)는 조실린더(95)의 작동에 의해서 양측면으로 동시에 움직이는 각각의 파지암(90a)이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파지암(90a)에는 한쌍 씩 대응되도록 파지부(90b)가 형성되어 피삭제(1)의 제1연삭면(1b) 또는 제2연삭면(1b)이 올려진다.
상기 제2클램프조(75)는 제1클램프조(7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반전장치(60)는 리프트케리어(50)의 측면에 연설되고, 지지대(61)의 후방에 실린더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회전부(65)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직립보조대(63)가 형성된다.
상기 반전장치(60)는 공급조(70)의 제1,2클램프조(71,75)에 의해서 이송되는 피삭제(1)를 90도 회전시키는 장치로 클램프(90)가 지지대(61)의 후방으로 하강하면 실린더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회전부(65)가 돌출되어 피삭제(1)를 파지한 후 90도 회전시켜 다시 클램프(90)로 안착시킨다.
이때, 피삭제(1)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대(61)의 상단에는 직립보조대(63)가 형성된다.
상기 반전장치(60)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사용하는 도 4의 피삭제(1)의 형태와 같이 특수한 피삭제(1)에 적용되는 것이고, 만약 한 번의 연삭작업으로 모든 작업이 끝날 경우에는 반전장치(60)는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삭제(1)를 리프트케리어(50)의 각각의 수집구(51)에 올려놓으면, 공급조(70)가 이동되어 제2클램프조(75)가 먼저 리프트케리어(50)의 상단에 위치한 후 피삭제(1)를 파지한다.
이후, 상기 공급조(70)의 제1클램프조(71)가 작업베드(40)의 상단에 위치하여, 작업베드(40)에서 연삭작업이 끝난 피삭제(1)를 파지하고, 이후 제2클램프조(75)의 피삭제(1)를 작업베드(40)에 올려놓는다.
이후, 제1클램프조(71)가 리프트케리어(50)으로 이동하여 수집구(51)에 작업이 끝난 피삭제(1)를 배출하고, 제2클램프조(75)가 리프트케리어(50)로 이동하여 수집구(51)에서 새로운 피삭제(1)를 파지한다.
이후, 제1클램프조(71)가 작업베드(40)의 상단에 위치하고 작업된 피삭제(1)를 파지하고, 제2클램프조(75)가 이동하여 작업베드(40)에 새로운 피삭제(1)를 공급한다.
이후, 제1클램프조(71)가 반전장치(60)로 이동하여 피삭제(1)를 공급하고, 반전장치(60)는 곧바로 반전을 하며, 제2클램프조(75)가 이동하여 반전된 피삭제(1)를 파지한다.
이후, 제1클램프조(71)가 작업베드(40)로 이동하여 작업된 피삭제(1)를 파지하고, 제2클램프조(75)가 반전된 피삭제(1)를 작업베드(40)에 공급한다.
이후, 제1클램프조(71)가 반전장치(60)로 피삭제(1)를 공급하고, 반전장치(60)는 곧바로 반전을 하며, 제2클램프조(75)가 이동하여 반전된 피삭제(1)를 파지한다.
이후, 제1클램프조(71)가 이동하여 작업베드(40)에서 작업이 완료된 피삭제(1)를 파지하고, 제2클램프조(75)가 이동하여 작업베드(40)에 반전된 피삭제(1) 를 공급한다.
이후, 제1클램프조(71)가 이동하여 리프트케리어(50)의 수집구(51)에 작업완료된 피삭제(1)를 내려놓고, 제2클램프조(75)가 이동하여 수집구(51)에 새로운 피삭제를 파지하게 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하면서 연삭기에 피삭제(1)를 자동으로 공급 및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삭제 자동공급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연삭작업의 유휴시간을 줄여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2) 자동반전기능이 첨가되어 피삭제의 방향을 바꿀 수 있어 작업이 빠르다.
(3) 3쌍의 클램프가 동시에 작동하므로 빠르게 가공할 수 있다.

Claims (5)

  1. 베이스(10)의 상단에 두개의 연삭숫돌이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업베드(40)와; 상기 작업베드와 이격되게 베이스의 상단으로 형성된 두 개의 칼럼(20,21)과: 상기 두 개의 칼럼(20,21)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측면에 구동장치(31)가 형성된 가이드(30)와; 상기 베이스(10)의 측면에 연설되고 피삭제(1)가 놓이는 리프트케리어(50)와; 상기 리프트케리어(50)의 측면에 연설되고, 피삭제(1)를 회전시키는 반전장치(60)와;
    상기 가이드(30)에는 구동장치(31)에 의해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공급조(7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급조(70)는 이송판(35)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판(35)에는 제1이송몸체(72)와 제2이송몸체(77)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2이송몸체(72,77)의 상단에는 각각 제1,2실린더(73,76)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90)가 형성된 제1,2클램프조(71,75)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이송몸체(72,77)는 각각 전후방 두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후방은 이송판(35)에 고정되고, 전방은 제1,2실린더(73,76)의해서 각각 상하로 이송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클램프조(71,75)에는 각각 3개의 클램프(90)가 조실린더(95)에 의해서 동시에 작동되는데, 상기 각각의 클램프(90)는 조실린더(95)의 작동에 의해서 양측면으로 동시에 움직이는 각각의 파지암(90a)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파지암(90a)에는 한쌍 씩 대응되도록 파지부(9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장치(60)는 리프트케리어(50)의 측면에 연설되고, 지지대(61)의 후방에 실린더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회전부(6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직립보조대(6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5. 베이스(10)의 상단에 두개의 연삭숫돌이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업베드(40)와; 상기 작업베드와 이격되게 베이스(10)의 상단으로 형성된 두 개의 칼럼(20,21)과: 상기 두 개의 칼럼(20,21)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측면에 구동장치(31)가 형성된 가이드(30)와; 상기 베이스(10)의 측면에 연설되고 피삭제(1)가 놓이는 리프트케리어(50)와;
    상기 가이드(30)에는 구동장치(31)에 의해서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송판(35)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판(35)의 측면에는 제1이송몸체(72)와 제2이송몸체(77)가 나란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2이송몸체(72,77)의 상단에는 각각 제1,2 실린더(73,76)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90)가 형성된 제1,2클램프조(71,7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KR1020060109952A 2006-11-08 2006-11-08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KR100783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952A KR100783477B1 (ko) 2006-11-08 2006-11-08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952A KR100783477B1 (ko) 2006-11-08 2006-11-08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477B1 true KR100783477B1 (ko) 2007-12-07

Family

ID=3914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952A KR100783477B1 (ko) 2006-11-08 2006-11-08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4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034B1 (ko) 2007-05-23 2009-05-26 서종배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CN112123086A (zh) * 2020-10-18 2020-12-25 孙义彬 一种变速箱拨叉双头自适应打磨设备
CN114131482A (zh) * 2022-02-08 2022-03-04 长沙理工大学 用于磨削的高精度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061U (ko) * 1997-10-31 1999-05-25 이구택 연마기 지석 및 플랜지 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061U (ko) * 1997-10-31 1999-05-25 이구택 연마기 지석 및 플랜지 교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034B1 (ko) 2007-05-23 2009-05-26 서종배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CN112123086A (zh) * 2020-10-18 2020-12-25 孙义彬 一种变速箱拨叉双头自适应打磨设备
CN114131482A (zh) * 2022-02-08 2022-03-04 长沙理工大学 用于磨削的高精度装置
CN114131482B (zh) * 2022-02-08 2022-07-15 长沙理工大学 用于磨削的高精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3955B2 (en) Machining apparatus and machining line provided with same
JPH09511694A (ja) マシニングセンタ
JPH0411283B2 (ko)
KR100783477B1 (ko)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KR20080103359A (ko)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CN206983325U (zh) 自动穿管设备
CN215317819U (zh) 一种轴类工件的组合磨床
US20030180137A1 (en) Device for gripping and transporting workpieces in turning machines
CN210794909U (zh) 一种上料机构
CN210060623U (zh) 一种无心磨机
KR100783478B1 (ko) 연삭기용 피삭제 자동공급장치
CN116276134A (zh) 一种穿刺针自动化输送加工专机
CN105127884B (zh) 一种自动磨床结构
JPS6116585B2 (ko)
CN112427702A (zh) 一种高尔夫球头的自动钻孔生产线
CN219688652U (zh) 与三爪卡盘配合的轴类工件的上料机构
CN213795469U (zh) 一种工件翻转限位装置
CN210281881U (zh) 一种用于细小物料打磨前填料的自动填料机装置
CN108527019A (zh) 一种钳子剪口的连续加工机
CN218427443U (zh) 一种自动气爪的周边磨床
CN215903312U (zh) 一种具有自动上下料机构的双面磨床
CN218110337U (zh) 一种机器人全方位打磨装置
CN220445660U (zh) 一种应用于自动拧螺丝机上的上料机构
CN219746982U (zh) 一种钻孔攻丝一体机
CN217414514U (zh) 一种石墨片线切割机的自动化收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