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220B1 - 모바일 디지털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지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220B1
KR100773220B1 KR1020057005521A KR20057005521A KR100773220B1 KR 100773220 B1 KR100773220 B1 KR 100773220B1 KR 1020057005521 A KR1020057005521 A KR 1020057005521A KR 20057005521 A KR20057005521 A KR 20057005521A KR 100773220 B1 KR100773220 B1 KR 100773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apacitive sensing
pad
area
sens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3777A (ko
Inventor
타케시 반
아츠시 후루카와
아키코 이나미
야치요 이토우
타카시 스기야마
노리요시 우스이
마사오 나카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663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728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907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785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80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18284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0Arrangements for preventing acoustic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하부 표면 상에서 각각의 돌기(21aa 내지 21cc)를 갖는 텐키 버튼(21a 내지 21c)이 설치된 키 매트(21) 및 돌기에 대응하는 각각의 컨택트(22a 내지 22c)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키 매트(21)와 키 회로 보드(22) 사이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을 가지며 터치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 및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터치 영역의 특성에 따른 기능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모바일 장치에 손가락을 닿는 방식으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디지털 장치, 텐키 버튼,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제어 회로

Description

모바일 디지털 장치 {MOBILE DIGITAL DEVICES}
본 발명은 모바일 무선 전화, PDA 및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 디지털 장치(이하, '모바일 무선 전화 등' 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텐키 패드와 정전 용량 감지 패드가 각각 구비된 모바일 무선 전화 등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동작 입력부를 누르는 법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모바일 무선 전화 등에 관한 것이다.
일본의 심사 미청구된 특허출원 제 2002-196856호에는 정전 용량 감지판이 아래에 장착된 키 매트를 가진 키 패드를 조립함으로써 손가락의 누름을 검출하는 손가락 터치 검출 패드의 입력 기능 및 종래에 이용 가능한 것과 유사한 키-인(Key-in) 기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즉, 모바일 무선 전화 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모바일 무선 전화 등을 건드리는 법을 검출하고 동작 입력부를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법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기능을 갖는 모바일 무선 전화 등은 공지되지 않은 상태이다.
스타일러스펜 등으로 터치 패드 상에 손으로 쓰여진 기호(Character, 문자)를 인식하는 기능을 가진 디지털 장치는 수기 기호와 그 다음의 수기 기호 사이에 개별적으로 브레이크포인트(Breakpoint)를 입력한다.
모바일 무선 전화 등과 같은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동작 입력부의 영역이 좁기 때문에, 동작 입력 기능에 있어서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무선 전화 등과 같이 동작 입력부의 영역이 좁은 모바일 디지털 장치가 다양한 기능의 동작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예를 들면, 텐키와 기호 키 그리고 텐키에 할당된 기능키를 단순한 조작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필요한 데이터 아이템명을 선택하고 그 필요한 데이터 아이템명에 포함된 다양한 값들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값을 설정하는 것을 간단한 조작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계층적 구조에 통합된 필요한 데이터 아이템명을 선택하고 그 필요한 데이터 아이템명에 포함된 다양한 값들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값을 설정하는 것을 간단한 조작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수기 기호나 기호를 인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간단한 조작을 통해 기호나 기호 사이의 브레이크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필요한 기능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손가락 터치부에 따라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손가락 터치부에 따라서 그 선택된 필요한 기능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하부 표면 상에 돌기를 각각 갖는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 및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설치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및 대응하는 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가지고 동작 입력 수단으로서 키 매트와 보드 양자 사이에 제공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하부 표면 상에 각각의 돌기를 갖는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 및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그 상부 표면 상에 설치된 키 PCB(프린트 회로 기판)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및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 시 사용하기 위한 관통공을 가지고 동작 입력 수단으로서 상기 키 PCB 와 상기 키 매트 양자 사이에 설치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동작 입력부의 영역이 모바일 무선 전화 등과 같이 좁더라도, 다양한 기능의 동작 입력이 가능하다.
조작자가 텐키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누를 때, 그 이면측 상에 설치된 돌기는 보드 상에 설치된 대응하는 컨택트를 건드린다. 이로써 조작자는 보통의 텐키 버튼을 누르는 것처럼 텐키 버튼을 누를 때 클릭한 것 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돌기와 컨택트는 단단한 물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정전 용량 감지 패트 대신에, 패드 검출 가변 저항와 같이 공중에게 잘 알려진 임피던스 감지 패드를 적당히 사용하여도 좋다.
(2)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하부 표면 상에 각 돌기를 가진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와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키 매트와 키 회로 보드 사이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 시에 사용하기 위한 관통공을 가지며 터치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정전 용량 감지 패드의 패드 영역 내에 제공되는 각각의 소영역에 대응하는 테이블 소자로서 소정 아이템명을 보유하기 위한 메모리, 터치 영역의 대표점이 위치한 소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명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템명 선택기, 및 터치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서 선택된 아이템명의 데이터값을 결정하는 데이터값 결정기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하부 표면 상에 각 돌기를 가진 텐키 버튼이 설치된 텐키 매트와 그 상부 표면에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설치된 키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PCB 사이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 시에 사용하기 위한 관통공을 가지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정전 용량 감지 패드의 패드 영역 내에 제공되는 각각의 소영역에 대응하는 소정 아이템명의 테이블을 갖는 아이템 메모리,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검출 영역의 대표점에 따른 소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명, 및 검출된 영역의 면적에 따라서 획득된 아이템명의 데이터값을 결정하는 데이터값 결정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원하는 데이터 아이템명의 선택과 상기 원하는 데이터 아이템명에 포함된 다양한 값들 중 원하는 데이터값의 설정을 단순한 조작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점' 이라 함은, 예를 들면, 검출된 영역의 무게 중심 좌표(중력의 중심점), 즉 검출된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점을 말하는 것이다. 무게 중심 좌표(중력의 중심점) 대신에, 다른 어떠한 대표점을 '대표점'으로 채택해도 좋다.
아이템명의 예로서 텐키 버튼의 기능(숫자 키, 기호 키, 기능 키 등의 기능들)을 예시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정전 용량 변화가 소영역을 요구하는 경우, 다시 말해 텐키 버튼이 손가락 끝 말단으로 눌러지는 경우를 말하며 이러한 키는 숫자 키로서 기능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정전 용량 변화가 중간 영역을 요구하는 경우, 다시 말해 텐키 버튼이 손가락 끝 전체로 눌러지는 경우에, 이 키는 기호 키로서 기능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정전 용량 변화가 큰 영역을 요구하는 경우, 다시 말해 텐키 버튼이 손가락 끝은 물론 손가락의 패드(Pad)로 눌러지는 경우에, 이 키는 기능 키로서 기능이 만들어진다. 소영역은 텐키 버튼의 외측 부분에 설정되거나 텐키 버튼과 같은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키 유형이 먼저 설정되고 그 다음에 텐키의 각 키가 조작되며, 후자의 경우, 텐키의 각 키가 동작될 때마다 텐키의 상기 키 유형이 설정된다. 아이템명은, 상기한 것에 추가하여, 선 굵기, 선 색상, 선 유형, 배경, 3차원 화면의 경우에는 높이, 그리고 예컨대 전화/이메일/카메라 등에 대한 선택 모드를 더 포함한다.
(3)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하부 표면 상에 각 돌기를 갖는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 및 그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키 매트와 키 회로 보드 사이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 시에 사용하기 위한 관통공을 가지며 터치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터치 영역을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터치 영역의 대표점의 세트로부터 경로(Locus)를 생성하기 위한 경로 발생기, 및 터치 영역의 특징에 따라 경로의 브레이크포인트를 검출하기 위한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하부 표면 상에 각 돌기를 가진 텐키 버튼이 설치된 텐키 매트 및 그 상부 표면에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설치된 키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PCB 사이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 시에 사용하기 위한 관통공을 가지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정전 용량 변화가 각각 검출되는 검출 영역의 대표점 세트에 의해 추적(Trace)되는 경로 신호 시간 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경로 신호 생성기, 및 검출된 영역의 특징에 기초해서 상기 경로 신호의 브레이크포인트를 검출하기 위한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브레이크포인트는 손으로 쓰여진 경로에 쉽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호 사이의 브레이크포인트는 손으로 쓰여진 기호를 인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단순한 조작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검출된 영역의 대표점 세트로부터 생성될 경로 신호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상에서 조작자에 의해 그려진 경로에 따른 신호이다.
정전 용량 변화가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영역의 특징들은, 예를 들어, 검출 영역의 면적이나 사이즈, 검출 영역의 컨택트 방향 및 검출 영역의 수이다.
손으로 쓰여진 흔적으로서 저장된 좌표에 기초해서 기호를 인식하는 기술은, 예를 들면, "수기 기호의 컴퓨터화된 인식(http://www.nemoto.ecei.tohoku.ac.jp/~wai/manu/manu/.html)" 에 개시된 것으로, 공중에게 잘 알려진 것이다.
(4)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하부 표면 상에 각 돌기를 갖는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와 그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키 매트 및 키 회로 보드 사이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 시에 사용하기 위한 관통공을 갖는 부분과 모바일 디지털 장치의 섀시 부분 상에 다른 부분을 구비하며 터치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터치 영역을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터치 영역의 대표점의 세트로부터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경로 발생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터치 영역의 특성에 따라 터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 결정기, 및 방향 결정기에 의해 결정된 터치 방향에 따라 경로의 브레이크포인트를 검출하기 위한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하부 표면 상에 각 돌기를 가진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 및 그 상부 표면에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설치된 키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 시 사용하기 위한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PCD 사이에 그러한 관통공을 갖는 부분 및 상기 모바일 디지털 장치의 적어도 섀시 부분 상에 다른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정전 용량 변화가 각각 검출되는 검출 영역의 대표점 세트에 의해 추적되는 경로 신호 시간 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경로 신호 생성기, 정전 용량 변화가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영역의 형상에 기초해서 컨택트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 결정기, 및 상기 방향 결정기에 의해 결정된 컨택트 영역에 기초해서 상기 경로 신호의 브레이크포인트를 검출하기 위한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수기 추적의 브레이크포인트는 상기 모바일 디지털 장치가 닿은 터치 방향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기 추적의 브레이크포인트는 상기 모바일 디지털 장치를 사용자가 잡고 있는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제, 도 5 를 참조하여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형상에 기초한 터치 방향 결정 방법" 을 설명한다. 도 5a 의 격자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제 1 스트립형 전극 그룹(31a) 및 상기 제 1 전극 그룹(31a)에 직각으로 배치된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제 2 스트립형 전극 그룹(32a)을 나타낸다. 제 1 전극 그룹(31a)은 제 1 플레이트(31) 상에 형성되며, 제 2 전극 그룹(32a)은 제 1 플레이트(31)와 완전히 결합된 제 2 플레이트(32) 상에 형성된다.
손가락 F 가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에 접촉할 때(또는 그 패드로부터 1mm 정도 내로 접근할 때), 제 1 전극 그룹(31a)과 제 2 전극 그룹(32a) 간의 정전 용량은 상기 손가락 접촉부의 이웃에서 변화하며, 이 정전 용량 변화가 신호로서 출력되어, 손가락 F 의 접촉이 검출된다.
도 5a 에서와 같이 손가락 F 가 사선 방향(도시된 바와 같이 X-Y 좌표계에서 약 130°)으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에 접촉하게 된다고 가정하면,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패드 영역 내에 있으면서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부분은 도 5a 의 파선으로 형성된 일그러진 타원 영역 T 이다. 이 일그러진 타원 영역 T 의 장축 방향 CL 은 손가락 F 가 접근하는 방향과 대체로 일치하며, 이 일그러진 타원 영역 T 의 단축 방향 CS 는 이 단축이 장축과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일그러진 타원 영역 T 의 무게 중심 위치(중력의 중심점) G 는 일그러진 타원 영역 T 내에서 손가락 F 의 끝 근방의 부분에 위치해 있다(도 5b).
상기로부터, 손가락의 터치 방향(즉,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방향)은 손가락 F 에 의한 접촉으로 인한 정전 용량 변화의 검출 영역(예를 들면, 일그러진 타원 영역 T 의 영역)(무게 중심부(중력의 중심점) G 가 존재하는 측 상에서)의 형상 및 손가락 F 의 경사도(Gradient)를 얻음으로써 검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손가락 F 의 방향은 상기 일그러진 타원 영역 T 내의 각 점의 좌표를 스퀘어 에러(Square Error) 최소화법으로 직선에 근사화하고 상기 직선의 경사도에 기초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일그러진 타원 영역이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정밀도나 노이즈 등으로 인해 그 타원 모양을 상실한다면, 영역의 전개와 축약과 같은 패턴 처리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그 모양을 타원형에 가깝게 만들도록 할 수 있다.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는 평면으로만 아니라, 장치의 표면 등을 따라서 곡선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는 플레이트나 유연성이 있는 막과 같은 모양으로 될 수도 있다.
(5)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하부 표면 상에 각 돌기를 갖는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와 그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키 매트와 키 회로 보드 사이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을 가지며 터치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및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터치 영역의 모양에 따른 기능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하부 표면 상에 각 돌기를 가진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와 그 상부 표면에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설치된 키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PCB 사이에 걸치되며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 시 사용하기 위한 관통공을 갖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및 정전 용량 변화가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 영역의 모양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모바일 디지털 장치에 손가락을 대어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영역의 면적, 터치 영역의 방향 및 터치 영역의 수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가락의 끝으로 누른 때에는 통상의 전화 모드로서, 전체 손가락 끝 전체로 누른 때에는 메일 준비 모드로서, 그리고 손가락의 패드로 누른 때에는 카메라 모드로서, 손가락의 접촉 부분에 따라 차별화하여 모드 변경을 할 수 있다. 게임 소프트웨어 등에서는, 예를 들면, 손가락 끝에 대응하는 면적의 입력은 우측 이동으로서, 손가락 전체에 대응하는 면적의 입력은 죄측 이동으로서 등과 같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하부 표면 상에 각 돌기를 가진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회로 보드 사이에 걸치되고 대응하는 돌기가 삽입될 관통공을 가지며 터치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정전 용량 감지 패드의 패드 영역 내에 설치된 각각의 소영역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보유하기 위한 메모리, 터치 영역의 대표점이 위치한 소영역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기, 및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되는 터치 영역의 특성에 따라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는, 그 하부 표면 상에 각 돌기를 갖는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와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 컨택트가 그 상부 표면 상에 설치된 키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PCB 사이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돌기의 삽입 시 사용하기 위한 관통공을 갖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의 패드 영역 내에서 구획되어 제공되는 각각의 소영역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의 테이블을 갖는 기능 메모리,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검출 영역의 대표점이 검출되는 소영역에 대응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기, 및 검출 영역의 특성에 기초해서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모바일 장치의 터치 부분에 따라 결정되는 필요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선택된 기능은 상기 부분이 닿는 법에 따라 제어 가능하다. 즉, 상기 선택된 기능은 닿은 면적, 닿은 방향 또는 터치 영역의 수에 따라 제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무선 전화의 일 실시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는 상기 모바일 무선 전화의 텐키 패드(20, 21, 22)와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 간의 레이아웃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관계도.
도 2b 는 화살표와 점을 가진 체인 라인으로 표시된 방향 B 에서 본 도 2a 의 단면도.
도 3a 는 상기 모바일 무선 전화의 초기 개발도.
도 3b 는 액정 패널(60)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모바일 무선 전화의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패드 영역 내에 구획되어 설치된 소영역들 간의 대응하는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4 는 텐키와 정전 용량 감지 패드의 구조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관계 투시도.
도 5 는 그 모양에 따라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터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a 는 키 패드(21, 22)와 분리되어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 31, 32)가 제공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b 는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은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면적에 따라 수기 기호들 간의 브레이크포인트를 검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 은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터치 방향에 따라 수기 기호들 간의 브레이크포인트를 검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9 는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수에 따라 수기 기호들 간의 브레이크포인트를 검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a 는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면적에 따라서 선택하는 처리를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b 는 면적 처리 계산을 예시화한 설명도.
도 11a 는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터치 방향에 따라서 선택하는 처리를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b 는 방향 처리 계산을 예시화한 설명도.
도 12a 는 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수에 따라서 선택하는 처리를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2b 는 영역 수 처리 계산을 예시화한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모바일 무선 전화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지털 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그 실시형태에 따른 모바일 무선 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는 상기 모바일 무선 전화의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 및 텐키 패드(20)(21, 2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도 2b 는 방향 B 에서 본 도 2a 의 단면도이다. 도 3a 는 상기 모바일 무선 전화의 정면도이고, 도 3b 는 상기 모바일 무선 전화의 액정 패널(60)의 설명도이다. 도 4 는 텐키 패드와 정전 용량 감지 패드의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 투시도이다.
(1) 모바일 전화의 구성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모바일 무선 전화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60), 텐키 패드(20)(키 매트(21) 및 키 PCB(22)),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 스피커(71), 마이크로폰(72) 및 기타 구성을 가진다. 모바일 무선 전화를 구성하는 일반에게 잘 알려진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에 직접적으로 관계되지 않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텐키 패드(20)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텐키 버튼(21a, 21b, 21c, ...)가 깔려져 있는 키 매트(21) 및 상기 키 매트(21)의 하부층으로서 설치된 키 PCB(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텐키 버튼(21a, 21b, 21c, ...)에는 그 후방측 상에는(하부 표면측 상) 돌기(21aa, 21bb, 21cc, ...)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기(21aa, 21bb, 21cc, ...)에 대응하는 것처럼, 키 PCB(22)에는 각각 컨택트(22a, 22b, 22c)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텐키 버튼 중 어느 하나라도 누르면, 상기 텐키 버튼의 후방측 상의 돌기는 대응하는 키 PCB(22) 상의 컨택트와 접촉하고, 그러한 접촉을 알리는 신호가 키 패드 인터페이스(201)로 출력된다(도 4 참조). 동시에, 사용자가 텐키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에게는 그것이 저항의 감각으로 응답되어진다(즉, 클릭하는 느낌). 이러한 클릭 느낌이 알맞게 느껴지도록 하기 위해, 돌기 및/또는 컨택트가 단단한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텐키 버튼은 키 매트와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텐키 버튼을 프린팅 등과 같은 방법으로 키 매트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돌기는 키 매트의 후방측 상에 제공된다.
키 매트(21)와 키 PCB(22) 사이에는 상기 돌기와 각각 대응하는 관통공을 가진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가 설치된다.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층(12)을 통해 서로 일체로 붙어있는 제 1 패드(31) 및 제 2 패드(32)를 가진다. 이들 2개의 패드(31, 32)는 스트립형 전극들(예를 들면, ITO 전극)로 각각 형성되며, 이들 스트립형 전극들이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도록(그리드 를 형성하는 것처럼) 나열된다. 손가락과 같은 인체의 일부가 키 패드 중 어느 텐키 버튼으로든(또는 키 매트 표면 중 어느 부분으로든) 접촉(또는 접근)하면, 접촉되는(또는 접근되는) 부분의 근방에 있는 제 1 패드(31) 상의 전극 및 제 2 패드(32) 상의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상기 변화가 정전 용량 인터페이스(301)로 출력, 즉, 검출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설명한 구성은 정전 용량 감지 패드의 일례일 뿐이며 상기와 다른 정전 용량 감지 패드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절히 채택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정전 용량 감지 패드는 키 매트(21)와 키 PCB(22) 사이의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까지 확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도 6a 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모바일 무선 전화의 측면처럼, 키 매트(21)와 키 PCB(22) 간에 정전 용량 감지 패드가 설치되고 또 다른 정전 용량 감지 패드가 상기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별개의 부분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2) 모바일 전화의 회로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무선 전화의 회로는, 소리 입력 장치(마이크로폰: 72)로부터의 전기 신호 입력을 코딩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82)로 그것을 보내며 그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82)로부터의 데이터(소리 데이터 등; 소리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함) 입력을 디코딩하여 그것을 소리 출력 장치(스피커: 71)로 출력하는 코덱 회로(81), 코덱 회로(81)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것을 안테나(50)로부터 출력하며 안테나(50)로 수신된 전기 신호를 데이터(소리 데이터 등; 소리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함)로 변환해서 그것을 코덱 회로(81)로 출력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82), 코덱 회로(81)와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82)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들 회로의 동작을 위한 것 등을 행하는 제어 회로(83), 및 필요할 경우에 제어 회로(83)에 의해 사용되는 메모리(84)를 구비한다. 이들 코덱 회로(81),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82), 제어 회로(83) 및 메모리(84)는 일반에게 종래부터 잘 알려진 모바일 무선 전화 회로(80)를 구성한다.
제어 회로(83)는 상기 코덱 회로(81)와 무선 인터페이스 회로(82)로부터의 데이터에 추가해서 키 패드 인터페이스 회로(201)에 의한 데이터(누름 검출 데이터)로의 변환 이후 키 패드(20) 상의 키(21a, 21b, 21c)를 누름으로써 생성되는 전기 신호(누름 검출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 회로(83)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인터페이스 회로(301)에 의한 데이터로의 변환 이후 인체에 의한 접촉(또는 접근)에 따라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에 의하여 검출되는 정전 용량 변화를 입력받는다.
(3) 소영역 및 데이터 아이템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영역의 아래 부분(도 3a 와 도 3b 의 파선으로 도시된 어두운 부분)에 구획되어 설치된 소영역(301, 302, 303) 중에서 소영역을 손가락으로 접촉함으로써 그러한 소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 아이템으로 필요한 데이터값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한다.
도 3 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소영역(301)은 배경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고, 소영역(302)은 선 굵기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며, 소영역(303)은 선 색상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이다.
예를 들면, 소영역(302)이 손가락 끝의 말단으로 눌러지면, "작음" 및 "가는 선" 으로서 검출 영역이 선택되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가는 선이 LCD 패널(60) 내의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602)에 표시된다. 소영역(302)이 손가락 끝 전체로 눌러지면, "중간" 및 "중간 선" 으로서 검출 영역이 선택되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중간 선이 LCD 패널(60) 내의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602)에 표시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소영역(302)이 손가락 패드로 눌러지면, "큼" 및 "굵은 선" 으로서 검출 영역이 선택되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굵은 선이 LCD 패널(60) 내의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602)에 표시된다.
한편, 소영역(303)이 손가락 끝 말단으로 눌러지면, 검출 영역의 면적이 "작음" 및 "따뜻한 색상군" 의 선 색상 유형으로서 선택되기 때문에, 따뜻한 색상이 선택 가능하다. 또한, 선택된 이 따뜻한 색상군은 소영역(303)이 손가락 끝 말단으로 눌러질 때 검출 영역의 면적이 따뜻한 색상군의 모든 색 중에서 "작음" 및 "적" 인 것으로서 선 색상이 선택되기 때문에 상기 선택된 색상의 선이 LCD 패널(60) 내의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603)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따뜻한 색상군 상태에서, 소영역(303)이 손가락 끝 전체 또는 손가락 패드로 눌러지는 경우에는, 따뜻한 색상군 중 다른 "색상" 이 선택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색상군 미선택 상태에서 "차가운 색상군" 이 소영역(303)을 손가락 끝 전체로 누름으로써 선택된 후에는, 손가락 끝 말단, 손가락 끝 전체 또는 손가락 패드로 소영역(303)을 건드림으로써 상기 차가운 색상군이 선택된 상태에서 필요한 차가운 색상을 설정해서 표시시킬 수 있다.
소영역(301)은 배경을 선택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선택된 배경은 LCD 패널(6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된다.
상술한 예에 따르면, 소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 아이템명은 선 굵기, 선 색상 및 배경이다. 그러나, 이들 외의 다른 어떠한 데이터 아이템명과 데이터값이 선택되거나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소영역에 대응할 수 있는 다른 데이터 아이템명으로는, 3차원도의 높이와 전화/이메일/카메라에 대한 선택 모드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색상 유형 및 색상의 선택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층적 구조를 추적함으로써 데이터 아이템명 및/또는 데이터값의 선택과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소영역은 데이터 아이템명 "선" 에 대응하고, 소영역이 손가락 끝 말단으로 눌러지면 소영역이 데이터 아이템명 "선 굵기" 에 대응하고, 상기 영역이 손가락 끝 전체로 눌러지면 상기 영역이 데이터 아이템명 "선 유형" 을 위한 영역으로 교체되며, 상기 영역이 손가락 패드로 눌러지면 그 영역이 데이터 아이템명 "선 색상" 으로 교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 굵기" 아이템명의 경우 "가는 선, 중간 선 또는 굵은 선" 의 데이터값 중 어느 것을 선택 및 설정할 수도 있고, "선 유형" 아이템명의 경우 "파선, 만선, 일점 쇄선 등" 중 어느 데이터값을 선택 및 설정할 수도 있으며, "선 색상" 아이템명의 경우 "적, 청, 녹 등" 중 어느 데이터값을 선택 및 설정할 수도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데이터값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계층적 구조를 채택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예에 따르면, 건드림으로써 원하는 데이터 아이템명과 데이터값을 선택하기 위한 소영역이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영역 내의 아래 부분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아래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그런 소영역을 정전 영역 감지 패드 영역 내의 다른 어느 부분에 제공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 따르면, 원하는 데이터 아이템명이 추적(라인) 입력에 선행해서 선택된 후 원하는 데이터값(두께, 색상)이 상기 선택된 데이터명에서 설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절차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하는 데이터 아이템명을 어느 때라도 선택하고 원하는 데이터값을 상기 선택된 원하는 데이터명으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각 텐키는 소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텐키에 할당된 기능은 그 텐키 상에 눌러진 영역의 면적에 따라 다른 기능으로 전환 가능하다. 예컨대, 손가락 끝 말단으로 텐키를 누른 경우에 입력이 상기 텐키에 할당된 바와 같이 보통의 숫자값으로 설정되고, 텐키가 손가락 끝 전체로 눌러진 경우에 입력이 상기 텐키에 할당된 바와 같이 1번째 알파벳에서 12번째 알파벳까지의 12개의 알파벳 중 하나로 설정되며, 텐키가 손가락 패드로 눌러진 경우에는 상기 텐키에 할당된 바와 같이 13번째 알파벳에서 24번째 알파벳까지의 12개의 알파벳 중 하나로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4) 기호로의 변환 절차
이 절에서는, 자취를 기호나 도형으로 변환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추적 입력의 브레이크포인트를 검출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4-1) 면적에 기초한 브레이크포인트 검출의 예
도 7 은 브레이크포인트(다음 기호의 시작)를 검출하고,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 상에서 기호를 그리는 손가락의 접촉 면적이 변할 때 기호 인식 기능으로 이를 알리는 절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호 인식 기능은 제어 회로(83)에 의해 공중에게 잘 알려진 기호 인식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실행으로 이루어진다. 기호 인식 기능 자체는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겠다.
우선, 센서 신호 검출 타이밍이 올 때(S01 에서 예),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포착된다(S03). 한편, 검출 영역의 대표적인 좌표인 검출된 검출 영역의 위치, 다시 말해 무게 중심부가 기호 인식 기능에 제공된다(S05). 이로써, 기호 인식 기능은 이 때 검출된 검출 영역의 위치를, 이전에 검출된 검출 영역의 위치 그룹 상에서,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이 때 검출된 검출 영역의 면적이 얻어져서, 소정 임계값과 비교된다(S07). 즉, 이 때 검출된 정전 용량 변화를 나타내는 점들의 수가 손가락 끝 말단(즉, 작은 면적)이나 손가락 끝 전체(즉, 중간 면적) 또는 손가락 패드(즉, 큰 면적)와 동등한 점들의 수인지 여부가 체크된다.
검출된 면적이 손가락 끝 전체 또는 말단과 동등한 점들의 수인 것으로 밝혀진 경우에는(S09 에서 아니오), 절차는 스텝 S01 로 되돌아간다. 즉, 검출 영역의 대표적인 좌표 위치의 입력(추적)이 계속된다.
그러나, 스텝 S09 의 결과 체크로서 검출된 면적이 손가락 패드와 동등한 점들의 수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S09 에서 예), 그것이 브레이크포인트를 의미하 기 때문에, 다음 기호가 시작되어야 하는 결과가 기호 인식 기능으로 통지된다(S11).
(4-2) 방향에 기초한 브레이크포인트 검출의 예
도 8 은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 상에서 기호를 그리는 손가락의 접촉 방향이 변할 때 그것이 브레이크포인트(다음 기호의 시작)라는 결과를 기호 인식 기능으로 통지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의 절차가 도 7 의 것과 동일할 때에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그 절차마다 붙인다.
우선, 센서 신호 검출 타이밍이 올 때(S01 에서 예),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포착된다(S03). 한편, 이 때 검출된 검출 영역의 위치, 즉 무게 중심부(검출 방향의 대표적인 좌표임)가 기호 인식 기능으로 제공된다(S05). 이로써, 기호 인식 기능은 이전에 검출된 검출 영역의 위치 그룹 상에서 메모리에 이 때 검출된 검출 영역의 위치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검출 영역의 방향이 얻어진다(S07a). 이 단계에 적용되는 방법은 도 5 를 참조함으로써 여기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스텝 S07a 에서 얻어진 방향이 이전에 검출된 방향과 다른지 여부가 체크된다(S09a). 여기서, 오차는 코스의 문제로서 어느 정도까지 허용된다. 예를 들면, 검출 방향은, 만일 0 내지 45°, 45 내지 90°, 90 내지 135° 또는 135 내지 180°내이면 동일성을 가진 것으로 결정된다.
스텝 S09a 의 체크 결과로서, 만약 검출된 영역(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방향이 이전의 것과 동일하다면(S09a 에서 아니오), 절차는 스텝 S01 로 되돌아간다. 즉, 검출 영역의 대표적인 좌표 위치의 입력(추적)이 계속된다.
한편, 스텝 S09a 에서의 체크 결과로서, 만약 검출된 영역(정전 용량 변화가 검출되는 영역)의 방향이 이전의 것과 다르다면(S09a 에서 예), 그것은 브레이크포인트를 의미하며, 다음 기호가 시작되어야 한다는 결과 통보가 기호 인식 기능으로 제공된다(S11).
(4-3) 영역의 수에 기초한 브레이크포인트 검출의 예
기호를 수기하는 동안 순가락이 닿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영역 수가 복수로 되면, 그것은 브레이크포인트(다음 기호의 시작)로서 인식되며, 기호 인식은 그러한 영역의 수가 복수로 될 때까지 추적에 기초해서 수행된다. 도 9 는 디스플레이로의 그러한 인식 기호 등의 출력 등을 위한 절차를 나타낸다. 즉, 기호가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 상에서 1개 손가락으로 수기된 경우, 만일 동시에 2개 이상의 손가락 끝에 의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접촉 및 복수의 손가락 끝에 의한 그런 동시 접촉이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에 의해 검출되면, 이 도면은 브레이크포인트로서 그러한 검출을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정전 용량 변화 검출에 대해 체크될 영역은 R1 및 R2, 즉 2차원적으로 연속된 복수의 점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서 도 6b 에 예시된 영역이며, 그러한 영역의 수가 1개나 2개 또는 그 이상인지 여부가 검출된다.
각 점에서의 정전 용량 변화는 다음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출된다.
도 6b 의 "1" 이나 "0" 과 같이 넘버링된 위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스트립형 제 1 전극 그룹(31a)과 상기 제 1 전극 그룹에 직각으로 배치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스트립형 제 2 전극 그룹(32a)과의 교차 지점을 나타낸다(도 5 참조). 여기에서, 제 1 전극 그룹은 제 1 플레이트(31) 상에 형성되고, 제 2 전극 그룹은 제 1 플레이트와 일체로 결합된 제 2 플레이트(32) 상에 형성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손가락 끝이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에 접촉할 때(또는 그로부터 약 1mm 내로 접근할 때),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간의 정전 용량이 상기 접촉된 영역 부근에서 변하며, 그러한 변화는 신호로서 출력된다. 도 6b 에서, 그러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들이 "1" 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런 방식으로, 손가락 끝의 접촉이 검출된다.
이제, 검출 절차에 대한 설명을 한다.
스텝 S31 에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포착된다.
스텝 S33 에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포착에 관여할 만한 에러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 결과, 만약 상기 에러가 검출되지 않는다면(S33 에서 아니오)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검출 영역의 무게 중심부의 좌표가 획득되어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된다(S35).
반면에, 만약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포착에 관여할 만한 에러가 검출된다면(S33 에서 예), 에러의 유형이 포착된다(S37).
스텝 S37 에서 얻은 에러가 3개 이상의 손가락 끝에 의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동시 접촉으로 인한 에러이면(S39 에서 예),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된 각 무게 중심부의 좌표에 기초해서, 즉, 무게 중심부의 추적에 기초해서 기호가 인식된다(S41). 인식된 기호는 입력 기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이나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며,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무게 중심부의 추적)를 제거한다(S43). 이는 다음 기호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그 후, 절차는 스텝 S01 로 되돌아온다. 상술한 절차는 기호 인식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스가 끝날 때까지(S21 에서 아니오로 되는 경우) 반복해서 수행된다.
스텝 S37 에서 얻어진 에러가 2개 이상의 손가락 끝에 의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동시 접촉으로 인한 에러 외의 에러이면(S39 에서 아니오), 상기 에러에 적용 가능한 프로세스가 실행된다(S45).
(5)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절차
손가락 끝에 의한 접촉의 모드에 기초해서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그러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5-1) 접촉 면적에 기초한 프로세스 선택의 예
도 10a 는 손가락 끝에 의해 접촉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면적에 기초해어 프로세스를 선택해서 상기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의 프로세스가 도 7 의 것과 동일한 때에는 그 절차에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부여한다.
스텝 S01, S03 및 S07 은 도 7 의 경우와 동일하다.
스텝 S51 에서, 스텝 S07 에서 얻어진 검출 영역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대한 "면적-프로세스 표"(도 10b)로부터 구해진다. "면적-프로세스 표" 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모바일 무선 전화에 의해 장착된다. 이 도면에서 구체화된 예에 따르면, 스텝 S07 에서 얻어진 검출 면적(점들의 수)이 손가락 끝 말단에 의한 접촉과 동등한 범위 내이면, 예컨대, "아래쪽 좌측으로 이동" 의 프로세스가 실행된다(S53).
(5-2) 접촉 방향에 기초한 프로세스 선택의 예
도 11a 는 손가락 끝에 의해 접촉이 이루어지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 상에서의 접촉 방향에 기초해서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상기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의 절차가 도 8 의 경우와 같은 경우에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01, S03 및 S07a 는 도 8 의 경우와 동일하다.
스텝 S61 에서, 스텝 S07a 에서 얻어진 검출된 접촉 방향에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용의 "방향-프로세스 표"(도 11b)로부터 구해진다. "방향-프로세스 표" 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모바일 무선 전화에 의해 장착된다. 이 도면에서 구체화된 예에 따르면, 스텝 S07s 에서 얻어진 검출된 접촉 방향이 "0 내지 45°" 범위 내이면, "아래쪽 좌측으로 이동" 의 프로세스가 실행된다(S63).
(5-3) 영역의 수에 기초한 프로세스 선택의 예
도 12a 는 1개의 손가락 끝에 의한 입력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통상 입력으로서 처리하고 복수의 손가락 끝에 의한 입력을 소정 프로세스로서 처리하는 기호 인식용 이외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의 절차를 나타낸다.
스텝 S81 에서, 검출 신호가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로부터 포착된다.
스텝 S83 에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포착에 관여할 만한 에러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그 결과, 만약 상기 에러가 검출되지 않으면(S83 에서 아니오),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에 의한 검출이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통상 입력으로서 진행된다(S85).
한편, 만일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포착에 기여할 만한 상기 에러가 검출된다면(S83 에서 예), 에러의 유형이 구해진다(S87).
만약 스텝 S87 에서 얻은 에러가 2개 이상의 손가락 끝에 의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동시 접촉에 의한 에러라면(S89 에서 예),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에 의해 검출된 영역의 수가 구해지고(S91), 상기 얻어진 영역의 수에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영역-프로세스 표(도 12b)의 수로부터 얻어지며(S93), 상기 프로세스가 실행된다(S95). 이 도면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검출 영역의 수가 2 이면, 예컨대, 위쪽의 좌측으로 이동" 이 실행된다.
그 후, 절차는 스텝 S71 로 되돌아온다. 상술한 절차는 기호 인식 처리용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종료될 때까지(S71 에서 아니오로 남은 동안)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스텝 S87 에서 얻은 에러가 2개 이상의 손가락 끝에 의한 정전 용량 감지 패드(30)의 동시 접촉으로 인한 것 이외의 에러이면(S89 에서 아니오), 상기 에러에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실행된다(S97).
상술한 실시형태들은 모바일 무선 전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정 형태를 제공하는 예들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모바일 무선 전화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PDA 와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 디지털 장치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그 하부 표면 상에 각각의 돌기를 가진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 및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각의 컨택트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접촉된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상기 돌기를 삽입할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회로 보드 사이에 제공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의 패드 영역 내에 제공되는 각각의 소영역에 대응하는 테이블 요소로서 소정 아이템명을 보유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접촉된 영역의 대표점(Representative Point)이 위치한 소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명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템명 선택기; 및
    상기 접촉된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명의 데이터값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값 결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을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 회로; 및
    상기 접촉된 영역의 대표점들의 세트로부터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경로 생성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 보유된 상기 아이템명은 배경, 선 굵기 및 선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선택된 아이템명과 결정된 데이터값으로부터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선택된 아이템명에 따라서 할당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영역에서 상기 결정된 값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심볼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보유된 각각의 상기 아이템명은 하위 분할 아이템명을 가지며, 상기 데이터값 결정기는 상기 하위 분할 아이템명을 추적함으로써 데이터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7. 그 하부 표면 상에 각각의 돌기를 갖는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 및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각의 컨택트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접촉된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회로 보드 사이에 제공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을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 회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접촉된 영역 각각의 대표점들의 세트로부터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경로 생성기; 및
    상기 접촉된 영역의 특성에 따라서 상기 경로의 브레이크포인트(Breakpoint)를 검출하기 위한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는 상기 접촉된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서 브레이 크포인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경로 및 상기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브레이크포인트로부터 기호를 인식하기 위한 기호 인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특성에 따라 접촉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 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는 상기 접촉 방향에 따라서 브레이크포인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경로 및 상기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브레이크포인트로부터 기호를 인식하기 위한 기호 인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는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동시에 검 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수에 따라서 브레이크포인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경로 및 상기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브레이크포인트로부터 기호를 인식하기 위한 기호 인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14. 그 하부 표면 상에 각각의 돌기를 갖는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 및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각의 컨택트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접촉된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제 1 및 제 2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상기 제 1 및 제 2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을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 회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접촉된 영역 각각의 대표점들의 세트로부터 경로를 생성하기 위한 경로 생성기;
    상기 제 1 및 제 2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특성에 따라서 접촉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 결정기; 및
    상기 방향 결정기에 의해 결정된 접촉 방향에 따라서 상기 경로의 브레이크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한 브레이크포인트 결정기를 포함하는 상기 경로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경로 및 상기 브레이크포인트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브레이크포인트로부터 기호를 인식하기 위한 기호 인식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전 용량 감지 패드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돌기와 대응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가진 상태로,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회로 보드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정전 용량 감지 패드는, 상기 제 1 정전 용량 감지 패드와 인합(隣合)하는 부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결정기에 의해 결정된 접촉 방향은 사용자가 남긴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16. 삭제
  17. 그 하부 표면 상에 각각의 돌기를 갖는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 및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각의 컨택트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접촉된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회로 보드 사이에 제공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및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특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특서에 따라서 접촉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 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방향 결정기에 의해 결정된 상기 접촉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해서 그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동시에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수에 따라서 기능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20. 그 하부 표면 상에 각각의 돌기를 갖는 텐키 버튼이 설치된 키 매트 및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각각의 컨택트가 설치된 키 회로 보드로 이루어진 텐키 패드;
    접촉된 영역을 검출하도록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대응하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키 매트와 상기 키 회로 보드 사이에 제공되는 정전 용량 감지 패드;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의 패드 영역 내에 제공된 각각의 소영역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보유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접촉된 영역의 대표점이 위치한 소여역에 대응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기; 및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특성에 따라서 그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 회로는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특성에 따라서 접촉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방향 결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 제어 회로는 상기 방향 결정기에 의해 결정된 접촉 방향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 회로는 상기 정전 용량 감지 패드에 의해 동시에 검출된 상기 접촉된 영역의 수에 따라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지털 장치.
KR1020057005521A 2002-09-30 2003-09-26 모바일 디지털 장치 KR100773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7076 2002-09-30
JP2002287076 2002-09-30
JP2003066367A JP2004272846A (ja) 2003-03-12 2003-03-12 携帯型電子装置
JPJP-P-2003-00066367 2003-03-12
JPJP-P-2003-00090717 2003-03-28
JP2003090717A JP2004178547A (ja) 2002-09-30 2003-03-28 携帯型電子装置
JP2003180190A JP2005018284A (ja) 2003-06-24 2003-06-24 携帯型電子装置
JPJP-P-2003-00180190 2003-06-2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410A Division KR100848976B1 (ko) 2002-09-30 2003-09-26 모바일 디지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777A KR20050063777A (ko) 2005-06-28
KR100773220B1 true KR100773220B1 (ko) 2007-11-02

Family

ID=320745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410A KR100848976B1 (ko) 2002-09-30 2003-09-26 모바일 디지털 장치
KR1020057005521A KR100773220B1 (ko) 2002-09-30 2003-09-26 모바일 디지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410A KR100848976B1 (ko) 2002-09-30 2003-09-26 모바일 디지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44163B2 (ko)
KR (2) KR100848976B1 (ko)
CN (1) CN1685301B (ko)
AU (1) AU2003264948A1 (ko)
WO (1) WO20040319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99B1 (ko) 2013-04-19 2014-08-01 주식회사 에이디자인 터치스크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1425B2 (en) * 2002-07-12 2010-10-26 Atmel Corporation Capacitive keyboard with non-locking reduced keying ambiguity
JP4190459B2 (ja) * 2004-05-24 2008-12-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TWI267021B (en) * 2005-06-06 2006-11-21 Elan Microelectronics Corp Touch panel supporting dual-surface operation
US20070205993A1 (en) * 2006-03-06 2007-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having a keypad with directional controls
US20070205991A1 (en) * 2006-03-06 2007-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number dialing with touch sensitive keypad
US20070205990A1 (en) * 2006-03-06 2007-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with touch sensitive keypad
US20070205989A1 (en) * 2006-03-06 2007-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with a touch sensitive keypad
US20070205992A1 (en) * 2006-03-06 2007-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sensitive scrolling system and method
US7777728B2 (en) * 2006-03-17 2010-08-17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804955B2 (en) * 2006-06-21 2010-09-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Flexible key plate
KR100804550B1 (ko) * 2006-10-19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US8130203B2 (en) 2007-01-03 2012-03-06 Apple Inc. Multi-touch input discrimination
US7855718B2 (en) 2007-01-03 2010-12-21 Apple Inc. Multi-touch input discrimination
US7876310B2 (en) * 2007-01-03 2011-01-25 Apple Inc. Far-field input identification
US8269727B2 (en) 2007-01-03 2012-09-18 Apple Inc. Irregular input identification
JP2010521022A (ja) * 2007-02-23 2010-06-17 ティーピーア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ジタル機器に使われるポインティング装置を利用した仮想キーボード入力システム
US8255002B2 (en) * 2007-04-03 2012-08-28 Sharp Kabushiki Kaisha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cellular phone
US7973763B2 (en) * 2007-04-13 2011-07-05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with sensible orientation structur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09104940A2 (ko) * 2008-02-24 2009-08-27 Park Taeun 터치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US9448721B2 (en) * 2008-03-19 2016-09-20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input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selection
CN201230337Y (zh) * 2008-04-02 2009-04-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触控键盘
JP5698662B2 (ja) * 2008-06-10 2015-04-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電気消費装置に供給される電力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可能な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20110063570A (ko) * 2008-09-29 2011-06-10 쿄세라 코포레이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에서의 표시 방법
KR20100059698A (ko) * 2008-11-25 201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제공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477396B2 (en) 2008-11-25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EP2196891A3 (en) * 2008-11-25 2013-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SG175827A1 (en) * 2009-06-16 2011-12-29 Intel Corp Camera applications in a handheld device
WO2011130755A2 (en) 2010-04-14 2011-10-20 Frederick Johannes Bruwer Pressure dependent capacitive sensing circuit switch construction
JP5573374B2 (ja) * 2010-06-03 2014-08-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操作入力方法
JP5614173B2 (ja) * 2010-08-25 2014-10-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51494B2 (ja) 2011-02-09 2015-01-1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9240296B2 (en) 2012-08-06 2016-01-19 Synaptics Incorporated Keyboard construction having a sensing layer below a chassis layer
CN104765475B (zh) * 2014-01-02 2018-02-06 广州中国科学院先进技术研究所 穿戴式虚拟键盘及其实现方法
KR101558810B1 (ko) 2014-09-22 2015-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와 문지름 인식을 위한 음파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2334521B1 (ko) 2016-05-18 2021-1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입력 처리 방법
JP2022133602A (ja) * 2021-03-02 2022-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入力装置、タッチ入力方法、及びタッチ入力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056A (ja) * 1999-09-13 2001-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
JP2001266695A (ja) * 2000-03-22 2001-09-28 Nippon Seiki Co Ltd 操作パネル
JP2002196856A (ja) * 2000-10-03 2002-07-12 Nokia Mobile Phones Ltd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189A (ja) 1994-07-19 1996-02-02 Hitachi Ltd 入出力装置
JP3718245B2 (ja) * 1994-11-02 2005-11-24 株式会社東芝 プロセス監視用画面選択装置
JPH08272516A (ja) * 1995-03-28 1996-10-18 Wacom Co Ltd 情報処理装置
JPH09207412A (ja) * 1996-02-06 1997-08-12 Ricoh Co Ltd 電気、電子機器の操作部
JPH1097504A (ja) 1996-09-25 1998-04-14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JPH11119911A (ja) * 1997-10-15 1999-04-30 Fujitsu Ten Ltd スイッチ装置
JPH11212726A (ja) 1998-01-29 1999-08-06 Omron Corp 入力装置
JP2000224280A (ja) * 1999-01-28 2000-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およびそのスイッチ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装置
GB2351202A (en) * 1999-05-18 2000-12-20 Vtech Communications Ltd Portable telephone with handwriting input surface
JP2001005599A (ja) * 1999-06-22 2001-01-12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498600B1 (en) * 1999-08-18 2002-12-24 Ericsson Inc.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keypads that illuminate in response to proximity of a user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electronic devices
JP3822030B2 (ja) 2000-06-21 2006-09-13 株式会社デジタル 制御用表示装置
WO2002100074A2 (en) 2001-06-06 2002-12-12 Cirque Corporation System for disposing a proximity sensitive touchpad behind a mobile phone keymat
US20030001899A1 (en) * 2001-06-29 2003-01-02 Nokia Corporation Semi-transparent handwriting recognition UI
US7355590B2 (en) * 2002-04-30 2008-04-08 Nokia Corporation Keymat
KR100472429B1 (ko) * 2002-10-1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US20050048955A1 (en) * 2003-09-03 2005-03-03 Steffen 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call from a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056A (ja) * 1999-09-13 2001-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
JP2001266695A (ja) * 2000-03-22 2001-09-28 Nippon Seiki Co Ltd 操作パネル
JP2002196856A (ja) * 2000-10-03 2002-07-12 Nokia Mobile Phones Ltd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99B1 (ko) 2013-04-19 2014-08-01 주식회사 에이디자인 터치스크린의 입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777A (ko) 2005-06-28
WO2004031930A1 (en) 2004-04-15
AU2003264948A1 (en) 2004-04-23
CN1685301A (zh) 2005-10-19
KR20070087261A (ko) 2007-08-27
KR100848976B1 (ko) 2008-07-30
US20060038789A1 (en) 2006-02-23
CN1685301B (zh) 2010-05-26
US7444163B2 (en) 200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220B1 (ko) 모바일 디지털 장치
JP4057253B2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7236159B1 (en) Handheld or pocketsized electronic apparatus and hand-controlled input device
US7312790B2 (en) Input apparatus for performing input operation corresponding to indication marks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on the same operational plane
KR100454171B1 (ko) 입력장치
US8351992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US20080088487A1 (en) Hand Writing Input Method And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8253690B2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US20070252729A1 (en) Sensing Keypad of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trolling Method
US20070052688A1 (en) Input device
JP2008140211A (ja) 入力部の制御方法と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0020194A (ja) タッチパッド
US20060248457A1 (en) Input device
JP2004178547A (ja) 携帯型電子装置
JP3063626B2 (ja) ポインティング入力装置
JP4521335B2 (ja) 携帯端末
JP2004272846A (ja) 携帯型電子装置
CN110858112A (zh) 输入装置
JP2005018284A (ja) 携帯型電子装置
TWI408577B (zh) 具觸控功能之電子裝置
WO2006066456A1 (fr) Dispositif d'interface utilisateur a commutateurs inductifs et terminal portable associe
KR20140020570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JP2008097062A (ja) 情報入力装置とコンピュータのメニュー選択方法
JP2015215897A (ja) 接触検知キーパッ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