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402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402B1
KR100775402B1 KR1020010034259A KR20010034259A KR100775402B1 KR 100775402 B1 KR100775402 B1 KR 100775402B1 KR 1020010034259 A KR1020010034259 A KR 1020010034259A KR 20010034259 A KR20010034259 A KR 20010034259A KR 100775402 B1 KR100775402 B1 KR 10077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nonwoven fabric
adhesive
longitudinal direction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3530A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다무라다츠야
노다유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철 주름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흡수성 물품의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고, 이 부직포에 탄성 부재를 접착시키면, 파형의 정상부나 중간부가 탄성 부재에 접착되어 상기 요철 주름이 찌그러진 채로 굳어 피부에의 감촉이 딱딱해진다.
흡수성 물품의 누설 방지벽으로서 파형의 요철 주름(7)을 갖는 부직포(6)가 사용된다. 이 부직포(6)에 탄성 부재(16)가 접착된다. 접착제(32)는 탄성 부재(16)의 주위에서 나선 궤적이 되도록 도포된다. 상기 요철 주름(7)의 바닥부(7b)는 상기 접착제(32)에 의해 탄성 부재(16)의 표면에 접착된다. 접착제(32)는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타나기 때문에, 요철 주름(7)의 정상부(7a)나 중간부(7c)의 내면이 접착제(32)에 쉽게 닿지 않고, 따라서 요철 주름(7)이 찌그러져 접착 고정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ING ARTICLE}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III-III선 단면도.
도 5는 요철 주름의 바닥부와 탄성 부재와의 접착 위치를 설명한 단면도.
도 6은 부직포에 요철 주름을 성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수성 물품
5 : 누설 방지벽
5a : 자유단
6 : 부직포
7 : 요철 주름
7a : 파형의 정상부
7b : 파형의 바닥부
7c : 파형의 중간부
11 : 이면 시이트
12 : 흡수성 코어
13 : 표면 시이트
14, 15, 16, 17 : 탄성 부재
본 발명은 생리대,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측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누설 방지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대, 소변 수거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이 여러 가지 개발되어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에서는, 착용 중에 있어서 배설액을 액흡수층에서 확실하게 흡수하고, 배설액이 흡수성 물품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측 표면에 있어서 양측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누설 방지벽을 형성한 것이 있다.
종래의 상기 누설 방지벽의 구조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이트상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비신축성의 소수성 시이트가 접합되어 있고, 이 소수성 시이트에 흡수성 물품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부재가 접합된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탄성 부재의 종방향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에 종방향으로 향한 만곡력이 작용하는 동시에 상기 누설 방지벽이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측으로 상승하고, 이에 따라 경혈 등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상기 누설 방지벽은 장착자의 피부에 맞닿는 측이 평탄한 것이 많고, 장착자의 피부에의 밀착감이 있으며, 또한 맞닿는 감촉이 딱딱하고, 피부에 부드럽게 맞닿을 수 없는 것이 많다.
또한, 파형으로 변형(부형)시킨 부직포로 누설 방지벽을 형성한 것이 있고, 이러한 종류의 누설 방지벽은 장착자의 피부에서의 접촉 면적이 저하되며, 피부에 소프트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누설 방지벽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평9-50393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것은 누설 방지벽 자체가 탄성력을 갖도록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누설 방지벽 자체의 강성이 낮고, 예컨대 흡수성 물품의 표면으로부터 상승하도록 설치했을 때, 누설 방지벽의 비틀림 강도를 그다지 높힐 수 없다.
또한, 파형으로 변형(부형)시킨 부직포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부재를 접합시키면,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측으로부터의 상승력이 커져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파형의 부직포에 종방향으로 연장된 탄성 부재를 핫 멜트형 접착제 등으로 접착시키면, 부직포에 가압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파형의 정상부측이 상기 접착제에 접착되어 버리고, 부직포의 파형이 찌그러진 상태가 되기 쉽다. 그 결과, 탄성 부재가 접착되어 있는 부분에서 부직포가 딱딱해지고, 피부에서의 접촉 감촉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피부에서의 감촉이 부드러운 누설 방지벽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는 부직포와 탄성 부재와의 접착부가 딱딱해지지 않으며, 소프트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체 수용측의 표면에 설치된 액투과성의 표면 시이트, 이면 시이트, 상기 양시이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층, 상기 표면의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설 방지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벽은 파형의 정상부와 바닥부가 종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파형의 부직포로 형성되고, 이 부직포에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종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종방향으로 접착제가 간격을 두고 도포되어 있고, 상기 파형의 바닥부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는 부직포가 파형으로 성형(부형)되기 때문에, 장착자의 피부에서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고, 피부에서의 밀착감이 없으며, 감촉이 소프트하다. 또한 종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누설 방지벽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누설 방지벽에 종방향으로의 수축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흡수성 물품이 종방향으로 만곡하여 상기 누설 방지벽이 쉽게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에는 접착제가 종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직포의 파형의 바닥부 이외의 내면이 상기 접착제에 쉽게 접촉되지 않게 되어 파형이 찌그러지기 어렵고, 또한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부직포가 접착제로 굳어지는 일이 없으며, 뻣뻣한 접촉 감촉을 부여하는 일이 없고, 소프트감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 형태는 띠형 또는 선형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띠형 또는 선형의 접착제가 탄성 부재의 축 방향으로 연속하고, 또한 탄성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선을 설정했을 때, 이 선형으로 상기 접착제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진폭측이 되는 파형 궤적을 따라 도포되어 있다. 혹은,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탄성 부재의 주위를 주회하면서 상기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 궤적이 되도록 도포된다.
또한, 상기 접착제의 파형 궤적의 주기 또는 상기 나선 궤적의 주기가 상기 부직포의 파형의 주기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에서는,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파형의 피치를 미세하게 함으로써 누설 방지벽을 연질로 할 수 있고, 또한 피부에서의 감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접착제의 도포 주기를 길게 해 두면, 상기 부직포의 파형의 바닥부 이외의 부분이 접착제에 맞닿을 확률을 낮게 할 수 있고, 파형의 찌그러짐 방지 효과를 높힐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각각의 바닥부를 높은 확률로 접착제에 의해 탄성 부재에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누설 방지벽의 선단에서 되접어 꺾여, 상기 누설 방지벽이 되접어 꺾인 2장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2장의 부직포 사이에 위치하며, 그 양측의 부직포의 파형의 바닥부가 각각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에 접착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은 누설 방지벽이 1장의 파형 부직포로 형성되고, 이 부직포의 파형의 바닥부에 탄성 부재가 접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생리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부분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도 2의 III-III선 단면을 실시 형태별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탄성 부재와 부직포의 접착 위치를 설명한 단면도, 도 6은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흡수성 물품(1)은 생리대로서, X 방향이 폭 방향, Y 방향이 종방향이다. 이 흡수성 물품(1)에는 상기 중앙부(2)를 사이에 끼우는 영역이 전방부(3) 및 후방부(4)가 있다. 흡수성 물품(1)의 양측부에는 종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 누설 방지벽(5, 5)이 설치되어 있다. 이 누설 방지벽(5, 5)에는 종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이 탄성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1)이 종방향(Y 방향)을 향하여 만곡되며, 또한 주로 상기 중앙부(2)에 있어서 양측의 누설 방지벽(5, 5)이 표면(2a)으로부터 입체 형상으로 상승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불투액성의 이면 시이트(11) 위에 흡수성 코어(12)가 중첩되어 있고, 그 위에 투액성의 표면 시이트(13)가 겹쳐지고 있다. 상기 흡수성 코어(12)는 흡수성 물품(1)의 중앙부(2)로부터 상기 전방부(3)와 후방부(4)의 일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면 시이트(11)와 표면 시이트(13)는 상기 흡수성 코어(12)보다도 외측의 외주 영역에서, 서로 핫 멜트 접착제로 접착되거나 또는 열 엠보스에 의해 융착 접합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코어(12)는 분쇄 펄프와 SAP가 혼합된 것으로, 또한 액투과성의 종이로 둘러싸인 것, 또는 바인더 처리로 시이트화된 에어 레이드 펄프, 또는 흡수지, 혹은 친수성 섬유를 주체로 한 부직포 등이다. 상기 이면 시이트(11)는 비투액성이며, 투습성의 수지 필름, 또는 부직포, 혹은 수지 필름과 부직포가 접합된 것이다. 상기 표면 시이트(13)는 투액성이며, 친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 또는 개구 부직포, 개구 플라스틱 필름, 혹은 개구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와의 적층 시이트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설 방지벽(5)은 에어스루(エア-スル-)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에어 레이드 부직포 등의 부직포(6)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설 방지벽(5)은 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시이트와 부직포를 적층시킨 시이트 등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모두 소수성 또는 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6)를 구성하는 섬유는 발수 처리가 실시된 폴리에틸렌(PE)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 또는 PE/PP 또는 PE/PET 등의 복합 섬유, 즉 심초(core-sheath)형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누설 방지벽(5)은 섬도가 1.1∼4.4 dtex의 PE/PP 심초형 섬유로 형성된 스펀 본드 부직포(6)로 형성되고, 평량은 15∼4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누설 방지벽(5)을 형성하는 상기 부직포(6)에는 파형의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 있고, 누설 방지벽(5)에서는, 상기 요철 주름(7)의 파형의 정상부와 바닥부가 종방향(Y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상기 누설 방지벽(5)을 형성하는 부직포(6)에 파형의 요철 주름(7) 및 평탄 영역(8)을 형성하기 위한 열 프레스 공정의 설명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열 프레스 공정에서 상기 부직포(6)가 성형롤(21)과 성형롤(22)의 사이에 삽입되어 열 프레스된다. 성형롤(21)과 성형롤(22)은 서로 맞물린 상태로 α 방향과 β 방향으로 회전한다. 성형롤(21)의 성형면은 롤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 엠보스형의 성형 리브(23)와 홈(24)이 회전 방향(α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반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형롤(21)에는 상기 성형 리브(23)의 상면과 연속하고 또한 회전 방향(α 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 둘레면(25)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 성형롤(22)의 성형면에서는, 롤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라이프 엠보스형의 성형 리브(26)와 홈(27)이 회전 방향(β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반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형롤(22)에는 홈(27)의 바닥부에서 연속하는 오목 둘레면(28)이 회전 방향(β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롤 사이에 부직포(6)가 공급되면서, 성형롤(21)과 성형롤(22)이 맞물려 회전하면, 성형롤(21)의 성형 리브(23)가 성형롤(22)의 홈(27)내에, 성형롤(22)의 성형 리브(26)가 성형롤(21)의 홈(24)에 들어가도록 성형 리브(23)와 성형 리브(26)가 맞물린다. 이 때 성형롤(21)의 볼록 둘레면(25)이 성형롤(22)의 오목 둘레면(28)내에 서로 맞물린다.
이러한 연속 성형에 의해 부직포(6)에 파형의 요철 주름(7)과 평탄 영역(8)이 동시에 형성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후의 부직포(6)는 파형의 요철 주름(7)의 정상부(7a)와 바닥부(7b)에서 섬유가 강하게 압축되고, 중간부(7c)에서 섬유가 가볍게 압축된다. 또한 정상부(7a)와 바닥부(7b)의 밀도가 중간부(7c)의 밀도보다 높아진다. 상기 정상부(7a) 및 정상부(7b)에서의 밀도는 0.1 g/cm3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상한은 1.0 g/㎤ 이하이다.
파형으로 형성된 부직포(6)의 요철 주름(7)은 상기 정상부(7a)의 중점과 인접하는 정상부(7a)의 중점 사이의 거리(W: 파형의 주기)가 0.5∼3.0 ㎜, 정상부(7a)에서의 시이트 표면과 바닥부(7b)에서의 시이트 이면 사이의 높이 치수(H)는 0.1∼0.5 ㎜가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의 요철 주름(7)을 갖는 부직포(6)는 누설 방지벽(5)의 자유단(5a)에서 2번 접어서 사용된다. 그리고 2번 접힌 부직포(6) 사이에 탄성 부재(14, 15, 16, 17)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부직포(6)의 한쪽 측단부(6a)는 흡수성 물품(1)의 양측부에서 상기 이면 시이트(11)의 상면에 접착되고, 다른 쪽 측단부(6b)는 상기 측단부(6a)와 상기 표면 시이트(13) 사이에서 접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14, 15, 16, 17)는 폴리우레탄 탄성사, SEBS를 주체로 한 성형 필름, 실 형상의 발포체나 천연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파형으로 형성된 부직포(6)를 파형의 배열 방향(종방향)으로, 각 탄성 부재(14, 15, 16, 17)를 1.3배 연장시킨 상태로 2번 접은 각각의 상기 부직포(6)로 탄성 부재(14, 15, 16, 17)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부직포(6)와 탄성 부재(14, 15, 16, 17)를 접착시킨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누설 방지벽(5)의 상승 부분의 도중에 탄성 부재(14)가 위치하고, 그 위의 절곡부에 탄성 부재(15)가 위치하며, 자유단(5a)에 탄성 부재(17)가 위치하고, 탄성 부재(15)와 탄성 부재(17) 사이에 탄성 부재(16)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 16, 17)가 부착되어 있는 평탄부가 주로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는 장착 부분(5b)이다. 또한, 탄성 부재(15)와 탄성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부직포(6)의 평탄 영역(8)이 상기 탄성 부재(15)와 탄성 부재(16)에 핫 멜트형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있고, 탄성 부재(1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부직포(6)가 절곡되기 쉬우며, 탄성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는 자유단(5a)에서는 부직포(6)가 2번 접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4) 및 탄성 부재(16)는 부직포(6)의 파형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이 부직포(6)와 접착되어 있다.
도 3과 도 4는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구체예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6)가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선재이며, 그 표면에 핫 멜트형 접착제(31)가 띠형 또는 선형의 형태가 되도록 도포되어 있다. 상기 핫 멜트형 접착제(31)의 폭 치수는 탄성 부재(16)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 부재(16)의 표면적에 대한 접착제(31)의 도포 면적은 5∼30%가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것에서는, 탄성 부재(16)의 축 방향(흡수성 물품(1)의 종방향: Y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폭측을 향한 파형 궤적이 되도록, 상기 접착제(31)가 도포되어 있다. 예컨대, 핫 멜트형 접착제 코팅기의 미소 노즐을 상 기 Y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상기 탄성 부재(16)를 Y 방향을 축으로 하여 θ1-θ2 방향으로 왕복 회동시키면서 상기 Y 방향으로 보냄으로써 도포된다.
또는, 상기 미소 노즐을 원 운동시키면서 상기 탄성 부재(16)를, Y 방향을 축으로 하여 θ1-θ2 방향으로 왕복 회동시키면서 상기 Y 방향으로 보내어 도포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4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6)의 단면이 원형상 또는 타원형상이며, 그 표면에 핫 멜트형 접착제(32)가 폭 치수 0.05∼0.3 ㎜의 띠형 또는 선형의 형태가 되도록 도포되어 있다. 도 4에서는, 탄성 부재(6)의 표면에서, 핫 멜트형 접착제(32)가 나선 궤적을 따라 도포되어 있다. 예컨대, 핫 멜트형 접착제 코팅기의 미소 노즐을 고정하고, 상기 탄성 부재(16)를 Y 축 둘레로 일정 방향으로 주회시키면서 상기 Y 방향으로 보냄으로써 상기 나선 궤적을 따른 도포가 가능하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파형 궤적의 주기를 P1, 도 4에 도시된 나선 궤적의 주기를 P2로 했을 때에, P1>W에서는, P2>W이며, 바람직하게는 P1>2×W이고, P2>2×W이다. 또한 상기 P1/W, P2/W는 2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상 5 이하이다. 예컨대, 상기 W가 1.36 ㎜인 경우에, 상기 P1과 P2는 5∼6 ㎜가 바람직하고, 이 경우의 P1/W, P2/W는 3.7∼4.4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핫 멜트형 접착제(31) 또는 접착제(32)의 도포 궤적이 탄성 부재(16)의 종방향으로 연속하고, 또한 그 도포 위 치가 탄성 부재(16)의 둘레면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변화되는 것이면, 탄성 부재(16)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직포(6, 6)의 요철 주름(7, 7)의 바닥부(7b, 7b)가, 높은 확률로 상기 접착제(31, 32)에 의해 탄성 부재(16)의 둘레면에 접착된다.
도 5는 도 4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16)와, 이것을 사이에 끼우는 부직포(6, 6)의 요철 주름(7)의 바닥부(7b, 7b)가 접착되는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6)와 탄성 부재(16)를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바닥부(7b)와 바닥부(7b)는 상기 탄성 부재(16)를 어느 정도 감싸게 된다. 이 때의 부직포(6)와 접착제(32)와의 접착제의 접촉 위치를 도 4와 도 5의 관련으로 (i) (ii) (iii) (iv)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서의 접착 위치 (i) (ii)…는 도 5에 도시된 접착 위치 (i) (ii)…에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6)의 요철 주름(7)의 바닥부(7b)는 어느 정도 높은 확률로 상기 접착제(31) 또는 접착제(32)에 의해 탄성 부재(16)에 접착된다. 또한, 도 3과 도 4의 상하로부터 부직포(6, 6)를 가압하여도 요철 주름(7)의 정상부(7a) 및 중간부(7c)의 내면이 상기 접착제(31, 32)와 접착될 확률이 낮고, 따라서 부직포(6)를 가압하여도 요철 주름(7)이 평탄하게 눌려 찌그러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누설 방지벽(5)의 장착 부분(5b)이 장착자의 피부에 맞닿을 때, 탄성 부재(1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부직포(6)가 접착제로 굳어지는 일이 없고, 탄성 부재(1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도 요철 주름(7)이 남아 피부에 부드럽게 맞닿게 된다.
또한, 탄성 부재(14)도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접착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부직포(6)와 접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에서는, 탄성 부재(15)와 탄성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 부직포(6)의 요철 주름(7)이 없는 평탄 영역(8)이 상기 탄성 부재(15)와 탄성 부재(17)에 접착되어 있지만, 이 탄성 부재(15)와 탄성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서도 부직포(6)에 요철 주름(7)을 형성해 두고,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접착 구조로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탄성 부재(15)와 탄성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라도 요철 주름(7)이 찌그러지는 일이 없고, 피부에서의 감촉이 부드럽게 된다.
또한 누설 방지벽(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가로 방향 M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く자 형상이나 L자 형상, 혹은 흡수성 물품(1)의 표면으로부터 경사 상향으로 단순히 상승하는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탄성 부재의 표면에서의 상기 접착제의 도포 궤적은 띠형 또는 선형으로서, 이 띠형 또는 선형이 탄성 부재의 축 방향으로 연속하고, 또한 탄성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선을 설정하였을 때, 이 선형으로 상기 접착제가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 같은 궤적이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요철 주름을 갖는 누설 방지벽에 탄성 부재를 접착시킬 때, 탄성 부재가 접착되어 있는 부분에서 상기 요철 주름이 찌그러져 고정되는 일이 없고, 피부에서의 접촉감이 양호해진다.

Claims (6)

  1. 액체 수용측의 표면에 설치된 액투과성 표면 시이트, 이면 시이트, 상기 양 시이트 사이에 삽입된 흡수층, 상기 표면의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설 방지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벽은 파형의 정상부와 바닥부가 종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파형의 부직포로 형성되고, 이 부직포에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종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종방향으로 접착제가 간격을 두고 도포되어 있고, 상기 파형의 바닥부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도포 형태는 띠형 또는 선형으로서, 이 띠형 또는 선형의 접착제가 탄성 부재의 축 방향으로 연속하고, 또한 탄성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 임의의 선을 설정했을 때, 이 선형에서 상기 접착제가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진폭측이 되는 파형 궤적을 따라 도포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탄성 부재의 주위를 주회하면서 상기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나선 궤적이 되도록 도포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파형 궤적의 주기 또는 상기 나선 궤적의 주기가 상기 부직포의 파형상 주기보다 긴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상기 누설 방지벽의 선단에서 되접어 꺾이고, 상기 누설 방지벽이 되접어 꺾인 2장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2장의 부직포 사이에 위치하며, 그 양측의 부직포의 파형의 바닥부가 각각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탄성 부재에 접착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010034259A 2000-06-19 2001-06-18 흡수성 물품 KR100775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82872A JP2002000653A (ja) 2000-06-19 2000-06-19 吸収性物品
JP2000-182872 2000-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530A KR20010113530A (ko) 2001-12-28
KR100775402B1 true KR100775402B1 (ko) 2007-11-12

Family

ID=1868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259A KR100775402B1 (ko) 2000-06-19 2001-06-1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624340B2 (ko)
EP (1) EP1166728B1 (ko)
JP (1) JP2002000653A (ko)
KR (1) KR100775402B1 (ko)
CN (1) CN1212817C (ko)
AT (1) ATE359050T1 (ko)
DE (1) DE60127764T2 (ko)
ES (1) ES2280316T3 (ko)
ID (1) ID30531A (ko)
MY (1) MY127216A (ko)
SG (1) SG99366A1 (ko)
TW (1) TW50501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9069B2 (ja) * 1999-11-10 2009-02-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748813B2 (ja) * 2001-01-29 2006-02-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421222B2 (ja) * 2003-06-09 2010-0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1639975B1 (en) * 2003-06-20 2012-03-14 Livedo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KR101105987B1 (ko) 2003-09-08 2012-01-18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신축 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4352027B2 (ja) * 2005-06-13 2009-10-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602005025905D1 (de) * 2005-12-28 2011-02-24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 Artikel mit elastischen komfortablen Laminaten
DE602005025903D1 (de) * 2005-12-28 2011-02-24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 Artikel mit elastischen komfortabelen Laminaten
JP4749283B2 (ja) * 2006-09-04 2011-08-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822923B2 (ja) * 2006-04-28 2011-11-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367961B2 (ja) * 2006-07-07 2013-12-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シート部材およびプリーツシートの製造方法
CA2708826A1 (en) * 2007-12-13 2009-06-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omposite sheet comprising elastic material
JP2011505946A (ja) * 2007-12-13 2011-03-0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弾性材料を備えた複合シートを含む吸収性物品
CA2760584A1 (en) * 2009-05-01 2010-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ctivated region
WO2010132654A1 (en) * 2009-05-15 2010-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5526927B2 (ja) * 2010-03-30 2014-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602523B2 (ja) * 2010-07-05 2014-10-08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おむつ
CN101884578A (zh) * 2010-07-13 2010-11-17 佛山市南海区桂城景兴商务拓展有限公司 减翼吸收制品
JP5709720B2 (ja) 2011-10-12 2015-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伸縮性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36881B2 (ja) * 2012-05-09 2015-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伸縮性材料
US9463606B2 (en) 2012-05-09 2016-10-11 Unicharm Corporation Composite stretchable member
JP5836880B2 (ja) * 2012-05-09 2015-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複合伸縮性材料
CN102871804A (zh) * 2012-10-17 2013-01-16 厦门兰海贸易有限公司 用于卫生用品的防勒伤立体护围
JP5938368B2 (ja) * 2013-05-28 2016-06-22 大王製紙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6265101B2 (ja) * 2014-10-21 2018-01-2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8070547A1 (ja) * 2016-10-14 2018-04-19 株式会社サンツール 伸縮性部材への接着剤塗布装置および伸縮性複合シート
JP6970742B2 (ja) * 2017-04-10 2021-11-24 花王株式会社 複合伸縮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
WO2018189780A1 (ja) * 2017-04-10 2018-10-18 花王株式会社 複合伸縮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使い捨ておむつ
US12023230B2 (en) * 2017-12-27 2024-07-02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11844676B2 (en) * 2018-08-08 2023-12-19 Hakim Rabah Dembri Personal hygiene product
JP7267842B2 (ja) * 2019-05-31 2023-05-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3516476A (ja) * 2020-03-13 2023-04-1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ビーム式エラストマー積層体の性能及びゾー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934A (ja) * 1993-09-29 1997-04-22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弾性プリーツを持つ吸収体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1563A (en) * 1987-03-16 1993-01-26 Mcneil-Ppc, Inc. Anatomically shaped absorbent pad
US5312386A (en) * 1989-02-15 1994-05-17 Johnson & Johnson Disposable sanitary pad
JP3084121B2 (ja) * 1992-04-06 2000-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US5554145A (en) * 1994-02-28 1996-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zone structural elastic-like film web extensible waist feature
US5681302A (en) * 1994-06-14 1997-10-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astic sheet-like composite
GB2296445B (en) * 1994-12-27 1998-12-30 Kao Corp Sanitary napkin
US6126648A (en) * 1995-06-07 2000-10-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bumpers
US5810800A (en) * 1996-06-27 1998-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ure resistant elasticized cuffs
US6315765B1 (en) * 1997-01-17 2001-1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ized absorbent pad
US6123694A (en) * 1997-05-09 2000-09-26 Paragon Trade Brands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unitary leg gathers
US5993433A (en) * 1997-10-20 1999-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enhanced elastic design for improved aesthetics and containment
US6120783A (en) * 1997-10-31 2000-09-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materials with two or more skin care compositions disposed there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6186992B1 (en) * 1997-11-14 2001-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iscous fluid bodily waste management article
US6193701B1 (en) * 1997-12-31 2001-02-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zones with different resistance-to stretch
US6235137B1 (en) * 1998-08-06 2001-05-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elastic article
JP2000271170A (ja) * 1999-03-25 2000-10-03 Uni Charm Corp 表面構造体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3933839B2 (ja) * 2000-03-07 2007-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87684B2 (ja) * 2000-11-21 2007-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934A (ja) * 1993-09-29 1997-04-22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弾性プリーツを持つ吸収体物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9-503934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56268A1 (en) 2001-12-27
TW505017U (en) 2002-10-01
ATE359050T1 (de) 2007-05-15
ID30531A (id) 2001-12-20
US6624340B2 (en) 2003-09-23
EP1166728B1 (en) 2007-04-11
EP1166728A2 (en) 2002-01-02
MY127216A (en) 2006-11-30
SG99366A1 (en) 2003-10-27
CN1212817C (zh) 2005-08-03
EP1166728A3 (en) 2005-08-17
JP2002000653A (ja) 2002-01-08
DE60127764D1 (de) 2007-05-24
KR20010113530A (ko) 2001-12-28
DE60127764T2 (de) 2007-12-27
ES2280316T3 (es) 2007-09-16
CN1329880A (zh)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5402B1 (ko) 흡수성 물품
JP3576052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に使用する可撓性複合シート
JP4323786B2 (ja)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3727207B2 (ja) 吸収性物品
JP5979983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52238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시트,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6569140B1 (en) Absorbent article
JP5394654B2 (ja) 賦形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3732339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06481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KR100678429B1 (ko) 흡수성 물품
JPH1099372A (ja) 吸収性物品
JP3288920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製造方法
KR20090080503A (ko)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04008596A (ja) 吸収性物品
JP2001245928A (ja) 吸収性物品
JP5972584B2 (ja) 吸収性物品
JP4812614B2 (ja) 吸収性物品
JP4916296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0699284B1 (ko) 적층 패널
EP1133963B1 (en) Absorbent article
JP4197828B2 (ja) 吸収性物品
KR100596643B1 (ko) 체액처리용흡수성물품
KR100501421B1 (ko) 일회용 체액흡수성 물품의 표면층
JP2001314446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