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810B1 -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810B1
KR100885810B1 KR1020080077833A KR20080077833A KR100885810B1 KR 100885810 B1 KR100885810 B1 KR 100885810B1 KR 1020080077833 A KR1020080077833 A KR 1020080077833A KR 20080077833 A KR20080077833 A KR 20080077833A KR 100885810 B1 KR100885810 B1 KR 100885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foreign matter
plate
matter inflow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륜
최동철
김학군
손경욱
Original Assignee
대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산업(주) filed Critical 대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7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핑거산과 핑거홈을 형성한 한쌍의 핑거조인트판과 상기 핑거조인트판을 교량에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한 보조플레이트와, 상기 핑거조인트판의 핑거홈 하단에 형성된 보조플레이트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마주보는 핑거조인트판의 핑거산 하단부와 맞닿도록 구성되되 교량의 수축시 상기 핑거산의 하단부와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하향되게 휘어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내측으로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에는 탄성부가 배치되되,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 하측으로 상, 하측고정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하측 고정플레이트에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중공부내에 탄성부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를 구성한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상, 하측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 하측플레이트와 내측의 탄성부로 이루어진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핑거조인트판의 핑거홈이 위치한 보조플레이트에 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핑거조인트판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탄성력을 높임과 동시에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사이에 간극을 없앰으로써 이물질의 유입 차단효과를 더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물질, 방지, 신축이음 장치, 핑거

Description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PREVENTING FROMDUST INTRUSION TYPE 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상, 하측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 하측플레이트와 내측의 탄성부로 이루어진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핑거조인트판의 핑거홈이 위치한 보조플레이트에 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핑거조인트판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탄성력을 높임과 동시에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사이에 간극을 없앰으로써 이물질의 유입 차단효과를 더 증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지상에 세워지는 다수의 교각과, 그 상측에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판은 다수의 블럭구조물을 상호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이때, 상기 상판을 구성하는 블럭구조물은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관계로 시공과정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있으며, 그 연결부위에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신축이음장치 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는 블럭구조물 상부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의 상측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볼트(270)로 고정되는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10)(210a)와, 상기 블럭구조물(B)의 사이에 구비되는 방수장치(2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장치(260)는 핑거플레이트(210)(210a)와 베이스플레이트(1)의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부재(262)
와 상기 고정부재(26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며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블럭구조물(B)의 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부재(230)와, 상기 지지부재(230)의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구비되는 방수부재(2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신축이음장치(200)는 주름체(240)로 이루어진 방수부재(260)에 의해 내측으로 유입되는 이물질 및 방수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종래의 신축이음장치(200)는 방수부재(250)의 주름체(240)와 핑거플레이트(210)(210a) 사이의 높이 간격이 멀어 신축이음장치(2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더라도, 방수부재(250)의 주름체(240)에 이물질이 안착되어 쌓이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축이음장치(200)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서, 신축이음장치(20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등록 제0755996 호(2007.08.30)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핑거조인트판(110)의 핑거홈과 핑거산에 교량의 신축시 가변이 가능하도록 자바라 형태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150)를 형성하여, 핑거홈 및 핑거산 사이의 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100)는 전체적인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작시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파손 발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핑거조인트판(110)에 이물질 유입방지장치(150)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이물질 유입방지장치(150)의 파손과 동시에 핑거조인트판(110)의 파손도 발생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는 핑거산과 핑거홈을 형성한 한쌍의 핑거조인트판과 상기 핑거조인트판을 교량에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한 보조플레이트와, 상기 핑거조인트판의 핑거홈 하단에 형성된 보조플레이트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마주보는 핑거조인트판의 핑거산 하단부와 맞닿도록 구성되되 교량의 수축시 상기 핑거산의 하단부와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하향되게 휘어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내측으로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에는 탄성부가 배치되되,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 하측으로 상, 하측고정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하측 고정플레이트에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중공부내에 탄성부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와 슬라이딩 작용을 하는 핑거조인트판의 핑거산 하단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마모방지판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결합부재가 형성된 상측면에는 결합부재를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유지캡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핑거조인트판에 형성된 다수의 핑거홈에 연속하여 형성하고,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에 형성된 핑거홈에도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는 핑거조인트판에 형성된 핑거홈에 연속하여 형성하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와,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에 형성된 다수의 핑거홈에 연속하여 형성하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상호 완전히 밀착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결합부재가 형성된 위치에서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의 핑거산의 하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탄성력을 가진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는 상, 하측면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 하측 플레이트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에 형성하는 하측 플레이트는 교량의 수축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탄성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측 플레이트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보조플레이트에는 배수용시트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수축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의 핑거산 하단부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핑거홈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이물질 적체로 인한 교량의 신축작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교량의 내구성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와 슬라이딩 되는 핑거조인트판의 핑거산 하단에 마모방지판을 형성하여, 핑거조인트판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재질을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형성한 상태 에서 상측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측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핑거조인트판의 핑거산의 하단부와 슬라이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하측에 형성한 하측 플레이트를 상측플레이트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여, 탄성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의 중공부에 탄성부를 형성하여, 교량의 수축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가 핑거조인트판의 핑거 하단부로 슬라이딩 되어 하향되게 이동할 때에, 핑거조인트판의 하단부와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밀착시켜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산(11)과 핑거홈(12)으로 이루어진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핑거조인트판(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핑거조인트판(10)의 하측으로는 교량에 핑거조인트판(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ㄱ자 형태의 보조플레이트(20)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핑거조인트판(10)은 도 7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상기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홈(12)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플레이트(20)에 결합부재(31)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1)가 형성된 타단은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 의 핑거산(11) 하단부와 맞닿도록 구성되되 교량의 수축시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 하단부와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하향되게 휘어져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와 맞닿으면서 슬라이딩 작용을 하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의 하단부에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의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마모방지판(13)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모방지판(13)은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인 듀콜강판이나 PTFE(POLYTETRAFLUOROETHYLENE : 불 소계 지수)판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마모방지판(13)은 핑거조인트판(10)과의 결합시 용접과 같이 완전히 접합하는 형태로 결합하거나, 또는 볼트나 리벳 등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도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에 형성된 결합부재(31)가 형성된 위치의 상측면으로 유지캡(c)을 형성하여 결합부재(31)를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핑거조인트판(10)에 형성된 다수의 핑거홈(12)에 연속하여 형성하고,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에 형성된 다수의 핑거홈(12)에도 연속하여 형성하도록 하되, 서로 마주하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가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형성하여, 핑거조인트판(10)의 하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결합부재(31)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 하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작게 형성되어, 교량 수축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가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 하단부로 원활히 하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교량의 수축에 의해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가 휘어진 상태에서 교량이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에,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가 최초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내측으로 중공부(32)를 구성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교량 수축시 휘어지는 현상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32)에는 교량 수축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 상측면과 맞닿는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20)의 핑거산(11) 하단부와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33)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가 교량 수축에 의해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 하단부로 휘어질 때에, 핑거산(11)과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간의 사이가 벌어져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의 유입을 봉쇄하고자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상측면을 밀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부(33)의 세부 구성은, 스프링(33a)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33a)의 상, 하측으로는 상, 하측고정플레이트(33b, 33c)가 구성되며, 상기 하측고정플레이트(33c)에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중공부(32) 내에 탄성부(33)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33d)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부(33)는 다수개를 설치하여 교량의 신축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상, 하측면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 하측 플레이트(34, 35)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플레이트(34)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상측이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과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하향되게 휘어져 이동할 때에,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와 핑거산(11)의 하단부의 마찰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플레이트(35)는 보조플레이트(20)와의 결합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측 플레이트(34)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여 교량 수축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가 하향되게 휘어진 후, 최초의 형상으로 복귀가 원활히 이루질 수 있음과 동시에,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중공부(32)에 결합하는 탄성부(33)의 작용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상측면을 보다 확실히 상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이 핑거조인트판(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에 형성되는 상, 하측 플레이트(34, 35)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법이나, 금형 사출시 일체형으로 사출을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내부로 유입하는 물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보조플레이트(20)에 배수용시트(40)가 통상의 결합방법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량에 보조플레이트(20)를 결합하고, 상기 보조플레이트(20)의 상측으로 하단부에 마모방지판(13)을 결합한 핑거산(11)과 핑거홈(12)으로 구성된 한쌍의 핑거조인트판(10)을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핑거조인트판(10) 중 핑거홈(12)의 하측에 위치한 보조플레이트(20)에 결합부재(31)를 이용하여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를 결합한다.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를 결합할 때에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상측에 결합부재(31)가 결합할 수 있는 유지캡(c)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특히,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결합부재(31)가 형성된 타단의 상측면이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에 형성되어 있는 핑거산(11)의 하단부와 맞닿도록 하여 결합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한쌍의 핑거조인트판(10)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핑거홈(12)에 모두 결합하도록 하되,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 간의 간극을 없앨 수 있도록 밀착하여 결합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를 모두 차단하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50)는 교량의 수축이 발생하여 교량과 교량 사이가 좁아지게 되면,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가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 하단부로 휘어지면서 하향되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상측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측 플레이트(34)가 형성되어 있어,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과의 슬라이딩이 더 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마모방지판(13)에 의해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의 마모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마모방지판(13)의 마모가 많이 발생하여 재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때에는 이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교량의 수축이 발생하였을 때에 보다 원활히 휘어져 하향되게 이동할 수 있으면서, 수축 후 신장 될 때에도 최초의 형상으로 복원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중공부(32)를 형성하고, 전체적인 재질이 고무로 이루어져 있어 파손율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하측면에 형성한 스테인리스 재질의 하측 플레이트(35)가 상측면에 형성된 상측 플레이트(34)보다 더 두껍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교량의 수축 후 신장될 때에 최초 형상을 복원하는 과정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중공부(32)에 형성된 탄성부(33)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의 하단으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끝단이 휘어지면서 이동할 때에,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가 휘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하측면에 형성된 하측 플레이트(35)는 상측 플레이트(34)보다 더 두껍게 제작되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33)가 작용시 받침의 역할도 병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가 파손되어 재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때에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에 형성된 유지캡(c)을 통해 결합부재(31)를 해제한 후, 새로운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를 교체하여 결합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물질의 유입뿐만 아니라, 유수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플레이트(20)에 배수용시트(40)를 더 결합되어 있어, 유수에 의한 파손율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조인트판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모방지판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방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핑거조인트판 11 : 핑거산
12 : 핑거홈 13 : 마모방지판
20 : 보조플레이트 30 : 이물질 유입방지장치
31 : 결합부재 32 : 중공부
33 : 탄성부 33a : 스프링
33b : 상측고정플레이트 33c : 하측고정플레이트
33d : 볼트 34 : 상측 플레이트
35 : 하측 플레이트 40 : 배수용 시트
c : 유지캡
50 :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Claims (13)

  1. 핑거산(11)과 핑거홈(12)을 형성한 한쌍의 핑거조인트판(10)과 상기 핑거조인트판(10)을 교량에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한 보조플레이트(20)와, 상기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홈(12) 하단에 형성된 보조플레이트(20)에 결합부재(31)에 의해 결합되며, 마주보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 하단부와 맞닿도록 구성되되 교량의 수축시 상기 핑거산(11)의 하단부와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 하향되게 휘어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내측으로 중공부(32)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32)에는 탄성부(33)가 배치되되, 상기 탄성부(33)는 스프링(33a)과 상기 스프링(33a)의 상, 하측으로 상, 하측고정플레이트(33b, 33c)를 형성하고, 상기 하측 고정플레이트(33c)에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중공부(32)내에 탄성부(33)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33d)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와 슬라이딩 작용을 하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 하단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마모방지판(13)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결합부재(31)가 형성된 상측면에는 결합부재(31)를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유지캡(c)을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핑거조인트판(10)에 형성 된 다수의 핑거홈(12)에 연속하여 형성하고,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에 형성된 다수의 핑거홈(12)에도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조인트판(10)에 형성된 다수의 핑거홈(12)에 연속하여 형성하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와,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에 형성된 다수의 핑거홈(12)에 연속하여 형성하는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상호 완전히 밀착되게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결합부재(31)가 형성된 위치에서 마주하는 핑거조인트판(10)의 핑거산(11)의 하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작게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탄성력을 가진 고무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는 상, 하측면으로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 하측 플레이트(34, 35)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에 형성하는 하측 플레이트(35)는 교량의 수축시 이물질 유입방지장치(30)의 탄성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측 플레이트(34)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플레이트(20)에는 배수용시트(40)가 더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KR1020080077833A 2008-08-08 2008-08-08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KR100885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833A KR100885810B1 (ko) 2008-08-08 2008-08-08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833A KR100885810B1 (ko) 2008-08-08 2008-08-08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810B1 true KR100885810B1 (ko) 2009-02-26

Family

ID=40682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833A KR100885810B1 (ko) 2008-08-08 2008-08-08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81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887B1 (ko) * 2013-11-22 2015-11-25 주식회사 대일휀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05603871A (zh) * 2016-03-09 2016-05-25 西安市临潼区恒宇工程材料有限公司 桥梁伸缩单元构件及桥梁伸缩装置
CN105862583A (zh) * 2016-04-21 2016-08-17 衡水鑫盛达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免拆可更换型梳齿板伸缩装置
KR101768164B1 (ko) * 2017-02-10 2017-08-16 대경산업(주) 고탄성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101999690B1 (ko) 2018-12-17 2019-07-15 대경산업(주)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102051614B1 (ko) 2019-06-05 2019-12-0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20200074826A (ko) 2019-04-18 2020-06-25 대경산업(주)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598Y1 (ko) 2001-02-17 2001-09-29 (주)한맥기술 교량상판의 신축 이음 구조
KR200334267Y1 (ko) * 2003-08-13 2003-11-21 최규택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662033B1 (ko) 2005-06-03 2006-12-27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힌지를 이용한 판형구조의 내진형 신축이음장치
KR100665273B1 (ko) 2004-09-22 2007-01-04 화일종합건설 주식회사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598Y1 (ko) 2001-02-17 2001-09-29 (주)한맥기술 교량상판의 신축 이음 구조
KR200334267Y1 (ko) * 2003-08-13 2003-11-21 최규택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665273B1 (ko) 2004-09-22 2007-01-04 화일종합건설 주식회사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0662033B1 (ko) 2005-06-03 2006-12-27 주식회사 일원티이씨 힌지를 이용한 판형구조의 내진형 신축이음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887B1 (ko) * 2013-11-22 2015-11-25 주식회사 대일휀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05603871A (zh) * 2016-03-09 2016-05-25 西安市临潼区恒宇工程材料有限公司 桥梁伸缩单元构件及桥梁伸缩装置
CN105862583A (zh) * 2016-04-21 2016-08-17 衡水鑫盛达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免拆可更换型梳齿板伸缩装置
KR101768164B1 (ko) * 2017-02-10 2017-08-16 대경산업(주) 고탄성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101999690B1 (ko) 2018-12-17 2019-07-15 대경산업(주)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20200074826A (ko) 2019-04-18 2020-06-25 대경산업(주)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102051614B1 (ko) 2019-06-05 2019-12-0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810B1 (ko) 이물질 유입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US4955752A (en) Cover assembly with a locking mechanism
KR101530663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 결합 구조물
KR101197361B1 (ko) 슬라이드형 신축이음장치
KR101060447B1 (ko) 드래그 체인 시스템의 체인 링크의 측면 부재, 드래그 체인 시스템의 체인 링크, 및 드래그 체인 시스템
KR101999690B1 (ko) 이물질 유입 방지유닛을 구비한 신축이음장치
KR100757212B1 (ko) 면진 핑거 조인트
KR102051614B1 (ko)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101762145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보수 교체 공법 및 그 장치
KR20120123806A (ko) 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0881207B1 (ko) 신축이음용 배수장치
KR10122900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101538793B1 (ko) 신축이음장치용 배수시트
JP2019039274A (ja) 道路橋伸縮装置用間詰め構造
KR200451461Y1 (ko) 비배수용 신축이음장치
KR101034281B1 (ko) 교좌장치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치
KR102520638B1 (ko) 무배수시트 타입 복합핑거 신축이음장치
JP2004003277A (ja) 道路用伸縮継手
KR102511958B1 (ko) 원터치 신축 이음 장치
KR200334267Y1 (ko)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US8523477B2 (en) Press-fit restrictor plate
KR10232774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2019052505A (ja) 道路橋伸縮装置用間詰め構造
KR20033544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