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540A - 압축기의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540A
KR19990031540A KR1019970052317A KR19970052317A KR19990031540A KR 19990031540 A KR19990031540 A KR 19990031540A KR 1019970052317 A KR1019970052317 A KR 1019970052317A KR 19970052317 A KR19970052317 A KR 19970052317A KR 19990031540 A KR19990031540 A KR 19990031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refrigerant
tube
refrigerant pipe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3038B1 (ko
Inventor
김기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0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3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시험 검사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에 토출관과 흡입관이 배치된 피 시험대상물인 압축기와, 상기 흡입관과 착탈되는 제1 밸브를 일단부에 구비하고 타단부가 응축기의 일측에 관통되는 제1 냉매관과, 상기 응축기의 타측과 제2 냉매관에 의해 관통 설치되는 드라이어와, 상기 드라이어의 타측과 일단부가 관통되고 타단부가 증발기의 일측과 관통되며 단락된 양단부에 제2, 3 밸브가 구비된 제3 냉매관과, 상기 증발기의 타측과 일단부가 관통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흡입관과 착탈되는 제4 밸브를 구비한 제4 냉매관과, 상기 제2, 3 밸브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단락된 상기 제3 냉매관의 개통상태를 유지하는 캐필러리 튜브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압축기의 수명 및 성능에 대한 시험을 단시간에 걸쳐서 완료하며, 그 평가방법 또한 용이하게 진행한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시험장치
본 발명은 압축기의 시험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수명 및 성능에 대한 시험을 단시간에 걸쳐서 완료하며, 그 평가방법 또한 용이하게 진행하는 압축기의 시험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또는 밀폐형 회전 압축기)는, 냉동장치에서 기체가스를 고온고압의 액체상태로 압축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물론, 압축기는 그 적용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과 사양 등을 고려하여 이미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다양하게 제안 사용되고 있는데, 그 근본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즉, 압축기는 냉동장치에서 그 내부에 봉입된 가스상태의 냉매를 피스톤운동(또는 로터의 회전운동)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모세관을 경유할 때 압력이 급강하 되며 증발기에서 주위의 열을 빼앗아 증발하며 가스로 되어 다시 회전압축기로 회수된다. 이렇게 회수된 가스상태의 냉매는 압축기에 의해 다시 고온고압의 가스로 압축되며 상기의 동작을 반복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압축기는 그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 내부의 부품을 개발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품을 대체하여 사용하는 등 무한한 연구를 거듭하며, 압축기의 품질향상에 역점을 두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된 압축기는 직접 피 시험제품에 채택되어, 그 수명과 그에 따른 성능에 대한 시험 평가를 거친후, 비로소 제품에 적용된다.
즉, 이와 같이 개발된 압축기는, 직접 제품에 채택되기 전에, 그 수명과 성능 등을 시험한후 제품에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의 성능을 시험하는 방법의 일예로, 압축기를 피 시험제품에 설치한 상태에서 진행하는 수명 시험방법과, 피 시험제품에 설치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동안 시험가동을 완료한 압축기를 절단하여 그 내부를 확인하는, 단품에 의한 시험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 시험방법에 있어서는, 그 시험시간이 길 뿐만 아니라, 시험후의 평가방법 또한 상당히 까다롭고 번거로워 비 현실적이라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압축기의 수명 및 성능 등을 시험하는 시험방법에 대한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압축기의 시험시간을 단축하며, 또, 그 평가방법 또한 단순한 압축기의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시험장치를 보인 사이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압축기 11 ; 토출관
12 ; 흡입관 20 ; 제1 냉매관
21 ; 제1 밸브 30 ; 응축기
40 ; 제2 냉매관 50 ; 드라이어
60 ; 제3 냉매관 61 ; 제2 밸브
70 ; 캐필러리 튜브 80 ; 증발기
90 ; 제4 냉매관 91 ; 제 4 밸브
110 ; 제1 게이지 120 ; 제2 게이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에 토출관과 흡입관이 배치된 피 시험대상물인 압축기와, 상기 흡입관과 착탈되는 제1 밸브를 일단부에 구비하고 타단부가 응축기의 일측에 관통되는 제1 냉매관과, 상기 응축기의 타측과 제2 냉매관에 의해 관통 설치되는 드라이어와, 상기 드라이어의 타측과 일단부가 관통되고 타단부가 증발기의 일측과 관통되며 단락된 양단부에 제2, 3 밸브가 구비된 제3 냉매관과, 상기 증발기의 타측과 일단부가 관통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흡입관과 착탈되는 제4 밸브를 구비한 제4 냉매관과, 상기 제2, 3 밸브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단락된 상기 제3 냉매관의 개통상태를 유지하는 캐필러리 튜브로 구비된 압축기의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시험장치를 보인 사이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 시험대상물인 압축기(10)의 일측에는 토출관(11)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흡입관(12)이 구비된다.
피 시험대상물인 상기 압축기(10)는 그 내부에 구동시 발생되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유로써, 일반적인 압축기(10)와 동일하게 냉동기유(또는 윤활유)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의 압축기에 사용되는 냉동기유로는 광유, 폴리 알킬 그라이콜(Poly Alkyl Glycol), 에스테르계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스테르계는 40℃에서 2∼70 cst 점도, 100℃에서 1∼9 cst의 점도를 유지하는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을 선택하여 기본오일로써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압축기(10)에 봉입되는 냉매는 클로로 플로로 카본(chloro floro carbon)계, 하이드로 플로로 카본(hydro floro carbon)계, 플로로 카본(floro carbon)계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관(11)은 일단부에 제1 밸브(21)를 갖춘 제1 냉매관(20)에 의해 응축기(30)와 일체로 관통된다.
상기 응축기(30)는 제2 냉매관(40)에 의해 내측에 흡습제(또는 건조제)가 채워진 드라이어(50)의 일측과 관통 설치된다.
상기 드라이어(50)는 냉매에 함유된 수분을 흡습, 제거하는 통상적인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어(50)의 내측에 담겨지는 흡습재(또는 건조재)는 그 내경이 3.3㎜를 벗어나지 않고, 상온에서의 수분 흡습량이 1g당 1.0% 이상이며, 전체 중량이 13g 이하로 이루어지는 실리케이트 알카리 금속 및 알루미네이트 알카리 금속으로 합성된 제오라이트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응축기(30)는 그 내경이 1.5㎜∼5.5㎜ 이고, 길이가 5,000㎜∼10,000㎜의 범위를 유지하는 동관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라이어(50)의 타측은 증발기(80)의 일측과 제3 냉매관(60)에 의해 관통 된다.
상기 제3 냉매관(60)은 단락되어 분리 구성되며, 그 상응하는 양단부에는 제2, 3 밸브(61)(62)가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80)와 상기 압축기(1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흡입관(12)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제4 냉매관(90)에 의해 연결된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상기 증발기(90)는 내경이 4.5㎜∼8.5㎜ 이고, 길이가 6,000㎜∼10,000㎜를 유지하는 동관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냉매관(90)은 그 일단부가 상기 증발기(80)의 타측과 관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흡입관(12)과 제4 밸브(91)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된다.
한편, 상기 제2, 3 밸브(61)(62)에 의해 단락된 상기 제3 냉매관(60)은 캐필러리 튜브(70)에 의해 그 개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필러리 튜브(70)는 내경이 0.5㎜∼1.0㎜ 이고, 길이가 1,000㎜∼3,500㎜를 유지하는 동관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기(10)의 토출측인 상기 제1 냉매관(20)과, 상기 압축기(10)의 흡입측인 상기 제4 냉매관(90)의 적당한 곳에는 피 시험대상물인 압축기(10)에서 토출 및 흡입되는 냉매압을 측정하는 제1, 2 게이지(110)(120)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 게이지(110)(120)는 그 계측방식이 아날로그 방식이나 디지털 방식중 어느 것이나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밸브(21)(61)(62)(91)는 관체와 관체를 나사결합식 등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이음방법중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에 따른 시험장치에 의해 시험하고자 하는 압축기(10)를 상기 제1 밸브(21)와 제4 밸브(91)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제2 밸브(61)와 상기 제3 밸브(62)의 사이에는 캐필러리 튜브(70)를 연결 설치한다.
시험장치에 대해 피 시험대상물인 압축기(10)와 캐필러리 튜브(70) 등의 설치가 완료되면, 시험장치의 요소마다 배치된 모든 밸브, 즉, 제1,2,3,4 밸브(21) (61)(62)(91)를 개방한 후, 상기 제1, 2 게이지(110)(120)의 눈금(또는 수치가)이 설정된 대기압 이하로 떨어지는지 확인하며 진공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진공상태가 완료되면 개방되었던 상기 제1,2,3,4 밸브(21)(61) (62)(91)를 폐쇄한후, 상기 압축기(10)의 내측으로 서서히 냉매를 주입하면서, 미도시한 전원스위치를 "ON" 시키며 압축기(10)를 가동시킨다.
압축기(10)가 가동되면, 압축기의 시험조건에 필요한 온도와 압력 등을 제1, 2 게이지(110)(120)에 의해 일치시킨후 연속적으로 가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설정된 시간동안 진행하며 피 시험대상물인 압축기(10)의 시험이 완료되면, 폐쇄되었던 모든 밸브를 개방한후, 상기 제2, 3 밸브(61)(62)사이에 설치되어 개통상태를 유지하던 캐필러리 튜브(70)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피 시험대상물인 압축기(10) 및 캐필러리 튜브(70)의 시험이 완료되면, 캐필러리 튜브(70)를 분리한후, 이를 절결하여 압축기로부터 발생되어 캐필러리 튜브(70)의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의 퇴적상태를 통상적인 SEM 방법, 또는, 이미지 라이저(Imagelizer) 등의 방법으로 평가한다.
또한, 캐필러리 튜브(70)의 내부에 퇴적된 퇴적물에 대해 무기물, 유기물 분석을 하며, 압축기의 수명 및 성능검사를 한다.
즉, 캐필러리 튜브(70)가 막히게 되는 요인인 압축기(10)의 인자, 예를 들어 방청유나 세정제류와 같은 용해성 이물질 등을 찾아 개선을 함으로써, 압축기의 신뢰성 검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시간에 걸쳐서 압축기의 시험을 완료하며, 그 평가방법 또한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의 수명 및 성능에 대한 시험을 단시간에 걸쳐서 완료하며, 그 평가방법 또한 용이하게 진행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한정하여 도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에 따른 요지인 청구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Claims (9)

  1. 일측과 타측에 토출관과 흡입관이 배치된 피 시험대상물인 압축기와, 상기 흡입관과 착탈되는 제1 밸브를 일단부에 구비하고 타단부가 응축기의 일측에 관통되는 제1 냉매관과, 상기 응축기의 타측과 제2 냉매관에 의해 관통 설치되는 드라이어와, 상기 드라이어의 타측과 일단부가 관통되고 타단부가 증발기의 일측과 관통되며 단락된 양단부에 제2, 3 밸브가 구비된 제3 냉매관과, 상기 증발기의 타측과 일단부가 관통 설치되며 타단부가 상기 흡입관과 착탈되는 제4 밸브를 구비한 제4 냉매관과, 상기 제2, 3 밸브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단락된 상기 제3 냉매관의 개통상태를 유지하는 캐필러리 튜브로 구비된 압축기의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피 시험대상물인 상기 압축기에서 사용되는 냉동기유는 광유, 폴리 알킬 그라이콜(Poly Alkyl Glycol), 에스테르계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인 압축기의 시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는 40℃에서 2∼70cst, 100℃에서 1∼9 cst의 점도를 유지하는 한가지 이상의 지방산 에스테르 오일을 기본오일로써 사용하는 압축기의 시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 봉입된 냉매는 클로로 플로로 카본계, 하이드로 플로로 카본계, 플로로 카본계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인 압축기의 시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는 그 내측에 담겨진 건조재가 내경이 3.3㎜ 이하이고, 상온에서의 수분 흡습량이 1g당 1.0% 이상이며, 전체 중량이 13g 이하로 이루어지는 실리케이트 알카리 금속 및 알루미네이트 알카리 금속으로 합성된 제오라이트인 압축기의 시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내경이 1.5㎜∼5.5㎜ 이고, 길이가 5,000㎜∼10,000㎜의 범위를 유지하는 동관인 압축기의 시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내경이 4.5㎜∼8.5㎜ 이고, 길이가 6,000㎜∼10,000㎜의 범위를 유지하는 동관인 압축기의 시험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필러리 튜브는 내경이 0.5㎜∼1.0㎜ 이고, 길이가 1,000㎜∼3,500㎜의 범위를 유지하는 동관인 압축기의 시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3 냉매관에는 각 냉매관을 통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 2 게이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하는 압축기의 시험장치.
KR1019970052317A 1997-10-13 1997-10-13 압축기의 시험장치 KR10023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317A KR100233038B1 (ko) 1997-10-13 1997-10-13 압축기의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317A KR100233038B1 (ko) 1997-10-13 1997-10-13 압축기의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540A true KR19990031540A (ko) 1999-05-06
KR100233038B1 KR100233038B1 (ko) 1999-12-01

Family

ID=1952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317A KR100233038B1 (ko) 1997-10-13 1997-10-13 압축기의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0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973B1 (ko) * 2006-05-16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시험장치
CN111059043A (zh) * 2019-12-23 2020-04-24 王佳元 一种新型罗茨真空泵测试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973B1 (ko) * 2006-05-16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시험장치
CN111059043A (zh) * 2019-12-23 2020-04-24 王佳元 一种新型罗茨真空泵测试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3038B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5955B1 (en) Refrigerating system which can favorably use as a refrigerant, a fluid smaller in specific volume than a general refrigerant
US2579053A (en) Dehydrator
KR940000757A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
US5375426A (en) Process to clean a lubricated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 by using carbon dioxide
KR100233038B1 (ko) 압축기의 시험장치
EP0952206A4 (en) LUBRICATING OIL FOR COMPRESSION REFRIGERATOR AND AIR FRIDGE OR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US58468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non-hydrocarbon refrigerant
KR950025273A (ko) 로터리압축기 및 그를 이용한 냉장고, 냉동장치 및 공기조화기
KR20090010211A (ko) 밀폐형 압축기 및 냉동 장치
JP2004150437A (ja) 圧縮機油の分流装置
US196777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frigerating apparatus
EP0779354A1 (en) Refrigerating system for refrigerator
US1634400A (en) Refrigerating apparatus
Goswami et al.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moisture on the performance of an air-conditioning system
US5949034A (en) Absorptive silencer for use in a compressor
US4129997A (en) Permanent refrigerant dehydrator
CN213337627U (zh) 一种密封性能好的润滑脂低温转矩测定仪
KR0151546B1 (ko) 냉매압축기
JPH07269996A (ja) 冷凍装置および冷媒圧縮装置
CN216953642U (zh) 一种使用r744制冷剂的空调充注机的油气分离装置
NO20020525L (no) Horisontal lukket type kompressor for befordringsmiddelbruk og kjölesystem for elektrisk kompressor for befordringsmiddelbruk
KR200149901Y1 (ko) 저온실험용 챔버
JP2000039236A (ja) 空気調和機
DE431980C (de) Kompressions-Kaeltemaschine
JPH11159912A (ja) 密閉型電動圧縮機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のサービス方法及び冷凍サイクル及び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