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973B1 - 압축기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973B1
KR100782973B1 KR1020060044002A KR20060044002A KR100782973B1 KR 100782973 B1 KR100782973 B1 KR 100782973B1 KR 1020060044002 A KR1020060044002 A KR 1020060044002A KR 20060044002 A KR20060044002 A KR 20060044002A KR 100782973 B1 KR100782973 B1 KR 100782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ompressor
unit
carbon dioxid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096A (ko
Inventor
김상현
이상열
이재헌
박응열
백현철
이상재
이태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973B1/ko
Publication of KR2007011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Testing Resistance To Weather, 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과부하 시험, 기동 및 정지 반복 시험, 기밀 시험 및 가압시험 등이 가능한 복합적인 신뢰성 시험장치를 제작하되 그 구조를 간소화하고 시험시간과 시료수를 단축시키며 시험장치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는, 이산화탄소를 매체로 하여 시험용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이산화탄소가 유동하는 고압관 및 상기 시험용 압축기로 이산화탄소가 복귀하는 저압관과, 상기 고압관에 설치되는 감압장치와, 상기 고압관 및 저압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시험유닛; 상기 시험유닛의 고온 상태의 이산화탄소 매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력을 제공하는 냉각유닛; 및 상기 시험유닛 및 상기 냉각유닛과 연결되어 열교환을 통해 상기 고온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냉각시키는 열교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기 시험장치{COMPRESSOR TES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시험유닛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냉각유닛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전체 외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10 : 제1챔버
113 : 구획그릴 120 : 제2챔버
130 : 통풍그릴 200 : 시험유닛
210 : 고압관 211 : 감압장치
220 : 저압관 230 : 압력센서
240 : 온도센서 250 : 고온열교환기
260 : 저온열교환기 270 : 팬
271 : 차징포트 272 : 진공포트
273 : 평형밸브 300 : 열교환유닛
400 : 냉각유닛
본 발명은 압축기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과부하 시험, 기동 및 정지 반복 시험, 기밀 시험 및 가압 시험 등의 여러 가지 다양한 압축기 신뢰성 시험을 간단한 장치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압축기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동장치나 공기조화기 등에서 냉동사이클을 형성하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기로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냉동사이클의 시작이 되는 핵심 부품인 압축기는 냉매가 과다하게 압축이 되어 부하가 매우 크게 걸리는 경우도 있고 그 기동과 정지가 수 없이 반복되며 그 내부의 냉매의 과다한 압력 등으로 말미암아 냉매나 윤활오일 등이 누 출되는 부분이 생기는 경우 등 압축기의 작동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따라서 어떤 일정한 조건 하에서 압축기가 어떻게 기동하는지 압축기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는지 등을 시험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압축기의 시험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기의 시험장치는 상기 압축기를 포함한 응축기와 응축팬, 팽창밸브, 그리고 증발기와 증발팬 등의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장치를 구성하고 그 압축기에 사용되는 냉매를 주입하여, 요구되는 한계조건을 설정하여 그 조건 하에서 압축기를 기동하여 압축기의 시험을 수행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냉매로는 암모니아, 플루오르화염화탄화수소계(CFC계) 냉매(프레온), 공비혼합냉매(共沸混合冷媒), 클로로메틸 등이 있다. 냉각기의 능력, 압축기의 형식, 용도 등에 따라 각 특성에 알맞은 냉매를 택함으로써 냉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압축기의 과부하 시험, 기동 및 정지 반복 시험, 기밀 시험 및 가압 시험 등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그 각각의 시험에 따른 시험조건도 다르고 그 시험을 수행하는 부품의 종류도 다를 수 있어 상기 시험들을 모두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로 마련된 장치에 의할 수밖에 없으므로 압축기의 신뢰성 시험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지고 시험장치도 여러 대 마련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험을 하는 압축기에 사용되는 냉매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이에 맞 게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냉매를 적용하여야 하는 바, 그 냉매의 종류에 따라 다른 시험장치를 사용하거나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냉매의 종류에 따라 그 화학적 특성에 맞는 윤활오일이 다를 수 있으므로 매번 윤활오일을 교체하여 주어야 하므로 그 비용이 매우 크게 소요되고 시험시간이 예상 밖으로 매우 길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시험이 불가능한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압축기 시험장치에서는 냉매가 냉동사이클장치를 순환하는 동안 두 번의 상변화를 거치게 되는데(이는 압축기의 입구 및 출구 조건을 맞추기 위함이다),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상태와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상태가 모두 기체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은 냉매의 두 번의 상변화는 불필요한 것으로 에너지 소비 증가와 시험장치의 복잡화 및 시험시간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냉매 가운데 CFC계열의 냉매의 경우 환경문제를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과부하 시험, 기동 및 정지 반복 시험, 기밀 시험 및 가압시험 등이 가능한 복합적인 신뢰성 시험장치를 제작하되 그 구조를 간소화하고 시험시간과 시료수를 단축시키며 시험장치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는, 이산화 탄소를 매체로 하여 시험용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이산화탄소가 유동하는 고압관 및 상기 시험용 압축기로 이산화탄소가 복귀하는 저압관과, 상기 고압관에 설치되는 감압장치와, 상기 고압관 및 저압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시험유닛; 상기 시험유닛의 고온 상태의 이산화탄소 매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력을 제공하는 냉각유닛; 및 상기 시험유닛 및 상기 냉각유닛과 연결되어 열교환을 통해 상기 고온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냉각시키는 열교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험유닛은 상기 고압관과 연결되는 고온열교환기와, 상기 저압관과 연결되는 저온열교환기와, 외부의 공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팬을 더 포함하여 상기 시험유닛의 열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유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장치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장치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팽창장치와 상기 열교환유닛이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유닛에서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냉기를 생성하여 상기 시험유닛의 이산화탄소의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험유닛은 상기 팬과 상기 저온열교환기와 시험용 압축기를 상기 팬의 송풍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저온열교환기를 통과한 차가운 공기가 상기 시험용 압축기의 표면을 냉각시켜 시험조건을 미세조정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체 외장을 형성하는 본체에 마련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유닛은 상기 제1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제2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유닛은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시험유닛의 일부가 설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시험유닛의 나머지 부분과 상기 시험유닛에 연결되는 시험용 압축기가 설치되는 시료실과, 상기 기계실과 상기 시료실을 구획하는 구획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시험장치에 사용되는 열전달을 위한 매체로서의 이산화탄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이산화탄소는 열적 특성이 아주 우수하여 고압의 형성이 쉽고 포화압력이 높기 때문에 기존 냉매의 운전범위 압력에서는 기체 상태만을 유지하므로 불필요한 상변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는 소량으로 고압유지가 쉽기 때문에 동일한 에너지를 흡수할 경우에 기존 냉매 보다 높은 온도영역을 유지하게 되어 압축기에 고온고압의 과부하 조건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를 매체로 사용할 경우에 윤활오일을 교체할 필요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의 화학적 특성 상 기존의 윤활오일과 상용성이 적어 이산화탄소로 압축기의 시험을 한 후 원래의 냉매를 주입하여도 이상반응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는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이산화탄소를 열전달의 매체로 사용하여 장비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시험시간과 시험비용을 대폭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시험유닛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냉각유닛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전체 외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는 시험유닛(200)과, 냉각유닛(400), 그리고 열교환유닛(300)으로 구성된다.
시험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하고자 하는 압축기(시험용 압축기(C))가 설치되고 열전달의 매체로서 이산화탄소가 사용되어 이산화탄소의 압축이 이루어지고 이산화탄소의 온도 및 압력의 변화가 측정되어 시험용 압축기(C)의 시험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기 시험유닛(200)은 열교환유닛(300) 과 연결된다.
즉 상기 시험유닛(200)은 시험용 압축기(C)의 출구와 연결되는 배관인 고압관(210)과, 시험용 압축기(C)의 입구와 연결되는 배관인 저압관(220)을 구비한다.
상기 고압관(210)에는 감압장치(211)와 압력센서(230) 및 온도센서(240)가 설치되는데, 시험용 압축기(C)에서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상태가 된 이산화탄소가 고압관(210)을 타고 감압장치(211)에서 압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미리 설정된 시험조건에 맞게 이산화탄소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때 압력센서(230)와 온도센서(240)가 고압관(210) 내의 이산화탄소의 압력과 온도를 감지한다.
한편, 고압관(210)에는 안전밸브(280)가 설치되어 이산화탄소의 과다한 압력으로 말미암은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고압관(210)을 흐르는 이산화탄소는 감압장치(211)에서 압력이 감소되고 열교환유닛(300)에서 온도가 떨어져서 저압관(220)을 흐를 때에는 저온 저압의 상태가 된다.
저압관(220)에는 볼밸브(221)와 압력센서(230) 및 온도센서(240)가 설치되는데, 볼밸브(221)는 저압관(220)을 흐르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나 압력 등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압력센서(230)와 온도센서(240)는 저압관(220) 측의 이산화탄소의 압력과 온도를 감지한다.
한편, 상기 고압관(210)에는 진공포트(272)가 연결되어 시험용 압축기(C)가 설치된 상태에서 시험장치 내부에 불순물이 존재하지 않도록 진공을 형성시키도록 하고, 상기 저압관(220)에는 차징포트(271)가 연결되어 최초 시험 시에 시험용 압 축기(C)에 이산화탄소를 봉입하도록 한다.
상기 고압관(210)과 상기 저압관(220) 사이에는 평형밸브(273)가 설치되어 시험용 압축기(C)의 출구와 입구의 압력이 평형이 되도록 하여 시험용 압축기(C)의 초기 기동 시 출구와 입구 간의 압력차에 의한 압축기에 무리가 가는 것을 막도록 한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닛(400)은 상기 열교환유닛(300)과 연결되어 상기 시험유닛(200)의 고온의 이산화탄소에 냉각력을 부여하여 이산화탄소가 저온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상기 냉각유닛(400)은 냉각력을 부여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 1에서는 그 한 예로서 냉동사이클장치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압축장치(410)와 응축장치(420), 응축팬(430), 그리고 팽창장치(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각유닛(400)에 사용되는 열전달 매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압축장치(410)에 사용되는) 냉매를 사용한다.
따라서 압축장치(410)에서 냉매가 압축되어 응축장치(420)에서 응축되고 팽창장치(440)에서 냉매가 팽창하여 상기 열교환유닛(300)에서 증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교환유닛(300)에서 차가운 기운이 발생하여 상기 시험유닛(200)의 고온의 이산화탄소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유닛(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험유닛(200)의 고압관(210) 및 저압관(220)과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닛(400)의 팽창장치(440)와 연결된 이중관 구성으로서 상기 시험유닛(200)의 관점에서는 냉각기 역할을 하는 것이 고 상기 냉각유닛(400)의 관점에서는 증발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험유닛(200)에는 상기 고압관(210)에 고온열교환기(250)와 상기 저압관(220)에 저온열교환기(26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온열교환기(250) 및 상기 저온열교환기(260)는, 일반적인 열교환기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파이프와 냉각핀 등으로 복잡하게 구성되도록 제작될 필요는 없고, 상기 고압관(210)과 상기 저압관(220)을 각각 미앤더 형상(meander)으로 유동길이와 면적을 다소 크게 해주어 어느 정도까지만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단순하게 형성시킨다.
상기 고온열교환기(250)와 저온열교환기(260)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간단한 구조를 통해 시험용 압축기의 이산화탄소 토출온도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냉각유닛(300)의 냉각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온열교환기(250)와 저온열교환기(260)의 열교환을 위해 팬(270)이 설치되는데, 상기 팬(270)은 상기 고온열교환기(250)와 저온열교환기(260)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열교환기(260)에만 설치되도록 하여 저온열교환기(260)에서는 팬(270)에 의한 강제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고온열교환기(250)에서는 자연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열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시험용 압축기(C)의 표면을 냉각시킴으로써 시험조건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을 실현시키기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270)과 저온열교환기(260)와 시험용 압축기(C)를 상기 팬(270)의 송풍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도록 하여 상기 저온 열교환기(260)를 거친 차가운 공기가 시험용 압축기(C)의 표면을 어느 정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5 내지 도 8은 상기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제품화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압축기 시험장치는 전체적인 외장을 나타낸 것으로 본체(100)와 본체 전면의 도어(101)와 도어(101)의 하부측에 4면을 통해 형성된 통풍그릴(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101)는 후술할 제1챔버(시험용 압축기가 놓여지는 부분)의 전면을 개폐하는 것이고 상기 통풍그릴(130)이 형성된 곳은 후술할 제2챔버(냉각유닛이 설치되는 부분)의 통풍을 위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는 본체(100)의 상부에 제1챔버(110)가 마련되고 그 하부에 제2챔버(120)가 마련된다.
상기 제1챔버(110)에는 시험유닛(200)과 시험용 압축기(C)가 설치되고, 상기 제2챔버(120)에는 냉각유닛(400)과 열교환유닛(300)이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유닛(300)은 상기 제1챔버(110)나 제2챔버(120) 중 어느 곳에든 설치 가능하다.
상기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에 설치된 시험유닛(200)과 열교환유닛(300)과 냉각유닛(400)의 구성은 지금까지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제1챔버(110)에는 시험유닛(200)이 설치된 부분과 시험용 압축기(C)가 놓여지는 부분을 구획하기 위해 구획그릴(113)이 설치된다. 즉 시험용 압축기(C)와 저온열교환기(260) 사이에 구획그릴(113)이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챔버(110)는 구획그릴(113)에 의해 시료실(111)과 기계실(112)로 구획된다. 상기 기계실(112)에는 시험유닛(200)의 대부분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시료실(111)에는 시험용 압축기(C)가 놓여져서 시험유닛(200)과 연결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기계실(112)에는 감압장치와 볼밸브와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 그리고 고온열교환기 및 저온열교환기와 팬 등이 설치되고, 시료실(111)에는 차징포트(271)와 진공포트(272), 그리고 고압관(210)의 일부와 저압관(22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압관(210)과 저압관(220)이 각각 시험용 압축기(C)의 출구측과 입구측에 연결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후면부에는 각각 제1챔버(110)와 제2챔버(120)(도 6 및 도 7 참조)에 해당하는 부분에 통풍그릴(130)이 설치되어 그 내부의 팬(270)이나 응축팬(430)(도 6 및 도 7 참조)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외부공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압축기 시험장치의 도어(101)를 열고 시험용 압축기(C)를 제1챔버(110)의 시료실(111)에 설치하고 전원선(미도시)을 연결한 후 진공포트(272)를 이용하여 배관 내 불응축 가스인 공기를 제거한다. 그리고 차징포트(271)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기밀시험 및 가압시험을 수행한다.
일정 시간 후 시험장치 내부의 압력을 검사(이 때 압력센서를 이용한다)하여 압력 변화가 없을 경우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방출시키고, 다시 정격용량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시험 준비를 완료한다.
시험용 압축기(C)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상태로 토출되면 감압장치(211)에서 압력이 강하되고 고온열교환기(250)에서 자연대류 방식으로 어느 정도의 열이 방출되도록 한 후 열교환유닛(300)으로 유입된다. 열교환유닛(300)은 냉각유닛(400)의 증발기 역할을 하는 곳으로 차가운 기운을 생성하는 냉매가 지나는 관이 열교환유닛(300)의 내부를 지나고 있어 상기 열교환유닛(300) 내부에 유입된 이산화탄소는 열교환되어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열교환되어 저온 저압이 된 이산화탄소는 저압관(220)을 유동하며 시험용 압축기(C)로 복귀한다.
이러한 순환과정을 계속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시험용 압축기(C)의 신뢰성을 시험한다.
한편 시험용 압축기(C)가 정지하였다가 다시 기동할 경우 시험용 압축기(C)의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를 완화시키기 위해 평형밸브(273)가 작동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압축기의 과부하 시험과 기동 및 정지 반복 시험, 그리고 기밀시험이나 가압시험 등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시험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시험장치는 과부하 시험, 기동 및 정지 반복 시험, 기밀시험이나 가압시험 등의 복합적인 시험을 모두 수행 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며 시험시간과 시험비용이 대폭 감소되며, 장비의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험장치의 운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시험용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이산화탄소가 유동하는 고압관 및 상기 시험용 압축기로 이산화탄소가 복귀하는 저압관과, 상기 고압관에 설치되는 감압장치와, 상기 고압관 및 저압관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시험유닛;
    상기 시험유닛의 고온 상태의 이산화탄소 매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력을 제공하는 냉각유닛; 및
    상기 시험유닛 및 상기 냉각유닛과 연결되어 열교환을 통해 상기 고온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냉각시키는 열교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유닛은 상기 고압관과 연결되는 고온열교환기와, 상기 저압관과 연결되는 저온열교환기와, 외부의 공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팬을 더 포함하여 상기 시험유닛의 열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하며, 상기 팬은 상기 고온열교환기와 상기 저온열교환기 모두에 설치되거나 상기 저온열교환기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시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장치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 장치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팽창장치와 상기 열교환유닛이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유닛에서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냉기를 생성하여 상기 시험유닛의 이산화탄소의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시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유닛은 상기 팬과 상기 저온열교환기와 시험용 압축기를 상기 팬의 송풍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저온열교환기를 통과한 차가운 공기가 상기 시험용 압축기의 표면을 냉각시켜 시험조건을 미세조정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시험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체 외장을 형성하는 본체에 마련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유닛은 상기 제1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제2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유닛은 상기 제1챔버 및 상기 제2챔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시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는 상기 시험유닛의 일부가 설치되는 기계실과, 상기 시험유닛의 나머지 부분과 상기 시험유닛에 연결되는 시험용 압축기가 설치되는 시료실과, 상기 기계실과 상기 시료실을 구획하는 구획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시험장치.
KR1020060044002A 2006-05-16 2006-05-16 압축기 시험장치 KR100782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002A KR100782973B1 (ko) 2006-05-16 2006-05-16 압축기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002A KR100782973B1 (ko) 2006-05-16 2006-05-16 압축기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096A KR20070111096A (ko) 2007-11-21
KR100782973B1 true KR100782973B1 (ko) 2007-12-07

Family

ID=3909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002A KR100782973B1 (ko) 2006-05-16 2006-05-16 압축기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3108A (zh) * 2016-05-18 2016-10-26 哈尔滨电机厂有限责任公司 电机内过流换热模拟测试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4388B (zh) * 2017-05-16 2024-02-20 潍坊学院 城市生活垃圾土三轴蠕变试验仪、制作方法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414A (ja) 1997-01-08 1998-07-3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プレッサ試験装置
KR19990031540A (ko) * 1997-10-13 1999-05-06 윤종용 압축기의 시험장치
JP2002364553A (ja) 2001-05-31 2002-12-18 Technological Research Association Of Super Marine Gas Turbine 圧縮機性能試験装置
KR20030011993A (ko) * 2001-07-30 2003-02-12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압축기의 성능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414A (ja) 1997-01-08 1998-07-3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プレッサ試験装置
KR19990031540A (ko) * 1997-10-13 1999-05-06 윤종용 압축기의 시험장치
JP2002364553A (ja) 2001-05-31 2002-12-18 Technological Research Association Of Super Marine Gas Turbine 圧縮機性能試験装置
KR20030011993A (ko) * 2001-07-30 2003-02-12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압축기의 성능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3108A (zh) * 2016-05-18 2016-10-26 哈尔滨电机厂有限责任公司 电机内过流换热模拟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096A (ko)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826B1 (ko) 냉매 장치
US7225635B2 (en) Refrigerant cycle apparatus
JP5381572B2 (ja) 冷凍装置の診断方法、冷凍装置の診断装置、及び冷凍装置
Ratts et al. An experimental analysis of cycling in a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6162246A (ja) 冷凍システム及び改善された遷臨界蒸気圧縮サイクル
US6698221B1 (en) Refrigerating system
JP2011117724A (ja) 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を用いた冷凍若しくは空調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100782973B1 (ko) 압축기 시험장치
Hoşöz Performance Comparison of Single-Stage and Cascade Refrigeration Systems Using R134a as the Working Fluid.
JP2012127565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H11351680A (ja) 冷房装置
US853979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ition critical refrigerating cycle device
JP5485602B2 (ja) 冷凍システム
JP2007212071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Fukuta et al. Mathematical model of vane compressors for computer simulation of automotive air conditioning cycle
KR100666057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각수 또는 온수 발생시스템
Winkler et al. Simulation and Validation of a R404A/CO2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JP2004085104A (ja) 冷蔵庫
JP2005226913A (ja) 遷臨界冷媒サイクル装置
CN115406129B (zh) 复叠制冷系统及环境试验箱
Taghav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Based on Exergy Destruction
JP2006207982A (ja) 冷凍装置及び冷蔵庫
Longsworth Helium compressor for GM and pulse-tube expanders
KR100526019B1 (ko) 흡착식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흡착식 냉동기
JP4318562B2 (ja) 冷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