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5166B1 -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5166B1
KR100775166B1 KR1020010009584A KR20010009584A KR100775166B1 KR 100775166 B1 KR100775166 B1 KR 100775166B1 KR 1020010009584 A KR1020010009584 A KR 1020010009584A KR 20010009584 A KR20010009584 A KR 20010009584A KR 100775166 B1 KR100775166 B1 KR 10077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food
separating
blades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536A (ko
Inventor
모리시타시로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09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5166B1/ko
Publication of KR2002006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5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 처분 대상인, 주로 식품과 포장재로 된 팩 식품을 자동적으로 식품과 포장재로 분리하는 동시에 포장재를 잘게 분쇄하고, 분쇄된 포장재 조각에 식품의 일부나 물이 부착하여 배출되는 경우가 없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 분리ㆍ분쇄장치(1) 안에는 분리ㆍ분쇄기구(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분리ㆍ분쇄기구(3)는 구동장치(6)와, 이 구동장치(6)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설치된 식품ㆍ포장재 분쇄용의 분쇄날개 및 분쇄된 포장재를 포장재 배출구(4)로 보내는 회전날개로 구성된다.
생 쓰레기, 식품, 포장재, 분리, 분쇄,

Description

자동 분리ㆍ분쇄장치{Automatic Separating and Shatter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의 케이스용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내의 분쇄날개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내의 분쇄날개 및 회전날개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케이스에서 분쇄물 받침체를 꺼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5는 구동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분쇄날개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분쇄날개의 측면도이고,
도 8은 회전축에 대한 분쇄날개와 회전날개의 설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9는 회전축에 대한 분쇄날개와 회전날개의 설치관계를 정면에서 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중 주요부호의 설명 >
1 ...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2 ... 투입구,
3 ... 분리ㆍ분쇄기구, 4 ... 포장재 배출구,
5 ... 생(生) 쓰레기 배출구, 6 ... 구동장치,
7 ... 회전축, 8a ... 분쇄날개,
8b ... 분쇄날개, 9 ... 회전날개,
10 ... 케이스, 12 ...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
14 ... 케이스용 덮개체, 15 ... 분쇄물 받침체,
25 ... 판(板)날개, 26a ... 저항(抵抗)판,
26b ... 저항 판, 37 ...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
38a ... 안내부재, 38b ... 안내부재.
본 발명은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각종 팩 식품을 상미(賞味)기간이 지난 후에 처분하는 경우에, 포장재와 식품으로 자동적으로 분리하여 분쇄처리하는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백화점 등의 식품매장에서는, 어류나 육류, 채소류 등 다종 다양한 식품을 진열대나 냉장 케이스에 진열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들 식품은 진열할 때의 모양이나 취급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양(또는 수)을 트레이(tray) 등에 넣어 플라스틱 수지 시트 등으로 포장하거나, 직접 투명한 포장지 등으로 포장하여 판매하고 있다. 또한, 이들 식품의 트레이나 포장재 등에는 각각의 유효기간(또는 유효기한)을 기재한 실(seal)이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식품이 항상 유효기간 내에 모두 팔리지는 않기 때문에, 많은 슈퍼마켓 등에서는 매일같이 유효기간이 경과된 팔다 남은 물건이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 때문에, 폐점 후에 이들 팔다 남은 물건을 모아서 회수업자에게 인계하고 있다. 회수업자는 이들 회수한 팔다 남은 물건을 그대로 소각하고 있다. 따라서, 식품과 함께 트레이 등의 화학제품도 소각되기 때문에 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우려가 커져 왔다.
그래서, 환경에의 악영향을 고려하고 이들 팩 식품을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해, 슈퍼마켓 등의 각 점포의 부지 내에 폐기 식품을 미생물에 의해 호기성(好氣性) 분해처리할 수 있도록 한 생(生) 쓰레기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이 장치를 사용하여 점포 측에서 폐기 식품을 처리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생 쓰레기 처리장치에 식품을 투입하기 전에, 매번 사람의 손으로 식품과 포장재로 분리해야만 하기 때문에, 폐기하는 다량의 팩 식품을 식품과 포장재로 분리하는 것은 대단히 큰 일이었다. 또한, 시간이나 노력도 수반되어, 팩 식품을 처분하는데 드는 점포 측의 코스트 부담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발명인은 일찌기 일본국 특원평10-1497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자동 분리ㆍ분쇄장치를 개발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자동 분리ㆍ분쇄장치는, 투입구로부터 이 장치 내로 투입된 유효기한이 지난 팩 식품 등을 회전축의 주위에 등 간격으로 설치한 4매(枚)의 교반날개에 의해 부수기도 하고, 장치 내의 안쪽 벽면과의 사이에 끼워서 짓이기기도 하여 생 쓰레기(식품)와 포장재를 분리하는 동시에, 생 쓰레기(식품)를 이 장치의 바닥부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아래쪽에 설치한 생 쓰레기 회수 받침체로 회수하며,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한 풍력으로 비중이 작은 분리된 포장재를 투입구의 반대쪽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 생 쓰레기 회수 받침체에 의해 회수된 생 쓰레기는,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된 생 쓰레기 처리장치에 재빨리 투입되어, 생 쓰레기 처리장치 내에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호기성 분해되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에서는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팩 식품이 회전축의 주위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4매의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서 포장재와 생 쓰레기(식품)로 분리ㆍ분쇄되며, 투입으로부터 2∼3초 정도만에 배출구로 배출되고 또한 분쇄된 포장재의 크기도 컸기 때문에, 배출된 포장재에 수분이나 식품의 일부가 부착되어 배출되곤 하였다.
이 때문에, 포장재와 함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생 쓰레기는, 계절에 따라, 특히 여름에는 빨리 부패하여 악취를 풍기는 원인이 되고, 주위의 위생환경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폐기처분 대상이며 주로 식품과 포장재로 된 팩 식품을 자동적으로 식품과 포장재로 분리하는 동시에 포장재를 잘게 분쇄하고, 또한 분쇄된 포장재의 조각에 식품의 일부나 수분이 부착되어 배출되는 경우가 없도록 한 자동 분리ㆍ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는, 식품을 포장재로 피복한 팩 식품 등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팩 식품을 식품과 포장재로 분리하고 또한 분쇄하는 분리ㆍ분쇄기구와, 분쇄된 포장재를 배출하는 포장재 배출구와, 분쇄된 식품을 배출하는 생 쓰레기 배출구를 구비하여서 된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ㆍ분쇄기구는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설치된 식품ㆍ포장재 분쇄용의 분쇄날개 및 분쇄된 포장재를 포장재 배출구로 보내는 회전날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에 있어서, 회전날개는 회전축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설치된 2매의 판(板) 날개와, 이 판 날개 위에 설치된 저항(抵抗)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에 있어서, 판 날개의 양면에 원호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의 복수 매의 저항판을 소정의 간격으로 세워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는, 투입구를 한쪽 끝에 설치한 케이스 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 내에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설치하고, 또한 이 회전축에 상기 투입구 쪽으로부터 차례대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분쇄날개 및 회전축의 원주방향에서 등 간격으로 2매의 판 날개를 설치하는 동시에, 각 판 날개의 양면에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저항판을 설치하며, 또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의 개방 상부에 상기 투입구의 반대쪽에 포장재 배출구를 구비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 내면에 분쇄된 포장재를 포장재 배출구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부재를 설치하며, 또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의 아래쪽에 분쇄물 받침체를 케이스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설치하고, 더욱이 케이스의 개방 상부에 상기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의 포장재 배출구를 밖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한 케이스용 덮개체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예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에 대한 도 면으로서, 이 자동 분리ㆍ분쇄장치(1)는 유효기간이 경과하여 폐기되는 팩 식품을 자동적으로 포장재와 식품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분리된 식품 및 포장재를 분쇄하고, 분쇄된 포장재에 분쇄 식품의 일부나 물이 부착되어 배출되는 것을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먼저, 이 자동 분리ㆍ분쇄장치(1)에 의해 주로 처리되는 팩 식품이라는 것은, 예컨대 포장재인 발포 스티로폴제의 받침접시에 육류나 어류나 가공식품 등의 식품을 얹고, 별도의 포장재인 투명한 랩으로 포장한 것이다. 물론, 팩 식품은 그 밖의 포장재로 포장된 식품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1)는 팩 식품 이외에 폐기한 야채나 과일, 그 밖의 여러 가지 식품을 분쇄 처리하는데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1)(도 1∼도 5 참조)는, 식품을 포장재로 피복한 팩 식품 등을 투입하는 투입구(2)와, 투입구(2)로부터 투입된 팩 식품을 식품과 포장재로 분리하고 분쇄하는 분리ㆍ분쇄기구(3)와, 분쇄된 포장재를 배출하는 포장재 배출구(4)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분리ㆍ분쇄기구(3)는 구동장치(6, 도 5 참조)와, 이 구동장치(6)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7)과, 이 회전축(7)(도 2, 3 참조)에 설치된 식품ㆍ포장재 분쇄용의 분쇄날개(8) 및 분쇄된 포장재를 포장재 배출구(4)로 이송하는 회전날개(9)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된 자동 분리ㆍ분쇄장치(1)(도 1, 도 2 참조)에서, 10은 뒤에 설명하는 드럼 등을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케이스로서, 상부를 개방한 사각의 상자 모양의 것이다. 케이스(10) 상부의 한쪽에는 팩 식품을 투입 하는 투입구(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투입구(2)에는, 뒤에 설명하는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 안으로(도 2 참조) 통하도록 밖으로부터 경사시킨 팩 식품 투입용의 보조 미끄럼대(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개구(13)는 케이스(1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케이스용 덮개체(14)로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0) 내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미도시)이 형성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가 직사각 형상의 개방 쪽을 위로 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는 진원 형상의 드럼을 반으로 나눈 형상이다. 또한, 상기 다수의 작은 구멍(미도시)은 분쇄된 생 쓰레기(식품)를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의 아래쪽에 설치된 분쇄물 받침체(15)(도 4 참조) 안으로 떨어뜨리는 생 쓰레기 배출구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케이스(10)의 양 측부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며, 이 양 베어링에 의해 회전축(7)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7)은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의 상부 중앙을 양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축(7)(도 2, 도 3 참조)에는 분쇄날개(8), 회전날개(9)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ㆍ분쇄기구(3)는 회전축(7), 분쇄날개(8), 회전날개(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의 전체 길이(양 측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1/3 정도 범위의 투입구(2) 쪽 위치에, 2매를 1세트로 한 분쇄날개(8)가 회전축(7)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2세트 설치되어 있다. 각 세트의 2매의 분쇄날개(8)(도 8 참조)는 회전축(7)의 축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 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서로의 분쇄날개(8)는 회전축(7)의 길이방향으로 조금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각 분쇄날개(8)(도 6∼도 8 참조)는 전체가 부채 형상으로서, 날부(17)와, 이 날부(17)를 복수의 볼트ㆍ너트(18)로 고정하는 지지판부(19)와, 이 지지판부(19)를 회전축(7)에 고정하기 위한 앵글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날부(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 주변부(16)가 톱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톱날 형상의 각 각부(角部)(21)가 예리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각 각부(21)는 분쇄날개(8)를 회전축(7)에 설치한 때에 회전날개(9) 방향을 향하도록 약간 꺽어서 구부렸다. 또한, 지지판부(19)의 베이스부(22)는 L 형상으로 노치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 앵글부재(20)를 계합(係合)시켜 용접한다.
각 분쇄날개(8)를 회전축(7)에 설치할 경우에는, 회전축(7)에 고착된 각 통체(筒體)(23)(도 2, 도 3 참조)에 앵글부재(20)를 계합시키고 볼트(24)로 각 통체(23)에 앵글부재(20)를 고정한다.
또한, 분쇄날개(8)의 형상, 크기는 투입되는 팩 식품을 포장재와 생 쓰레기(식품)로 분리하고 분쇄할 수만 있으면, 어떠한 형상, 크기로도 자유롭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이 요건을 충족시키면, 회전축에 설치된 분쇄날개의 매수(枚數)를 1매, 2매, 3매, 5매 이상으로 자유롭게 할 수도 있고, 회전축에 대한 분쇄날개의 배치에 있어서, 도시된 예의 배치 이외의 배치로도 자유롭게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회전축(7)에는 분쇄날개(8)를 설치한 범위 이외의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의 전체 길이(양 측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2/3 정도의 범위에 회전 날개(9)가 설치되어 있다. 즉, 회전날개(9)는 2매의 직사각 형상의 판 날개(25)와 4매의 저항판(26)(도 8, 도 9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한쪽의 판 날개(25)는 회전축(7)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며, 회전날개(9)에 설치된 각 통체(23)에 고착되고, 동일하게 다른 쪽의 판 날개(25)는 상기 판 날개(25)의 반대쪽(회전축(7)의 외주에 대하여 180°의 간격을 가지고)에 고착되어 있다. 양 판 날개(25)와 상기 각 세트의 분쇄날개(8)의 배치관계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다. 물론,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1)의 소기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다면, 이 배치는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각 판 날개(25)(도 9 참조)의 길이방향의 선단부(28)를 따라서 고무판(29)이 볼트ㆍ너트(27)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고무판(29)의 끝은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의 내주(內周) 면과 약간 간격을 두고 있다.
이 각 판 날개(25)(도 9 참조)의 양면에는 상기 분쇄날개(8)를 설치한 위치 한쪽에 2세트 4매의 원호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의 저항판(26a, 26b)이 볼트ㆍ너트(30)(도 3 참조)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1세트 2매의 저항판(26a)은 2매의 판 날개(25) 양면의 동일한 위치(도 8 참조)에 고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나머지 1세트 2매의 저항판(26b)도 각 판 날개(25)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분쇄날개(8)에 가까운 각 저항판(26a, 도 9 참조)은 약간 포장재 배출구(4)(도 1 참조)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이 저항판(26a)과 10∼15㎝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나머지 1세트의 각 저항판(26b)은 상기 저항판(26a)보다 더욱 각도를 주어 포장재 배출구(4)(도 1 참조)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는, 분쇄 날개(8)에 의해 분쇄된 포장재를 저항판 26a와 26b 사이에서 종래에 비해 보다 오래 체류시키고, 저항판(26b)을 지난 부근부터는 조금 빨리 포장재 배출구(4) 쪽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각 저항판(26a, 26b)의 간격, 경사각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물론, 각 저항판(26a, 26b)의 간격, 경사각도는 적당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판 날개(25)의 분쇄날개(8) 쪽의 끝에는 지지판(31)(도 2 참조)이 분쇄날개(8) 방향으로 수평되게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판(31)에 고무판(33)이 볼트ㆍ너트(32)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7)은 보조 미끄럼대(11)의 아래쪽에 설치된 구동장치(6)(도 5 참조)에 의해 회전한다. 구동장치(6)는, 감속기가 부착된 모터(34)와, 구동축(미도시)에 끼워져 고정된 소 기어(미도시)와, 회전축(7)에 끼워져 고정된 대 기어(35)와, 소 기어와 대 기어(35)에 설치된 벨트(36)로 이루어진다. 구동 시에, 회전축(7)은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 안을 투입구 쪽으로부터 보아 오른쪽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7)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6)는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어떠한 구동장치로 설계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의 개방 상부(도 1 참조)에는 상기 투입구(2)의 반대쪽에 포장재 배출구(4)를 구비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도 1∼도 3 참조)는 내면에 초승달 형상의 안내부재(38a, 38b)를 설치하기 위해 단면 쪽에서 보아 반 타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안내부재(38a)는 상기한 분쇄날개(8)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3매 설치되며, 또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 내면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 안내부재(38b)는 상기 저항판(26b)보다 포장재 배출구(4) 쪽에 가까운 위치에,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의 내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매 설치되어 있다. 이 각 안내부재(38b)는 포장재 배출구(4) 쪽으로 조금 기울어지게 되어 있다.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 외측의 앞 부분에는,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를 개폐하기 쉽도록 손잡이부(39)(도 1, 도 10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투입구(2)와 반대쪽의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 앞 부분에 설치된 상기 포장재 배출구(4)에는,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 내에 연결되는 배출 안내통(40)이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로부터 앞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 외측에는, 케이스용 덮개체(14)가 상기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를 덮도록 하여 개폐 가능하게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용 덮개체(14)에는, 이 케이스용 덮개체(14)를 닫을 때에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에 설치된 포장재 배출구(4)인 배출 안내통(40)이 케이스(10) 앞쪽으로 돌출할 수 있도록 배출 안내통(40)의 횡 단면적 보다 조금 넓은 개구(41, 도 10 참조)가 상부 앞면 쪽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의 아래쪽에는 서랍 형상의 분쇄물 받이체(15)(도 4 참조)가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있다. 이 분쇄물 받이체(15)는, 필요에 따라 문(42)을 열어 케이스(10) 전방으로 꺼낼 수 있다.
케이스(10) 하부의 네 모서리에는 캐스터(43)를 설치하여, 자동 분리ㆍ분쇄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케이스(10)가 캐스터(43)를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분리ㆍ분쇄장치(1)에 의해서, 폐기처분되는 팩 식품을 포장재와 식품으로 분리ㆍ분쇄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를 닫는 동시에 케이스용 덮개체(14)를 닫는다. 이어서, 감속기가 부착된 모터(34)를 구동시켜 회전축(7)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한 후에, 폐기 처분할 팩 식품을 차례대로 보조 미끄럼대(11)를 미끄러지게 하여 투입구(2)로부터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 안에 투입한다. 이 본체(12) 안에 투입된 팩 식품은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의 내면에 설치된 안내부재(38a)와 각 분쇄날개(8)에 의해서 날아 오르고 교반되면서 포장재 배출구(4) 방향으로 이송되는 동시에, 회전하는 분쇄날개(8)에 의해서 포장재가 부서져 생 쓰레기(식품)와 포장재로 분리된다. 동시에, 이 분리된 생 쓰레기(식품) 및 포장재는 각 분쇄날개(8)에 의해서 산산조각으로 분쇄된다.
분쇄된 생 쓰레기(식품)는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 하부의 다수의 작은 구멍(미도시)으로부터 아래쪽의 분쇄물 받침체(15)로 낙하되어 간다.
한편, 분쇄된 포장재는 분쇄날개(8)에 이어 회전축(7)에 설치된 회전날개(9)에 의해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에 의해 덮여진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 안을 교반되면서 포장재 배출구(4) 방향으로 이송되어 간다. 이 때, 회전날개(9)를 구성하는 2매의 판 날개(25) 양면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각 저항판(26a, 26b)에 의해서, 분쇄 포장재가 회전날개(9)가 배치된 곳을 통과하는 체공시간(滯空時間)이 길어지게 된다. 이 사이에, 판 날개(25)에 의해서 교반되는, 각각의 분쇄 포장재에 부착되어 있던 생 쓰레기 조각(식품 조각)이나 물이 원심력에 의해서 비산되어 분쇄 포장재와 생 쓰레기 조각(식품 조각)이나 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 포장재 배출구(4)에서 배출되는 분쇄 포장재에는 생 쓰레기 조각(식품 조각)이나 물의 부착이 없어진다. 따라서, 배출된 분쇄 포장재는 부패하는 경우 없이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전날개(9)에 의해서 비산된 분쇄 포장재에 부착되어 있던 생 쓰레기 조각(식품 조각)이나 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의 작은 구멍(미도시)으로부터 아래쪽의 분쇄물 받침체(15)로 낙하하여 회수된다.
분쇄물 받침체(15)가 생 쓰레기 조각(식품 조각)이나 물로 가득하게 되면, 문(42)을 열고 이 분쇄물 받침체(15)를 꺼내 그 안의 생 쓰레기 조각(식품 조각)이나 물을 호기성(好氣性) 미생물과 나무 부스러기를 넣은 호기성 생 쓰레기 처리장치(미도시)에 투입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생 쓰레기 조각(식품 조각)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는 처리할 팩 식품의 양에 따라서, 처리능력이 큰 장치로 설계하거나 작은 장치로 설계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유효기간이 경과한 팩 식품의 처분용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것을 분리ㆍ분쇄하여 처분하는 것에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는 분쇄물 받침체(15)를 설치한 구성을 변경하여,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분쇄물을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도록 설계 변경한 구성으로 하거나, 혹은 자루로 받아내도록 설계 변경한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
더욱이, 포장재 배출구(4)는 케이스(10)의 앞쪽에 한정되지 않고,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12)와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의 끝(투입구(2)와 반대쪽)이나 뒤, 또는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37) 상부에 설치하여 케이스(10)의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분리ㆍ분쇄장치는, 투입된 직후에 팩 식품 등을 회전하는 회전축에 설치된 분쇄날개에 의하여 식품과 포장재로 분리할 뿐만 아니라, 식품과 함께 포장재를 종래에 비해 보다 잘게 분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잘게 분쇄된 포장재는 분쇄날개에 이어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날개에 의해, 장치 안을 보다 격렬하게 교반되면서 체류하므로, 분쇄 포장재에 부착되어 있던 식품 조각이나 물이 분쇄 포장재로부터 쉽게 분리되며, 포장재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분쇄 포장재에 식품 조각이나 물의 부착이 없어진다. 따라서, 배출된 분쇄 포장재는 식품 조각 등의 부착도 없고 부패하는 경우도 없어 위생적으로 처분할 수 있다.
또한, 회전날개가 회전축에 대하여 원주방향에 등 간격으로 설치된 2매의 판 날개와, 이 판 날개 위에 설치된 저항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분쇄된 포장재의 체공시간을 길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장치 안을 청소하는 경우에도 2매의 판 날개가 회전축의 원주상에 일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회전축의 원주상에 90°마다 설치된 판 날개의 경우에 비해 판 날개로 인한 방해 없이 장치 안의 바닥까지 확실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생 쓰레기의 찌꺼기가 장치 안의 바닥에 부착되어 남는 경우가 없어져 위생적으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판 날개의 양면에 원호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의 복수 매의 저항판을 소정 간격으로 세워서 설치함으로써, 분쇄된 포장재의 장치 안에서의 체공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사이에 분쇄 포장재에 부착되어 있던 생 쓰레기 조각(식품 조각)이나 물을 분쇄 포장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생 쓰레기 조각 등이 없는 분쇄 포장재를 배출할 수 있어 분쇄 포장재의 처리를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에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에 분쇄날개, 2매의 판 날개를 설치하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팩 식품을 식품과 포장재로 분리하는 동시에 포장재를 산산조각으로 분쇄하고, 식품 조각이나 물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포장재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분쇄 포장재를 위생적으로 처분할 수 있다.

Claims (4)

  1. 식품을 포장재로 피복한 팩 식품 등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팩 식품을 식품과 포장재로 분리하고 분쇄하는 분리ㆍ분쇄기구와, 분쇄된 포장재를 배출하는 포장재 배출구와, 분쇄된 식품을 배출하는 생 쓰레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 분리ㆍ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ㆍ분쇄기구가,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설치된 식품ㆍ포장재 분쇄용의 분쇄날개 및 분쇄된 포장재를 포장재 배출구로 이송하는 회전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축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설치된 2매의 판 날개와, 이 판 날개 위에 설치된 저항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 날개의 양면에, 원호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의 복수 매의 저항판을 소정 간격으로 세워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4. 한쪽 끝에 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안에 설치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안에 설치되고 구동장치에 의해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투입구 쪽으로부터 차례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복수 매의 분쇄날개와,
    상기 회전축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2매의 판날개와,
    상기 판 날개의 양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저항판과,
    상기 본체의 개방 상부에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와 반대쪽에 포장재 배출구를 구비한 반으로 나뉜 드럼 형상의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분쇄된 포장재를 포장재 배출구로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부재와,
    상기 케이스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분쇄물 받침체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체의 포장재 배출구를 밖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케이스용 덮개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분리·분쇄장치.
KR1020010009584A 2001-02-26 2001-02-26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KR100775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584A KR100775166B1 (ko) 2001-02-26 2001-02-26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584A KR100775166B1 (ko) 2001-02-26 2001-02-26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536A KR20020069536A (ko) 2002-09-05
KR100775166B1 true KR100775166B1 (ko) 2007-11-12

Family

ID=3748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584A KR100775166B1 (ko) 2001-02-26 2001-02-26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51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007A (ko) * 1994-08-08 1996-03-22 호소카와 마스오 미세분쇄장치
JPH10149700A (ja) 1996-11-19 1998-06-02 Oki Lsi Technol Kansai:Kk Romの読み出し動作の試験方法及びその試験回路
KR19990000630A (ko) * 1997-06-09 1999-01-15 손욱 컴퓨터 키보드
KR19990069892A (ko) * 1998-02-13 1999-09-06 김용립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JP2001149807A (ja) * 1999-11-25 2001-06-05 Morishita Kikai Kk 自動分離・粉砕装置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007A (ko) * 1994-08-08 1996-03-22 호소카와 마스오 미세분쇄장치
JPH10149700A (ja) 1996-11-19 1998-06-02 Oki Lsi Technol Kansai:Kk Romの読み出し動作の試験方法及びその試験回路
KR19990000630A (ko) * 1997-06-09 1999-01-15 손욱 컴퓨터 키보드
KR19990069892A (ko) * 1998-02-13 1999-09-06 김용립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JP2001149807A (ja) * 1999-11-25 2001-06-05 Morishita Kikai Kk 自動分離・粉砕装置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536A (ko) 200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9351B2 (ja) 堆肥化可能廃棄物を処理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079929A (en) Refuse bag opener
KR101935590B1 (ko) 스티로폼 파쇄장치
JP3227494B2 (ja) 自動分離・粉砕装置
JP2000325815A (ja) パック詰め生ごみ処理装置
KR100775166B1 (ko) 자동 분리ㆍ분쇄장치
JP3246902B2 (ja) 回転式破砕選別機
JP3509714B2 (ja) 生ごみ破砕分別装置および生ごみ処理装置
JP2004255257A (ja) 瓶、缶、その他のゴミ類・収容袋分離装置
JP2001062319A (ja) 廃棄食品の包装材分離装置
JP2003080097A (ja) 包装食品の破砕分別装置
JPH0957142A (ja) 廃プラスチック容器等の破砕機
JP3176357B2 (ja) 破袋機
JP2002282831A (ja) 生ゴミ等混合物の異質混入物分離装置
JP2002186872A (ja) 破袋装置
JP2003154287A (ja) 破砕分離機
KR20020040197A (ko) 음식물쓰레기 파쇄기
JP2000084425A (ja) 破砕機,及び該破砕機を備えた収集装置
JP2002320945A (ja) 生ゴミ処理機構搭載車両
JP3407774B2 (ja) 生ごみ処理機
JP2000202320A (ja) 破砕機,及び該破砕機を備えた収集装置
CN214919136U (zh) 一种医疗垃圾处理装置
CN218706072U (zh) 一种气泡袋加工用数字印刷机的废料处理装置
CN216099881U (zh) 一种pet塑料瓶的高效粉碎装置
KR200263572Y1 (ko) 폐음식물을 담은 비닐봉투 파봉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