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764B1 -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764B1
KR100782764B1 KR1020070074443A KR20070074443A KR100782764B1 KR 100782764 B1 KR100782764 B1 KR 100782764B1 KR 1020070074443 A KR1020070074443 A KR 1020070074443A KR 20070074443 A KR20070074443 A KR 20070074443A KR 100782764 B1 KR100782764 B1 KR 100782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expansion joint
bridge
plates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우
Original Assignee
강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우 filed Critical 강용우
Priority to KR102007007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인접하는 상판 사이에 마련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단부에 타설되는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인접한 상판의 이격공간을 교차 삽입되는 핑거에 의해 커버하는 한쌍의 핑거블록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상판의 신축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핑거블록을 통해 유입되는 유수의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핑거블록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적체되는 방수시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상판의 신축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방수시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판이 신축됨과 동시에 상기 방수시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신축지지부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신축이음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방수시트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의 부피와 무게에 의해 방수시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본 고안은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각의 상판 사이에 마련되는 신축이음장치의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의 지지 구조를 개선하여 방수시트의 파손을 방지하고, 신축이음장치의 유지보수를 쉽게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각의 상부에 얹혀지는 교량의 상판은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교축방향으로 길이가 신장하거나 수축함에 따라 이웃하는 두 상판의 사이에는 적정크기의 이격공간을 미리 예비해 두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격공간을 두고 상판을 교각에 얹게 되면, 상기 상판이 고온의 영향에 의해 신장할 때에는 이격공간이 축소되어 차량이 교량의 상부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지만, 상기 상판이 저온의 영향에 의해 수축할 때에는 이격공간이 더욱 확대되어 상기 이격공간에 의한 간섭으로 인하여 교량의 상부로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두 상판을 상호 연결함과 아울러 상판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신축이음장치를 이격 공간상에 설치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0)는 맞대어지는 교량 상판(1a, 1b)의 선단부 상측에 매설체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12a, 12b)와, 각 베이스플레이트(12a, 12b)의 상부에 고정부재에 의해 양손을 깍지 낀 형상으로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블록(14a, 14b)과, 베이스플레이트(12a, 12b)를 상호 연결하여 핑거블록(14a, 14b)의 핑거부 사이로 유입되는 유수(예를 들어 빗물)의 누수를 방지하고, 유입되는 이물질을 적체하는 원호형의 방수시트(16)로 구성되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신축이음장치(10)는 이웃하는 상판(1a, 1b)의 이격공간에 설치하게 되면, 상판(1a, 1b)의 신축에 따라 일측 상판(1a)에 설치된 핑거블록(14a)과 타측 상판(1b)에 설치된 핑거블록(14b)과의 간격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데, 이때 각 핑거블록(14a, 14b)의 핑거부는 두 손으로 깍지를 낀 형상으로 설치되어 각 핑거블록(14a, 14b)의 핑거삽입홈의 내측에서만 수평 이동함으로써, 각 상판(1a, 1b)이 신축하더라도 핑거블록(14a, 14b)의 핑거부가 상판의 연결부분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신축이음장치(10)의 방수시트(16)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교량 상판의 신축에 따라 수평 이동되는 각 베이스플레이트(12a, 12b)의 이동에 따라 신축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이러한 방수시트(16)는 유입되는 유수의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유수 와 같이 유입되는 이물질이 적체에 따라 유입되는 이물질의 부피 및 무게에 의해 신장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0)의 방수시트(16)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각 핑거블록(14a, 14b)의 각 핑거부와 핑거삽입홈의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되거나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이 적체됨에 따라 방수시트(16)의 유로 확보와, 이물질의 부피 및 무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자 방수시트(16)에 적체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핑거형태를 갖는 신축이음장치(10)의 경우 방수시트(16)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신축이음장치(10)의 핑거블록(14a, 14b)을 분리하고, 방수시트(16)에 적체된 이물질을 제거하여한다.
하지만 신축이음장치(10)의 핑거블록(14a, 14b)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교량의 차량 운행을 통제한 후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방수시트(16)의 이물질 제거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통상적으로는 신축이음장치(10)의 핑거블록(14a, 14b)을 분해하지 않고 각 핑거블록(14a, 14b)의 핑거부와, 핑거삽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고압의 공기를 불어넣어 방수시트(16)에 적체된 이물질을 신축이음장치(10)의 외부로 불어내는 방식으로 방수시트(16)의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의 신축이음장치(10)의 경우에는 방수시트(16) 에 적체된 이물질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적체된 이물질의 부피와 무게에 의해 방수시트(16)가 핑거블록(14a, 14b)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방수시트(16)가 신축이음장치(10)의 핑거블록(14a, 14b)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어 고압의 공기를 불어 넣어도 고압의 공기가 방수시트(16)의 이물질에 작용하지 않아 방수시트(16)에 적체된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방수시트(16)에 적체된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할 경우 방수시트(16)에 이물질이 계속 누적되어 고무재질의 방수시트(16)가 이물질의 부피와,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파손되어 방수시트(16)로 유입되는 유수에 의해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어 교량의 내구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교량의 인접하는 상판 사이에 마련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단부에 타설되는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인접한 상판의 이격공간을 교차 삽입되는 핑거에 의해 커버하는 한쌍의 핑거블록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상판의 신축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핑거블록을 통해 유입되는 유수의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핑거블록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적체되는 방수시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서 상기 상판의 신축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방수시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판이 신축됨 과 동시에 상기 방수시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신축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신축지지부는 상기 각 상판에 마주하게 타설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2회동지지부와 상기 제 1, 2회동지지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제 1, 2링크와, 상기 제 1, 2링크의 중간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단부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2연동링크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신축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신축지지부의 상기 제 1, 2연동링크의 사이에 상기 제 1, 2연동링크의 회동 중심을 연결하는 지지바가 마련되고, 상기 방수시트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기 방수시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지지바가 삽입되는 입구측이 상기 지지바의 지름보다 다소 좁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에 따르면, 신축이음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방수시트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의 부피와 무게에 의해 방수시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에 따르면, 신축이음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방수시트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시트에 적체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장치의 내부로 불어 넣는 고압의 공기가 이물질에 작용하지 않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 것으로,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으며,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00)는 교량(미도시)의 인접하는 한쌍의 상판(1a, 1b) 사이에 마련되며, 각각 상판(1a, 1b)의 단부에 타설되는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와,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의 상부에서 인 접한 상판(1a, 1b)의 이격공간을 교차 삽입되는 핑거에 의해 커버하는 한쌍의 핑거블록(120a, 120b)과,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의 사이에서 상판(1a, 1b)의 신축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마련되고 핑거블록(120a, 120b)을 통해 유입되는 유수의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유수와 같이 유입되는 이물질이 적체되는 방수시트(132)와,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의 사이에서 상판(1a, 1b)의 신축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마련되고 방수시트(132)의 하부에 위치하여 방수시트(132)를 지지하는 신축지지부(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신축이음장치(100)를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와 핑거블록(120a, 120b)은 인접하는 각 상판(1a, 1b)의 양단에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 베이스플레이트(110a)와 핑거블록만(120a)과, 타측에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b)와 핑거블록(120b)를 동시에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는, 교량을 구성하는 상판(1a, 1b)의 각 단부에 타설되어 신축이음장치(130)를 각 상판(1a, 1b)의 사이에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는 교량 상판(1a, 1b)의 단부에 안착되기 위한 플레이트본체(111a, 111b)와,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하면에 마련되어 무수축 콘크리트에 의해 교량 상판(1a, 1b)에 고정되는 배근(112a, 112b)이 마련된다.
여기서, 플레이트본체(111a, 111b)는 교량 상판(1a, 1b)의 단부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113a, 113b)가 형성되며, 안착부(113a, 113b)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교 량 상판(1a, 1b)의 단부 측면에 접하여 교량 상판(1a, 1b)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114a, 114b)가 형성된다.
한편,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안착부(113a, 113b)에는 그 상면에 상술한 핑거블록(120a, 120b)이 볼트 등의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나사홀(115a, 115b)이 형성되며, 마주하는 상판(1a, 1b)의 각 단부에 고정된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지지부 사이에는 후술할 신축지지부(130)가 마련된다.
상기 핑거블록(120a, 120b)은 마주하는 상판(1a, 1b)의 각 단부에 고정된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안착부(113a, 113b) 상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상면에 볼트 등의 결합체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홀(122a, 122b)이 형성된다.
또한,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한쌍의 핑거블록(120a, 120b)의 단부에는 각각 다수의 핑거부(124a, 124b)와 각 핑거부(124a, 124b)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핑거삽입홈(126a, 126b)이 형성된다. 여기서 핑거삽입홈(126a, 126b)은 교량 상판(1a, 1b)의 신축에 따라 각 핑거부(124a, 124b)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각 핑거부(126a, 126b)보다 다소 길게 홈이 형성된다.
상기 신축지지부(130)는 교량 상판(1a, 1b)에 고정되어 마주하도록 위치하는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지지부(114a, 114b) 사이에 마련되어 교량 상판(1a, 1b)의 신축에 따라 신축되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방수시트(132)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신축이음장치에서 신축지 지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의 주요부인 신축지지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의 주요부인 신축지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지지부(130)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교량 상판(1a, 1b)의 각 단부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지지부(114a, 114b) 양단에 마련되어 교량 상판(1a, 1b)의 신축에 따라 신축 가능하게 마련됨과 동시에 방수시트(132)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신축지지부(130)는 마주하게 마련되는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각 지지부(114a, 114b)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2회동지지부(134a, 134b)와 각 회동지지부(114a, 114b)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각각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제 1, 2링크(135a, 135b)와, 제 1, 2링크(135a, 135b)의 중간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단부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2연동링크(136a, 136b)를 구비한다.
이러한, 신축지지부(130)는 마주하는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마련되며(도 3참조), 각 신축지지부(130)의 각 제 1, 2연동링크(136a, 136b)의 사이에는 각 제 1,2연동링크(136a, 136b)의 회동 중심을 연결하는 지지바(137)가 연장되어 마련된다.
한편, 방수시트(132)는 신축지지부(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그 단면이 "W"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 양측면이 플레이트본 체(111a, 11b)의 마주하는 지지부(114a, 114b)에 각각 고정되고, 하부 중앙부는 신축지지부(137)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방수시트(132)는 하부 중앙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신축지지부(130) 사이에 마련되는 지지바(137)가 삽입되도록 삽입홈(133)이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홈(133)은 지지바(137)가 삽입되는 입구측이 지지바(137)의 지름보다 다소 좁게 형성되어 있어 지지바(137)가 삽입되었을 때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바(137)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방수시트(132)의 단면 형상을 "W"자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그 형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신축지지부(130)의 각 링크의 개수 및 조합에 따라 그 형태(골 및 능선)의 개수가 증감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도 7참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의 작동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주하게 위치하는 교량 상판(1a, 1b)의 각 단부에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가 안착되고,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의 하부로 무수축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의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안착부(113a, 113b) 하면과 지지부(114a, 114b) 내측면에 위치한 배근(112a, 112b)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가 마주하는 상판(1a, 1b)의 단부에 각각 고정 된다.
그리고, 각 상판(1a, 1b)의 단부에 신축지지부(130)의 제 1, 2회동지지부(134a, 134b)가 각각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제 1, 2회동지지부(134a, 134b) 사이에 제 1, 2링크(135a, 135b)와, 제 1, 2연동링크(136a, 136b)가 각각 교차되는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후, 신축지지부(130)의 상측으로 방수시트(132)가 삽입되며, 방수시트(132)의 하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삽입홈(133)에 신축지지부(130)의 제 1, 2연동링크(136a, 136b)의 사이에 마련되는 지지바(137)가 삽입되면서 방수시트(132)가 신축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방수시트(132)의 길이방향 양측면은 별도의 나사체에 의해 각 상판(1a, 1b)에 설치된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지지부(114a, 114b)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어 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된 교량 상판(1a, 1b)의 신축이음장치(100)에 교량 상판(1a, 1b)의 신축에 따른 이격거리에 변화가 발생될 경우에는 제 1, 2회동지지부(134a, 134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 1, 2링크(135a, 135b)가 각각 회동되고, 제 1, 2링크(135a, 135b)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2연동링크(136a, 136b)도 회동되면서 상판(1a, 1b)의 신축에 따라 연동되어 신축된다.
한편 상술한 작동과정에서 방수시트(132)는 그 양단이 플레이트본체(111a, 111b)의 지지부(114a, 114b)에 각각 고정되고, 그 하부의 중앙부가 신축지지부(130)의 지지바(137)에 결합 지지되어 있어 교량 상판(1a, 1b)의 신축에 관계없 이 신축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방수시트(132)가 신축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신축이음장치(100)의 핑거블록(120a, 120b)의 유격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방수시트(132)가 이물질의 부피 및 무게에 의해 인장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판(1a, 1b)의 신축에 따라 방수시트(132)가 신축되더라도 신축지지부(130)에 의해 항상 지지되어 있어 핑거블록(120a, 120b)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방수시트(132)에 적체된 이물질을 제거할 때 보다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를 추가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로 교체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상판의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의 주요부인 신축지지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의 주요부인 신축지지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Claims (4)

  1. 교량의 인접하는 상판(1a, 1b)의 단부에 타설되는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의 상부에서 교차 삽입되는 핑거에 의해 인접한 상판(1a, 1b)의 이격공간을 커버하는 한쌍의 핑거블록(120a, 120b)과, 상기 핑거블록(120a, 120b)을 통해 유입되는 유수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핑거블록(120a, 120b)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적체되는 방수시트(132)를 구비하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상판(1a, 1b)에 마주하게 타설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a, 110b)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2회동지지부(134a, 134b)와, 상기 제 1, 2회동지지부(134a, 134b)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제 1, 2링크(135a, 135b)와, 상기 제 1, 2링크(135a, 135b)의 중간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단부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2연동링크(136a, 136b)를 구비하는 다수의 신축지지부(130)와,
    상기 각 신축지지부(1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신축지지부(130)의 상기 제 1, 2연동링크(136a, 136b)의 사이에 상기 제 1, 2연동링크(136a, 136b)의 회동 중심을 연결하는 지지바(137)를 구비하며
    상기 방수시트(132)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상기 방수시트(1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137)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홈(1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33)은 상기 지지바(137)가 삽입되는 입구측이 상기 지지바(137)의 지름보다 다소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
KR1020070074443A 2007-07-25 2007-07-25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 KR100782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43A KR100782764B1 (ko) 2007-07-25 2007-07-25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43A KR100782764B1 (ko) 2007-07-25 2007-07-25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2764B1 true KR100782764B1 (ko) 2007-12-05

Family

ID=3913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443A KR100782764B1 (ko) 2007-07-25 2007-07-25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27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86B1 (ko) * 2011-05-02 2013-07-10 안창모 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1880084B1 (ko) * 2017-11-11 2018-07-19 (주)유안개발 내진력이 강화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200117589A (ko) * 2019-04-05 2020-10-14 윤수환 지하구조물 신축이음부의 방수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7027U (ko) 1975-02-25 1976-08-26
JPH1037132A (ja) 1996-07-19 1998-02-10 Kobe Steel Ltd 道路橋梁の遊間ジョイント支持装置
KR19980042966A (ko) * 1998-05-09 1998-08-17 박대원 신축 이음장치
JPH11229325A (ja) 1998-02-13 1999-08-24 Sumitomo Metal Ind Ltd 橋梁継目の水平リンク式伸縮装置
KR100408425B1 (en) 2002-06-11 2003-12-03 Dae Weon Park Non-smash replacement method of expansion joint device of bridge and expansion joint device
KR20040100296A (ko) * 2003-05-22 2004-12-02 대봉기계공업 주식회사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KR200416825Y1 (ko) 2006-03-03 2006-05-23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7027U (ko) 1975-02-25 1976-08-26
JPH1037132A (ja) 1996-07-19 1998-02-10 Kobe Steel Ltd 道路橋梁の遊間ジョイント支持装置
JPH11229325A (ja) 1998-02-13 1999-08-24 Sumitomo Metal Ind Ltd 橋梁継目の水平リンク式伸縮装置
KR19980042966A (ko) * 1998-05-09 1998-08-17 박대원 신축 이음장치
KR100408425B1 (en) 2002-06-11 2003-12-03 Dae Weon Park Non-smash replacement method of expansion joint device of bridge and expansion joint device
KR20040100296A (ko) * 2003-05-22 2004-12-02 대봉기계공업 주식회사 복합식 신축이음장치
KR200416825Y1 (ko) 2006-03-03 2006-05-23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86B1 (ko) * 2011-05-02 2013-07-10 안창모 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1880084B1 (ko) * 2017-11-11 2018-07-19 (주)유안개발 내진력이 강화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200117589A (ko) * 2019-04-05 2020-10-14 윤수환 지하구조물 신축이음부의 방수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09227B1 (ko) * 2019-04-05 2021-01-29 윤수환 지하구조물 신축이음부의 방수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984B1 (ko)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KR100782764B1 (ko)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 장치
KR100644143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0676949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885810B1 (ko)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KR101975259B1 (ko) 교량의 비지지점 신축이음장치
KR100949292B1 (ko) 온도신축의 영향을 받지않는 가설교량의 지점부 시공방법
KR20120123806A (ko) 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KR200403788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2203172B1 (ko) 굴절 차단판을 구비한 이물질 차단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384246Y1 (ko) 하중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지지장치
KR20036956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70000479U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유지구
KR102104673B1 (ko) 신축이음장치
KR100399279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101481029B1 (ko) 육방향 자유도를 갖는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KR101317953B1 (ko) 분절식 레일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KR100874463B1 (ko) 보행용 교량의 가동단 구조
KR100784432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363631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지수판
KR200256866Y1 (ko) 교량 상판의 이음새 슬립형 이탈방지 핑거죠인트
KR20033544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048422B1 (ko) 신축이음장치
KR200324571Y1 (ko) 배수조가 부설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374486Y1 (ko) 철도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