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624B1 -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 - Google Patents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624B1
KR100777624B1 KR1020060038059A KR20060038059A KR100777624B1 KR 100777624 B1 KR100777624 B1 KR 100777624B1 KR 1020060038059 A KR1020060038059 A KR 1020060038059A KR 20060038059 A KR20060038059 A KR 20060038059A KR 100777624 B1 KR100777624 B1 KR 10077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guide
dispensing
disc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751A (ko
Inventor
모토하루 구로사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부정하게 디스크를 다량으로 입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호퍼에서 부정하게 디스크를 입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디스크를 불출하는 회전 디스크의 회전 저항을 대폭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디스크의 부정 입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디스크를 송출하기 위한 압출부를 가지고 있는 회전 디스크, 상기 회전 디스크 측방에 고정 상태로 배치된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회전 디스크의 측방에 위치하며, 제1 가이드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직경 이하의 거리만큼 떨어진 대기위치와 상기 디스크에 의해 이동되는 불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를 통과하는 디스크가 이동하는 불출 통로, 상기 제2 가이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고, 또한 상기 제2 가이드가 상기 불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불출 통로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불출 통로로부터 퇴피하는 방해 수단을 가지며, 상기 방해 수단은 상기 디스크가 상기 압출부에 의해 송출된 디스크를 상기 불출 통로에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이다.
호퍼, 디스크, 압출부, 불출 통로, 게임기, 코인, 회전 디스크, 가이드, 검지 수단, 부정 방지 장치

Description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DISK HOPPER HAVING ILLICITNESS PREVENTIVE DEVICE}
도 1은 실시예 1의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보관 보울을 분리한 상태의 디스크 호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회전 디스크를 분리한 상태의 호퍼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호퍼 베이스의 뒷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디스크 불출 장치 및 부정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규제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바람직한 제2 가이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용 타이밍 차트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개요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작용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DP : 불출 위치 SB : 대기 위치
102 : 디스크 110 : 회전 디스크
112 : 둘레 방향 안내 장치 116 :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
172, 174 : 압출부 180, 182 : 규제체
183 : 이동 통로 190 : 요동 레버
200 : 제1 가이드 202 : 제2 가이드
208 : 불출 통로 230 : 작용편
260 : 방해 수단
본 발명은 디스크를 한 개씩 구분하여 불출(拂出)하는 디스크 호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을 조작하여 행하는 부정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 호퍼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디스크"는 통화인 코인 이외에 게임기 메달이나 토큰 등의 대용 화폐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회전 디스크에 의해 낱장으로 쌓인 원판형의 디스크를 하나씩 구분하여 불출 하고, 불출된 디스크에 의해 계수 부재가 불출 위치로 이동된 것을 검지함으로써 불출한 디스크의 수를 계수하는 디스크 호퍼에 있어서, 상기 계수 부재를 외부로부터 막대 모양 기구를 이용하여 강제로 불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위치를 계속함으로써 디스크의 불출을 계수하지 않도록 하고, 이로써 부정하게 디스크를 취득하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부정을 방지하는 첫 번째 종래 기술로서, 상기 계수 부재와 연동하여 디스크의 불출구에서 진퇴하는 저지 부재를 설치하고, 이 계수 부재가 불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저지 부재를 불출구에 위치시키고, 계수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불출구로부터 퇴피하도록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저지 부재는 불출구의 단부에 배치되며, 회전 디스크에 의해 고속으로 이동하는 디스크를 저지 부재에 충돌시켜 소정량 이상 되돌아오게 하여 불출구로부터 투출되지 않게 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두 번째 종래 기술로서, 정상시에는 디스크에 의해 검출 롤러가 검출 베이스에 대하여 요동되고, 이상시에는 검출 롤러가 반대 방향으로 밀려서 디스크를 투출할 수 없음과 동시에, 검출 베이스가 요동되어 회전 디스크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디스크 호퍼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281588호 공보(도 1-9, 6페이지-9페이지)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0-339508호 공보(도 1-5, 3페이지-5페이지)
첫 번째 종래 기술에서, 계수 부재가 외부로부터 강제로 불출 위치로 이동된 경우, 저지 부재는 불출구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 디스크에 의해 따라 회전하는 디스크는 저지 부재에 충돌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불출구로부터 불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저지 부재가 불출구에 위치한 경우라도, 회전 디스크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저지 부재와의 충돌에 의한 디스크의 되튐량이 소정량에 미치지 않아 불출구로부터 불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계수 부재가 불출 위치에 있으므로 불출된 디스크를 검지할 수 없어, 디스크를 부정하게 취득당할 우려가 있다.
또한 계수 부재와 저지 부재의 연동 기구는 캠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가가 되어, 함부로 채용할 수 없다.
두 번째 종래 기술에서, 검출 롤러가 강제로 불출 위치로 이동된 경우, 회전 디스크는 검출 롤러를 통하여 검출 베이스를 요동시켜야 한다.
검출 베이스가 요동한 경우, 검지 수단이 이것을 검지하므로, 부정하게 디스크가 입수되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회전 디스크의 회전 저항이 대폭으로 증가하여 전기 소비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함부로 채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디스크 호퍼에서 부정에 디스크를 입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디스크를 불출하는 회전 디스크의 회전 저항을 대폭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디스크의 부정 입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를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디스크를 송출하기 위한 압출부를 가지고 있는 회전 디스크, 상기 회전 디스크 측방에 고정 상태로 배치된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회전 디스크의 측방에 위치하며, 제1 가이드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직경 이하의 거리만큼 떨어진 대기위치와 상기 디스크에 의해 이동되는 불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를 통과하는 디스크가 이동하는 불출 통로, 상기 제2 가이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고, 또한 상기 제2 가이드가 상기 불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불출 통로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불출 통로로부터 퇴피하는 방해 수단을 가지며, 상기 방해 수단은 상기 디스크가 상기 압출부에 의해 송출된 디스크를 상기 불출 통로에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이다.
본 발명은 디스크를 송출하기 위한 압출부를 가지고 있는 회전 디스크, 상기 회전 디스크의 측방에 고정 상태로 배치된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회전 디스크의 측방에 위치하며, 제1 가이드로부터 상기 디스크의 직경 이하의 거리만큼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디스크에 의해 이동되는 불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을 구성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를 통과하는 디스크가 이동하는 불출 통로, 상기 제2 가이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고, 또한 상기 제2 가이드가 상기 불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불출 통로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불출 통로로부터 퇴피하는 방해 수단을 가지며, 상기 방해 수단은 상기 디스크가 상기 압출부에 의해 송출된 디스크를 상기 불출 통로에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이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보관 보울을 분리한 상태의 디스크 호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회전 디스크를 분리한 상태의 호퍼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호퍼 베이스의 뒷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디스크 불출 장치 및 부정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규제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바람직한 제2 가이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작용 설명용 타이밍 차트이다.
디스크 호퍼(100)는 낱장으로 쌓인 상태에서 보관된 원판형의 디스크(102)를하나씩 불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디스크 호퍼(100)는 적어도 프레임(104), 호퍼 베이스(106), 보관 보울(108), 회전 디스크(110), 디스크(102)의 둘레 방향 안내 장치(112), 불출 장치(114),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116) 및 부정 방지 장치(118)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프레임(104)을 설명한다.
프레임(104)은 호퍼 베이스(106) 및 보관 보울(108)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수지로 사출 성형된 사각형의 통 형상을 하고 있다.
프레임(104)은 베이스(122) 및 베이스(122)에 고정된 사각형 통형의 서포트부(124)를 포함하고 있다.
서포트부(124)의 중공부에는 제어 기판이나 회전 디스크(110)의 구동을 위한 전기 모터가 배치되고, 머리부는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다음, 호퍼 베이스(106)를 설명한다.
호퍼 베이스(106)는 보관 보울(108), 회전 디스크(110), 둘레 방향 안내 장치(112), 불출 장치(114),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116) 및 부정 방지 장치(118)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기능, 및 회전 디스크(110)에 의해 이동되는 디스크(102)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호퍼 베이스(106)는 사각형의 두꺼운 판상을 이루며, 서포트부(124)의 꼭대기부에 고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호퍼 베이스(106)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 베이스(106)는 상면(130)의 중앙에 위치하는 바닥 있는 원형의 가이드 구멍(132), 상하 단부에 형성한 보관 보울(108)의 제1 부 착부(134A, 134B) 및 제2 부착부(136A, 136B), 가이드 구멍(132)의 둘레면의 일부를 개구한 불출 개구(138),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116)의 부착부(140) 및 둘레 방향 안내 장치(112)의 부착부(142)를 포함하고 있다.
가이드 구멍(132)의 바닥부(144)는 대략 평면이며, 중앙에 회전 디스크(110)를 부착하는 회전축(146)이 관통하는 축 구멍(148)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디스크(110)에 의해 압동되는 디스크(102)는 그 밑면이 바닥부(144) 상을 미끄러지면서, 그리고 그 둘레면이 가이드 구멍(132)의 둘레벽(150)에 안내되면서 이동한다.
제1 부착부(134A, 134B) 및 제2 부착부(136A, 136B)에 보관 보울(108)의 하부에 형성한 걸림부(도시 생략)을 걺으로써 보관 보울(108)을 간단한 조작으로 호퍼 베이스(106)에 붙이거나 뗄 수 있게 하였다.
불출 개구(138)에 면하여 후술하는 불출 장치(114)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 보관 보울(108)을 설명한다.
보관 보울(108)은, 디스크(110)를 낱장으로 쌓은 상태로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보관 보울(108)의 하단부(152)는 가이드 구멍(132)과 대략 동일 지름의 원통 형으로서, 호퍼 베이스(106)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하단부(152)는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뻗어 있으며, 그 상단부는 사각 형상으로 확대되는 저장부(154)가 형성되고, 상단은 디스크 투입 개구(156)로 되어 있다.
보관 보울(108)의 저장부(154)와 하단부(152)는 경사 벽에 의해 접속되며, 그 위에 올라온 디스크(102)는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하방의 회전 디스크(110) 상으로 낙하한다.
다음, 회전 디스크(110)를 설명한다.
회전 디스크(110)는 낱장으로 쌓인 상태로 보관 보울(108)에 보관되는 디스크(102)를 하나씩 구분하여 불출 장치(114)로 밀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구멍(132) 내에 원반형의 회전 디스크(110)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 디스크(110)는 도시하지 않은 전기 모터에 의해 감속기를 통하여 회전 구동된다.
회전 디스크(110)에는 등간격으로 원형의 통공(160)이 형성되고, 통공(160)의 상면측은 하향 뿔형의 도입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에는 원추형이면서 회전축(146)을 부착하는 중앙 볼록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디스크(110)는 가이드 구멍(132) 내에 그 둘레면이 둘레벽(150)에 대하여 약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회전 디스크(110)의 통공(160)을 구획하는 리브(166)의 뒷면에는, 디스크(102)를 송출하기 위한 제1 압출부(168) 및 제2 압출부(170)가 통공(160)의 각각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압출부(168) 및 제2 압출부(170)의 압출면(172, 174)(도 8 참조)은 회전 디스크(110)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인벌류트 곡선(involute curve) 상에 위치해 있다.
제1 압출부(168)와 제2 압출부(170) 사이에는 후술하는 규제 핀 통과를 위한 간격(176)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둘레 방향 안내 장치(112)를 설명한다.
둘레 방향 안내 장치(112)는 제1 압출면(172), 제2 압출면(174)에 의해 압동되고 있는 디스크(102)를 회전 디스크(110)의 둘레 방향으로 안내하여 불출 개구(138)로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호퍼 베이스(106)의 제1 관통구멍(177), 제2 관통구멍(178)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여 회전 디스크(110) 쪽으로 뻗는 원주로서, 핀 형상의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가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는 디스크(102)의 이동 통로(183)(도 9 참조)에 돌출되어 있다.
규제체(180, 182)는 호퍼 베이스(106)의 뒷면에 부착한 퇴피 장치(184)에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는 상기 기능을 만족하면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규제체(180, 182)를 이용하지 않고도 디스크(102)가 불출 개구(138)로 이동하는 경우, 그들을 배치할 필요는 없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 디스크(110)의 직경이 커서 제1 압출부(168) 및 제2 압출부(170)에 의해서만 디스크(102)를 회전 디스크(110)의 둘레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경우, 규제체(180, 182)를 배치할 필요는 없다.
퇴피 장치(184)는 제1 규제체(180) 또는 제2 규제체(182)가 디스크(102)로부터 소정의 횡방향의 힘을 받은 경우,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를 제1 관통구멍(177), 제2 관통구멍(178) 내에 각각 퇴피시켜, 디스크(102)가 회전 디스크(1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퇴피 장치(184)는 지지축(188), 제2 요동 레버(190) 및 탄성 가압 수단(192)을 포함하고 있다.
지지축(188)은 제2 요동 레버(190)의 중간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축선(189)이 호퍼 베이스(106)의 바닥부(144)의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바닥부(144)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면 내에 배치되고, 호퍼 베이스(106)의 뒷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베어링(186)에 자유로이 회전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188)은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보다 회전 디스크(110)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지지축(188)은 첫째 장의 디스크(102)가 후술하는 방해 수단(118)에 정지된 경우, 후술하는 디스크(102)가 축선(189)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직교 방향으로부터 밀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요동 레버(190)의 상면에 판 스프링(192)을 고정하고, 이 판 스프링(192)의 일단에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가 제2 요동 레버(19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어 있다.
제2 요동 레버(190)의 타단과 호퍼 베이스(106)의 뒷면 사이에 탄성 가압 수단(192),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194)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요동 레버(190)는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가 호퍼 베이스(106)의 바닥부(144)에서 회전 디스크(110)의 뒷면 쪽으로 돌출하도록 탄성 가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요동 레버(190)는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의 디스크(102)와 접촉하는 부위에 대하여 오프셋된 위치의 지지축(188)을 받침점으로 피벗 운동 가능하다.
제2 요동 레버(190)의 상면이 호퍼 베이스(106)의 뒷면에 걸리고,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가 바닥부(144)에 대하여 거의 수직 상태를 이루는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지지축(188)은 그 축선(189)이 디스크(102)에 의해 받는 힘의 방향(D)(도 10 참조)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보아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부(144) 상을 슬라이드하는 디스크(102)가 제1 규제체(180) 또는 제2 규제체(182)를 누른 경우, 제1 규제체(180) 또는 제2 규제체(182)는 지지축(188)을 받침점으로 제1 관통구멍(177), 제2 관통구멍(178) 내에 각각 퇴피하도록 이동한다.
한편, 제2 요동 레버(190)에 호퍼 베이스(106) 쪽으로 돌출하는 타원기둥 형태의 가이드(196)가 형성되어, 호퍼 베이스(106)의 뒷면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도시 생략)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196)가 가이드 구멍에 의해 안내되면서 제2 요동 레버(190)가 지지축(188)을 받침점으로 요동한다.
한편, 판 스프링(192)을 설치하지 않고, 제2 요동 레버(190)에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를 직접 부착할 수 있다.
다음, 불출 개구(138)를 설명한다.
불출 개구(138)는 바닥부(144)와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는 불출 통로 바닥부 (197), 우측벽(198) 및 좌측벽(199)에 의해 단면이 사각형인 홈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 홈 형태의 불출 개구(138)에 불출 장치(114)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 불출 장치(114)를 설명한다.
불출 장치(114)는 회전 디스크(110)에 의해 한 장씩 구분되어 밀려나오는 디스크(102)를 하나씩 튕겨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불출 장치(114)는 제1 가이드(200), 제2 가이드(202), 탄성 가압 수단(204) 및 통로 규제 가이드(206)에 의해 획정되는 불출 통로(208)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제1 가이드(200)를 설명한다.
제1 가이드(200)는 디스크(102)가 통과하는 불출 통로(208)의 일 측벽을 형성하며, 디스크(102)를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1 가이드(200)는 사다리꼴의 플레이트로서, 바닥부(144)와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는 불출 통로 바닥부(197)의 상면에 고정되고, 그 측면(210)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 구멍(13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200)는 사다리꼴의 플레이트인데, 고정 축에 자유 로이 회전하게 부착한 롤러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 제2 가이드(202)를 설명한다.
제2 가이드(202)는 제1 가이드(200)와의 사이에 개재된 디스크(102)를 튕겨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2 가이드(202)는 회전 디스크(110) 및 제1 가이드(200)의 측방에 배치되며, 불출 통로(208)의 일 측벽을 구성하고 있다.
제2 가이드(202)는 후술하는 통로 규제 가이드(206)에 고정된 고정 축(214)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제1 요동 레버(216)의 일단부에 고정된 지지축(218)에 자유로이 회전하게 부착된 롤러(220)이다.
지지축(218)과 통로 규제 가이드(206)에 고정한 핀(222) 사이에 탄성 가압 수단(204), 구체적으로는 스프링(224)이 걸려 제1 요동 레버(216)를 제1 가이드(200)에 근접하게 탄성 가압하고 있다.
탄성 가압 수단(204)은, 제2 가이드(202)를 제1 가이드(200)에 탄성적으로 근접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요동 레버(216)는 일체로 형성된 피 걸림부(224)가 통로 규제 가이드(206)의 걸림부(228)에 의해 걸림으로써 제1 가이드(200)에 대하여 디스크(l02)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정지되어, 대기 위치(SB)에서 정지되어 있다.
디스크(102)의 직경부가 제1 가이드(200)와 제2 가이드(202) 사이에 이동한 경우, 제2 가이드(202)가 불출 위치(DP)로 이동된 후, 탄성 가압 수단(204)의 탄발력으로 디스크(102)를 튕겨낸다.
한편, 제2 가이드(202)는 제1 요동 레버(216)에 의해 피벗 운동을 하는데, 직선 운동에 의해 제1 가이드(200)에 대하여 접근, 이격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가압 수단(204)은 스프링 이외에 전자 액추에이터, 공기 액추에이터 등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가이드(202)는 제1 가이드(200)와 마찬가지로 비회전 가이드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18)의 하단 머리부를 롤러(220)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지름으로 하고, 요동 레버(216)와의 사이에 롤러(220)와 동일 지름의 원형 스페이서(228)를 배치함으로써 롤러(220)가 외부로부터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같은 목적으로 지지축(218)을 양쪽에서 지지할 수 있다.
다음, 통로 규제 가이드(206)를 설명한다.
통로 규제 가이드(206)는 불출 통로(208)의 상벽을 획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통로 규제 가이드(206)는 불출 개구(138)의 좌측 벽(199) 및 우측 벽(198) 사이에 촘촘하게 삽입되며, 제1 가이드(200)를 상측에서 눌러 고정 핀(222)에 의해 제1 가이드(200)와 함께 호퍼 베이스(106)에 고정한다.
따라서, 불출 통로(208)는 불출 통로 바닥부(197), 제1 가이드(200), 제2 가이드(202), 우측 벽(198) 및 통로 규제 가이드(206)에 의해 단면이 사각형인 소정길이를 가지고 있는 터널로 형성되어 있다.
불출 장치(114)에 의해 불출된 디스크(102)는 호퍼 베이스(106)의 좌측면에 위치하는 불출 통로(208)의 출구(226)로부터 불출된다.
통로 규제 가이드(206)의 일단면에 걸림부(228)가 배치되어, 제1 요동 레버(216)의 피 걸림부(224)와 면 접촉하게 되어 있다.
면 접촉에 의해 제1 요동 레버(216)를 받아들임으로써 걸림부(228)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 제1 요동 레버(216)의 되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116)을 설명한다.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116)은 제 2 가이드(202), 제 2 가이드(202)를 지지하는 제1 요동 레버(216), 제1 요동 레버(216)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작용편(230) 및 작용편(230)의 검지 수단(232)을 포함하고 있다.
작용편(230)은 제1 요동 레버(216)에 일체로 형성된 연동 수단(234)으로서의 팔(236)의 끝단부에 형성되고, 고정축(214)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상에 위치하는 피 검지부(238)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 베이스(106)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제1 요동 레버(216)로부터 뒷면측에 위치하는 피 검지부(238)와는 호퍼 베이스(106)를 관통하는 장공(231)에 위치하는 팔(236)을 통하여 연결된다.
검지 수단(232)은 피 검지부(238)를 검지한 경우, 온 또는 오프의 전기적인 검지 신호(DS)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의 검지 수단(232)은 센서(244) 및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을 포함하고 있다.
센서(244)는 문 형태의 지주(248)의 어느 한쪽에 투광부(250)를 배치하고, 다른 한쪽의 지주에 상기 투광부(250)에 대향하여 배치한 수광부(252)를 가지고 있는 투과식 광량 센서이다.
센서(244)는 호퍼 베이스(106)에 그 뒷면 측에서 브래킷(256)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센서(244)는 서포트부(124)로 둘러싸인 호퍼 베이스(106)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센서(244)에 외부로부터 부정하게 액세스하기가 아주 어렵다.
디스크(102)에 의해 제2 가이드(202)가 불출 위치(DP)로 이동된 경우, 피 검지부(238)가 투광부(250)에서 수광부(252)로의 투사광을 차단한다.
이 차단에 의해 센서(244)의 출력은 "H"에서 "L"이 된다.
제2 가이드(202)가 불출 위치(DP)에서 대기 위치(SB)로 위치하는 경우, 피 검지부(238)가 투광부(250)와 수광부(253) 사이로부터 벗어나므로, 광전 센서(244)의 출력은 "L"에서 "H"로 된다.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은 센서(244)의 출력이 "L"에서 "H"로 변화되었을 때 검지 신호(DS)를 출력한다.
이 검지 신호(DS)를 카운트함으로써 불출한 디스크(102)의 수를 알 수 있다.
따라서, 검지 수단(232)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다른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고, 센서(244)는 반사식 광량 센서, 금속 센서 등 다른 센서로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요동 레버(216) 또는 롤러(220)의 이동을 직접 검지함으로써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116)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검지 수단(232)은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을 설치하지 않고 센서(244)의 상승 신호를 검지함으로써도 대용할 수 있다.
다음, 부정 방지 장치(118)를 설명한다.
부정 방지 장치(118)는 제2 가이드(202)가 외부로부터 불출 위치(DP)로 이동된 경우,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116)이 검지 신호(DS)를 출력하지 않고 디스크(102)만 불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부정 방지 장치(118)는 제2 가이드(202)에 연동하여 불출 장치(114)보다 하류의 불출 통로(208)에서 이동하는 방해 수단(260)이다.
본 실시예 1에서, 방해 수단(260)은 제1 요동 레버(216)에 대하여 고정축(214)의 반대측으로 뻗는 제2 레버(262)의 단부에 고정한 제2 지지축(264)에 부착한 방해 부재(266)이다.
방해 부재(266)는 제2 지지축(264)에 대하여 자유로이 회전하게 부착한 롤러(268)인 것이 내구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나, 멈춤쇠(pawl) 형태의 고정 방해편으로 바꿀 수 있다.
방해 부재(266)는 통로 규제 가이드(206)에 형성된 호 형상 장공(270)을 관통하여 불출 통로(208)에 돌출된다.
제2 가이드(202)가 대기 위치(SB)에 위치하는 경우, 방해 부재(266)는 제1 가이드(200)의 측벽(272)과의 간격이 디스크(102)의 직경 이상 떨어진 해제 위치 (FP)에 위치한다.
이 때, 작용편(2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투광부(250)로부터의 투사광을 가로막는 위치에 있다.
제2 가이드(202)가 불출 위치(DP)에 있는 위치하는 경우, 방해 부재(266)는 제1 가이드(200)의 측벽(272)과의 간격이 디스크(102)의 직경 이하가 되는 방해 위치(OP)로 이동한다.
따라서, 디스크(102)가 방해 부재(266)와 측벽(27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방해 부재(266)는 해제 위치(FP)로 이동된다.
방해 부재(266)가 해제 위치(FP)로 이동된 경우, 연동 수단(234)에 의해 링크 결합되어 있는 제2 가이드(202)는 대기 위치(SB)로 이동하므로, 작용편(230)은 상기 검지 위치에서 비 검지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검지 수단(232)의 출력은 "L"에서 "H"로 바뀌므로,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은 검지 신호(DS)를 출력한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크(102)가 출구(226)로부터 불출되는 경우, 방해 부재(266)가 방해 위치(OP)에서 해제 위치(FP)로 이동되므로, 검지 신호(DS)가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으로부터 출력된다.
다음, 실시예 1의 작용을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디스크(102)의 불출 신호 지시 신호를 받은 경우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하여, 도시하지 않은 감속기 및 회전축(146)을 통하여 회전 디스크(110)가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 디스크(110)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102)는 통공(106)으로 낙하하고, 제1 압출부(168)에 의해 밀려 그 하면이 가이드 구멍(132)의 바닥부(144) 상을 미끄러지고, 또한 둘레면은 둘레벽(150)에 안내되면서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에 도달한다.
디스크(102)는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에 의해 가이드 구멍(132)의 둘레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때,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에는 횡방향으로부터 힘이 가해지는데, 탄성 가압 수단(192)의 탄발력 쪽이 상회하고 있으므로,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는 바닥부(144)에 대하여 대략 수직 상태를 유지한다.
디스크(102)의 회전 디스크(112)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디스크(102)는 제1 가이드(200)와 제2 가이드(202) 사이에 도달한다(도 8 참조).
디스크(102)는 제1 압출부(168)에 의해, 그 후 제2 압출부(170)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더 밀리고, 또한 제1 가이드(200)는 고정이므로, 제2 가이드(202)가 디스크(102)에 의해 도 8의 위치에서 우측 비스듬히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1 요동 레버(216)가 고정축(214)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디스크(102)에 의해 제2 가이드(202)가 이동될 때, 제1 요동 레버(216)와 일체로 피벗 운동하는 작용편(230)은 센서(244)의 투광부(250)로부터의 투사광을 가로막으므로,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출력은 "H"에서 "L"로 변화한다.
또한, 방해 부재(266)는 제2 레버(262)를 통하여 해제 위치(FP)에서 방해 위 치(OP)로 이동된다.
디스크(102)는 그 직경부가 제1 가이드(200)와 제2 가이드(202) 사이를 통과한 직후에 탄성 가압 수단(204)에 의해 제2 가이드(202)를 통하여 튕겨져 나오고, 불출 통로(208)를 지나 출구(226)로부터 불출된다.
이에 따라, 제2 가이드(202)는 대기 위치(SB)로 돌아오므로, 방해 부재(266)는 연동하여 해제 위치(FP)로 돌아온다.
따라서, 제2 가이드(202)에 의해 튕겨져 나온 디스크(102)는 방해 부재(266)에 의해 이동을 저지받지 않고 출구(226)로부터 불출된다.
또한, 제2 가이드(202)의 대기 위치(SB)로의 복귀 운동에 연동하여 작용편(230)이 센서(244)의 검지역으로부터 벗어나므로, 투광부(250)로부터의 투사광이 수광부(252)에 수광되게 된다.
이에 따라, 센서(244)의 출력은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에서 "H"로 변화한다.
이 "L"에서 "H"로의 출력 변화에 따라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이 검지 신호(DS)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검지 신호(DS)를 카운트함으로써 출구(226)로부터 불출된 디스크(102)의 수를 계수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202)를 봉상체(T) 등에 의해 강제로 불출 위치(DP)로 이동시킨 케이스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제2 가이드(202)의 이동에 연동하여 방해 부재(266)는 방해 위치 (OP)에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에 안내된 디스크(102)는 불출 통로(208)에서 방해 부재(266)에 의해 진행이 저지되고, 대체적으로 디스크(102)의 후단이 가이드 구멍(132)의 외주에 위치한 상태에서 정지한다.
회전 디스크(110)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뒤따르는 디스크(102)는 진행이 저지된 디스크(102)의 후단에 의해 안내되어 제1 규제체(180)를 횡방향으로 민다.
이러한 압동에 의해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는 제2 요동 레버(190)의 지지축(188)의 축선(189)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교 방향(D)으로 작용하는 커다란 힘을 받는다.
이에 따라,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는 퇴피 장치(184)에 의해 이동 통로(183)로부터 퇴피한다.
즉, 제2 요동 레버(190)는 지지축(188)에 대하여 오프셋된 위치로 힘을 받으므로, 도 6(A)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지지축(188)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한다.
따라서,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가 제1 관통구멍(177), 제2 관통구멍(178) 내로 각각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는 디스크(102)의 이동 통로(183)로부터 퇴출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102)는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에 이동이 저지되지 않고 회전 디스크(110)와 함께 회동된다.
따라서, 회전 디스크(110)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과부하를 주지 않 는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가이드(202)가 불출 위치(DP)로 계속 유지되므로, 작용편(230)은 계속 센서(244)에 의해 검지된다.
즉,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244)의 출력은 "L" 그대로이므로, 검지 신호(DS)가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으로부터 출력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크(102)가 방해 부재(266)에 의해 불출이 저지된 경우, 검지 신호(DS)는 출력되지 않아 디스크(102)의 불출 계수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제2 가이드(202)의 계속 유지를 해제한 경우, 방해 부재(266)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어 있던 디스크(102)는 탄성 가압 수단(204)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의해 대기 위치(SB)로 돌아가려고 하는 제2 가이드(202)에 의해 밀린다.
제2 가이드(202)의 대기 위치(SB)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방해 부재(266)는 해제 위치(FP)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디스크(102)는 출구(226)로부터 불출된다.
이 때, 작용편(230)은 센서(244)의 투광부(250)로부터의 투사광을 차단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11(C)에서 부호 E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244)의 출력은 "L"에서 "H"로 바뀐다.
이에 따라,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은 검지 신호(DS)를 출력하므로, 검지 신호(DS)는 디스크(102)의 불출 수의 카운트에 이용된다.
따라서, 디스크(102)가 출구(226)로부터 불출되는 경우, 반드시 검지 신호 (DS)가 출력되기 때문에 카운트되지 않고 불출되는 디스크(102)는 존재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크(102)의 미카운트 불출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부정 방지 장치(118)의 실시예 2가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2는 실시예 2의 개요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작용 설명도이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작용편(230)을 설명한다.
작용편(2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하방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뒷면으로부터 하방 쪽으로 돌출되는 고정축(300)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부착한 L자형의 요동체(302)의 일단에 고정축(300)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제2 가이드(202)를 설명한다.
요동체(302)의 타단부에 고정된 제2 지지축(304)은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고정축(300)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 장공(도시하지 않음)을 뒷면에서 앞면으로 관통하고, 회전 디스크(110) 가까이 측방의 불출 통로(208)에 위치해 있다.
제3 지지축(304)의 중간에 제2 가이드(202)로서의 롤러(220)가 자유로이 회전하게 부착되어 불출 통로(208)에 위치해 있다.
요동체(302)는 베이스 플레이트(106)의 뒷면 측으로 돌출되는 핀(222)의 하단부와의 사이에 걸쳐진 탄성 가압 수단(204)로서의 스프링(224)에 의해 제1 가이드(200)에 근접하게 탄성 가압되어 있다.
또한, 요동체(302)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제2 가이드(202)와 제2 가이드(200)간 간격이 디스크(102)의 직경보다 작은 소정의 거리에서 정지되어 있다.
또한, 요동체(302)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제2 가이드(202)와 제2 가이드(200)간 간격의 디스크(102)의 직경보다 작은 소정의 거리에서 정지되어 있다.
이 정지 위치가 제2 가이드(202)의 대기 위치(SB)이다.
다음, 방해 수단(260)을 설명한다.
방해 수단(260)은 통로 규제 가이드(206) 상면에 고정한 고정축(306)에 피벗 운동 가능하게 부착한 규제 레버(308)의 일단부에 고정된 지지축(310)에 부착된 방해 부재(266)로서, 구체적으로는 롤러가 바람직하다.
규제 레버(308)는 핀(222)과의 사이에 걸어 고정한 제2 탄성 가압 수단(312)으로서의 스프링(314)에 의해 해제 위치(FP)로 이동하도록 도 12에서 시계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다음, 요동체(302)와 규제 레버(308), 바꾸어 말하면 작용편(230)과 방해 수단(260)간 연동 수단(234)을 설명한다.
연동 수단(234)은 방해 수단(260)이 방해 위치(OP)로 이동한 경우, 작용편(230)이 검지 수단(232)에 의해 검지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방해 수단(260)이 해제 위치(FP)에 있는 경우, 작용편(230)이 검지 수단(232)에 의해 검지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규제 레버(308)의 타단부에 제3 지지축(304)의 상단부를 거는 반원형의 후크(314)를 형성하였다.
방해 부재(266)가 해제 위치(FP)에 유지되어 후크(314)가 제3 지지축(304)의 끝단을 걸어 고정하고 있는 경우, 요동체(302)는 도 12에서 시계 방향으로 피벗 운동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방해 수단(260)이 해제 위치(FP)에 위치하는 경우, 제3 지지축(304)은 규제 레버(308)의 후크(314)에 의해 밀려 대기 위치(SB)로 강제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작용편(230)은 센서(244)의 검지역으로부터 이동하고, 센서의 출력은 "L"에서 "H"로 바뀌므로,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은 검지 신호(DS)를 출력한다.
또한, 규제 레버(308)의 뒷면에서 불출 통로(208) 쪽으로 돌출되는 지지축(316)이 설치되고, 그 끝단부에 선행 피동체(318)로서의 선행 피동 롤러(320)가 자유로이 회전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2 규제체(182)와 제1 가이드(200)에 의해 안내되는 디스크(102)는 제2 가이드(202) 및 선행 피동 롤러(320)를 대략 동일한 타이밍에서 압동하여 규제 레버(308)를 도 12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후크(314)는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 지지축(304)으로부터 벗어난다.
또한, 디스크(102)가 제2 가이드(202)를 압동하고, 디스크(102)의 직경부가 제1 가이드(200)와 제2 가이드(202) 사이를 통과한 직후, 탄성 가압 수단(204)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디스크(102)를 튕겨낸다.
다음, 실시예 2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정상시의 작용을 설명한다.
회전 디스크(110)에 의해 회동되는 디스크(102)는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에 의해 회전 디스크(110)의 둘레 방향으로 안내되어 불출 통로(208)의 입구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102)는 그 일부가 제1 가이드(200)에 의해 안내되면서 제2 가이드 롤러(202) 및 선행 피동 롤러(320)를 압동한다.
디스크(102)의 제2 가이드(202)에 대한 압동에 의해 요동체(302)가 탄성 가압 수단(204)의 탄성 가압력에 거역하여 도 1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도 13 참조).
이에 따라, 작용편(230)은 센서(244)의 투사광을 가로막으므로, 센서(244)의 출력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H"에서 "L"로 바뀐다.
마찬가지로 디스크(102)는 선행 피동체(318)를 압동하므로, 규제 레버(308)는 대기시보다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방해 부재(266)는 방해 위치(OP)로 이동한다.
디스크(102)의 직경부가 제1 가이드(200)와 제2 가이드(202) 사이를 통과한 직후, 요동체(302)는 탄성 가압 수단(204)에 의해 급속하게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디스크(102)는 제2 가이드(202)에 의해 튕겨진다.
튕겨진 디스크(102)는 선행 피동체(318)가 제2 탄성 가압 수단(312)에 의한 복귀 운동을 시작하기 직전에 통과하므로, 선행 피동체(318)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만일 튕겨진 디스크(102)가 선행 피동체(318)에 접촉한 경우, 디스크(102)는 이동의 기세에 의해 선행 피동체(318)를 압동하여 통과한다.
요동체(302)의 반 시계 방향의 피벗 운동에 의해 작용편(230)은 센서(244)의 검지 범위 밖으로 이동하므로, 센서(244)의 출력은 "L"에서 "H"로 변화한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L"에서 "H"로의 변화에 따라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은 검지 신호(DS)를 출력한다.
이 검지 신호(DS)를 카운트함으로써 불출된 디스크(102)의 수를 계수할 수 있다.
디스크(102)가 선행 피동체(318)의 측방을 통과한 직후에 규제 레버(308)는 제2 탄성 가압 수단(312)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방해 수단(260)은 방해 위치(OP)에서 해제 위치(FP)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102)는 방해 수단(260)에 방해받지 않고 출구(226)로부터 불출된다.
다음, 제2 가이드(202)를 강제로 이동시킨 경우를 설명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출구(226)로부터 봉상체(T)를 끼워 넣어 제2 가이드 (202)를 강제로 이동시킨 경우, 바꾸어 말하면, 제2 가이드(202)를 통하여 요동체(302)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 요동체(302)는 도 1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작용편(230)이 센서(244)의 검지 영역으로 진입하므로, 센서(244)의 출력은 "H"에서 "L"로 변화한다.
그러나,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은 검지 신호(DS)를 출력하지 않는다.
제2 가이드(202)를 불출 위치(DP)에 유지한 경우, 선행 피동체(318)는 디스크(102)에 의해 복귀 운동이 저지되므로, 방해 수단(260)은 방해 위치(OP)에 계속 위치한다(도 13 참조).
방해 수단(260)이 방해 위치(OP)에 있는 경우, 제1 가이드(202)의 측면(258)과의 거리가 디스크(102)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디스크(102)는 방해 수단(26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어 불출 통로(208)에 머물게 된다.
뒤따르는 디스크(10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규제체(180) 및 제2 규제체(182)가 제1 관통구멍(177) 및 제2 관통구멍(178)으로 퇴피함으로써 회전 디스크(110)와 함께 회동한다.
따라서, 회전 디스크(110) 구동용 모터(도시하지 않음)는 과부하가 되지 않는다.
방해 수단(26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된 디스크(102)가 방해 수단(260)의 위치를 통과하는 경우, 방해 수단(260)은 디스크(102)에 의해 해제 위치(FP)로 이동된다.
바꾸어 말하면, 규제 레버(308)가 고정축(306)을 받침점으로 시계 방향으로 피벗 운동된다.
이에 따라, 후크(314)가 제3 지지축(304)를 걸어 요동체(302)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요동체(302)의 회동에 의해 작용편(230)은 광전 센서(244)의 검지 범위 밖으로 이동하므로, 센서(244)의 출력은 "L"에서 "H"로 변화한다.
이러한 출력 변화에 의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검지 신호 출력 수단(246)이 검지 신호(DS)를 출력한다.
따라서, 디스크(102)가 출구(226)로부터 불출되는 경우 반드시 검지 신호(DS)가 출력되므로, 디스크(102)가 계수되지 않고 불출되는 경우는 없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디스크가 회전 디스크의 압출부에 의해 밀림으로써 제1 가이드에 안내되면서 제2 가이드를 이동시킨다.
이 제2 가이드의 이동에 연동하여 방해 수단이 불출 통로로 진출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가이드가 불출 위치에 있는 경우, 방해 수단은 불출 통로에 위치하여 디스크의 통과를 저지한다.
제2 가이드가 대기 위치에 있는 경우, 방해 수단은 불출 통로로부터 퇴피한다.
디스크의 직경부가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를 통과한 직후, 제2 가이드에 대한 탄성 가압력에 의해 디스크는 기세좋게 불출 통로로 튕겨져 나간다.
따라서, 디스크가 방해 수단에 도달할 때, 제2 가이드의 불출 위치에서 대기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방해 수단이 불출 통로로부터 퇴출되므로, 디스크는 방해 수단에 이동이 저지되지 않고 불출된다.
제2 가이드의 이동에 의해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이 디스크의 불출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출력하므로, 이 검지 신호를 계수함으로써 불출을 시작하고 나서부터의 디스크의 총 불출 수를 계수한다.
제2 가이드가 고의로 불출 위치로 이동된 경우, 그 이동에 연동하여 방해 수단이 불출 통로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첫째 장의 디스크가 압출부에 의해 불출 통로로 밀려나오고, 직경부가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를 통과한 직후에 방해 수단에 의해 정지된다.
따라서, 다음 디스크가 상기 첫째 장의 디스크에 방해받아 불출 통로로 이동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다음 디스크는 첫째 장의 디스크의 후단에 안내되어 회전 디스크의 압출부에 의해 밀리면서 회전 디스크와 함께 이동한다.
만약 방해 수단에 정지되어 있던 디스크가 불출되는 경우, 방해 수단은 그 디스크에 의해 강제로 이동되므로, 제2 가이드는 불출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가이드의 이동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됨으로써 디스크의 불출이 검출된다.
따라서, 불출되는 디스크를 확실하게 카운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방해 수단은 중간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레버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요동 레버와 일체로 이동하는 작용편이 상기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가이드와 방해 수단은 피벗 운동 가능한 요동 레버에 부착되고, 요동 레버와 일체로 이동하는 작용편이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디스크에 의해 따라 회전하는 디스크의 이동 통로에 돌출하여 이 디스크를 회전 디스크의 둘레 방향으로 안내하는 둘레 방향 안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둘레 방향 안내 장치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소정의 힘을 받은 경우, 상기 이동 통로로부터 퇴피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전 디스크에 의해 따라 회전하는 디스크의 이동 통로에 둘레 방향 안내 장치가 돌출되고, 이 둘레 방향 안내 장치에 의해 따라 움직이는 디스크는 회전 디스크의 둘레 방향으로 안내된다.
상세하게는, 회전 디스크의 직경과 디스크간 직경의 비가 소정 값 이상이 아니면 디스크를 압출부만으로 불출할 수 없는데, 상기 직경비 이하인 경우에도 디스크는 둘레 방향 안내 장치에 의해 회전 디스크의 둘레 방향으로 안내된다.
첫째 장의 디스크가 방해 수단에 정지된 경우, 둘레 방향 안내 장치는 뒤따르는 디스크에 밀려서 이동 통로로부터 퇴피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는 회전 디스크와 함께 따라 움직인다.
바꾸어 말하면, 둘레 방향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회전 디스크의 직경이 작은 디스크 호퍼인 경우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어, 디스크 호퍼의 소비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둘레 방향 안내 장치가 상기 요동 레버에 고정된 핀이고, 상기 요동 레버는 상기 회전 디스크에 대하여 평행한 면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디스크가 이동하는 바닥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 가능하고, 나아가 탄성 가압 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기 회전 디스크 쪽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가 핀을 누른 경우, 디스크와 핀간 접촉 위치가 피벗 축선에 대하여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 레버는 회전 디스크로부터 벗어나는 모멘트를 받는다.
통상, 회전 디스크에 의해 따라 회전하는 디스크는 원심력을 받으며, 둘레 방향을 향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디스크가 핀에 안내되는 경우, 핀은 커다란 힘을 받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크가 회전 디스크에 의해 따라 회전하는 경우, 회전 디스크에 작용하는 핀에 의한 회전 저항은 매우 작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 적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4)

  1. 디스크(102)를 송출하기 위한 압출부(172, 174)를 가지고 있는 회전 디스크(110),
    상기 회전 디스크의 측방에 고정 상태로 배치된 제1 가이드(200),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회전 디스크의 측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가이드로부터 상기 디스크(102)의 직경 이하의 거리만큼 떨어진 대기 위치(SB)와 상기 디스크에 의해 이동되는 불출 위치(DP)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116)을 구성하는 제2 가이드(202),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를 통과한 디스크가 이동하는 불출 통로(208),
    상기 제2 가이드가 부착되고, 축(214)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한 제1 요동 레버(216),
    상기 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요동 레버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제2 가이드가 상기 불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불출 통로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불출 통로로부터 퇴피하는 방해 수단(260)을 가지며,
    상기 방해 수단은 상기 디스크가 상기 압출부에 의해 송출된 디스크를 상기 불출 통로에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방해 수단은 중간이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요동 레버(216)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1 요동 레버와 일체로 이동하는 작용편(230)이 상기 디스크 통과 검지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디스크에 의해 따라 회전하는 디스크의 이동 통로(183)에 돌출되고, 이 디스크를 회전 디스크의 둘레 방향으로 안내하는 둘레 방향 안내 장치(ll2)를 더 구비하고, 상기 둘레 방향 안내 장치는 상기 디스크로부터 소정의 힘을 받은 경우, 상기 이동 통로로부터 퇴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 안내 장치는 제2 요동 레버(190)에 고정된 규제체(180, 182)이고, 상기 제2 요동 레버는 상기 회전 디스크에 대하여 평행한 면 내에 있고, 또한 상기 디스크가 이동하는 바닥부(144)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축선(189)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 가능하며, 탄성 가압 수단(192)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기 회전 디스크 쪽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
KR1020060038059A 2005-05-17 2006-04-27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 KR100777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44547 2005-05-17
JP2005144547A JP4711738B2 (ja) 2005-05-17 2005-05-17 不正防止装置を有するディスクホッ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751A KR20060119751A (ko) 2006-11-24
KR100777624B1 true KR100777624B1 (ko) 2007-11-21

Family

ID=3742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059A KR100777624B1 (ko) 2005-05-17 2006-04-27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11738B2 (ko)
KR (1) KR100777624B1 (ko)
CN (1) CN100576258C (ko)
TW (1) TWI4204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1136A (ja) * 2007-01-10 2008-07-24 Sanyo Electric Co Ltd コイン状部材送出装置
GB2528281A (en) * 2014-07-16 2016-01-20 Crane Payment Solutions Ltd Singulating and validating money i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9908A (ja) * 1996-05-31 1997-12-12 Universal Hanbai Kk コイン払出装置
JP2000339508A (ja) 1999-05-31 2000-12-08 Juki Corp コイン投出装置
JP2003281588A (ja) 2002-03-20 2003-10-03 Glory Ltd コイン繰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651Y2 (ja) * 1987-10-14 1995-11-22 株式会社シグマ ゲーム機のコイン払出し装置
JP2879401B2 (ja) * 1993-04-15 1999-04-0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
TW360855B (en) * 1995-09-29 1999-06-11 zhi-cheng Ruan Coin device and the coin identification method thereof
GB9610603D0 (en) * 1996-05-21 1996-07-31 Panzeri Ezio Coin recognition apparatus
JP4235743B2 (ja) * 1999-06-25 2009-03-11 旭精工株式会社 高速のコイン払い出し装置
JP3527891B2 (ja) * 2001-01-05 2004-05-17 株式会社オリンピア コイン払出装置
JP3865392B2 (ja) * 2003-03-27 2007-01-10 株式会社オリンピア ホッパ装置
JP4499373B2 (ja) * 2003-05-09 2010-07-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コインホッパ
TWM257868U (en) * 2004-04-09 2005-03-01 Youal Jifh Entpr Co Ltd Sifting the slot form the slot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9908A (ja) * 1996-05-31 1997-12-12 Universal Hanbai Kk コイン払出装置
JP2000339508A (ja) 1999-05-31 2000-12-08 Juki Corp コイン投出装置
JP2003281588A (ja) 2002-03-20 2003-10-03 Glory Ltd コイン繰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11738B2 (ja) 2011-06-29
CN100576258C (zh) 2009-12-30
TWI420419B (zh) 2013-12-21
JP2006323530A (ja) 2006-11-30
TW200703149A (en) 2007-01-16
CN1866303A (zh) 2006-11-22
KR20060119751A (ko) 200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4838B2 (ja) コインセレクタ
JP5109035B2 (ja) コイン送り出し装置
JP3153873B2 (ja) ホッパー装置
KR100777624B1 (ko) 부정 방지 장치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호퍼
US5435778A (en) Rotary coin counter
JP5261656B2 (ja) コインホッパ
JP5382511B2 (ja) コインホッパのコインの出口構造
JP4630974B2 (ja) コインホッパ
JP5585020B2 (ja) コインホッパ
JP2009230617A5 (ko)
JP5604705B2 (ja) コインホッパのコイン出口装置
JP2010267213A5 (ko)
JP5481627B2 (ja) ディスク放出装置
JP5044836B2 (ja) ディスク案内装置
JP3748621B2 (ja) 硬貨投出装置
JP2006323530A5 (ko)
JP5370737B2 (ja) コインホッパ
JP2011048800A5 (ko)
JP3536025B2 (ja) コイン払出装置及びコイン払出装置の誤作動防止部材
JP5789819B2 (ja) コインホッパ
JP4630972B2 (ja) ディスクのスピン付与送出装置
JP2010131122A5 (ko)
JP4644773B2 (ja) ディスクの振分装置
JP4505585B2 (ja) 球体送り出し装置
JP201103417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