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049B1 -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049B1
KR100778049B1 KR1020060115963A KR20060115963A KR100778049B1 KR 100778049 B1 KR100778049 B1 KR 100778049B1 KR 1020060115963 A KR1020060115963 A KR 1020060115963A KR 20060115963 A KR20060115963 A KR 20060115963A KR 100778049 B1 KR100778049 B1 KR 100778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orm
worktable
moving block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길
Original Assignee
유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길 filed Critical 유영길
Priority to KR102006011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2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shielding the work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본해용 지지장치는 지지장치 본체(100)에 작업대(20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이 작업대(200)에 대상물(10)을 고정한 상태로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대(200)의 일측에 대상물(10)의 단부를 가압하는 안전커버(700)를 구비하여, 대상물(10)의 분해시 대상물(10)의 내부에 압축 장착된 스프링(16)에 의해 부품이 튀어나와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Jig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작업대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블록 및 이동블록 고정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안전커버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안전커버 고정장치에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간극조절장치를 확대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f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 ; 대상물, 11 ; 제1케이스,
13 ; 플랜지, 안전커버(700) ; 제1캡,
15 ; 제2캡, 16 ; 스프링
100 ; 지지장치 본체, 110 ; 베이스,
111 ; 이동용 휠, 121,122,123 ; 지지틀,
131,132 ; 베어링, 안전커버(700)0 ; 공구함,
151,152 ; 가이드, 153 ; 지지판,
200 ; 작업대, 210 ; 회전패널,
210a ; 대상물 삽입구멍, 221,222 ; 회전축,
300 ; 작업대 구동장치, 310 ; 웜횔,
320 ; 웜, 320a ; 웜 회전축,
330 ; 핸들, 400 ; 작업대 고정장치,
410 ; 지지블록, 420 ; 스토퍼,
430 ; 고정패널, 430a ; 고정홈,
500 ; 승강장치, 510 ; 가이드축,
520 ; 이동블록, 530 ; 이동블록 구동장치,
531 ; 랙, 532 ; 피니언,
533 ; 핸들, 600 ; 이동블록 고정장치,
610 ; 조임레버, 700 ; 안전커버,
710 ; 힌지축, 710a ; 작업용 구멍,
711 ; 걸림턱, 721,722 ; 보강부재,
800 ; 안전커버 고정장치, 810 ; 잠금부재,
811 ; 스토퍼, 812 ; 스프링 고정부,
820 ; 고정레버, 900 ; 간극조절장치,
910 ; 이동블록, 920 ; 위치조절나사,
본 발명은 부품들을 상호 조립하거나, 상호 조립된 부품들을 분해하는데 이용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기계·전기·전자장치나 구조물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지므로, 이들 장치나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별물로 제작된 각 부품들을 설계대로 상호 조립하여야 하고, 이렇게 조립된 장치나 구조물을 정비 관리하기 위해서는 상호 조립된 부품들을 분해하여 세척·부품수리·부품교체한 후 이들을 재조립해야 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자중이 가벼운 경우에는 부품들을 상호 조립하는데 큰 힘이 필요치 않지만, 장치나 구조물의 자중이 무거운 경우에는 작업자가 자중이 무 거운 부품을 들어올린 후 이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해당 부품들을 상호 조립해야 하므로, 상당히 큰 힘이 소요되고 작업 안전성이 크게 위협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따라서, 부품들을 상호 조립하거나 분해하는데 유용한 지지장치에 대한 연구가 현재 다방면으로 강구되고 있고, 일부 현장에서는 특정 구조의 지지장치가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종래 지지장치는 조립이 편리하도록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지 못하여 그 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더욱이, 하나의 부품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매개로 다른 하나의 부품에 탄발지지되어서 고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부품의 고정을 해제하면 탄발지지된 부품이 복원력에 의해서 외부로 튕겨져나오게 되지만, 종래에는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지 못하여, 작업자가 튀어나온 부품에 부딪혀서 크게 상해를 입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작업자가 대상물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분해, 조립시 스프링 등을 지지하는 압축, 지지하는 부품이 튕겨져나와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장치 본체와; 이 지지장치 본 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분해조립할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를 회전시키는 작업대 구동장치와; 작업대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대 고정장치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입설된 가이드축과, 이 가이드축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블록과, 이 이동블록에 연결되어 이동블록을 승강구동하는 이동블록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와; 이 승강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동블록을 위치고정하는 이동블록 고정장치와; 기단이 상기 이동블록에 회동승강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는 대상물의 단부를 가압하는 안전커버와, 상기 이동블록의 일측에 구비되어 안전커버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안전커버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9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는, 지지장치 본체(100)와; 이 지지장치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분해조립할 대상물(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작업대(200)와; 작업대(200)를 회전시키는 작업대 구동장치(300)와; 상기 작업대(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대 고정장치(400)와; 상기 작업대(200)의 일측에 입설된 가이드축(510)과, 이 가이드축(510)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블록(520)과, 이 이동블록(520)에 연결되어 이동블록(520)을 승강구동하는 이동블록 구동장치(530)를 포함하는 승강장치(500)와; 이 승강장치(5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동블록(520)을 위치고정하는 이동블록 고정장치(600)와; 기단이 상기 이동블록(520)에 회동승강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 업대(200)에 삽입고정되는 대상물(10)의 단부를 가압하는 안전커버(700)와, 상기 이동블록(5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안전커버(7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안전커버 고정장치(800)와, 상기 웜(320)과 웜휠(310)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장치(900)로 구성된다.
이때, 본 장치를 이용하여 분해 조립하는 대상물(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에 플랜지(13)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케이스(11)와, 이 케이스(11)의 상하단에 각각 볼트로 고정된 제1 및 제2 캡(14,15)과, 상기 케이스(11)에 내장되며 상기 제1 캡(14)에 의해 압축고정되는 스프링(16) 등이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13)부에는 여러개의 볼트구멍(1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캡(14)과 제2 캡(15)을 분리하여,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16)을 비롯한 각종 부품을 세척,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 본체(100)는 강철 빔을 용접하여, 사각 틀형태의 베이스(110)와, 이 베이스(110)의 상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틀(121,122,123)을 갖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110)의 하측에는 이동용 휠(111)이 구비된다.
상기 작업대(200)는 강철판을 성형절단하여 구성된 회전패널(210)과, 이 회전패널(210)의 양측에 구비된 회전축(221,2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패널(210)은 상기 대상물(10)의 하단이 삽입고정되는 대상물 삽입구멍(210a)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이 대상물 삽입구멍(210a)의 둘레부에는 대상물(10)의 플랜지(13)에 형성된 볼트구멍(17)과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볼트구멍(211)이 형성되어, 상기 대상물 삽입구멍(210a)에 대상물(10)을 삽입한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대상물(10)을 회전패널(2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21,222)은 상기 회전패널(210)의 양측에 구비된 브라켓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장치 본체(100)의 상단 양측에 구비된 베어링(131,132)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이 회전축(221,222)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패널(210)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작업대 구동장치(300)는 상기 회전축(221,222)과 동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작업대(200)의 일측, 특히 회전축(221,222)의 중간부에 고정된 웜휠(310)과, 상기 지지장치 본체(100)에 구비되어 상기 웜휠(310)과 치합되는 웜(320)과, 이 웜(320)에 축결합된 핸들(330)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핸들(330)을 돌리면 웜(320)과 웜휠(310)이 구동되면서 회전축(221,222)이 회전되어 작업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웜(320)은 상기 웜휠(310)의 하측에 치합된다.
상기 작업대 고정장치(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에 복수개의 고정홈(430a)이 형성된 플렌지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221,222)과 동축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작업대(2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작업대(200)와 함께 회전되는 고정패널(430)과, 상기 지지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그 단부가 상기 고정패널(430)의 고정홈(430a)에 끼워져 고정패널(430) 및 작업대(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토퍼(4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패널(430)은 원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21,2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200)의 브라켓에 나사로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420)는 기단부가 상기 지지틀(122)의 상단에 구비된 지지블록(4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강시 그 선단부가 상기 고정홈(430a)에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선단부 상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블록(410)에는 상기 회전축(221,222)이 관통하는 관통공(410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패널(430)의 고정홈(430a)은 고정패널(430)의 둘레부를 따라 4개가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200)를 90ㅀ씩 회전시킨 후 상기 스토퍼(420)를 회동하강시켜 고정홈(430a)에 끼우므로써, 고정패널(430) 및 이 고정패널(430)에 결합된 작업대(20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치(500)의 가이드축(510)은 지름이 큰 금속파이프를 작업대(200)의 대상물 삽입구멍(210a) 일측에 작업대(200)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장착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520)은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축(510)의 외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이 이동블록(520)은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이동블록 고정장치(600)로 절개부(521)를 조이면 내경이 줄어들어 상기 가이드축(51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 구동장치(530)는 가이드축(510)의 외측에 가이드축(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랙(531)과, 상기 이동블록(520)에 상기 랙(531)과 치합되도록 장착된 피니언(532) 및 이 피니언(532)에 축결합된 핸들(533)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핸들(533)을 돌리면 랙(531)과 피니언(532)의 작용에 의해 이동블록(520)이 가이드축(510)을 따라 슬라이드된다.
상기 이동블록 고정장치(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520)의 절개부(521) 양측에 구비된 브라켓(522)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절개부(521)를 벌리거나 좁힐 수 있도록 된 조임레버(610)로서, 작업자가 이 조임레버(610)로 절개부(521)를 좁히면, 이동블록(520)의 내경이 좁아져 상기 가이드 축(510)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되며, 조임레버(610)를 돌려 절개부(521)가 벌어지면 이동블록(520)의 내경이 넓어지면서 가이드축(510)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안전커버(700)는 강철판을 디귿자의 터널형태로 용접결합한 것으로, 그 기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힌지축(710)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520)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양측에는 작업용 구멍(710a)이 형성되어 안전커버(700)로 대상물(10)의 단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작업용 구멍(710a)을 통해 대상물(10)의 단부에 결합된 볼트를 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전커버(700)의 기단부에는 상기 안전커버 고정장치(800)가 결합되는 걸림턱(711)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보강부재(721,722)가 구비되어 안전커버(7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전커버 고정장치(8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커버(700)의 기단부에 인접배치되는 잠금부재(810)와, 이 잠금부재(810)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레버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재(81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블록(520)에 상기 안전커버(700)의 힌지축(710)과 평행을 이루도록 인접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그 둘레부에는 상기 안전커버(700)의 걸림턱(711)에 걸리는 스토퍼(811)와, 스프링(813)이 연결되는 스프링 고정부(812)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813)은 그 양단이 상기 스프링고정부(812)와 보강부재(721)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잠금부재(810)의 스토퍼(811)가 상기 안전커버(700)의 걸림턱(711)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잠금부재(810)를 탄성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안전커버(700)의 걸림턱(711)과 잠금부재(810)의 스토퍼(811) 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도 8의 a), 작업자가 상기 고정레버를 후방으로 당겨 걸림턱(711)과 스토퍼(811)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안전커버(700)를 상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도 8의 b), 안전커버(700)를 하강시키면, 안전커버(700)의 기단부가 잠금부재(810)의 스토퍼(811)를 후방으로 밀어 회동시키게 되고(도 8의 c), 안전커버(700)가 완전히 하강되면, 상기 스프링(813)에 의해 잠금부재(810)가 회동되면서 걸림턱(711)과 스토퍼(811)가 자동으로 맞물려 안전커버(700)가 회동상승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간극조절장치(9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웜(320)의 회전축(320a)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장치 본체(100)에 상기 웜휠(310)쪽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블록(910)과,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장치 본체(100)와 이동블록(910)에 동시에 연결되는 위치조절나사(92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910)은 상기 웜(320)의 회전축(221,222)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그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홈(911)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홈(911)이 상기 웜(32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151,152)에 끼워져, 가이드(151,152)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되면서 웜(320)을 상하로 승강시켜, 웜(320)과 웜휠(310)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나사(920)는 상기 가이드(151,152)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지지판(153)에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된 것으로, 그 상단에는 상기 이동블록(91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공(912)에 끼워지는 연장부(921)가 구비되어, 이 위치조절나사(920)를 회전시키면, 위치조절나사(920)가 상승되면서 상기 이동블록(910) 및 웜(320)을 상측으로 밀어올려, 웜(320)과 웜휠(310)의 간극을 줄일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의 작용을 도 10a 내지 도 10f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작업대(20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안전커버(700)가 회동상승된 상태에서, 호이스트 등을 이용하여 대상물(10)을 작업대(200)의 대상물 삽입구멍(210a)에 삽입한다(도 10a). 이때, 상기 대상물(10)은 제1 캡(14)이 상측을 향하도록 대상물 삽입구멍(210a)에 삽입되며, 대상물(10)의 플랜지(13)가 작업대(200)의 상면에 걸려, 플랜지(13)와 작업대(200)의 볼트구멍(17,211)에 볼트를 끼워 잠그므로써, 대상물(10)을 작업대(20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커버(700)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안전커버 고정장치(800)로 안전커버(700)를 고정한 후(도 10b), 상기 승강장치(500)를 이용하여 이동블록(520)을 하강시키면, 이 이동블록(520)에 구비된 안전커버(700)가 하강되어 대상물(10)의 제1 캡(14) 상단을 눌러 압축하고(도 10c), 작업자는 안전커버(700)의 작업용 구멍(710a)을 통해 제1 캡(14)을 고정하는 볼트를 풀어낸 후, 상기 승강장치(500)로 이동블록(520) 및 안전커버(700)를 천천히 상승시켜, 제1 캡(14)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16)이 천천히 신장되도록 하여 분해할 수 있다(도 10d).
그리고, 상기 작업대 구동장치(300)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물(10)의 제2 캡(15)이 상측을 향하도록 작업대(200)를 회전시키고, 상기 작업대 고정장치(400)로 작업대(20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 후, 대상물(10)의 제2 캡(15)을 분해할 수 있다(도 10e,f). 이때, 상기 작업대 고정장치(400)의 고정패널(430)에 형성된 고정홈(430a)이 90ㅀ각도로 분산형성되므로, 상기 작업대(200)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정확하게 회전시킨 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반대의 순서를 따라 대상물(10)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장치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상기 웜(320)과 웜휠(310)이 마모되어 간극이 벌어진 경우에는 상기 간극조절장치(900)의 위치조절나사(920)를 돌려 웜(320)과 웜휠(310)의 간극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작업대(200)에 대상물 삽입구멍(210a)을 형성하여, 이 대상물 삽입구멍(210a)에 대상물(10)을 삽입한 후 볼트고정하도록 하였으나, 이 작업대(200)에 별도의 지그나 다이스 또는 기타 종류의 홀더를 장착하여, 대상물(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 고정장치(400)의 고정패널(430)에 고정홈(430a)이 90도 각도로 분산형성되어, 상기 작업대(200)를 90도씩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나, 이 고정홈(430a)의 각도는 대상물(10)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이 구성된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는 전술한 바와같이, 둘레면에 플랜지(13)가 형성된 통형상의 대상물(10)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대상물(10)을 분해 및 조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작업대 구동장치(300), 승강장치(500)의 이동블록 구동장치(530), 간극조절장치(900) 등이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각 작동부위에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전술한 상기 작업대 구동장치(300), 승강장치(500)의 이동블록 구동장치(530), 간극조절장치(900) 등을 구동시키므로써, 작업편의성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는 상기 작업대(200)가 지지장치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이 작업대(200)를 회전시키므로써, 작업대(200)에 고정된 대상물(10)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매우 무거운 대상물(10)이라도 손쉽게 각도를 바꾸면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여, 작업을 간편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커버(700)를 이용하여 대상물(10)의 제1 캡(14)을 누른 상태에서 제1 캡(14)의 볼트를 분해하고, 상기 승강장치(500)를 이용하여 제1 캡(14)을 가압한 상태로 천천히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대상물(10)에 압축된 상태로 내장된 스프링(16)에 의해 부품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 구동장치(300)가 웜(320)화 웜휠(310)을 이용하여 작업대(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큰 변속비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대상물(10)이 조립된 상태의 작업대(200)는 중량이 많이 나가, 작업대(200)를 회전시킨 후 정지시키려면 관성에 의해 더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되는데, 웜(320)과 웜휠(310)의 셀프로킹 기능이 있어 웜(320)의 회전을 멈추면 웜휠(310)은 즉각 정지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무거운 대상물(10)이 고정된 작업대(200)를 원하는 각도에서 정확히 정지시켜,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둘레면에 고정홈(430a)이 형성된 고정패널(430)과, 상기 고정홈(430a)에 끼워지는 스토퍼(420)로 구성된 작업대 고정장치(400)를 이용하여, 작업대(200)를 미리 정해진 각도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작업대(200)의 각도를 분해 및 조립작업에 적합한 각도로 용이하게 고정하여,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간극조절장치(900)를 이용하여 웜(320)과 웜휠(310)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웜(320)과 웜휠(310)을 장착할 때의 초기 세팅시, 그리고, 장치의 사용에 따라 웜(320)과 웜휠(310)이 마모되어 유격이 발생될 때, 웜(320)과 웜휠(310)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써, 장치의 작동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및 본해용 지지장치는 지지장치 본체(100)에 작업대(20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이 작업대(200)에 대상물(10)을 고정한 상태로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분해 및 조립작업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대(200)의 일측에 대상물(10)의 단부를 가압하는 안전커버(700)를 구비하여, 대상물(10)의 분해시 대상물(10)의 내부에 압축 장착된 스프링(16)에 의해 부품이 튀어나와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지지장치 본체(100)와; 이 지지장치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분해조립할 대상물(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작업대(200)와; 상기 작업대(200)에 연결되어 작업대(200)를 회전시키는 작업대 구동장치(300)와; 상기 작업대(200)에 연결되어 작업대(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대 고정장치(400)와; 상기 작업대(200)의 일측에 입설된 가이드축(510)과, 이 가이드축(510)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블록(520)과, 이 이동블록(520)에 연결되어 이동블록(520)을 승강구동하는 이동블록 구동장치(530)를 포함하는 승강장치(500)와; 이 승강장치(5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동블록(520)을 위치고정하는 이동블록 고정장치(600)와; 기단이 상기 이동블록(520)에 회동승강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업대(200)에 정되는 대상물(10)의 단부를 고정 또는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안전커버(700)와, 상기 이동블록(5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안전커버(7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안전커버 고정장치(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구동장치(300)는 상기 작업대(200)의 일측에 고정된 웜휠(310)과, 상기 웜휠(310)과 치합되는 웜(320)과, 이 웜(320)에 축결합된 핸들(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고정장치(400)는 둘레면에 복수개의 고정홈(430a)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작업대(200)의 회전중심축선상에 고정되어 작업대(200)와 함께 회전되는 고정패널(430)과, 상기 지지장치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그 단부가 상기 고정패널(430)의 고정홈(430a)에 끼워져 고정패널(430) 및 작업대(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토퍼(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웜(320)의 회전축(221,22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장치 본체(100)에 상기 웜휠(310)쪽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블록(910)과,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장치 본체(100)와 이동블록(910)에 동시에 연결되는 위치조절나사(920)를 포함하여, 상기 위치조절나사(920)로 이동블록(910)을 슬라이드시켜 상기 웜(320)과 웜휠(310)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장치(9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KR1020060115963A 2006-11-22 2006-11-22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KR100778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963A KR100778049B1 (ko) 2006-11-22 2006-11-22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963A KR100778049B1 (ko) 2006-11-22 2006-11-22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049B1 true KR100778049B1 (ko) 2007-11-21

Family

ID=3908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963A KR100778049B1 (ko) 2006-11-22 2006-11-22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702B1 (ko) 2011-02-16 2014-07-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스 분해 청소용 장치
CN109014420A (zh) * 2018-08-22 2018-12-18 浙江南星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空调配件立体加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731A (ko) 2000-12-23 2002-06-29 이계안 자동변속기의 분해조립용 지지장치
KR200391832Y1 (ko) * 2005-05-09 2005-08-10 기보스틸주식회사 냉연강판 폭 절단용 슬리터의 로울링축 간극조절장치
KR100719144B1 (ko) * 2002-09-13 2007-05-17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동장치 및 도어클로저
KR101980000B1 (ko) * 2017-08-31 2019-05-20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퍼즐 매칭 게임의 진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퍼즐 매칭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731A (ko) 2000-12-23 2002-06-29 이계안 자동변속기의 분해조립용 지지장치
KR100719144B1 (ko) * 2002-09-13 2007-05-17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동장치 및 도어클로저
KR200391832Y1 (ko) * 2005-05-09 2005-08-10 기보스틸주식회사 냉연강판 폭 절단용 슬리터의 로울링축 간극조절장치
KR101980000B1 (ko) * 2017-08-31 2019-05-20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퍼즐 매칭 게임의 진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퍼즐 매칭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702B1 (ko) 2011-02-16 2014-07-0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스 분해 청소용 장치
CN109014420A (zh) * 2018-08-22 2018-12-18 浙江南星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空调配件立体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89852U (zh) 台锯
CN104956093A (zh) 用于装配和拆卸液压缸的装置
CN1910017A (zh) 转轴锁定机构
CN210414453U (zh) 跨距可调的翻转支撑车架
AU2019101619A4 (en) A Fixed Device for Conveniently Installing Robot Arms
DE202017103577U1 (de) Horizontal-Sägemaschine
KR100778049B1 (ko) 조립 및 분해용 지지장치
CN115446715A (zh) 钢管内壁除锈设备
NZ244541A (en) Heat exchanger having layered plates compressed together by bolts which are actuated simultaneously by a belt drive
KR102073585B1 (ko) 토크핸들 조립을 위한 지그 및 토크핸들 조립장치
CN117464264B (zh) 一种可翻转焊接方位的钢结构焊接设备
KR101238129B1 (ko) 공차발생을 최소화 한 사방향을 이용한 중심위치장치 및 그 정렬 방법
CN114161142B (zh) 一种具有排查功能的笔记本转轴组装装置
CN111618566A (zh) 自动调节式操作工具支架及带有支架的模具拆合设备
US20050236169A1 (en) Machine tool having coaxial driving device
KR101763164B1 (ko) 실린더기구의 커버 스크류 풀림 장치
JP4771859B2 (ja) 電機設備盤の組立作業用装置
DE19620449A1 (de) Werkstückwechselvorrichtung und eine Werkstückpositioniervorrichtung auf welcher Werkstücke befestigt und genau positioniert werden
KR101508682B1 (ko) 회전인양장치
KR20150003249U (ko) 다용도 중량물 인양 장치
CN210209336U (zh) 自动调节式操作工具支架及带有支架的模具拆合设备
KR101966218B1 (ko) 중량부품용 인덱스 작업대
DE19703093A1 (de) Vorrichtung für Recyclingverfahren
KR100530052B1 (ko) 조정너트와 링 캐리어의 분해조립장치
CN220516757U (zh) 一种汽车零部件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