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432B1 -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432B1
KR100781432B1 KR1020060082854A KR20060082854A KR100781432B1 KR 100781432 B1 KR100781432 B1 KR 100781432B1 KR 1020060082854 A KR1020060082854 A KR 1020060082854A KR 20060082854 A KR20060082854 A KR 20060082854A KR 100781432 B1 KR100781432 B1 KR 10078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ntact hole
pattern
metal wiring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철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77Filling of holes, grooves or trenches, e.g. vias, with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7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Smoothing; Plana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초 미세 콘택 및 트랜치에 금속을 매립하여 반도체 소자의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증착된 절연막 상부에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을 형성하며, 형성된 PR 패턴을 장벽층으로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절연막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제거되고 남은 절연막 상부에 트랜치를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을 형성하며, 형성된 트랜치를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을 장벽층으로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로 형성된 절연막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트랜치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형성된 트랜치 영역이 포함된 반도체 기판 전면에 장벽 금속막으로 티타늄(Ti) 및 질화 티타늄(TiN)을 순차적으로 연속(in-situ) 증착하는 과정과, 증착된 질화 티타늄 상에 용융기에 투입된 금속에 대하여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시킨 용융된 금속을 주입구를 통해 주입하여 콘택홀 영역 및 트랜치 영역을 매립(filling)하는 과정과, 금속과 Ti/TiN을 CMP 공정으로 연마 및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전면 평탄화시켜 콘택홀 및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접촉 저항을 크게 감소시키고 EM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에서와 같이 CVD 텅스텐 증착 시 사용되는 WF6 가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소(F)로 인한 후속 공정의 부식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용융기, 알루미늄, 콘택, 배선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METAL LINE OF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다마신 공정(dual damascene process)을 이용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초 미세 콘택 및 트랜치에 금속을 매립하여 배선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층은 알루미늄 및 합금, 구리 등의 금속 박막을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 사이의 전기적 접속 및 패드 접속을 통해 기판 내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를 접속한다.
이러한 금속 배선층의 형성은 산화막 등의 절연막에 의해 격리된 소자 전극 및 패드를 연결하기 위하여, 먼저 절연막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접촉홀을 형성하고, 베리어 메탈과 텅스텐을 이용하여 접촉홀을 통한 금속 플러그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에 금속 박막을 형성하고, 패터닝(patterning)하여 소자 전극 및 패드를 접속하기 위한 금속 배선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금속 배선층의 재료로는 알루미늄(Al) 또는 텅스텐(W) 등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금속 배선층을 패터닝하기 위하여 주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는 데, 반도체 소자의 미세화에 따라 금속 배선층의 선폭(Critical Dimension)이 점차적으로 작아짐으로 해서 금속 배선층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것을 방지하여 미세 패턴의 금속 배선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이 다마신 공정이다.
즉, 다마신 공정은 절연막에 텅스텐 플러그에 의한 접촉홀을 형성한 후, 절연막 상부에 산화막 등의 상부 절연막을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금속 배선층 패턴이 형성될 부위의 상부 절연막 만을 제거하며, 그 상부에 금속 박막을 증착한 다음 금속 박막을 평탄화함으로써 미세 패턴의 금속 배선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텅스텐 플러그와 같은 금속 플러그의 형성없이 일체로 하부 도전막에 접속되는 금속 배선층을 형성하기 위한 듀얼 다마신 공정이 도입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여 금속(예컨대, 알루미늄) 배선을 제조할 경우,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콘택의 종행비(aspect ratio)가 증가하며 콘택의 폭(width)이 감소하게 된다. 콘택의 선폭이 0.3㎛ 이하로 감소하는 경 우 알루미늄으로 콘택을 매립(filling)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콘택에 CVD 텅스텐(W)을 매립한 후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공정으로 절연막 상의 텅스텐을 제거하여 평탄화시키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콘택 및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을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스핀 코팅 등의 도포 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101) 상에 절연막(103)을 증착한 다음에, 전면 증착된 감광막(Photo Resist, PR)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막(103) 상부에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10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PR 패턴(105)을 식각 장벽층으로 하는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증착된 절연막(103)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일 예로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1) 상에 콘택홀 영역을 형성한 후, 스트리핑 공정을 실시하여 잔류하는 PR 패턴(105)을 제거한다.
이어서, 형성된 콘택홀 영역이 포함된 반도체 기판(101) 전면에 장벽 금속막(barrier metal)으로 티타늄(Ti)(107) 및 질화 티타늄(TiN)(109)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연속(in-situ) 증착한다.
다음에, 콘택 플러그(plug) 금속으로 CVD 텅스텐(111)을 화학 기상 증착(화학 기상 증착, CVD) 방식의 WF6 가스의 불소(F) 성분 공정으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착된 질화 티타늄(109) 상에 증착하여 콘택홀 영역을 매립한다.
이후, 도 1e를 참조하면, 매립된 콘택홀 영역에 대하여 화학적 기계적 연 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공정을 실시하여 절연막(103) 상부의 텅스텐(111)과 Ti(107)/TiN(109) 장벽 금속막을 차례로 연마 및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전면 평탄화(global planarization)시켜 콘택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공정으로, 전면 평탄화된 상부에 배선 금속(Interconnect Metal)으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115)을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의 공정으로 증착시킬 수 있는데, 이때 알루미늄(115) 하부에는 장벽 금속(113)과 알루미늄(115) 상부에는 반사 방지막(117)을 연속(in-situ) 증착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콘택홀 및 금속 배선을 형성할 경우, 텅스텐 증착 및 CMP에 따른 비용 및 공정 시간(cycle time) 증가, 텅스텐과 배선 금속간의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 증가, 텅스텐 증착 공정에 사용되는 WF6 가스의 불소(F) 성분으로 인한 부식 문제 등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초 미세 콘택 및 트랜치에 금속을 매립하여 반도체 소자의 배선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증착된 절연막 상부에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을 형성하며, 형성된 PR 패턴을 장벽층으로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절연막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제거되고 남은 절연막 상부에 트랜치를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을 형성하며, 형성된 트랜치를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을 장벽층으로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로 형성된 절연막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트랜치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형성된 트랜치 영역이 포함된 반도체 기판 전면에 장벽 금속막으로 티타늄(Ti) 및 질화 티타늄(TiN)을 순차적으로 연속(in-situ) 증착하는 과정과, 증착된 질화 티타늄 상에 용융기에 투입된 금속에 대하여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시킨 용융된 금속을 주입구를 통해 주입하여 콘택홀 영역 및 트랜치 영역을 매립(filling)하는 과정과, 금속과 Ti/TiN을 CMP 공정으로 연마 및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전면 평탄화시켜 콘택홀 및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를 살펴보면, 반도체 기판(201) 상에 절연막(203)을 증착한 다음에, 전면 증착된 PR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절연막(203) 상부에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20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205)을 식각 장벽층으로 하는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증착된 절연막(203)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반도체 기판(201) 상에 콘택홀 영역을 형성한 다음에, 스트리핑 공정을 실시하여 잔류하는 PR 패턴(205)을 제거한다.
이후, 선택적으로 제거된 절연막(203) 상부에 트랜치를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207)을 형성하고, 트랜치를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207)을 식각 장벽층으로 하는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 영역으로 형성된 절연막(203)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반도체 기판(201) 상에 트랜치 영역을 형성한 다음에, 스트리핑 공정을 실시하여 잔류하는 PR 패턴(207)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형성된 트랜치 영역이 포함된 반도체 기판(101) 전면에 장벽 금속막(barrier metal)으로 티타늄(Ti)(209) 및 질화 티타늄(TiN)(211)을 순차적으로 연속(in-situ) 증착한다.
이어서, 용융기(예컨대, 탄소도가니(213), 레이저, 석영 가열로(Quarts Furnace), 히터 중 어느 하나의 장치)(213)에 금속을 투입하여 기 설정된 온도(예컨대, 600℃∼1000℃ 이내의 온도)로 가열한 후, 주입구(215)를 통해 용융된 금속을 주입하여 증착된 질화 티타늄(211) 상에 증착하여 콘택홀 영역과 트랜치 영역을 매립(filling)한다.
마지막으로, CMP 공정을 실시하여 절연막(203) 상부의 금속(217)과 콘택 장벽 금속인 Ti(209)/TiN(211)을 차례로 연마 및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전면 평탄화시킴으로써, 콘택홀 및 금속 배선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스핀 코팅 등의 도포 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P-Substrate)(예컨대, 실리콘 기판, 세라믹 기판, 고분자 기판 등)(201) 상에 절연막(203)을 증착한 다음에, 목표로 하는 임의의 패턴으로 설계된 레티클을 이용하는 노광 공정과 현상 공정을 실시하여 전면 증착된 PR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막(203) 상부에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20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205)을 식각 장벽층으로 하는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증착된 절연막(203)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일 예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201) 상에 콘택홀 영역을 형성한다. 이후, 스트리핑 공정을 실시하여 도 2b와 같이 잔류하는 PR 패턴(205)을 제거한다.
이후, 선택적으로 제거된 절연막(203) 상부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치를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207)을 형성한다. 이어서, 트랜치를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207)을 식각 장벽층으로 하는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 영역으로 형성된 절연막(203)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일 예로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201) 상에 트랜치 영역을 형성한다. 이후, 스트리핑 공정을 실시하여 도 2d와 같이 잔류하는 PR 패턴(207)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형성된 트랜치 영역이 포함된 반도체 기판(101) 전면에 장벽 금속막(barrier metal)으로 티타늄(Ti)(209) 및 질화 티타늄(TiN)(211)을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연속(in-situ) 증착한다.
이어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을 용융시킬 수 있는 용융기(213)에 금속을 투입하여 기 설정된 온도(예컨대, 600℃∼1000℃ 이내의 온도)로 가열한 후, 주입구(215)(예컨대, 2개 이상의 다수 개로 형성됨)를 통해 용융된 금속을 주입하여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착된 질화 티타늄(211) 상에 증착하여 콘택홀 영역과 트랜치 영역을 매립(filling)한다.
여기서, 금속은 1.5∼2.5% 이내의 구리가 함유된 합성 알루미늄이기 때문에 녹는점(melting temperature)을 600℃ 까지 가열하며, 용융기(213)에 순수 알루미늄을 투입할 경우 녹는점을 660℃ 까지 가열해야 하며, 탄소 함유량과 첨가 원소량, 그리고 용융기(213)의 유동상태제어 등을 고려하여 녹는점을 600℃∼1000℃ 이내의 범위로 가열해야 한다. 그리고, 용융된 금속을 주입 시, 매립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웨이퍼를 회전시키며, 용융된 금속이 웨이퍼의 가장자리(Edge)를 통해 빠져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웨이퍼의 가장자리에 에지 링(edge ring)을 장착한다.
다음에, 도 2g를 참조하면, 용융(melting)된 금속(예컨대, 합성 알루미늄 혹은 순수 알루미늄)이 응고되면, 콘택과 트랜치에 금속(217)이 완전히 매립된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도 2h를 참조하면, CMP 공정 혹은 플라즈마(Plasma)를 이용한 에치백(etch back) 공정을 실시하여 절연막(203) 상부의 금속(217)과 콘택 장벽 금속인 Ti(209)/TiN(211)을 차례로 연마 및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전면 평탄화시킴으로써, 콘택홀 및 금속 배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초 미세 콘택 및 트랜치에 금속을 매립함으로써, 콘택의 종횡비나 콘택의 폭에 관계없이 금속(예컨대, 알루미늄)을 채워 넣을 수 있으며, 콘택 매립 금속과 배선 금속을 동일한 알루미늄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접촉 저항을 크게 감소시키고 EM(electromigration)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에서와 같이 CVD 텅스텐 증착 시 사용되는 WF6 가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소(F)로 인한 후속 공정의 부식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권리로서 개시하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제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초 미세 콘택 및 트랜치에 금속을 매립함으로써, 콘택의 종횡비나 콘택의 폭에 관계없이 금속(예컨대, 알루미늄)을 채워 넣을 수 있으며, 콘택 매립 금속과 배선 금속을 동일한 알루미늄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접촉 저항을 크게 감소시키고 EM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에서와 같이 CVD 텅스텐 증착 시 사용되는 WF6 가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소(F)로 인한 후속 공정의 부식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으로서,
    반도체 기판 상에 증착된 절연막 상부에 콘택홀을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PR 패턴을 장벽층으로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절연막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거되고 남은 절연막 상부에 트랜치를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형성된 트랜치를 정의하기 위한 PR 패턴을 장벽층으로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홀로 형성된 절연막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트랜치 영역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형성된 트랜치 영역이 포함된 반도체 기판 전면에 장벽 금속막(barrier metal)으로 티타늄(Ti) 및 질화 티타늄(TiN)을 순차적으로 연속(in-situ) 증착하는 과정과,
    상기 증착된 질화 티타늄 상에 용융기에 투입된 금속에 대하여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시킨 용융된 금속을 주입구를 통해 주입하여 상기 콘택홀 영역 및 트랜치 영역을 매립(filling)하는 과정과,
    상기 금속과 Ti/TiN을 CMP 공정으로 연마 및 제거하여 전체적으로 전면 평탄화시켜 콘택홀 및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합성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알루미늄은, 1.5∼2.5% 이내의 구리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순수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온도는, 상기 용융기 내 탄소 함유량과 첨가 원소량, 그리고 융용기의 유동상태제어 등을 고려하여 600℃∼1000℃ 이내의 범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금속을 주입 시, 매립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웨이퍼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금속이 웨이퍼의 가장자리(Edge)를 통해 빠져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웨이퍼의 가장자리에 에지 링(edge ring)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2개 이상의 다수 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는, 상기 CMP 공정을 대신하여 플라즈마에 의한 에치백(etch back)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기는, 탄소도가니, 레이저, 석영 가열로(Quarts Furnace), 히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20060082854A 2006-08-30 2006-08-30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78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854A KR100781432B1 (ko) 2006-08-30 2006-08-30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854A KR100781432B1 (ko) 2006-08-30 2006-08-30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1432B1 true KR100781432B1 (ko) 2007-12-03

Family

ID=3913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854A KR100781432B1 (ko) 2006-08-30 2006-08-30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3790B1 (en) 2018-11-09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uring a magnetic memor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840A (ko) 1999-07-23 2001-02-15 윤종용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40001915A (ko)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20050064331A (ko) 2003-12-23 2005-06-2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듀얼 다마신 패턴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840A (ko) 1999-07-23 2001-02-15 윤종용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20040001915A (ko)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20050064331A (ko) 2003-12-23 2005-06-2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듀얼 다마신 패턴 형성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3790B1 (en) 2018-11-09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ufacuring a magnetic memory device
US10862025B2 (en) 2018-11-09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ic memory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5045B2 (en) Dummy via for reducing proximity effec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169024B1 (en) Process to manufacture continuous metal interconnects
CN101000885A (zh) 金属内连线的制作方法与结构
KR20030027817A (ko) 마스크 층 및 집적 회로 장치의 듀얼 대머신 상호 연결구조물 형성 방법과 집적 회로 장치 상에서 상호 연결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
KR19980052475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CN102197465A (zh) 利用半导体器件的金属化系统中的覆盖层作为化学机械抛光和蚀刻停止层
US6350695B1 (en) Pillar process for copper interconnect scheme
KR100781432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393967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9980063840A (ko) 매립 플러그 및 상호접속물 형성 방법
KR20090024854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및 그 형성방법
US7662711B2 (en) Method of forming dual damascene pattern
US6995085B2 (en) Underlayer protection for the dual damascene etching
US20070152341A1 (en) Copper wiring protected by capping metal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for the same
KR20010009036A (ko) 반도체장치의 배선 및 그 연결부 형성방법
KR100784106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548548B1 (ko) 플러그 형성 후에 층간 절연막을 증착하는 다층 금속배선의 형성 방법
US6340638B1 (en) Method for forming a passivation layer on copper conductive elements
KR100834283B1 (ko)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884987B1 (ko) 반도체 소자의 구리배선 형성방법
KR100720489B1 (ko) 구리 금속 배선의 평탄화 방법
KR100470923B1 (ko) 반도체장치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100826784B1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744239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910443B1 (ko) 구리 배선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