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038B1 -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038B1
KR100782038B1 KR1020070002797A KR20070002797A KR100782038B1 KR 100782038 B1 KR100782038 B1 KR 100782038B1 KR 1020070002797 A KR1020070002797 A KR 1020070002797A KR 20070002797 A KR20070002797 A KR 20070002797A KR 100782038 B1 KR100782038 B1 KR 10078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anchor
concrete base
members
natural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757A (ko
Inventor
이사오 유키모토
기요노리 하세가와
다카시 고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환경
Publication of KR2007001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8Coherent linings made on the spot, e.g. cast in situ, extruded on the s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발명의 과제는 높은 중량 안정성 하에서의 보호기능과 주위의 자연 환경에 대한 조화기능을 겸비할 뿐만 아니라 부품 점수(点數)의 저감(低減)과 자연석의 탈 락 방지를 꾀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복수의 자연석(6)이 구획벽으로서 구획공간(10)을 구획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 구획공간(10) 안에 콘크리트베이스(7)가 배치되어 있다. 각 자연석(6)에는 앵커(11)가, 그 일단부로써 연결되고, 그 일단부 외의 타단측은 콘크리트베이스(7) 안에 매립되어 있다. 그 앵커(11)의 상태는, 타단부가 일단부보다도 낮게 되도록 경사져서, 외력에 대하여 커다란 저항력 R이 발생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 콘크리트베이스, 호안

Description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UNIT FOR USE IN CONSTRUCTION STRUCTURE, METHOD OF MAKING OF SAME}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호안(護岸)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도 5의 다음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도 6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도 16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9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앵커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0은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1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2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3은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4는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안(토목구축물) 4 : 피복석층(시공면)
5 :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6 : 자연석(괴상 부재)
7 : 콘크리트베이스 9 : 틈
10 : 구획 공간 11 : 앵커
11b : 확경부(저항력 발생 수단) 12 : 장착 구멍
13 : 식석(植石)용 자연석 14 : 틈막이 돌(채움재)
18 : 철망(연결판) 31 : 제1 절곡 부분
32 : 제2 절곡 부분 33 : 연속 부분
34 : 기립 부분 35 : 고리부
본 발명은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 및 토목구축물에 관한 것이다.
토목구축물로서의 호안(護岸)에는, 다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시공면에 부설한 것,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계단상으로 쌓아 올린 것 등이 있다. 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채움용 돌이 채워진 바구니의 표면에 조경석을 장착하고, 그 조경석에 의해 바구니의 표면을 덮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높은 중량 안정성 하에서, 시공면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구니 표면의 조경석에 의해 바구니를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위의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서는, 중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채움용 돌 뿐만 아니라 그 채움용 돌을 충전하는 바구니가 필요하게 되어, 중량 확보 부재로서 2종류나 되는 부품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작업시에 채움용 돌을 충전하기 위한 바구니의 조립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 바구니 내로 채움용 돌을 충전하고, 나아가 바구니 표면에 조경석을 장착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어, 그 작업 부담은 가볍지는 않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2823510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1 기술적 과제는 높은 중량 안정성에 따른 보호 기능과 주위의 자연 환경에 대한 조화 기능을 겸비할 뿐만 아니라, 부품 개수의 저감(低減)을 도모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2 기술적 과제는 높은 중량 안정성에 따른 보호 기능과 주위의 자연 환경에 대한 조화 기능을 겸비할 뿐만 아니라, 부품 개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3 기술적 과제는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사용한 토목구축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4 기술적 과제는 높은 중량 안정성에 따른 보호 기능과 주위의 자연 환경에 대한 조화 기능을 겸비함과 아울러 부품 개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 괴상(塊狀)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제1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략 일정 두께로 된 콘크리트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콘크리트베이스 주위에 해당 콘크리트베이스의 두께 이상의 차이를 갖는 괴상 부재가 복수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괴상 부재가 구획벽을 형성하며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주위 전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열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각 괴상 부재에 앵커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각 해당 앵커의 타단측이 상기 콘크리트베이스 내에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로 한 구성이다.
상기 제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우선, 괴상 부재를 해당 괴상 부재의 앵커가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하면서 작업면 아래에 채운 상태로 하며,
다음으로, 상기 작업면 상에 상기 괴상 부재의 주위에서 별도의 복수의 괴상 부재를 배치하여 구획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해당 구획공간에 각 해당 괴상 부재로부터 앵커를 각각 연장한 상태로 하며,
다음으로, 상기 구획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다음으로, 상기 콘크리트 내에 해당 콘크리트가 미경화 상태 중에 앵커를 해당 콘크리트 상면측으로부터 끼워 넣고, 해당 앵커를 사이에 두고 또 다른 괴상 부재를 해당 콘크리트 상면측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으로 한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7은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해안 호안이고, 이 호안(1)에서는 잡석층(2), 사석층(3) 상에 바다측을 향함에 따라 낮아지도록 경사진 피복석층(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복석층(4)에서의 상측 영역의 상면에는, 다수의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가 전면에 깔려 있고, 그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에 의해 시공면에 대한 보호가 도모되고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 H1은 해면의 상(上)수위, H2는 해면의 저(低)수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는, 도 2∼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복수의 자연석(괴상 부재)(6)과, 콘크리트베이스(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자연석(6)은 시트(예를 들면 장섬유 부직포)(8)의 주연부 상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자연석(6)은 인접하는 자연석(6)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9)을 형성하면서 배치되어 있고, 이들 자연석(6)에 의해 시트(8) 상에 외부에 대한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 자체의 내부 공간인 구획 공간(10)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연석(6)으로서, 600㎜ 전후 직경의 크기의 것이 8개 사용되고 이것들이, 일변이 2m 전후로 된 정방형의 시트(8)의 주연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자연석(6)으로서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 나, 표면에 요철이 있는 할석(割石)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각 자연석(6)에는, 구획 공간(10)에 면하는 측에 장착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그 장착 구멍(12) 내에는 앵커식 장착구(도시 생략)가 장착되어 있고(예를 들면, 메탈 히트 앵커), 그 장착구에 의해 나사부(도시 생략)가 확보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베이스(7)는 상기 구획 공간(1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 콘크리트베이스(7)는, 콘크리트(미경화 상태)를 구획 공간(10) 내에 충전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콘크리트베이스(7)의 외주연부는 각 자연석(6)(할석) 표면의 오목부 등에 들어가서 접착, 걸림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의 틈(9)에도 깊게 진입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크리트베이스(7)의 외주연부가 시트(8)의 외주연부 가까이까지 미쳐서, 그 콘크리트베이스(7)의 용적(중량)의 증대가 도모됨과 아울러, 그 콘크리트베이스(7)의 외주연부와 각 자연석(6)의 사이에서 강고한 걸림 결합 관계가 확보되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자연석(6)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11)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베이스(7)의 측면측에 연결되어 있다. 앵커(1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선상의 선재(線材)로 되어, 그 일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일단부는, 자연석(6)의 장착 구멍(12) 내의 장착구(도 4에서 도시 생략)에 나사식으로 결합함으로써 그 자연석(6)과 일체화(연결)되어 있고, 그 일단부 외의 타단측은 콘크리트베이스(7) 내에 매립되어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11)의 일단부가 자연석(6)의 배면 대략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는 한편, 앵커(11)의 타단부가 구획 공간(10) 내에서 시트(8) 상에 위치하고, 그 배치 관계에 의해 앵커(11)는 그 타단부가 그 일단부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경사각을 θ로써 나타냄). 이에 따라, 각 자연석(6)에 대한 이탈 방향의 외력으로서 시공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 방향의 외력(F)이 작용하여도, 콘크리트베이스(7)와 앵커(11)의 마찰력뿐만 아니라 앵커(11)의 경사에 의한 콘크리트베이스(7)에 대한 저항력(R)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시공면에 부설한 경우에는, 인접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의 자연석(6)에 맞닿게 되어, 그 인접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2)(자연석(6))에 의해서도 앵커 장착 자연석(6)의 콘크리트베이스(7)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자연석(6)의 각 앵커(11)의 타단부는,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베이스(7)의 하측 중앙부 부근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콘크리트베이스(7)의 하측 중앙 부근에서는, 각 앵커(11)의 타단부가 집중되어 강성이 높아지게 되어 있고,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매달아 반송(搬送)할 때에 콘크리트베이스(7)의 하측 중앙 부근에 최대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충분히 대항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베이스(7)의 상면에는, 도 2∼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석(13)이 식석(植石)되어 있다. 이 식석용 자연석(13)에도 직선상의 앵커(11)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그 앵커(11)의 일단부 외의 타단측과 그 식석용 자연석(13)의 일부는 콘크리트베이스(7)가 미경화 상태에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그 콘 크리트베이스(7) 내에 매립되어 있다. 물론, 이 식석용 자연석(13)에 관해서는, 앵커(11)를 생략한 것을 매립하는 것만의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식석용 자연석(13) 자체를 생략하여도 된다.
또, 도 4에서 가상선(7)은 식석용 자연석(13)을 매립하기 전의 콘크리트베이스(7) 상면을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4∼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정방형상의 시트(8)와, 복수의 자연석(6)과, 앵커(11)와, 복수의 틈막이 돌(14)을 준비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8)를 깔고, 이 시트(8) 위의 주연부에 복수의 자연석(6)을 약간의 틈(9)을 형성하면서 배열한다. 복수의 자연석(6)에 의해 구획 공간(10)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각 자연석(6)에서 구획 공간(10) 내에 면하는 측에 장착 구멍(12)을 형성하고, 그 장착 구멍(12)에 장착구(도시 생략)를 장착한 후, 앵커(11)의 타단측을 구획 공간(10) 내로 향하게 하면서 그 일단부를 그 장착구(장착 구멍(12))에 장착한다. 각 자연석(6)을 이후의 콘크리트 충전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베이스(7)에 장착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각 앵커(11)의 타단측은,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8)의 중앙 부근에 모여서 교차된다. 이후의 콘크리트 충전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베이스(7)에서, 그 하측 중앙부 부근의 강성을 높이고,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 트(5)를 확실하게 매달아 반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각 앵커(11)의 타단부에 환상(環狀)의 스페이서(도시 생략)를 끼워 넣고, 그 환상 스페이서와 시트(8)를 맞닿게 함으로써, 각 앵커(11)의 타단부를 시트(8)로부터 띄운 위치로 하고, 그 각 앵커(11)의 타단부를 포함하여 모두가 콘크리트 내에 완전히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에는 긴 앵커(도 5 중, 대각선상에 배치되는 것)(11)부터 세팅하고, 그 긴 앵커(11)에 대하여 짧은 앵커(시트(8)의 변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11)를 교차시키도록 올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짧은 앵커(11)에 대하여, 전술한 환상의 스페이서를 장착하지 않아도, 그 짧은 앵커(11)를 콘크리트 내에 완전히 수납할 수 있게 되어, 환상의 스페이서의 사용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8) 상에 틈막이 돌(14)을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에서 배치하여, 일정한 높이까지 자연석(6) 사이의 틈(9)을 막는다. 후술하는 콘크리트의 충전시에, 콘크리트가 틈(9)으로부터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자연석(6) 상단 높이까지의 틈(9)을 틈막이 돌(14)에 의해 모두 막지 않고, 일정 높이까지의 틈을 틈막이 돌(14)에 의해 막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은, 콘크리트(미경화 상태)가 어느 정도의 점도를 가져서 틈(9) 전체를 막지 않아도, 콘크리트의 자기 유지성(슬럼프[slump] 5 정도 이하)에 의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틈막이 돌(14)은 자연석(6)의 외측에서 틈(9)을 막는다. 콘크리트(미경화 상태의 것)를 틈(9)까지 진입시켜, 콘크리트베이스(7)의 용적(중량)을 가능한 한 증대시킴과 아울러, 콘크리트의 경화 후에, 콘크리트베이스(7)(외주연부)와 각 자연석(6)의 걸림 결합 관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음에,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자연석(6)이 구획하는 구획 공간(10)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한다. 그 콘크리트를 경화시켜, 중량물로서의 콘크리트베이스(7)를 형성함과 아울러, 각 앵커(11)를 매설하여 각 자연석(6)을 콘크리트베이스(7)에 연결하기 위함이다. 물론, 각 자연석(6)과 콘크리트를 접착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이 경우, 콘크리트는 자연석 높이의 4/5 정도의 높이로 될 때까지 충전된다. 이후에 식석용 자연석(13) 등이 매립되는 용적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상기 콘크리트가 미경화 상태에 있는 동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석용 자연석(13)의 일부 및 그 식석용 자연석(13)에 연결되는 앵커(11)를 콘크리트 내에 매립한다. 이에 따라,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콘크리트가 경화하게 되어,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얻게 된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크리트의 경화 후에, 틈막이 돌(14)을 제거하는 것으로 하였으나(도 2, 도 3 참조), 틈막이 돌(14)이 콘크리트에 대하여 접착됨과 아울러, 자연석(6)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걸림 결합력으로써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틈막이 돌(14)을 그대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에 남겨도 된다.
따라서, 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에서는, 복수의 자연석(6, 13) 및 콘크리트베이스(7)의 각 중량에 의해 중량 안정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콘크리트베이스(7) 표면의 복수의 자연석(6, 13)에 의해 주위의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게 되지만, 이들은 바구니 등의 수납 용기를 생략하여 기본적으로 복수의 자연석(6)과, 콘크리트베이스(7)와, 각 자연석(6)을 콘크리트베이스(7)에 장착하기 위한 앵커(11)에 의해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가능한 한 적은 부품으로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의 제조에서는, 복수의 자연석(6)에 의해 구획 공간(10)을 형성하고, 그 구획 공간(10)을 형성하는 복수의 자연석(6)을 콘크리트(콘크리트베이스(7))의 구획벽(형판)으로 이용함과 아울러, 그 각 자연석(6)을 주위의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게 하기 위해 이용하도록 그 상태 그대로 탈형(脫型)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제조 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조 단계에서 틈막이 돌(14)을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에 배치할 때에 자연석(6)의 외측에 배치하는 점에서 콘크리트를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의 틈(9)에도 진입시키고, 콘크리트베이스(7)의 용적(중량)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불규칙하고 복잡한 형상의 각 자연석(6)과 콘크리트베이스(7) 사이에서 효과적인 걸림 결합 관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앵커(11)는 콘크리트베이스(7)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앵커(11)가 콘크리트베이스(7)의 하면(시공면)에 대하여 경사(경사각 θ)져 있음으로써, 콘크리트베이스(7)에 대하여 큰 저항력 R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베이스(7)의 측면으로부터의 자연석(6)의 탈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도 10은 제2 실시 형태, 도 11∼도 13은 제3 실시 형태, 도 14, 도 15 는 제4 실시 형태, 도 16∼도 18은 제5 실시 형태, 도 19는 제6 실시 형태, 도 20은 제7 실시 형태, 도 21은 제8 실시 형태, 도 22는 제9 실시 형태, 도 23은 제10 실시 형태, 도 24는 제11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각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해당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에서는,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에 배치하는 틈막이 돌(14)이 그 자연석(6)의 내측(구획 공간(10) 내측)에 배치되고, 콘크리트베이스(7)의 외주연부는 틈(9) 안에까지 채워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의 각 틈(9)은 외부에 대해 열린 공간을 형성하고 자연석(6)에 의해 불규칙하고 복잡한 형상을 살릴 수 있으며, 이것이 동식물의 생식 공간으로서의 기능, 소파(消波) 기능 등을 높이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틈막이 돌(14)뿐만 아니라, 섬유상의 시트, 탄성체, 생분해 플라스틱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채움재로서 사용하여 틈(9)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섬유상의 시트로서는 식물에서 유래한 것, 예를 들면 야자 섬유의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탄성체로서는 스펀지, 솜, 해면, 발포 우레탄 등, 식물에서 유래한 섬유 등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을 얻기 위해 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의 제조 단계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자연석(6)을 시트(8)의 주연부 상에 배열한 후, 각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의 틈(9)의 내측에 틈막이 돌(14)(바람직하게는 섬유상의 시트 등도)이 배치되고, 그 틈막이 돌(14)과 복수의 자연석(6)에 의해 구획되는 구획 공간(10) 내에 콘크리트가 충전된다.
도 11∼도 13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는 복수의 자연석(6)이 4개 구비되고, 식석용 자연석(13)이 1개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변이 1.3m 전후로 된 정방형의 시트(8) 상의 주연부에 4개의 자연석(직경이 600㎜ 전후)이 틈(9)을 형성하며 배열되고, 그 4개의 자연석(6)이 구획하는 구획 공간(10) 내에 콘크리트베이스(7)가 배치되고, 그 콘크리트베이스(7)의 상면에 1개의 식석용 자연석(13)이 식석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조 단계에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자연석(6)을 시트(8)의 주연부 상에 배열한 후, 각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의 틈(9)의 외측에 틈막이 돌(14)이 배치되고, 그 틈막이 돌(14)과 복수의 자연석(6)에 의해 구획되는 구획 공간(10) 내에 콘크리트가 충전된다. 그리고, 그 후 콘크리트가 미경화 상태인 동안에, 식석용 자연석(13)이 콘크리트 상면에 매립된다. 이 경우에도, 채움재로서 틈막이 돌(14)뿐만 아니라 섬유상의 시트, 탄성체, 생분해 플라스틱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채움재로서 사용하여 틈(9)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 도 15에 도시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자연석(6)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배열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하측에 자연석(15), 그 상측에 자연석(16)이 각각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다수 중첩하여 사용함으로써, 호안, 호상(護床) 기능에 추가하여 소파 기능도 발휘하게 되어 있다.
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제조할 때에는, 자연석(15)의 대부분을 그 앵커(11)가 상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하면서 작업면 아래에 묻고, 그 자연석(15)의 주위에 4개의 자연석(6)을 서로 맞닿도록 하면서 배치하고, 그 4개의 자연석(6)에 의해 구획 공간(10)을 구획한다. 물론 이 경우, 각 자연석(6)의 각 앵커(11)는 그 타단측이 구획 공간(10) 내의 하측 중앙을 향해 경사진다.
다음에, 4개의 자연석(6)의 주위에 모래(17)를 쌓고, 그 모래(17)에 의해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의 틈을 막고, 그 상태에서 구획 공간(10)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한다.
그리고, 그 후 콘크리트가 미경화 상태인 동안에, 그 콘크리트 내에 자연석(16)의 앵커(도시 생략)를 끼워 넣음으로써, 자연석(16)을 4개의 자연석(6)의 중앙부에 내려 놓고, 자연석(16)에 의해 구획 공간(10)의 상측을 막는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경화를 기다려서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6∼도 18에 도시한 제5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에서는, 각 자연석(6)에서의 앵커(11)의 타단부가 콘크리트베이스(7)내에서 연결판으로서의 철망(18)에 연결되어 있다.
즉, 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에서는, 그 제조시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 이, 시트(8) 상에 복수의 자연석(6)이 구획하는 구획 공간(10) 내에서, 철망(18)이 배치되고, 그 철망(18)에 대하여 각 자연석(6)에서의 각 앵커(11)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그리고, 틈막이 돌(14)에 의해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의 틈(9)을 막은 후, 그와 같은 상태의 구획 공간(10) 내에 콘크리트가 충전되고, 그 콘크리트 상면에 식석용 자연석(13)이 식석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베이스(7)에 대한 각 앵커(11)의 마찰력과 각 앵커(11)의 경사에 기초한 저항력 외에, 각 앵커(11)의 일체화가 가해지게 되어, 자연석(6)이 콘크리트베이스(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철망(18)은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콘크리트베이스(7))의 강성과 강도를 높이게 된다.
도 19에 도시한 제6 실시 형태는, 앵커(11)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앵커(11)는 전체가 직선상이 아니라, 그 일단부(11a)에 자연석(6)의 장착강(鋼)(2) 내의 장착구(도시 생략)에 나사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그 타단부에는 직경방향 외측으로 직경이 확대된 확경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앵커(11)를 각 실시 형태에서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베이스(7) 내부와 확경부(11b) 사이에서 강고한 걸림 결합 관계를 얻을 수 있게 되어, 한층 확실하게 자연석(6)이 콘크리트베이스(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0에 도시한 제7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 이다. 이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자연석(6)에 대하여 앵커(11)의 일단부를 장착할 때에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자연석(6)을 시트(8) 상에 배열한 후, 장착 구멍(12)을 형성할 때에는,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그 장착 구멍(12) 내에 접착제가 주입되어도 그 접착제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도로서 수평 방향에 대하여 30∼45° 정도가 바람직하고, 위치로서는 해당 자연석(6)의 상, 하단으로부터 각각 50㎜의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앵커(11)는, 그 일단부(11a)에 대하여 타단부(11b)측이 대략 へ(헤)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앵커(11)의 일단부를 접착제를 통해 장착 구멍(12)에 장착한 경우에는, 그 타단부(11b)측은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해당 자연석(6)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앵커(11)의 경사 배치가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자연석(6)과 앵커(11)의 일단부(11a)의 강고한 걸림 결합 관계도 얻을 수 있게 되어, 자연석(6)과 앵커(11)의 일체화가 강고한 것으로 된다. 이 앵커(11)의 절곡 상태에 관해서는, 자연석(6)에 장착하기 전에 미리 형성해 두어도 되고, 자연석(6)에 장착한 후에 앵커(11)의 타단측을 절곡하여도 된다.
*또한, 이 각 앵커(11)의 타단부에는 환상 스페이서(20)가 끼워넣어져 있다. 이 환상 스페이서(2)는 시트(8)와 맞닿음으로써, 각 앵커(11)의 타단부를 시트(8)로부터 띄운 위치 상태로 하고, 그 각 앵커(11)의 타단부를 포함하여 모두가 콘크 리트(콘크리트베이스(7)) 내에 완전히 넣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1에 도시한 제8 실시 형태는 상기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8 실시 형태에서는, 각 자연석(6)의 장착 구멍(12)이 구획 공간(10)에 면하는 측에서, 그 각 자연석(6)의 상하 방향 대략 중간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그 각 장착 구멍(12)에 대하여 앵커(11)의 일단부(11a)가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착제 혹은 나사식 결합 관계를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각 앵커(11)는, 그 일단부(11a) 외의 타단측에 관하여, 장착 구멍(12)의 근방에서 우선 하방측으로 절곡되어 제1 절곡 부분(31)이 형성되고, 이 제1 절곡 부분(31)이 시트(8)의 상면 근방에까지 도달하면, 다시 절곡되어 제2 절곡 부분(32)이 형성되고, 이 제2 절곡 부분(32)이 시트(8)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각 앵커(11)의 타단부 외주에는 환상의 스페이서(20)가 장착되어 있고, 각 앵커(11)의 타단측은 제7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8)로부터 띄운 위치 상태를 채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앵커가 장착된 자연석(6)이 구획하는 구획 공간(10) 내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각 앵커(11)가 콘크리트 내에 매설되게 이루어져 있고, 이 콘크리트의 경화에 의해, 자연석(6)을 측면에 연결한 상태의 콘크리트베이스(7)(도 4 중, 가상선 참조)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앵커(11) 중 제1 절곡 부분(31)이 콘크리트베이스(7)와의 걸림 결합 관계를 확보하여 자연석(6)의 탈락 방지의 확실성을 높이게 되고, 앵커(11) 중 제2 절곡 부분(32)(콘크리트베이스(7)의 하부에서 그 콘크리트베이스(7)의 하면을 따르는 부분)이 그 콘크리트베이스(7)의 굽힘 강성을 높여서, 확실하게 매달아 반송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환상의 스페이서(20)를 나사식 결합 관계 등으로 앵커(11)의 타단부 외주에 강고하게 장착하도록 하면, 상기 앵커(11)의 제1 절곡 부분(31)뿐만 아니라, 환상의 스페이서(20)도 스토퍼로서 콘크리트베이스(7)에 걸어 맞춰지게 되어, 앵커(11)의 앵커 기능(이동 억제 기능)은 높아지게 된다.
도 22에 도시한 제9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9 실시 형태에서는, 각 자연석(6)의 하부에 구획 공간(10)에 면하는 측에서 상방을 향함에 따라 구획 공간(10)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 장착 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 장착 구멍(12) 내에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앵커(11)의 일단부(11a)가 장착되어 있다(접착제 등의 연결 수단에 관해서는 도시 생략). 이 앵커(11)는 그 일단부(11a)에 대하여 타단부(11b)측이 대략 へ(헤)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타단부(11b)측은 해당 자연석(6)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앵커(11)의 경사 배치(타단부(11b)측이 상향 경사 배치)에 기초하여, 콘크리트 충전 후에, 앵커(11)의 타단부(11b)측이 콘크리트베이스(7)와의 사이에 걸림 결합 관계가 얻어지고, 그 걸림 결합 관계에 의해 앵커(11)는 콘크리트베이스(7)에 유지되게 된다. 그 한편, 앵커(11)의 일단부(11a)가 비스듬하게 상향(외향)의 상태에서 장착 구멍(12)에 삽입되어(장착되어), 접착제 등의 연결 수단뿐만 아니라, 자연석(6)과 앵커(11)의 일단부(11a) 사이의 걸림 결합 관계도, 자연석(6)과 앵커(11)의 일체화에 이용된다(자연석(6)의 탈락 방지 향상). 이 때문에, 콘크리트베이스(7)의 측면에는, 자연석(6)이 강고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 앵 커(11)의 절곡 상태에 관해서는, 자연석(6)에 장착하기 전에 미리 형성해 두어도 되고, 자연석(6)에 장착한 후, 앵커(11)의 타단측을 절곡하여도 된다.
도 23에 도시한 제10 실시 형태는 상기 제9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각 앵커(11)는 자연석(6)의 하부에 장착되는 일단부(11a)에 연속하는 연속 부분(33)을 갖고, 이 연속 부분(33)은 시트(8)의 상면 상방에서 시트(8)의 상면을 따르면서, 그 앵커(11)가 장착되어 있는 자연석(6)에 대향하는 자연석(6)의 근방까지 연장되게 이루어져 있다. 이 연속 부분(33)에는 기립 부분(34)이 연결되어 있고, 그 기립 부분(34)은 상방을 향해 기립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기립 부분(34)은 각 자연석(6)의 상부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기립 부분(34)의 기립 단부(앵커(11)의 타단부(11b))에는 환상의 고리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앵커가 장착된 자연석(6)이 구획하는 구획 공간(10) 내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콘크리트베이스(7)가 배치되어 있고, 그 콘크리트베이스(7) 내에는 상기 각 앵커(11)가 매설되게 이루어져 있다. 즉, 앵커(11)의 연속 부분(33)은 콘크리트베이스(7) 내 하부에서 그 콘크리트베이스(7)의 하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앵커(11)의 기립 부분(34)은 그 대부분이 콘크리트베이스(7)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게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각 앵커(11)의 고리부(35)는 콘크리트베이스(7)의 상면보다 상측에 돌출하여 위치하게 되어 있고, 그 각 고리부(35)에는 매달기 금구(金具, 크레인 등에 매달리는 반송구)의 후크를 걸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콘크리트베이스(7)의 하부에 위치하는 각 앵커(11)의 연속 부분(33)에 의해 콘크리트베이스(7)의 굽힘 강도를 높여 확실하게 매달아 반송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앵커(11)의 타단부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매달아 반송하기 위한 고리부(35)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24에 도시한 제11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각 앵커(11)는, 자연석(6)의 하부에 장착되는 일단부(11a)에 연속하는 타단측이 시트(8)의 상면 상방에서 시트(8)의 상면을 따르면서 그 앵커(11)가 장착되어 있는 자연석(6)에 대향하는 자연석(6)의 근방까지 연장되게 이루어져 있다. 이 각 앵커(11)의 타단부 외주에는 환상의 스페이서(20)가 장착되어 있고, 각 앵커(11)의 타단측은 제7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로, 시트(8)로부터 띄운 위치 상태를 채택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앵커가 장착된 자연석(6)이 구획하는 구획 공간(10) 내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콘크리트베이스(7)가 배치되어 있고, 그 콘크리트베이스(7) 내의 하부에 상기 각 앵커(11)의 타단측이 매설되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콘크리트베이스(7)의 하부에 위치하는 각 앵커(11)에 의해 콘크리트베이스(7)의 굽힘 강도를 높여 확실하게 매달아 반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포함한다.
(1) 복수의 자연석(6)을 맞닿도록 하면서 배열하여, 인접하는 자연석(6) 사이에 가능한 한 틈(9)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는 것. 그리고, 이 경우에는, 틈(9)을 없애기 위해 야자 섬유 등의 부직포 등을 자연석(6) 사이에 끼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괴상 부재로서, 자연석(6, 13, 15, 16) 외에 인조석, 블록 등을 사용하는 것.
(3)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하천, 호수 등의 호안, 기반 다지기 구조물, 소파 구조물 등으로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
(4)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시트(8)를 제외한 것으로 하는 것. 이것에는, 박리성을 갖는 시트(8) 상에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의 제조를 행한 후, 그 시트(8)를 제거하는 형태와, 시트(8)를 처음부터 사용하지 않고, 박리성이 있는 작업면, 모래밭(작업면) 등에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제조하는 형태를 포함한다.
(5) 콘크리트베이스(7)의 하면을 홈, 요철 등의 요철면으로 형성하여, 이것을 시공면에 대한 스토퍼로서 기능시키는 것. 이를 위해, 제조시에 복수의 자연석(6)을 배열하는 제조 작업면을 적어도 구획 공간(10) 내에서 요철면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자연석(6)에 대하여 앵커(11)의 일단부를 장착할 때에는 이미 알려진 각종 장착구를 이용하는 것.
(7) 제4 실시 형태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 형태에서도 철망(18)을 콘크리트베이스(7) 내에 내장시킴으로써,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의 강성,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
(8)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성을 고려하여 자연석(6)을 구획 공간(10)을 형성하도록 배열한 후에, 앵커(11)를 장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물론 미리 자연석(6)에 앵커(11)를 장착해 두고, 이것을 배열하도록 하여도 되는 것.
(9)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에서, 콘크리트베이스(7) 대신에 채움재 등의 충전재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이 경우에는, 복수의 자연석(6)의 하측에 시트(8)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중량물로서의 충전재의 사용은, 매달아 반송할 때의 확실성 등의 관점에서, 시공면에서 제조와 장착이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에 바람직한 것.
(10) 저항력 발생 수단으로서, 앵커(11)의 본체 또는 타단부에 이형 봉강, 코일을 사용하거나, 앵커(11)의 타단부를 L자 형상, 후크 형상, U자 형상 등으로 적절하게 굴곡시키는 것.
(11) 각 자연석(6)에 2개 이상(바람직하게는 2개)의 앵커(11)를 사용하는 것.
(12) 연결판으로서의 철망(18) 대신에, 콘크리트베이스(7) 내에 보강 철근판을 매립하고, 각 앵커(11)의 타단부를 보강 철근판에 연결하는 것. 이에 따라, 콘크리트베이스(7)로부터의 자연석(괴상 부재)의 탈락을 매우 큰 유지력으로써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3) 제8∼제11 실시 형태에서는, 미리 앵커가 장착된 자연석(6)을 준비한 후에, 그 앵커가 장착된 자연석(6)을 사용하여 구획 공간(10)을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자연석(6)으로써 구획 공간(10)을 구획한 후에, 그 각 자연석(6)에 앵 커(11)의 일단부(11a)를 장착해도 되는 것.
(14)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복수의 자연석(6)(괴상 부재)을 구획벽으로서 배열하여 구획 공간(10)을 구획함과 아울러, 그 구획 공간(10) 내에 그 각 자연석(6)의 각 앵커(11)를 배치시키고, 다음에, 상기 구획 공간 내에 상기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경우(청구항 21)에서, 청구항 10∼13의 내용을 적용하는 것.
(15) 틈막이 돌(14)를 대신하는 채움재로서, 모래 주머니, 돌 주머니, 그 외 시트형상물, 주머니체의 안에 고분자 폴리머를 채운 것(자연석(6) 사이에 채워 넣고, 물을 뿌려 팽창시켜 각 자연석(6)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 고무, 발포 스티롤, 물 주머니, 눈(雪) 등을 사용하는 것.
(16) 작업면 상에 시트(8)를 까는 것 대신에, 모래나 자갈 등을 깔고, 그 위에서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를 제조하는 것.
(17) 제11 실시 형태와 반대로, 앵커(11)의 타단측을, 콘크리트베이스(7) 내 상부에서, 그 콘크리트베이스(7)의 상면을 따르도록 연장시키는 것. 이에 따라, 토목구축물용 유니트(5)을, 그 주연부가 아니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부를 매단 경우에는, 그 상부 중앙부에 최대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는데, 앵커(11)에 의해 콘크리트베이스(7)의 굽힘 강도가 높아지게 되어, 그와 같이 확실하게 매달아 반송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 해당 콘크리트 기판을 덮도록 하여 괴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베이스의 측면, 상면 및 하면이 괴상 부재에 의해 덮여지게 되며 주위의 자연환경에 한층 조화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베이스의 주위가 4개의 괴상 부재로 둘러싸이고,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1개의 괴상 부재로 덮여지므로, 해당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다수 겹쳐서 사용하게 되고, 호안, 호상(護床)기능에 더하여 소파기능도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우선 괴상 부재를 해당 괴상 부재의 앵커가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하면서 작업면 아래로 채운 상태로 하며, 다음으로 상기 작업면 상에 상기 괴상 부재의 주위에서 별도의 복수의 괴상 부재를 배치하여 구획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해당 구획공간 내에 각 해당 괴상 부재로부터 앵커를 각각 연장한 상태로 하며, 다음으로 상기 구획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다음으로 상기 콘크리트 내에 해당 콘크리트가 미경화 상태 중에 앵커를 해당 콘크리트의 상면측에서부터 끼워 넣어, 해당 앵커를 사이에 두고 또 다른 괴상 부재를 해당 콘크리트의 상면측에 설치하므로, 복수의 괴상 부재를 구획벽으로 이용하여 그 구획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할 수 있으며, 그 콘크리트 내에 각 괴상 부재의 앵커를 매설할 수 있게 되어 그 콘크리트의 경화를 기대하여 콘크리트베이스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괴상 부재가 구획한 구획공간을 이용하여, 그 구획공간 내로의 콘크리트 충전작업만으로 중량부재의 확보, 각 괴상 부재의 설치가 행해지게 되어 작업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작업면 상의 복수의 괴상 부재의 주위에 구획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기 전에 모래를 채워서, 서로 이웃한 괴상 부재 사이의 공간을 해당 모래에 의해 메우므로 상기 청구항 6의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각 괴상 부재는 앵커가 미리 설치된 앵커부착 괴상 부재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청구항 4에 의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구체적이고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작업면 아래에 채운 괴상 부재의 수가 1개로 되고, 상기 작업면 상에 배치한 복수의 괴상 부재의 수가 4개로 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측에 설치한 괴상 부재의 수가 1개로 되므로 상기 청구항 5에 의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구체적이고 쉽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대략 일정 두께로 된 콘크리트베이스와,
    상기 콘크리트베이스보다 두꺼운 복수의 괴상 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각 괴상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측은 상기 콘크리트베이스 내에 채워지는 앵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괴상 부재는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주위 전체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면 및 하면을 덮도록 괴상 부재가 설치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주위가 4개의 괴상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콘크리트베이스의 상면 및 하면이 각각 1개의 괴상 부재에 의해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6. 괴상 부재에 연결되는 앵커가 상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상기 괴상 부재를 작업면 아래에 묻는 단계와,
    상기 작업면 상에 상기 괴상 부재의 주위에 별도의 복수의 괴상 부재를 배치하여 구획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 괴상 부재에 연결되는 앵커가 상기 구획공간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별도의 복수의 괴상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구획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가 미경화인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상면측에 또 다른 괴상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상면측에 설치된 괴상 부재에는 상기 콘크리트 내로 넣어진 앵커가 연결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7. 제6항 있어서,
    상기 작업면 상의 상기 복수의 괴상부재의 주위에 상기 구획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기 전에 모래를 채워서, 서로 이웃한 괴상 부재 사이의 공간을 모래로 메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괴상 부재는 앵커가 미리 설치된 앵커부착 괴상 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면 아래에 채운 괴상 부재의 수가 1개로 되고,
    상기 작업면 상에 배치한 복수의 괴상 부재의 수가 4개로 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측에 설치한 괴상 부재의 수가 1개로 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KR1020070002797A 2004-10-08 2007-01-10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 KR100782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96841 2004-10-08
JP2004296841 2004-10-08
JPJP-P-2005-00129541 2005-04-27
JP2005129541A JP3737509B1 (ja) 2004-10-08 2005-04-27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131A Division KR100782037B1 (ko) 2004-10-08 2005-10-07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 및토목구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757A KR20070012757A (ko) 2007-01-26
KR100782038B1 true KR100782038B1 (ko) 2007-12-04

Family

ID=357984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131A KR100782037B1 (ko) 2004-10-08 2005-10-07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 및토목구축물
KR1020070002797A KR100782038B1 (ko) 2004-10-08 2007-01-10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131A KR100782037B1 (ko) 2004-10-08 2005-10-07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 및토목구축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37509B1 (ko)
KR (2) KR1007820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3547B2 (ja) * 2006-07-04 2012-02-08 環境工学株式会社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4826947B2 (ja) * 2006-07-25 2011-11-30 日建工学株式会社 自然石連結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8214883A (ja) * 2007-02-28 2008-09-18 Nikken Kogaku Co Ltd 自然石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自然石ブロック構造物の施工法
JP5000553B2 (ja) * 2008-03-10 2012-08-15 環境工学株式会社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512214B2 (ja) 2021-01-20 2024-07-08 株式会社イノアック住環境 アンカー施工方法、ロープ伏せ工法、及びアンカー構造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337A (ja) * 1998-11-10 2000-03-28 Masashi Yukimoto 石連結土木構造物
JP2001107336A (ja) * 1999-10-08 2001-04-17 Hatanaka Sekizai Kk 自然石固着シート
KR200303587Y1 (ko) * 2002-10-24 2003-02-11 오부영 다공질 망태블록
KR200401985Y1 (ko) * 2005-09-03 2005-11-23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식생호안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9371A (ja) 2001-05-18 2002-11-27 Sakurai Kenzai Sangyo Kk 法面用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337A (ja) * 1998-11-10 2000-03-28 Masashi Yukimoto 石連結土木構造物
JP2001107336A (ja) * 1999-10-08 2001-04-17 Hatanaka Sekizai Kk 自然石固着シート
KR200303587Y1 (ko) * 2002-10-24 2003-02-11 오부영 다공질 망태블록
KR200401985Y1 (ko) * 2005-09-03 2005-11-23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식생호안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37509B1 (ja) 2006-01-18
KR20060052085A (ko) 2006-05-19
KR100782037B1 (ko) 2007-12-04
KR20070012757A (ko) 2007-01-26
JP2006132309A (ja)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6938A (en) Gabion system
US6416260B1 (en)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KR100782038B1 (ko)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 방법
JP2001527176A (ja) 強化擁壁
JP201651517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擁壁
JP2007070859A (ja) 建造物の免震施工方法および免震構造
CN106013954A (zh) 一种组合围挡的施工方法
CA3196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under-slab utilities from changes in soil volume
JP4625987B2 (ja) 貯水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1214698A (ja) 防水シート材
JP4698437B2 (ja) 擁壁ユニットを用いた石積み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JP3871925B2 (ja) 裏込め構造および裏込め構築方法
JP3809460B2 (ja)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及び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20090241447A1 (en) Foundation Wall For Modular Structures
US7775743B1 (en) Eros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use
JP4519998B2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板組立体を用いた、軽量地盤構築方法、基礎構築方法、及び軽量盛土施工方法
KR100413880B1 (ko) 호안,자연석유지유니트조립체,자연석유지유니트
JP4448406B2 (ja) 独立基礎構造
JP3054557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と擁壁
JPS5862225A (ja) 法面保護工法
JP3427066B2 (ja) 土木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3315977B1 (ja) 土木用ブロック、土木構築物構造、土木構築物構造の構築方法及び土木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3652335B2 (ja) 自然石固着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使用した多自然型工法
JP3639084B2 (ja) 結合構造を有する擁壁ブロック及び該擁壁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の施工方法
JP2010001718A (ja) 浅層地盤改良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