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857B1 -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857B1
KR100771857B1 KR1020060036070A KR20060036070A KR100771857B1 KR 100771857 B1 KR100771857 B1 KR 100771857B1 KR 1020060036070 A KR1020060036070 A KR 1020060036070A KR 20060036070 A KR20060036070 A KR 20060036070A KR 100771857 B1 KR100771857 B1 KR 100771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punch
cutting
cam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248A (ko
Inventor
강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솔루션
Priority to KR102006003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8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5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9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incorporating means for treating the terminal leads only before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조립설비에서 터미널이라 부르는 PIN을 하우징이라는 몰드구조의 수지에 하나하나 컷팅 후 삽입하는 스티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형 캠 기구와 직선형 슬라이드기구를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작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을 안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또 공간 점유율을 줄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효율적인 동작 메카니즘의 적용에 따른 사이클 타임의 획기적인 단축으로 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ANTI-STICTION AIR CYLINDER 등과 같은 고가이며 장납기 부품을 줄여 시설투자비 및 운영유지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를 제공한다.
전자부품, 스티칭 장치, 회전형 캠기구, 직선형 슬라이드기구

Description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Stitching insert system for electronic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칭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칭 장치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칭 장치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칭 장치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칭 장치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칭 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형 캠 기구 11 :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
12 : 커팅 기구 13 : 회전축
14 : 캠 플레이트 15 : 인서트 펀치
16 : 인서트 홀더 17 : 인서트 블럭
18 : 가이드 레일 19 : 캠 팔로워
20 : 커팅 다이 21 : 커팅 펀치
22 : 커팅 패드 23 : 테두리 벽체
24 : 픽스트 블럭 25 : 홀더 캡
26 : 마이크로미터 27 : 링크 기구
28 : 보조 캠 29 : 제1링크
30 : 제2링크 31 : 브라켓
32 : 제3링크 33a,33b : 홈
34 : 부품 안내홈 35 : 펀치부
본 발명은 전자부품 조립설비에서 핀을 하나하나 자르고 제품에 삽입하는 스티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형 캠기구와 직선형 슬라이드기주를 조합한 새로운 방식의 스티칭 메카니즘을 구현함으로써,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동시에 공간 점유율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구조의 합리화 및 연속적인 반복동작과 관련한 동작의 효율화에 따라 사이클 타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 조립설비에서 부품의 조립생산과 관련한 스티칭 기술은 부품의 고밀도화, 소형화 다양화 추세에 따라 활발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 다.
이러한 스티칭 기술은 크게 부품의 개발과 부품을 조립하는 기술의 개발로 분류된다.
부품의 개발은 전자분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소형화, 집적화의 추세로 발전하고 있으며, 조립기술의 개발은 부품들의 표면실장에 필요한 정밀조립장비의 개발과 각종 조립장비들의 운용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조립장비를 대표하는 스티칭 장치는 핀을 몰드물에 삽입하는 장비로서, 커넥터 조립장비의 핵심장비이다.
이러한 스티칭 장치는 터미널, 몰드물의 형태로 공급되는 각종 부품을 피더나 스프로킷 등의 공급기로부터 공급받아 컷팅 및 삽입하는 장비이다.
보통 스티칭 장치는 X축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회전캠에 항상 롤러팔로워(베어링)를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무저항 실린더와 이 실린더를 거치하기 위한 부품을 이용하여 캠의 운동 차트에 따라 전후진 반복 동작을 통해 핀을 커팅하고 삽입하는 메카니즘을 갖는다.
즉, 회전캠에 연결되어 있는 부품에 의해 핀의 커팅과 삽입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작업 메카니즘을 갖는다.
그러나, 기존 대부분의 스티칭 장치는 캠지지수단으로서의 실린더 등과 같은 대규모의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서 전체적인 레이아웃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또한, 고속회전으로 운동하는 작업 메카니즘을 채용하고 있는 관계로 캠에 지지하는 부분에서 튕김현상이 발생하여 사이클 타임이 길어지고 관성부하가 걸리면서 전체 시스템이 불안정하며 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무저항실린더의 가격이 고가(高價)이며 장납기인 관계로 스티칭에 배속시키는 시스템을 제작하는 경우 비용과 일정 측면에서 상당한 부담을 갖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회전형 캠기구와 직선형 슬라이드기구를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작에 의해 핀의 삽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티칭 장치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안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또 공간 점유율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효율적인 동작 메카니즘의 적용에 따른 사이클 타임의 단축으로 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캠플레이트에서의 튕김현상을 없애 메인터넌스의 횟수를 줄이는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에 있어서, 회전형 캠 기구와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 간의 연계적인 반복 동작을 이용하여 커팅 기구에 의해 절단된 전자부품을 1개씩 계속적으로 삽입시켜주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형 캠 기구는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조립되며 축에 대해 편심되는 캠궤적을 갖는 캠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는 전자부품의 삽입을 위한 인서트 펀치와, 상기 인서트 펀치의 고정을 위한 인서트 홀더와, 상기 인서트 펀치 및 인서트 홀더의 전체를 지지하면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인서트 블럭 및 이것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인서트 블럭의 저면에 조립되며 캠 플레이트측과 접동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캠 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 기구는 인서트 펀치측 선단 동작구간 내에 배치되며 전자부품을 진행을 안내하는 커팅 다이와, 상기 커팅 다이의 저면에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며 인서트 펀치측 동작 방향에 대해 90°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면서 전자부품을 1개씩 절단하는 커팅 펀치 및 이것의 동작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커팅 펀치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절단된 전자부품을 잡아주는 커팅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면서 캠궤적 형상으로 형성되는 테두리 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펀치는 그 후단부가 인서트 홀더의 선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픽스트 블럭과 홀더 캡에 의해 고정되어 분해 및 조립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홀더는 인서트 블럭상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면서 후단의 마이크로미터에 의해 전후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 팔로워는 캠 플레이트가 갖는 캠궤적 형상의 테두리 벽체의 내외면과 동시에 접하면서 안내를 받을 수 있는 한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 펀치의 동작을 위한 구동수단은 회전형 캠 기구측과 연동되어 교번 왕복운동을 하면서 회전형 캠 기구측의 회전운동을 커팅 펀치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링크 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 기구는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각 한쪽 끝이 회전형 캠 기구측의 회전축이 갖는 보조 캠 및 커팅 기구측의 커팅 펀치에 각각 연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브라켓에 의해 그 중심이 핀 구조로 지지되면서 양단 시이소 운동 가능하며 그 양단부가 상기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각 다른 한쪽 끝과 연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는 제3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칭 장치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티칭 장치는 크게 회전운동 형태의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형 캠 기구(10)와, 상기 회전형 캠 기구(10)와의 연계적인 동작을 통한 직선운동을 수행하면서 부품을 삽입하는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와, 스트립 형태로 연속 공급되는 부품을 1개씩 절단하는 커팅 기구(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형 캠 기구(10)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의 축에 연결되면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13)과, 상기 회전축(13)에 키(key) 결합구조로 조립되어 일체 회전되는 캠 플레이트(14)를 포함한다.
상기 캠 플레이트(14)는 대략 회전축(13)의 길이 중간쯤에 조립되며, 이렇게 조립되는 캠 플레이트(14)의 윗쪽으로는 일정길이 회전축이 돌출되고, 이때의 돌출부분에 후술하는 보조 캠(28)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캠 플레이트(14)는 그 중심부가 회전축(13)에 동심원상으로 관통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캠 특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캠궤적 형상의 테두리 벽체(23)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의 상기 테두리 벽체(23)는 회전축(13)의 중심축선에 대해 한쪽으로 편심된 형태를 취하게 되고, 결국 회전축(13)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캠 플레이트(14)의 테두리 벽체(23)는 캠궤적을 그리면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는 회전형 캠 기구(1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수평상태로 배치되며, 에서 크게 3개의 구성요소, 즉 가장 앞쪽에서 실질적으로 부품을 삽입시켜주는 인서트 펀치(15), 인서트 펀치(15)의 바로 뒤에 위치되면서 인서트 펀치(15)를 잡아주는 인서트 홀더(16), 인서트 홀더(16)의 뒷쪽으로 위치되면 서 인서트 펀치(15) 및 인서트 홀더(16) 전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캠 기구(10)측과 접촉 전동되는 인서트 블럭(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 펀치(15)는 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선단부의 뾰족한 부분을 통해 부품을 밀어주면서 삽입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 펀치(15)와 인서트 홀더(16)는 분해 및 조립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므로서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부품의 사양 변경시 인서트 펀치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서트 펀치(15)의 후단부가 인서트 홀더(16)의 선단부에 일부 겹쳐지는 형태로 위치되고, 서로 일치되는 각각의 홈(33a),(33b) 내에 "ㄷ"자 형태의 픽스드 블럭(24)이 결합되며, 이와 동시에 그 상부가 인서트 홀더(16)에 체결되는 홀더 캡(25)에 의해 마감되므로서, 인서트 펀치(15)와 인서트 홀더(16) 간의 결합구조가 완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 홀더(16)는 그 저면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부분을 이용하여 인서트 블럭(17)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슬롯과 홀 간에 체결되는 볼트 등에 의해 인서트 블럭(17)과 일체식으로 조립된다.
이렇게 조립되는 인서트 홀더(16)는 필요에 따라 길이방향(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옮길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면 위와 같이 상기 인서트 홀더(16)가 인서트 블럭(17)상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조립됨에 따라 인서트 블럭(17)의 후단에 장착되어 있는 통상의 마이크로미터(26)를 조작하면(물론 홀더와 블럭 간의 체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인서트 홀더(16)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위치 조절 구조는 삽입되는 부품의 사양이 변하거나, 또는 초기 부품의 삽입상태를 세팅하는 상황에서 인서트 펀치(15)의 스트로크를 조정할 때의 유용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블럭(17)은 뒷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레일부분을 이용하여 설비의 프레임 구조물(미도시)상의 가이드 레일(18)에 의한 슬라이드 안내를 받는 구조로 설치된다.
즉, 설비의 프레임 구조물에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18)이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양쪽의 가이드 레일(18) 사이에 인서트 블럭(17)의 레일부분이 나란하게 끼워지면서 슬라이드 결착되므로서, 상기 인서트 블럭(17)은 가이드 레일(18)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회전형 캠 기구(10)측과의 연계적인 동작을 위하여, 인서트 블럭(17)에는 한쌍의 캠 팔로워(19)가 구비된다.
상기 한쌍의 캠 팔로워(19)는 인서트 블럭(17)의 저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앞뒤 나란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회전형 캠 기구(10)의 캠 플레이트(14)가 갖는 테두리 벽체(23)를 사이에 두고 밀착 배치되며, 이에 따라 회전형 캠 기구(10)의 동작시(회전시) 캠 플레이트(14)의 테두리 벽체(23)를 따라다니면서 운동하는 캠 팔로워(19)에 의해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의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팅 기구(12)는 회전형 캠 기구측과 연동되어 교번 왕복운동을 하면서 회전형 캠 기구측의 회전운동을 커팅 펀치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부품의 절단을 가능하게 해주는 부분으로서, 고정부재인 커팅 다이(20)와 운동부재인 커팅 펀치(21)가 위아래에서 요철식으로 슬라이드 구조로 조합되고, 커팅 펀치(21)에 의해 절단된 부품을 잡아주기 위한 커팅 패드(22)가 한쪽 옆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의 커팅 다이(20)와 커팅 패드(22)는 설비의 프레임 구조물(미도시)상에 고정되고, 커팅 펀치(21)는 후술하는 링크 기구(27)측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커팅 다이(20)의 한쪽 측면부에는 스트립 형태로 공급되는 부품의 유도를 위한 수직의 부품 안내홈(3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부품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팅 펀치(21)에는 윗쪽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면서 커팅 다이(20)에 있는 부품 안내홈(34)의 하단구간에 위치되는 펀치부(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커팅 펀치(21)는 부품 안내홈(34)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는 부품을 펀치부(35)로 하나씩 타격하면서 스트립으로 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커팅 펀치(21)는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의 운동방향, 즉 전후방향에 대해 90°위상차를 갖는 좌우방향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커팅 기구(12)는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회전형 캠 기구(10)측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으로 동작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시이소 운동과 교번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3개의 링크 조합형 구조로 이루어진 링크 기구(27)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링크(29)와 제2링크(30)는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각각의 한쪽 끝이 회전형 캠 기구측의 회전축(13)이 갖는 보조 캠(28)과 커팅 기구측의 커팅 펀치(21)에 각각 연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되고, 제3링크(32)는 설비의 프레임 구조물측에서 연장되는 브라켓(31)상에 그 중심이 핀 구조로 지지되면서 양단 시이소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그 양단부가 상기 제1링크(29) 및 제2링크(30)의 각 다른 한쪽 끝과 연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링크와 보조 캠 간의 연동 방식이나 제2링크와 커팅 펀치 간의 연동 방식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형 캠 기구(10)의 1회전 동작시 이때의 링크 기구(27)는 1회 교번 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커팅 기구(12)측을 동작시켜주게 되고, 따라서 커팅 기구(12)의 1회 커팅 작동, 즉 커팅 펀치(21)의 1회 커팅 동작에 의해 하나의 부품이 절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티칭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비의 제품 이송라인 일측에 배치되며, 제품의 이송과 유기적인 작동관계를 취하면서 커팅 기구(12)에 의해 절단된 부품을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를 통해 1개씩 제품측에 삽입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티칭 장치와 제품 이송라인 간의 작동관계를 유기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제품에 절단 부품을 삽입하는 방법 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티칭 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커팅 다이(20)의 부품 안내홈(34)을 통해 스트립 형태의 부품, 예를 들면 터미널(100)이 위에서 아래로 이송된다.
이때, 커팅 패드(22)는 커팅 다이(20)의 측면부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고, 인서트 펀치(15)는 후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부터 커팅 펀치(21)는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오기 시작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형 캠 기구(1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13)이 회전하면 회전축(13)에 있는 보조 캠(28)의 회전에 의해 링크 기구(27)가 1회 교번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커팅 펀치(21)는 도 6a의 화살표 방향으로 진입하여 터미널(100)을 스트립으로부터 절단한 후 재차 도 6b의 화살표 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커팅 패드(22)는 절단된 터미널을 홀드하고 있는 상태이고, 인서트 펀치(15)는 전진을 시작하려는 상태이다.
여기서, 커팅 펀치와 인서트 펀치 간의 동작과 관련한 시간차는 초기 세팅시 캠 플레이트의 캠 궤적과 보조 캠의 캠 궤적 간의 위상차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형 캠 기구(10)의 작동에 의해 캠 플레이트(14)가 회전하면 한쌍의 캠 팔로워(19)를 통해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도 함께 연동된다.
즉, 캠 플레이트(14)에 의하여 인서트 펀치(15)는 약 9mm 정도 전진한다.
이때, 커팅 패드(22)는 인서트 펀치(15)의 선단부 라운드진 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터미널을 놓게 되고, 이와 동시에 터미널은 인서트 펀치(15)에 의해 밀려나면서 제품측에 삽입된다.
이러한 순간은 거의 동시에 일어나므로 흔들림은 없게 된다.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부품에 대한 삽입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인서트 펀치(15)가 후진하여 뒤로 빠지게 되고, 재차 도 6a의 단계로 돌아간다.
이와 같이, 회전형 캠 기구의 1회전 작동에 의해 커팅 펀치 및 인서트 펀치가 시간차를 두고 각각 1회씩 전후진 동작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계속적인 부품의 삽입작업이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형 캠 기구와 직선형 슬라이드기구를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작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스티칭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을 안정화시킬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공간 점유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장치의 효율적인 동작 메카니즘의 적용에 따른 사이클 타임의 획기적인 단축으로 작업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ANTI-STICTION AIR CYLINDER 등과 같은 고가이며 장납기 부품을 줄일 수 있으므로, 시설투자비 및 운영유지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등 경제적 인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회전형 캠 기구(10)와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 간의 연계적인 반복 동작을 이용하여 커팅 기구(12)에 의해 절단된 전자부품을 1개씩 계속적으로 삽입시켜주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 기구(12)는 인서트 펀치측 선단 동작구간 내에 배치되며 전자부품을 진행을 안내하는 커팅 다이(20)와, 상기 커팅 다이(20)의 저면에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며 인서트 펀치측 동작 방향에 대해 90°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면서 전자부품을 1개씩 절단하는 커팅 펀치(21) 및 이것의 동작을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커팅 펀치(21)의 맞은편에 배치되며 절단된 전자부품을 잡아주는 커팅 패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5. 회전형 캠 기구(10)와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 간의 연계적인 반복 동작을 이용하여 커팅 기구(12)에 의해 절단된 전자부품을 1개씩 계속적으로 삽입시켜주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캠 기구(10)는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하는 회전축(13)과, 상기 회전축(13)상에 조립되며 축에 대해 편심되는 캠궤적을 갖는 캠 플레이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캠 플레이트(14)는 플레이트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면서 캠궤적 형상으로 형성되는 테두리 벽체(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6. 회전형 캠 기구(10)와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 간의 연계적인 반복 동작을 이용하여 커팅 기구(12)에 의해 절단된 전자부품을 1개씩 계속적으로 삽입시켜주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는 전자부품의 삽입을 위한 인서트 펀치(15)와, 상기 인서트 펀치(15)의 고정을 위한 인서트 홀더(16)와, 상기 인서트 펀치(15) 및 인서트 홀더(16)의 전체를 지지하면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인서트 블럭(17) 및 이것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 레일(18)과, 상기 인서트 블럭(17)의 저면에 조립되며 캠 플레이트측과 접동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캠 팔로워(19)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인서트 펀치(15)는 그 후단부가 인서트 홀더(16)의 선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픽스트 블럭(24)과 홀더 캡(25)에 의해 고정되어 분해 및 조립가능한 구조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7. 회전형 캠 기구(10)와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 간의 연계적인 반복 동작을 이용하여 커팅 기구(12)에 의해 절단된 전자부품을 1개씩 계속적으로 삽입시켜주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는 전자부품의 삽입을 위한 인서트 펀치(15)와, 상기 인서트 펀치(15)의 고정을 위한 인서트 홀더(16)와, 상기 인서트 펀치(15) 및 인서트 홀더(16)의 전체를 지지하면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인서트 블럭(17) 및 이것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 레일(18)과, 상기 인서트 블럭(17)의 저면에 조립되며 캠 플레이트측과 접동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캠 팔로워(19)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인서트 홀더(16)는 인서트 블럭(17)상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면서 후단의 마이크로미터(26)에 의해 전후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8. 회전형 캠 기구(10)와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 간의 연계적인 반복 동작을 이용하여 커팅 기구(12)에 의해 절단된 전자부품을 1개씩 계속적으로 삽입시켜주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슬라이드 기구(11)는 전자부품의 삽입을 위한 인서트 펀치(15)와, 상기 인서트 펀치(15)의 고정을 위한 인서트 홀더(16)와, 상기 인서트 펀치(15) 및 인서트 홀더(16)의 전체를 지지하면서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인서트 블럭(17) 및 이것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 레일(18)과, 상기 인서트 블럭(17)의 저면에 조립되며 캠 플레이트측과 접동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캠 팔로워(19)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캠 팔로워(19)는 캠 플레이트(14)가 갖는 캠궤적 형상의 테두리 벽체(23)의 내외면과 동시에 접하면서 안내를 받을 수 있는 한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팅 펀치(21)의 동작을 위한 구동수단은 회전형 캠 기구측과 연동되어 교번 왕복운동을 하면서 회전형 캠 기구측의 회전운동을 커팅 펀치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링크 기구(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27)는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각 한 쪽 끝이 회전형 캠 기구측의 회전축(13)이 갖는 보조 캠(28) 및 커팅 기구측의 커팅 펀치(21)에 각각 연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는 제1링크(29) 및 제2링크(30)와, 브라켓(31)에 의해 그 중심이 핀 구조로 지지되면서 양단 시이소 운동 가능하며 그 양단부가 상기 제1링크(29) 및 제2링크(30)의 각 다른 한쪽 끝과 연동가능한 구조로 연결되는 제3링크(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KR1020060036070A 2006-04-21 2006-04-21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KR100771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070A KR100771857B1 (ko) 2006-04-21 2006-04-21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070A KR100771857B1 (ko) 2006-04-21 2006-04-21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248A KR20060054248A (ko) 2006-05-22
KR100771857B1 true KR100771857B1 (ko) 2007-11-01

Family

ID=3715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070A KR100771857B1 (ko) 2006-04-21 2006-04-21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85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93B1 (ko) 2008-06-16 2008-09-03 주식회사 시너스 커넥터 고속 스티칭머신의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제작방법
KR100912838B1 (ko) 2009-02-05 2009-08-19 김해성 커넥터 고속 스티칭머신의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제작방법
KR101121275B1 (ko) * 2011-08-12 2012-03-22 조항일 스티칭머신
KR101671098B1 (ko) * 2015-02-09 2016-10-31 조항일 커넥터 조립시 단자핀간 피치조정이 가능한 스티칭 머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492B1 (ko) * 2014-12-11 2022-04-27 (주)지에스티 전자부품용 핀 자동 삽입장치
CN109728494A (zh) * 2017-10-30 2019-05-07 苏州瀚川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端子插针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2998A (ja) * 1993-04-15 199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ード線フォーミング装置
JPH10208844A (ja) 1997-01-28 1998-08-07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コネクタ端子の実装装置
KR19990024199A (ko) * 1998-12-18 1999-03-25 전재영 전자부품용 핀 제조장치
KR200285287Y1 (ko) 2002-05-14 2002-08-13 주식회사 엠솔루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전자부품 조립용 스티칭 머신
KR20060027759A (ko) * 2004-09-23 2006-03-28 전 재 영 전자부품용 핀 성형제조장치
KR20190000890U (ko) * 2019-02-28 2019-04-08 (주) 비엠비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2998A (ja) * 1993-04-15 199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ード線フォーミング装置
JPH10208844A (ja) 1997-01-28 1998-08-07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コネクタ端子の実装装置
KR19990024199A (ko) * 1998-12-18 1999-03-25 전재영 전자부품용 핀 제조장치
KR200285287Y1 (ko) 2002-05-14 2002-08-13 주식회사 엠솔루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전자부품 조립용 스티칭 머신
KR20060027759A (ko) * 2004-09-23 2006-03-28 전 재 영 전자부품용 핀 성형제조장치
KR20190000890U (ko) * 2019-02-28 2019-04-08 (주) 비엠비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93B1 (ko) 2008-06-16 2008-09-03 주식회사 시너스 커넥터 고속 스티칭머신의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제작방법
KR100912838B1 (ko) 2009-02-05 2009-08-19 김해성 커넥터 고속 스티칭머신의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제작방법
KR101121275B1 (ko) * 2011-08-12 2012-03-22 조항일 스티칭머신
KR101671098B1 (ko) * 2015-02-09 2016-10-31 조항일 커넥터 조립시 단자핀간 피치조정이 가능한 스티칭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248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857B1 (ko)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스티칭 장치
JP2008104718A (ja) ミシンの送り機構
CN111186141A (zh) 箱体热板焊接机
CN105108229B (zh) 一种锯切路径及锯切角度可调的多轴锯切机
JP2002005255A (ja) カム装置
KR101646574B1 (ko) 3종 슬롯 절연지 삽입장치
US6951160B2 (en) Cutting device for spring manufacturing machines
CN104338829B (zh) 一种用于汽车座椅靠背上横板侧翻孔的模具
EP2453775A2 (en) Punching head for an apparatus for producing brushes and brooms with a variable -stroke punch
JP2005047453A (ja) 車両のドアヒンジ取り付け装置
CN210684111U (zh) 针织手套机的缝口三角和密度三角的控制装置
JP2001310376A (ja) ブロー成形機の型締め機構
CN104652048A (zh) 一种模板缝纫机
CN208216242U (zh) 网版印刷机的中心定位结构
CN201046427Y (zh) 插管机
KR200408613Y1 (ko) 전자부품 조립설비의 픽앤플레이스 장치
CN220500118U (zh) 一种编织袋缝压边切割机
CN211489263U (zh) 一种手机件通用冲模模架
CN220515481U (zh) 一种帐篷架杆与连接件的精确定位打销设备
JPH10178767A (ja) ステータコアへの巻線装置
CN113502609B (zh) 一种服装模板成型机及其控制方法
CN109624470A (zh) 触摸屏加工用压合装置
CN208101460U (zh) 一种用于书槽的压槽机
CN216182683U (zh) 一种吹瓶机用成型组联动结构
CN219027405U (zh) 一种衬套压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