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817B1 -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817B1
KR100782817B1 KR1020050079449A KR20050079449A KR100782817B1 KR 100782817 B1 KR100782817 B1 KR 100782817B1 KR 1020050079449 A KR1020050079449 A KR 1020050079449A KR 20050079449 A KR20050079449 A KR 20050079449A KR 100782817 B1 KR100782817 B1 KR 10078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print medium
ink
guide rib
sp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072A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817B1/ko
Priority to US11/505,434 priority patent/US7645038B2/en
Priority to CNB2006101218837A priority patent/CN100473530C/zh
Publication of KR20070027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6Flat page-size platens or smaller flat platens having a greater size than line-size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5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20Fluid-pressure power drives
    • B41J23/26Fluid-pressure power drives for platen or carriage movements, e.g. for line spacing, letter spacing, or carriage retu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Ink Jet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스피팅(spitting)시 플래튼(platen)에 형성되어 있는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노즐부로부터 분사되는 잉크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속 인쇄시 급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즐부가 구비된 어레이 방식의 잉크젯 헤드, 및 상기 잉크젯 헤드의 노즐부와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고, 잉크 배출구 및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플래튼(platen)을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은 제1플래튼부, 및 상기 제1플래튼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제2플래튼부를 구비하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Spitting device in inkjet head an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팅 장치를 구비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피팅 장치에 구비된 잉크젯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피팅 장치에 구비된 플래튼에 형성되어 있는 잉크 배출구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피팅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피팅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스피팅 장치의 작용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잉크젯 헤드 112: 노즐부
113: 배출롤러 114: 급지 카세트
115: 피딩롤러 118: 폐잉크 컨테이너
120: 플래튼(platen) 121: 제1플래튼부
121a: 잉크 배출구 121b: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
121c: 제2플래튼부 가이드 122: 제2플래튼부
122a: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 122b: 제2플래튼 기어부
122c: 제1기어 122d: 제2기어
122e: 구동모터 122f: 제2플래튼 홈부
본 발명은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팅시 플래튼에 형성되어 있는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노즐부로부터 분사되는 잉크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속 인쇄시 급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복사기, 팩시밀리, 스캐너 등과 결합되어 복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비충격식(non-impact)이므로 도트(dot) 프린터에 비하여 인쇄 소음이 적다. 또한, 장치의 소형 경량화가 용이하고, 다색의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컬러 인쇄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잉크젯 헤드는 잉크의 미소한 액적(droplet)을 인쇄매체 상의 원하는 위치에 토출시킨다. 잉크젯 헤드는 잉크 저장소 등과 연결된 카트리지 형태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다. 잉크젯 헤드는 열에너지나 압전소자 등을 잉크 토출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에칭,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의하여 고해상도를 가지도록 제조된다.
잉크젯 헤드에 마련된 노즐부는 잉크를 인쇄매체에 분사한다. 인쇄가 종료된 후에 잉크젯 헤드의 노즐부 표면에는 분사되고 남은 잉크나 이물질 등이 부착된다. 이러한 잔류 잉크나 이물질 등은 시간이 지나면서 노즐부 구멍에 고착화되므로, 인쇄시에 잉크 액적을 분사하지 못하는 불량 노즐이 발생하거나, 잉크 액적의 분사 방향이 편향되어 잉크 액적의 착탄 위치가 어긋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는 노즐부 표면을 청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노즐부 표면의 잔류 잉크나 이물질을 닦아내는 와이핑(wiping)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막힘 없는 노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잉크를 분사하여 노즐부 구멍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피팅(spitting) 수단과, 잉크젯 화상형성장치가 대기(standby) 상태에 있을 때 노즐부를 덮어서 잉크 건조를 방지하고 외부 이물질로부터 노즐부를 보호하는 캡핑(capping) 수단을 구비한다.
상술한 와이핑 수단, 스피팅 수단, 캡핑 수단 등을 통칭하여 메인테넌스(maintenance) 수단이라고 한다. 잉크젯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크기와 구조가 경박화된 메인테넌스 수단이 필요하다.
인쇄매체의 폭 크기로 노즐부를 마련하고, 인쇄매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며 화상을 인쇄하는 어레이(array) 방식의 잉크젯 헤드는 그 폭이 상대적으로 길다. 따라서, 메인테넌스 수단이 설치되는 공간도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된다. 메인테넌스 작업시, 잉크젯 헤드는 메인테넌스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위치 고정된 노즐부에 대하여 와이핑 수단, 스피팅 수단 및 캡핑 수단 등이 서로 번갈아 이동되면서 소정의 메인테넌스 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스피팅 수단은 잉크젯 헤드에 설치된 노즐부, 플래튼(platen)에 형성되어 있 는 잉크 배출구 및 스피팅시 분사된 잉크가 플래튼의 잉크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어 보관되는 폐잉크 컨테이너를 구비한다.
플래튼에는 통상적으로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스피팅시에 잉크젯 헤드의 노즐부에서 분사된 잉크는 그 일부가 플래튼의 잉크 배출구로 향하지 않고 그 주변으로 비산하여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를 오염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잉크로 오염된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는 스피팅 후 인쇄되는 인쇄매체의 배면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플래튼의 잉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설치되지 않아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의 면적이 감소함으로써 고속 인쇄시 급지의 안정성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래튼을 잉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스피팅시에는 이동부를 노즐부의 분사영역 밖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잉크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시 잉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도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위치하도록 플래튼을 구성함으로써 고속 인쇄시 급지의 안정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부가 구비된 어레이 방식의 잉크젯 헤드, 및 상기 잉크젯 헤드의 노즐부와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고, 잉크 배출구 및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플래튼(platen)을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은 제1플래튼부, 및 상기 제1플래튼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제2플래튼부를 구비하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배출구는 상기 노즐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1플래튼부의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래튼부에는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래튼부의 상기 노즐부를 향한 면은 상호 단차진 두 개의 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두 면 중 상방에 위치한 면에는 상기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두 면 중 하방에 위치한 면에는 상기 잉크 배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플래튼부의 상기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는, 스피팅시가 아닐 때에는 상기 제1플래튼부의 상기 잉크 배출구 위를 교차하여 덮고, 스피팅시에는 상기 잉크 배출구가 완전히 드러나게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팅시가 아닐 때, 상기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의 상단부는 상기 제1플 래튼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플래튼부에는 돌기 형상의 제2플래튼부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플래튼부에는 상기 제2플래튼부 가이드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되는 제2플래튼 홈부, 및 제2플래튼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래튼 기어부는 소정의 기어를 통해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래튼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부로부터 분사되어 상기 잉크 배출구를 통과한 잉크가 수집되는 폐잉크 컨테이너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는 상기 잉크젯 헤드의 일단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팅 장치를 구비한 잉크젯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어레이 방식 잉크젯 헤드(110), 인쇄매체(P)를 저장하는 급지카세트(114),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17), 픽업된 인쇄매체(P)를 노즐부(112)로 이송시키는 피딩롤러(115a, 115b), 인쇄된 인쇄매체(P)를 배출하는 배출롤러(113a, 113b), 배출되는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배지대(130)가 도시된다.
인쇄매체(P)는 x 방향으로 이송되며, y 방향은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이다.
잉크젯 헤드(110)는 잉크가 저장되는 몸체(111)와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부(112)를 구비한다.
배지롤러(113)는 인쇄매체(P)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타휠(113a)과, 이에 대면되어 인쇄매체(P)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3b)를 구비한다. 스타휠(113a)은 인쇄매체(P)의 상면에 점 접촉됨으로써, 인쇄매체(P)의 상면에 분사되어 아직 마르지 않은 잉크 화상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고속 인쇄가 행하여지므로, 배지대(130)에 적재된 인쇄매체(P) 상면의 잉크가 마르기 전에 다음 인쇄매체(P)가 적재되면, 그 인쇄매체(P)의 배면이 잉크로 오염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건조 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110)에 저장된 잉크가 마르지 않도록 노즐부(112)를 캡핑(capping)하거나, 노즐부(112) 표면에 잔류하는 잉크를 와이핑(wiping)하거나, 노즐부(112)가 막히지 않도록 스피팅(spitting)하는 동작이 노즐부의 메인테넌스(maintenance)를 위해 수행된다.
도 2는 도 1의 스피팅 장치에 구비된 잉크젯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잉크젯 헤드(110)는 몸체(111)와 노즐부(112)를 구비한다. 노즐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잉크젯 헤드(110)의 길이는 인쇄매체(P)의 폭 크기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부들(112)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즐부들(112)은 일자형 등 다른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들(112)은 인쇄매체(P) 상에 인쇄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인접한 단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도 3은 도 1의 스피팅 장치에 구비된 플래튼(platen)에 형성되어 있는 잉크 배출구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잉크 배출구(121a)는 잉크젯 헤드(110)에 구비된 노즐부(112)에 대응되는 플래튼(120)의 위치에 형성되며, 잉크 배출구(121a)의 개수는 노즐부(112)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스피팅(spitting)시 노즐부(112)에서 분사된 잉크가 플래튼(120)의 잉크 배출구(121a)를 통해 후술하는 폐잉크 컨테이너(118)에 수집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스피팅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스피팅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피팅 장치는 잉크젯 헤드(110), 플래튼(120) 및 폐잉크 컨테이너(118)를 구비한다.
잉크젯 헤드(110)의 하단면에는 노즐부(112)가 마련되어 있다.
플래튼(120)은 제1플래튼부(121)와 제2플래튼부(122)를 포함하고 제2플래튼부(122)는 제1플래튼부(1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플래튼부(121)의 노즐부(112)를 향한 면은 상호 단차진 두 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 면 중 상방에 위치한 면에는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1b)가 형성되며, 상기 두 면 중 하방에 위치한 면에는 잉크 배출구(121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플래튼부(121)의 노즐부(112)를 향한 면은 단차 없는 단일의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 제1플래튼부(121)에는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지 않 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플래튼부(121)의 상호 단차진 두 개의 면 중 하방에 위치한 면 위에는 제2플래튼부(122)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플래튼부(122)가 제1플래튼부(121)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플래튼부(121)에는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양 측단면에 돌기 형상의 제2플래튼부 가이드(121c)가 구비되어 있고, 제2플래튼부(122)에는 제2플래튼부 가이드(121c)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되는 제2플래튼 홈부(122f) 및 제2플래튼 기어부(122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플래튼 기어부(122b)는 구동모터(122e)로부터 소정의 기어를 통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122e)는 제2기어(122d)와 제1기어(122c)를 통해 제2플래튼 기어부(122b)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모터(122e)와 제2플래튼 기어부(122b) 사이를 연결하는 기어의 개수 및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제1플래튼부와 제2플래튼부를 포함하는 플래튼의 구성에는 다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2플래튼부(122)의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는, 인쇄작업시 등 스피팅시가 아닐 때에는 제1플래튼부(121)의 잉크 배출구(121a) 위를 교차하여 그 일부를 덮고, 스피팅시에는 잉크 배출구(121a)가 완전히 드러나게 소정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플래튼부(122)는 제1플래튼부(121)에 대하여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플래튼부(122)의 노즐부(112)를 향한 면에는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는 제1플래튼부(121)의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1b)를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1b) 및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 모두가,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소정의 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인쇄매체(P)의 배면 부분을 지지하여 인쇄매체(P)의 이송에 대한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1b)와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는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소정의 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1b)와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는 개수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시 등 스피팅시가 아닐 때에는,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가 잉크 배출구(121a)를 가로질러 그 일부를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잉크 배출구의 설치로 인해 잉크 배출구의 설치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인쇄매체와의 전체적인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고속 인쇄시 급지의 안정성이 저해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1b)의 상단부와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의 상단부는 제1플래튼부(121)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1b)와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가 인쇄매체(P)의 배면을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지지하게 되어 인쇄매체(P)의 원활한 이송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폐잉크 컨테이너(118)는 제1플래튼부(121)의 하방에 배치되며, 노즐부(112)로부터 분사되어 제1플래튼부(121)의 잉크 배출구(121a)를 통과한 잉크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팅 장치의 플래튼(120)이 제1플래튼부(121)와 제2플래튼부(122)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제2플래튼부(122)가 제1플래튼부(121) 상에서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피팅 장치의 플래튼(120)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플래튼부와 제2플래튼부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제2플래튼부는 제1플래튼부에 대하여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이 모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플래튼(120)은, 스피팅시가 아닐때에는 제2플래튼부가 제1플래튼부 상에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스피팅시에는 제2플래튼부가 제1플래튼부의 하방으로 수직이동한 다음, 제2플래튼부에 형성된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스피팅시 노즐부로부터 분사되는 잉크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 커버부 내로 수평 및/또는 수직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기 위해서, 플래튼(120)은 본 실시예에서와는 다른 제2플래튼부 이동 구조를 가져야 할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스피팅 장치의 작용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스피팅 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인쇄작업 중이거나 기타 스피팅시가 아닐 때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래튼부(122)는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이 때,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는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1b)에 근접된 상태에서, 잉크 배출구(121a) 위를 가로질러 잉크 배출구(121a)의 일부를 덮고 있다.
다음에, 스피팅 작업이 개시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22e)가 작동되어 기어들(122b, 122c, 122d)의 작용에 의해 제2플래튼부(122)가 제1플래튼부(121) 위를 슬라이딩하여 인쇄매체(P)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2a)는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121b)로부터 이격되게 되고, 잉크 배출구(121a)가 완전히 드러나게 된다.
다음에, 잉크젯 헤드(110)에 설치된 노즐부(112)로부터 잉크가 분사되게 된다. 분사된 잉크는 제1플래튼부(121)의 잉크 배출구(121a)를 통과하여 제1플래튼부(121)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폐잉크 컨테이너(118)로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래튼을 잉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와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스피팅시에는 이동부를 노즐부의 분사영역 밖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잉크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시 잉크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도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위치하도록 플래튼을 구성함으로써 고속 인쇄시 급지의 안정성 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노즐부가 구비된 어레이 방식의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헤드의 노즐부와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어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잉크배출구가 마련된 플래튼;을 포함하며,
    상기 플래튼은,
    제1플래튼부;
    상기 제1플래튼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제2플래튼부;를 구비하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배출구는 상기 노즐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1플래튼부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래튼부에는 상기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래튼부의 상기 노즐부를 향한 면은 상호 단차진 두 개의 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두 면 중 상방에 위치한 면에는 상기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두 면 중 하방에 위치한 면에는 상기 잉크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래튼부의 상기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는, 스피팅시가 아닐 때에는 상기 제1플래튼부의 상기 잉크 배출구 위를 교차하여 덮고, 스피팅시에는 상기 잉크 배출구가 완전히 드러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스피팅시가 아닐 때, 상기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의 상단부는 상기 제1플래튼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래튼부에는 돌기 형상의 제2플래튼부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플래튼부에는 상기 제2플래튼부 가이드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되는 제2플래튼 홈부, 및 제2플래튼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래튼 기어부는 소정의 기어를 통해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부로부터 분사되어 상기 잉크 배출구를 통과한 잉크가 수집되는 폐잉크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9. 삭제
  10. 노즐부가 구비된 어레이 방식의 잉크젯 헤드;
    상기 잉크젯 헤드의 노즐부와 대면되어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플래튼;을 포함하며,
    상기 플래튼은,
    상기 노즐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잉크배출구가 마련된 제1플래튼부;
    상기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제1플래튼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피팅을 위하여 상기 제2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상기 잉크배출구를 개방하는 위치와, 인쇄를 위하여 상기 제2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상기 잉크 배출구 위를 교차하여 덮는 위치로 이동되는 제2플래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래튼부의 상기 노즐부를 향한 면은 상호 단차진 두 개의 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두 면 중 상방에 위치한 면에는 상기 인쇄매체의 배면을 지지하는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두 면 중 하방에 위치한 면에는 상기 잉크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인쇄시에 상기 제1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의 상단부와 상기 제2 인쇄매체 가이드 리브의 상단부는 상기 제1플래튼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부로부터 분사되어 상기 잉크 배출구를 통과한 잉크가 수집되는 폐잉크 컨테이너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20050079449A 2005-08-29 2005-08-29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078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449A KR100782817B1 (ko) 2005-08-29 2005-08-29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US11/505,434 US7645038B2 (en) 2005-08-29 2006-08-17 Spitting device for inkjet head of image forming apparatus
CNB2006101218837A CN100473530C (zh) 2005-08-29 2006-08-29 用于喷墨头的吐出装置及具有吐出装置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449A KR100782817B1 (ko) 2005-08-29 2005-08-29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072A KR20070027072A (ko) 2007-03-09
KR100782817B1 true KR100782817B1 (ko) 2007-12-06

Family

ID=3780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449A KR100782817B1 (ko) 2005-08-29 2005-08-29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45038B2 (ko)
KR (1) KR100782817B1 (ko)
CN (1) CN1004735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504A (ko) * 2007-06-28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스피팅 방법
GB2507876B (en) * 2012-09-12 2014-10-08 Linx Printing Tech Ink jet print head and cap
JP5924260B2 (ja) * 2012-12-28 2016-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6528492B2 (ja) * 2015-03-23 2019-06-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US10183505B2 (en) * 2015-05-27 2019-01-22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platen
JP6780249B2 (ja) * 2016-01-29 2020-11-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8176497A (ja) * 2017-04-07 2018-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CN110730721B (zh) 2017-04-17 2022-03-1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可移动的压板肋
JP7218150B2 (ja) * 2017-11-01 202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13874219A (zh) * 2019-05-30 2021-12-31 惠普发展公司, 有限责任合伙企业 压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6442A (en) 1991-11-14 1993-06-01 Xerox Corporation Moving platen architecture for an ink jet printer
JP2534690B2 (ja) 1986-12-25 1996-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5103770A (ja) 2003-09-26 2005-04-2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780B1 (ko) 1989-01-12 1993-06-08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인쇄장치
JPH0444876A (ja) 1990-06-12 1992-02-14 Canon Inc 画像記録装置のクリーニング用シートおよび該クリーニング用シートを用いた画像記録装置
JP3904055B2 (ja) 1999-04-06 2007-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940889B2 (ja) 2000-10-19 2007-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ラテンおよび該プラテン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204577B2 (en) * 2002-06-11 2007-04-17 Seiko Epson Corporaion Waste liquid treating devic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7467845B2 (en) * 2003-09-22 2008-12-23 Fujifilm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690B2 (ja) 1986-12-25 1996-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216442A (en) 1991-11-14 1993-06-01 Xerox Corporation Moving platen architecture for an ink jet printer
JP2005103770A (ja) 2003-09-26 2005-04-2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45038B2 (en) 2010-01-12
CN1923513A (zh) 2007-03-07
US20070046757A1 (en) 2007-03-01
CN100473530C (zh) 2009-04-01
KR20070027072A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2817B1 (ko) 잉크젯 헤드의 스피팅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JP5004533B2 (ja) 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ノズル部メンテナンス方法
JP4241795B2 (ja) 液体噴射装置
JP4939620B2 (ja) サービスステーション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EP1405725B1 (en) Maintenance method for an ink-jet printhead
JP417539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788675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US74678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184446A (ja) 液体吐出装置
JP5035377B2 (ja) 液体吐出装置
KR20070012061A (ko) 잉크젯 프린터용 프린트 헤드의 와이핑 장치 및 방법
KR20070120345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US20070146415A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wiping unit
US20070091141A1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to maintain a nozzle unit
KR100727987B1 (ko) 하이브리드 잉크젯 헤드 및 그 잉크젯 헤드의 와이핑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20100002048A1 (en) Waste treatment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09127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320357B1 (ko) 잉크젯프린터
US20100026757A1 (en) Liquid ejection head unit, liquid ejection head module,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JP2011011498A (ja) 画像形成装置
KR100644648B1 (ko)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KR100547160B1 (ko) 잉크젯 프린터
JP6401967B2 (ja) 液体吐出装置
JP6170775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6579091B2 (ja) 記録ヘッド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