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486B1 -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486B1
KR100781486B1 KR1020050076041A KR20050076041A KR100781486B1 KR 100781486 B1 KR100781486 B1 KR 100781486B1 KR 1020050076041 A KR1020050076041 A KR 1020050076041A KR 20050076041 A KR20050076041 A KR 20050076041A KR 100781486 B1 KR100781486 B1 KR 100781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optical
connecting portion
connecto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148A (ko
Inventor
케이지 미네
히로시 나카가와
타케시 이소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를 유지한 광플러그와 접속되는 광커넥터로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와, 그들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광플러그의 광섬유를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슬리브를 구비하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송신용 슬리브(30)와 수신용 슬리브(40)를 연결부(50)를 개재해서 일체화하여 슬리브 유닛(61)을 구성한다. 슬리브 유닛(61)은 연결부(50)가 커넥터 보디(80)에 압입되어서 고정된다. 압입에 의한 응력이 송신용 슬리브(30) 및 수신용 슬리브(40)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응력의 영향에 의해서 그들의 광학기능(광학특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커넥터{OPTICAL CONNECTOR}
도 1A는 광커넥터의 종래구성예를 표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광커넥터와 접속되는 광플러그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제 1의 실시예에 이용하는 슬리브 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정면도, 도 2C는 도 2B의 오른쪽 측면도이며, 도 2D는 도 2A~2C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제 1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배면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를 정면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A, 3B에 표시한 광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A, 3B에 표시한 광커넥터의 일부를 떼어내서 주요부분 구성을 표시한 배면도
도 6은 도 3A, 3B에 표시한 광커넥터에 상대방 광플러그의 광섬유를 유지한 페룰이 끼워맞춤 접속된 상태의 개요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7A는 도 2A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의 기본구성(최소구성)을 표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정면도, 도 7C는 도 7B의 오른쪽 측면도이며, 도 7D은 도 7A~7C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의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제 2의 실시예에 이용하는 슬리브 유닛 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정면도, 도 8C는 도 8B의 오른쪽 측면도이며, 도 8D는 도 8A~8C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의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제 3의 실시예에 이용하는 슬리브 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정면도, 도 9C는 도 9B의 오른쪽 측면도이며, 도 9D는 도 9A~9C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의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제 4의 실시예에 이용하는 슬리브 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정면도, 도 10C는 도 10B의 오른쪽 측면도이며, 도 10D는 도 10A~10C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제 2의 실시예의 주요부분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일부를 떼어내서 표시한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제 3의 실시예의 주요부분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일부를 떼어내서 표시한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제 4의 실시예의 주요부분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일부를 떼어내서 표시한 배면도
도 14A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제 5의 실시예에 이용하는 슬리브 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정면도, 도 14C는 도 14B의 오른쪽 측면도이며, 도 14D는 도 14A~14C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제 5의 실시예의 주요부분 구성을 표시하기 위한 일부를 떼어내서 표시한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70: 광커넥터 11, 24: 하우징
12: 격납실 13, 71: 발광소자 모듈
14, 72: 수광소자 모듈 15: 수승통
16: 슬리브 16a: 광섬유
16b: 원통형상의 홀더 17: 캡
18: 백시트 20: 광플러그
21: 페룰 22: 광섬유
23: 통형상 격벽 25: 스프링 캡
26: 부츠 30: 송신용 슬리브
31: 광학기능부 31a, 41a: 렌즈
32, 42: 플랜지 33: 리브
34, 81: 凹부 40: 수신용 슬리브
50: 연결부 51: 평판부
52: 돌기 53: 노치
54: 각혈 61, 63, 64, 65: 슬리브 유닛
73: 소자 홀더 74: 쉴드커버
74a: 걸림부 80: 커넥터 보디
84: 돌조 85: 단차부
86, 87: 사다리꼴 형상 돌출부
본 발명은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와, 그들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상대방 광플러그의 광섬유를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슬리브가 조립되어서 이루어지는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A, 1B는 쌍방향 광통신용 커넥터의 종래구성예로서,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2000-304980호 공보(2000년 11월 2일 발행, 이하 문헌 1이라고 함)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표시한 것이며, 도 1A는 기기쪽에 배치되는 광커넥터(리셉터클)를 표시하고, 도 1B는 그 광커넥터와 끼워맞춤 접속되는 광플러그를 표시한다.
광커넥터(10)의 하우징(11)에는 한 쌍의 격납실(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격납실(12)에 발광소자 모듈(송신모듈)(13) 및 수광소자 모듈(수신모듈)(14)이 각각 격납되어 있다. 양격납실(12)의 앞쪽에는 앞쪽으로 뻗는 수승통(受承筒)(15)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수승통(15) 내에 슬리브(16)가 각각 끼워 붙임되어 있다. 도 1A 중, (17)은 배면에 씌워 붙임된 캡을 표시하고, (18)은 발광소자 모듈(13) 및 수광소자 모듈(14)을 지지하고 있는 백시트를 표시한다.
한편, 광플러그(20)는 도 1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 페룰(21)이 장착된 한 쌍의 광섬유(22)와 페룰(21)을 내부에 수용해서 보호하는 통형상 격벽(23)을 구비한 하우징(24)과, 그 하우징(24)에 끼워맞춤 고정된 스프링 캡(25)과, 그 스프링 캡(25)의 뒷부분에 끼워 붙임된 부츠(26)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1B 중, (27)은 페룰(21)을 앞쪽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광커넥터(10) 및 광플러그(20)는 광커넥터(10)에 광플러그(20)를 끼워맞춤하면, 광섬유(22)를 유지한 한 쌍의 페룰(21)이 수승통(15) 내에 진입하고, 광섬유(22)의 단부면이 노출되어 있는 페룰(21)의 선단부면이 수승통(15) 내에 끼워 붙임되어 있는 슬리브(16)의 선단부면과 조그마한 틈새를 개재해서 대향하고, 이것에 의해 양광섬유(22)와 발광소자 모듈(13) 및 수광소자 모듈(14)이 각각 슬리브(16)를 개재해서 광학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16)는 광을 전파하는 광섬유(16a)가 원통형상의 홀더(16b) 내에 수용되어서 고정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 슬리브는, 광을 전파하는 도광로(광섬유)가 원통형상 홀더 내에 수용된 구조로 이루어져, 광커넥터의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수승통 내에 끼워 붙임되고, 이 때, 슬리브는 수승통에 압입되어서 위치결정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압입에 의한 응력이 도광로에 작용되어, 응력의 영향에 의해서 도광로의 광학특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한편, 상기 문헌 1에는 도광로의 일단부에 가이드부가 일체 형성된 구조의 슬리브나 그와 같은 가이드부를 가지는 송신용 슬리브와 수신용 슬리브가 연결부를 개재해서 일체화되어서 이루어지는 슬리브도 기재되어 있지만, 어쨌든 도광로 둘레에 위치하는 가이드부가 수승통에 압입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압입에 의한 응력이 도광로의 광학기능에 영향을 미칠 위험성이 있었 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에 감안해서, 압입에 의한 응력이 슬리브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따라서 응력의 영향에 의해서 슬리브의 광학기능이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한 광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를 유지한 광플러그와 접속되는 광커넥터로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와, 그들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광플러그의 광섬유를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슬리브를 구비하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송신용 슬리브와 수신용 슬리브가 연결부를 개재하여 일체화되어서 슬리브 유닛이 구성되고, 그 슬리브 유닛의 연결부가 커넥터 보디에 압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A~2D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의 일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슬리브(슬리브 유닛)의 구성을 표시한 것이며, 도 3A, 3B는 그 슬리브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광커넥터의 외관, 도 4는 그 광커넥터를 각부에 분해한 상태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또, 도 5는 슬리브의 장착구조의 상세함을 표시한 것이다. 우선, 도 2A~2D를 참조해서 슬리브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송신용 슬리브(30)와 수신용 슬리브(40)가 연결부(50)를 개재하여 일체화되어서 슬리브 유닛(61)이 구성된다.
송신용 슬리브(30)는 본 예에서는 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양단부면에 렌즈 (31a)가 형성되어 있는 광학기능부(도광로)(31)와, 그 광학기능부(31) 일단부쪽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32)와, 그 플랜지(32)의 안쪽 단부면으로부터 광학기능부(31)의 타단부쪽을 향해 광학기능부(31)와 평행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리브(3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한 쌍의 리브(33)는 소정의 틈새를 개재해서 광학기능부(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어, 서로의 내부측면은 평면으로 되고, 서로의 외부측면은 원통면으로 되어서, 플랜지(32)의 외주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32)의 바깥쪽 단부면에는 凹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凹부(34) 내에 광학기능부(31)의 일단부가 위치되어 있다.
한편, 수신용 슬리브(40)는 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양단부면에 렌즈(41a)가 형성되어 있는 광학기능부(도광로)(41)와, 그 광학기능부(41) 일단부쪽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42)와, 그 플랜지(42)의 안쪽 단부면으로부터 광학기능부(41)의 타단부쪽을 향해 광학기능부(41)와 평행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리브(4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고, 이들 리브(43)는 본 예에서는 리브(33)와 달리, 평판형상으로 되어서 광학기능부(41)를 사이에 두고 동일평면 위에 위치되고, 또한 광학기능부(41)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리브(43)의 서로의 외부측면은 원통면으로 되어서 플랜지(42)의 외주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으로 되고, 또 플랜지(42)의 바깥쪽 단부면에는 凹부(44)가 형성되어서, 그 凹부(44) 내에 광학기능부(41)의 일단부가 위치되어 있다.
연결부(50)는 양플랜지(32, 42)의 안쪽 단부면쪽에서, 그들 플랜지(32, 42) 사이에 형성되어서 플랜지(32, 42)를 연결하는 평판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되고, 본 예에서는 그 평판부(51)에 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52)는 평판부(51)의 중앙부분에 위치하여, 그 한 변으로부터 판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슬리브 유닛(61)은 예를 들면 수지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해서 광커넥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커넥터(70)는 수지제의 커넥터 보디(80)와 상술한 슬리브 유닛(61)과 발광소자 모듈(71)과 수광소자 모듈(72)과 소자 홀더(73)와 쉴드커버(7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된다.
발광소자 모듈(71) 및 수광소자 모듈(72)은 각각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가 수지밀봉되어서 그 밀봉수지로부터 단자가 도출된 구조로 되고, 발광소자는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LD)로 되며, 수광소자는 예를 들면 포토다이오드(PD)로 된다. 도 4 중, (71a, 72a)는 밀봉수지를 표시하고, (71b, 72b)는 단자를 표시한다.
발광소자 모듈(71) 및 수광소자 모듈(72)은 소자 홀더(73)에 수용되어서 유지되고, 이 소자 홀더(73)가 쉴드커버(74)에 수용 유지된다. 쉴드커버(74)에는 한 쌍의 걸림부(7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걸림부(74a)가 커넥터 보디(80)의 양측면에 걸림되어서 쉴드커버(74)가 커넥터 보디(80)에, 그 배면쪽으로부터 장착된다. 커넥터 보디(80)의 배면에는 凹부(81)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리브 유닛(61)은 이 凹부(81)에 삽입 위치되어서 발광소자 모듈(71)의 발광면 및 수광소자 모듈(72)의 수광면과 대향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조립된 광커넥터(70)는 도 3A, 3B에 표시한 바와 같은 외관구조로 된다. 커넥터 보디(80)의 앞면에는 도 3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대방 광플러그가 삽입되는 凹부(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凹부(8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해서 한 쌍의 수승통(8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승통(83)의 통내 공간은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凹부(81)에 있어서 배면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해서 슬리브 유닛(61)의 커넥터 보디(80)에의 장착구조의 상세함을 설명한다.
커넥터 보디(8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凹부(81)는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 유닛(61)의 외형형상(플랜지(32, 42)와 연결부(50)가 이루는 형상)과 거의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서 슬리브 유닛(61)이 수용되는 크기로 되고, 이 凹부(81)의 내부 측벽면에는 본 예에서는 3개의 돌조(突條)(8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조(84)는 凹부(81)의 깊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면이 반구면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된다. 3개의 돌조(84) 중 하나는 凹부(81)의 윗변부분 중앙에 위치하고, 나머지 두 개의 돌조(84)는 슬리브 유닛(61)의 연결부(50)의 사다리꼴 형상 돌기(52)와 대응해서 아랫변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85)의 양경사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 유닛(61)은 상기와 같이 3개의 돌조(84)를 구비한 凹부(81)에 연결부(50)가 압입되어서 장착되고, 이것에 의해 3개의 돌조(84)가 연결부(50)와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압접해서, 이들 돌조(84)에 의해 연결부(50)가 위치결정 고정된다.
따라서, 본 예에 의하면, 슬리브 유닛(61)의 압입장착에 의한 응력은 연결부(50)에 작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즉 송신용 슬리브(30) 및 수신용 슬리브(40)의 양광학기능부(31, 41)에는 압입에 의한 응력은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응력의 영향에 의해서 광학기능부(31, 41)의 광학기능(광학특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은 상술한 광커넥터(70)에 상대방 광플러그가 끼워맞춤 접속된 상태의 횡단면구조의 개략을 표시한 것이며, 도 6 중, (91)은 광섬유를 표시하고, (92)는 광섬유(91)의 선단부에 장착된 페룰을 표시한다. 또한, 광플러그의, 이들 광섬유(91) 및 페룰(92) 이외의 부분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페룰(92)에 유지되어서 수승통(83) 내에 삽입된 광섬유(91)는 각각 슬리브 유닛(61)의 광학기능부(31, 41)를 개재해서 발광소자 모듈(71) 및 수광소자 모듈(72)과 광학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슬리브 유닛(61)의 송신용 슬리브(30) 및 수신용 슬리브(40)는 각각 리브(33 및 43)를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들 리브(33, 43)는 광학기능부(31, 41)의 보호를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승통(83) 내에 삽입 위치되지만, 수승통(83)과의 사이에는 조그마한 틈새가 있으며, 즉 수승통(83)에 압입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리브(33, 43)를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면 슬리브 유닛(61)의 연결부(50)의 위치결정 부분에서, 얼마간의 손상이 발생되어 위치결정 기능이 손상된다고 하는 상황이 발생되어도, 위치결정을 크게 흩뜨리지 않고, 슬리브 유닛 (61)의 광학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며, 즉 광학기능부(31, 41)의 대폭적인 축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보조적인 위치결정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도 7A~7D는 슬리브 유닛의 다른 구성예를 표시한 것이며, 본 예에서는 송신용 슬리브(30) 및 수신용 슬리브(40)는 각각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31 및 41)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고, 즉 도 2A~2D에 표시한 구성으로부터 광학기능부 보호용의 플랜지(32, 42) 및 리브(33, 43)가 삭제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도 7A~7D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62)은 도 2A~2D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61)과 마찬가지의 연결부(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부(50)가 압입 고정되는 구조의 슬리브 유닛의 최소구성(기본구성)을 표시하는 것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슬리브 유닛의 연결부(50)는 평판부(51)에 돌기(52)가 돌출 형성되고, 돌기(52)가 커넥터 보디(80)에 형성된 돌조(84)와 압접해서 위치결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연결부(50)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8A∼8D, 9A~9D 및 10A~10D는 연결부(50)의 각종 형상을 표시한 것이며, 도 8A~8D에서는 연결부(50)는 평판부(51)에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노치(53)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9A~9D는 연결부(50)가 폭이 좁은 평판부(5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양플랜지(32, 42) 사이를 전면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고, 치우친 한 쪽 측만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또, 도 10A~10D는 평판부(51)에 3각형 형상을 이루는 각구멍(54)을 형성한 것이다.
도 11~13은 이들 도 8A~8D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63), 도 9A ~9D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64) 및 도 10A~10D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65)의 커넥터 보디(80)에의 압입장착구조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도 11에서는 커넥터 보디(8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凹부(81)의 윗변부분 중앙에, 슬리브 유닛(63)의 연결부(50)의 노치(53)와 대응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돌출부(8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사다리꼴 형상 돌출부(86)의 양경사면에 각각 돌조(84)가 형성되고, 또한 凹부(81)의 아랫변부분에 2개의 돌조(84)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 유닛(63)의 연결부(50)는 凹부(81)의 측벽면에 위치하는 이들 4개의 돌조(84)와 압접해서 위치결정 고정된다.
도 12에서는 凹부(81)의 아랫변부분 중앙에 사다리꼴 형상의 돌출부(87)가 형성되어서, 슬리브 유닛(64)의 폭이 좁은 연결부(50)와 대응하는 폭에 凹부(81)의 중앙부분이 좁혀져서, 사다리꼴 형상 돌출부(87)의 상부면에 2개의 돌조(84)가 형성되고, 또한 凹부(81)의 윗변부분에 2개의 돌조(84)가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50)는 이들 4개의 돌조(84)와 압접해서 위치결정 고정된다.
한편, 도 13에서는 슬리브 유닛(65)의 각구멍(54)과 끼워맞춤하는 3각기둥형상의 돌기(88)가 凹부(81)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리브 유닛(65)의 연결부(50)는 이 돌기(88)에 각구멍(54)이 압입되어서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 고정된다.
이들 도 11~13에 표시한 어느 장착구조에서나, 연결부(50)가 압입되어서 위치결정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압입에 의한 응력은 송신용 슬리브(30) 및 수신용 슬리브(40)의 양광학기능부(31, 41)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송신용 슬리브(30)와 수신용 슬리브(40)를 연결하는 연결부(50)는 어느 슬리브 유닛(61~65)에서나 얇은 평판형상으로 되고, 얇게 되어 있는 부분, 송신쪽에서 연결부(50)를 통해 수신쪽으로 입사하는 크로스토크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도 10A~10D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65)과 같이 연결부(50)에 각구멍(54)이 형성된 구조에서는 크로스토크를 더욱더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어느 슬리브 유닛(61~65)이나 송신용 슬리브(30) 및 수신용 슬리브(40)의 양광축과 평행이고, 또한 그들 광축간의 중심점에 위치하는 중심선에 대해서 연결부(50)가 비대칭형상으로 되며, 또한 커넥터 보디(80)의 凹부(81)도 연결부(50)의 형상으로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브 유닛(61~65)의 커넥터 보디(80)에의 조립 시에, 송신용 슬리브(30)와 수신용 슬리브(40)를 잘못 넣어 삽입해 버린다고 하는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7A~7D에 표시한 플랜지 및 리브가 없는 슬리브 유닛(62)에서는 슬리브 유닛(62)의 전후를 잘못 넣어 삽입한다고 하는 일이 특히 발생되기 쉽지만,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연결부(50)의 돌기(52)를 연결부(50)의 중앙으로부터 비켜서 형성하고, 또한 커넥터 보디(80)의 凹부(81)의 단차부(85)도 그것에 맞춰서 비켜 놓으면 된다.
즉, 연결부(50)의 형상을 송신용 슬리브(30) 및 수신용 슬리브(40)의 양광축을 포함하는 제 1의 평면에 대해서 비대칭으로 하고, 또 그 제 1의 평면과 직교하며, 또한 상기 양광축과 평행하고, 그들 광축간의 중심점에 위치하는 중심선을 포함하는 제 2의 평면에 대해서도 비대칭으로 함으로써, 슬리브 유닛의 전후좌우 모든 방향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A~14D는 이와 같이 전후좌우 모든 방향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슬리브 유닛의 구성의 일예를 표시한 것이며, 본 도 14A~14D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66)은 도 2A~2D에 표시한 슬리브 유닛(61)에 있어서의 연결부(50)의 돌기(52)를 중앙으로부터 수신용 슬리브(40)쪽으로 비켜서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5는 이 슬리브 유닛(66)이 커넥터 보디(80)에 압입되어서 장착된 상태를 표시한 것이며 커넥터 보디(80)의 凹부(81)의 단차부(85)는 슬리브 유닛(66)의 연결부(50)의 돌기(52)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중앙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용 슬리브와 수신용 슬리브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압입 고정되어서, 그들 송신용 슬리브 및 수신용 슬리브가 커넥터 보디에 조립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압입에 의한 응력은 송신용 슬리브 및 수신용 슬리브에 작용하지 않고, 응력의 영향에 의해서 그들의 광학기능(광학특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광섬유를 유지한 광플러그와 접속되는 광커넥터로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와 그들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와 상기 광플러그의 광섬유를 광학적으로 접속하는 슬리브를 구비하는 광커넥터에 있어서,
    송신용 슬리브와 수신용 슬리브가 연결부를 개재하여 일체화되어서 슬리브 유닛이 구성되고,
    상기 슬리브유닛은 상기 연결부가 각구멍을 가지고, 그 각구멍이 커넥터 보디에 형성되어 있는 각기둥형상 돌기에 압입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용 슬리브 및 수신용 슬리브의 양광축과 평행하고, 또한 그들 광축간의 중심점에 위치하는 중심선에 대해서 상기 연결부가 비대칭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송신용 슬리브 및 수신용 슬리브의 양광축을 포함하는 제 1의 평면 및 이 제 1의 평면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양광축과 평행하고 그들 광축간의 중심점에 위치하는 중심선을 포함하는 제 2의 평면에 대해서 각각 비대칭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KR1020050076041A 2004-09-08 2005-08-19 광커넥터 KR100781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0882 2004-09-08
JP2004260882A JP4167210B2 (ja) 2004-09-08 2004-09-08 スリーブの取り付け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148A KR20060053148A (ko) 2006-05-19
KR100781486B1 true KR100781486B1 (ko) 2007-12-03

Family

ID=3551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041A KR100781486B1 (ko) 2004-09-08 2005-08-19 광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44067B2 (ko)
EP (1) EP1635205B1 (ko)
JP (1) JP4167210B2 (ko)
KR (1) KR100781486B1 (ko)
CN (1) CN100409052C (ko)
DE (1) DE602005020884D1 (ko)
TW (1) TWI2902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4913B2 (ja) * 2005-12-21 2010-05-19 ホシデン株式会社 双方向光通信用コネクタ
JP2010026345A (ja) 2008-07-23 2010-02-04 Yazaki Corp 光コネクタ
JP2013003558A (ja) * 2011-06-22 2013-01-07 Yazaki Corp 光通信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38303A (ja) * 2012-07-19 2014-02-27 Yazaki Corp 光コネクタ、及び嵌合ユニット
JP6154152B2 (ja) * 2013-02-12 2017-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6354102B2 (ja) * 2013-05-13 2018-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6367761B2 (ja) * 2015-06-16 2018-08-01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6247664B2 (ja) * 2015-06-16 2017-12-13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6273232B2 (ja) * 2015-06-19 2018-01-31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JP2019184744A (ja) * 2018-04-05 2019-10-24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20190312172A1 (en) * 2018-04-05 2019-10-10 Yazaki Corporation Optical connector
JP2020027140A (ja) * 2018-08-09 2020-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CN109212688A (zh) * 2018-10-24 2019-01-15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光发射组件和光模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4777A (ja) * 1994-04-22 1995-11-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モジュール
US20030147602A1 (en) * 2002-02-01 2003-08-07 Koji Takada Optical link device
KR20040001630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JP2004053764A (ja) * 2002-07-17 2004-02-19 Yazaki Corp スリーブ成形品、スリーブ用成形金型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KR20040028409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케이티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1219A (en) * 1990-11-09 1991-12-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20010030946A (ko) * 1998-08-07 2001-04-16 오카야마 노리오 광 커넥터용 페룰, 그 성형용 금형, 광 커넥터용 페룰의제조 방법 및, 광 커넥터용 페룰의 검사 방법
JP3958891B2 (ja) 1999-04-23 2007-08-15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6499889B1 (en) * 1999-12-08 2002-12-31 Yazaki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optical connector, optical connector and hybrid connector
JP2002214481A (ja) * 2001-01-19 2002-07-31 Hirose Electric Co Ltd 光コネクタ
SE519529C2 (sv) * 2001-06-14 2003-03-11 Ericsson Telefon Ab L M Optokapsel för en optohybrid, undre husdel hos en dylik optokapsel samt en optoelektronisk modul
US6955482B2 (en) * 2003-06-30 2005-10-18 Finisar Corporation Optical transceiver having a single optical subassembly
JP4424319B2 (ja) * 2005-03-14 2010-03-0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トランシー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4777A (ja) * 1994-04-22 1995-11-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モジュール
US20030147602A1 (en) * 2002-02-01 2003-08-07 Koji Takada Optical link device
KR20040001630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JP2004053764A (ja) * 2002-07-17 2004-02-19 Yazaki Corp スリーブ成形品、スリーブ用成形金型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KR20040028409A (ko) * 2002-09-30 2004-04-03 주식회사 케이티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5205A2 (en) 2006-03-15
KR20060053148A (ko) 2006-05-19
DE602005020884D1 (de) 2010-06-10
JP4167210B2 (ja) 2008-10-15
CN100409052C (zh) 2008-08-06
EP1635205B1 (en) 2010-04-28
US20060051032A1 (en) 2006-03-09
EP1635205A3 (en) 2006-03-22
JP2006078644A (ja) 2006-03-23
CN1746711A (zh) 2006-03-15
TWI290243B (en) 2007-11-21
US7244067B2 (en) 2007-07-17
TW200613791A (en) 200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486B1 (ko) 광커넥터
US11531168B2 (en) Fiber optic connectors having a keying structur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215928B2 (en) Unitary fiber optic ferrule and adapter therefor
US6461054B1 (en) Adapter having a light-shielding shutter and optical module receptacle having a light-shielding shutter
US7507032B2 (en) Optical connection component which has a shutter member and which can be reduced in size
CN112444925B (zh) 光连接器
JP4523874B2 (ja) 光コネクタ
JP4464913B2 (ja) 双方向光通信用コネクタ
JP4306595B2 (ja) 光モジュール
JP2008292676A (ja) 光サブアセンブリ
JP2021021778A (ja) 光コネクタ、光ファイバの端末構造
JP7488098B2 (ja) 光コネクタ装置
EP3872546B1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device
JP4525236B2 (ja) 光レセプタクル及び光モジュール
JP2023125669A (ja) フェルール、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モジュール
JPH10300986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