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196B1 -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196B1
KR100771196B1 KR1020050123758A KR20050123758A KR100771196B1 KR 100771196 B1 KR100771196 B1 KR 100771196B1 KR 1020050123758 A KR1020050123758 A KR 1020050123758A KR 20050123758 A KR20050123758 A KR 20050123758A KR 100771196 B1 KR100771196 B1 KR 10077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reinforcement cloth
reinforcement
cloth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700A (ko
Inventor
정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Priority to KR1020050123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1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은, 구조물의 다양한 표면 상태 및 습윤 바탕 구조물의 거동에 대응하여 시공 가능한 것으로서, 구조물의 표면에 부직포를 대고 고정부재로 부직포를 구조물에 설치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부직포에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를 함침시켜 상기 부직포와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에 의한 방수막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지하, 구조물, 방수막, 함침재,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 부직포

Description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 {waterproofing process for structure, waterproofing structure thereof, and impregnation material composition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을 적용한 구조물의 방수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2a는 구조물에 보강포를 설치하는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2b는 보강포를 연결하는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보강포에 함침재를 함침 및 도포하는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4는 함침재 상에 중도재를 도포하는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5는 중도재 상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6은 구조물의 방수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다양한 표면 상태 및 습윤 바탕 구조물의 거동에 대 응하여 시공할 수 있는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방수 공법은 아스팔트 시트 공법, 합성고무 시트 공법, 폴리우레아 공법, 폴리우레탄 공법 등이 있다.
아스팔트 시트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액상 방수를 1차, 2차에 시공 후, 이 방수층에 아스팔트 시트를 부착하는 방수공법으로서, 값이 저렴하고 두께가 일정하지만, 아스팔트 시트와 피착면(구조물에서 부착되는 면)과의 약한 부착력을 가지며, 아스팔트 시트와 아스팔트 시트의 이음매 부분에서 부착 불량률을 가지고, 약한 온도 의존성과 낮은 작업성을 가지며, 열융착 시, 아스팔트 시트에서 물성 변화를 일으키는 단점을 가진다.
합성고무 시트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이 프라이머에 합성고무 시트를 부착하는 방수공법으로서, 두께가 일정하고 물정이 안정되어 있으나, 시공 시, 피도물(구조물에서 도포되는 면)에 접착제를 바르고 합성고무 시트 자체에도 접착제를 바른 후, 합성고무 시트를 구조물에 부착하는데, 이때 접착제를 도포하고, 정확히 3-5분 후에 합성고무 시트를 피도물에 부착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 시공 시간을 지키지 못하게 되면, 합성고무 시트가 구조물에 정확하게 부착이 되지 않는다. 또한, 합성고무 시트 생산 후, 약 2개월이 경과하게 되면 합성고무 시트가 경질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합성고무 시트 공법은 구조물에 접착제를 도포하므로 습윤 바탕면을 가지는 구조물에 시공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또한 합성고무 시트 공법은 합성고무 시트를 구조물에 견고히 부착한 경우에는, 구조물 거동 시, 합성고무 시트가 구조물의 거동성에 대응하지 못하고 찢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폴리우레아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바탕 처리를 하고, 이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며, 이 프라이머에 탄성물질인 폴리우레아를 고온 고압으로 혼합 분사하여 피도물(구조물에서 도포되는 면)에 도포하여 탄성적인 막을 형성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시공 시, 내수성이 우수하고 이음 부분이 없으나, 기포 발생으로 핀 홀(pin hole) 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며, 또한 구조물의 바탕면을 매끄럽게 표면 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또한, 이 폴리우레아 공법은 방수막을 박막으로 형성하므로 구조물의 거동에 약하고 구조물의 돌출 부위 또는 습윤 바탕면에 시공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며, 유기 용제 타입으로 지하에서 시공이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폴리우레탄 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바탕 처리하고, 이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며, 이 프라이머에 유기용제 타입의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습윤 바탕면에 시공 가능하지만 바탕면의 표면 처리에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폴리우레탄 공법은 수직면에 두꺼운 방수층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이 경우 얇은 두께의 시공을 수회 반복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지며, 유기 용제와 같은 셀프 레벨링(self-leveling) 타입으로써 구조물의 수직면 또는 경사면에 시공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또한, 폴리우레탄 공법은 독성이 강한 발암물질의 타르(tar) 우레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물의 다양한 표면 상태 및 습윤 바탕 구조물의 거동에 대응하여 시공 가능한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은, 구조물의 표면에 보강포를 대고 고정부재로 보강포를 구조물에 설치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보강포에 함침재를 함침시켜 상기 보강포와 함침재에 의한 방수막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강포를 구조물의 표면에 펼쳐 대고, 상기 고정부재의 박힘부를 상기 보강포를 관통하여 구조물에 박아서, 상기 박힘부의 끝 부위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의 누름부로 상기 보강포를 누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강포의 일측 끝 부위와, 이에 포개어지는 다른 보강포의 끝 부위 사이를 양면 테이프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강포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강포로 다공성 폴리우레탄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함침재로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은 상기 방수막에 중도재를 도포하 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중도재로 수용성 아크릴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은 상기 중도재에 바닥재를 도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바닥재로 수용성 도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방수 구조는,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되는 보강포, 상기 보강포를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보강포에 함침되어 방수막을 형성하는 함침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포는 부직포 및 다공성 폴리우레탄 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포의 일측 끝 부위와, 이에 포개어지는 다른 보강포의 끝 부위 사이는 양면 테이프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보강포를 관통하여 구조물에 박히는 박힘부와, 상기 박힘부의 끝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보강포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재는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아크릴, 부틸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방수 구조는 상기 방수막에 도포되는 중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도재는 수용성 아크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방수 구조는 상기 중도재에 도포되는 수용성 바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의 조성물은, 아스팔트 33.0-60.0, 유화제 0.1-1.0, 정수 3.0-10.0,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수지 20.0-40.0, 소포제 0.5-2.0, 흐름 방지제 1.0-5.0 중량%의 주제와, 정수 5.0-8.0, 가성소다 0.02-0.08, 유화 아스팔트 안정제 0.05-0.1 중량%의 보조제와, 미량 물질 0.1-0.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미네랄 오일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유화 아스팔트 안정제는 트리에탄올아민 계열일 수 있다.
상기 흐름 방지제는 순수 실리카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을 적용한 구조물의 방수 구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개착식 공법으로 지하 구조물을 설치하는 예를 보여준다. 이 개착식 공법은 땅(100)을 파내고, 그 자리에 구조물(200)을 형성한 후, 다시 땅을 메움으로서 지하에 구조물(200)을 시공할 수 있게 하는 공법이다. 이와 같은 구조물(200)은 내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외부의 수분 침투로부터 막아주는 방수 구조를 필요로 한다.
이 실시예는 지하 구조물과 같이, 비노출 구조물에도 적용되고 옥상 바닥 및 벽과 같이 노출 구조물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비노출 구조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방수 공법에 의한 방수 구조(300)는 구조물(200)의 외면에 적용되고, 이 방수 구조(300)는 구조물(200)을 매립함으로써 구조물(200)과 함께 매립되어, 구조물(20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 방수 구조(300)는 구조물(200)의 저면(201), 측면(202), 및 상면(203) 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방수 구조(300)를 기초(400) 상에 시공하고, 이 방수 구조(300) 상에 구조물(200)을 시공한 후, 구조물(200)의 측면(202)과 상면(203)에 방수 구조(300)를 시공함으로써, 구조물(200)은 방수 구조(300)로 둘러싸이게 된다.
즉, 이 방수 구조(300)를 구조물(200)의 상면(203) 측에 시공하는 것은 옥상 바닥에 시공하는 것에 대응될 수 있고, 구조물(200)의 측면(202) 측에 시공하는 것은 벽에 시공하는 것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벽으로 형성되는 구조물(200)에 본 실시예의 방수 구조(300)를 적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방수 공법과, 이 공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수 구조에 대하여 같이 설명한다.
이 방수 공법은 고정부재(2)를 사용하는 보강포(4)를 구조물(200)에 설치하는 제1 단계(도2a, 도2b 참조)와, 이 보강포(4)에 함침재(6)를 함침시켜 방수막(8)을 형성하는 제2 단계(도3 참조)를 포함한다.
제1 단계는 구조물(200)의 표면에 보강포(4)를 펼쳐 맞대고, 고정부재(2)를 사용하여 고정부재(2)의 박힘부(2a)로 보강포(4)를 관통하여 구조물(200)에 박아 서, 박힘부(2a)의 끝 부위에 구비되는 누름부(2b)로 보강포(4)를 눌러서, 보강포(4)를 구조물(200)에 고정시킨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2)의 박힘부(2a)는 전동공구를 이용한 철 또는 비철 금속의 못이나 앵커로 이루어진다. 누름부(2b)는 박힘부(2a)에 의하여 보강포(4)를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도록 금속 또는 플라스틱 와셔로 이루어진다.
이 고정부재(2)는 보강포(4)의 면적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점으로 구조물(200)에 박힘으로써 보강포(4)의 자중을 지지한다. 또한 보강포(4)는 구조물(200)의 표면과 대부분이 분리되고, 고정부재(2)를 매개체로 하는 부분에서만 부분적으로 구조물(2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2)를 사용하여 보강포(4)를 구조물(200)에 설치하므로 방수 구조(300) 적용을 위하여 구조물(200)의 표면을 별도로 처리할 필요가 없어 공사 기간 및 비용이 줄어든다.
제1 단계는 공사 현장에서 진행되는 공정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며 상당한 길이를 가지고 롤 상태의 보강포(4)를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서 사용한다.
따라서, 보강포(4)는 보강포들(4)을 연결하는 이음매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계는 이음매 부분에서 보강포(4)의 일측 끝 부위(4a)와 이에 포개어지는 포강포(4)의 끝 부위(4b) 사이에 양면 테이프(4c)를 개재하여, 양 보강포(4)를 부착하는 단계를 가진다(도2b).
이 양면 테이프(4c)는 보강포(4)를 구조물(200)에 고정시키고 함침재(6)를 함침시킴으로서 방수막(8)이 건조 형성되기까지 보강포(4)의 양 끝 부위(4a, 4b)를 일시적으로 고정시켜 준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단계에서 사용되는 보강포(4)는 방향성을 가지지 않아 상하 좌우로 고른 인장 강도를 가지는 부직포로 형성되거나, 함침재(6)의 함침 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하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시트로 형성된다.
제2 단계는 이와 같은 보강포(4)에 함침재(6)를 도포하여 함침시킴으로써 보강포(4)와 이에 함침된 함침재(6)에 의하여 방수막(8)을 형성한다(도3 참조). 이 함침재(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롤(10)로 도포된다. 또한 함침재는 분사장치에 의하여 분사되어 도포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 방수막(8)은 함침재(6)가 보강포(4)를 통하여 배어 나올 정도로 충분히 함침됨으로써 방수막(8)을 형성함과 아울러 구조물(200)의 표면에 밀착된다. 이 방수막(8)은 외부의 수분이 구조물(2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방수막(8)은 고정부재(2)에 의하여 구조물(200)에 고정되었지만, 고정부재(2)가 없는 부분에서는 구조물(200)과 분리될 수도 있다. 즉 구조물(200)의 거동시, 고정부재(2)에 의하여 고정된 부분의 방수막(8)은 고정부재(2)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조물(200)과 같이 거동되지만, 고정부재(2)가 구비되지 않는 부분의 방수막(8)은 구조물(200)과 분리되어 구조물(200)의 거동에도 불구하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방수막(8)은 거동되는 부분과 거동되지 않는 부분 사이에서 소정의 팽 창 또는 수축 변형을 일으켜 구조물(200) 거동에 의한 차이를 흡수하게 된다. 이 방수막(8)은 습윤 바탕의 구조물(200)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막(8)이 구조물(200)의 거동에도 불구하고 방수 구조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짐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4)는 부직포 또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시트로 이루어지는 원활한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함침재(6) 또한 이러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 일례로써, 함침재(6)는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 아크릴, 부틸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로 이루어진다.
이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로 이루어지는 함침재(6)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보강포(4)에 충분히 함침시킨 후 즉,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가 부직포의 도포 방향 반대 표면으로 배어 나올 정도로 도포한 후, 약 24시간 자연 건조시키면, 방수막(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함침재(6)로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를 사용함으로써, 이액형 유성 폴리우레탄 계열의 방수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들 즉, 용제 휘발에 따른 환경오염 및 작업자의 유해요인에 노출되는 것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보강포(4)의 건조 상태에 관계없이 함침재(6)를 수 차례 함침 도포하여 충분한 도막 두께를 확보함으로써, 소비자와 시공자 사이에서 발생되는 도막 두께에 대한 시비를 제거하고, 시공 품질을 향상시킨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00)이 비노출되는 경우, 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은 구조물(200)에 보강포(6)를 설치하고 이에 함침재(6)를 함침시켜 방수막(8)을 형성한 후, 방수막(8) 및 구조물(200)을 다시 메워 주위의 땅(100)과 같은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또한, 구조물(200)이 노출되는 경우에도 본 구조물의 방수 공법은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완료할 수도 있으나, 방수 기능 향상과 미관을 위하여 추가 공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 예로써, 일 실시예의 방수 공법은 방수막(8)에 중도재(12)를 도포하는 제3 단계(도3 참조)와, 이 중도재(12)에 바닥재(14)를 도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도5참조).
예를 들면, 중도재(12)는 수용성 아크릴로 형성되고, 바닥재(14)는 수용성 도료로 형성된다. 중도재(12)는 방수막(8) 상에 형성되어 바닥재(14)의 원활한 도포를 가능하게 한다. 바닥재(14)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수 공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방수 구조는 구조물(200)의 표면에 고정되는 보강포(4)와 이 보강포(4)에 함침되는 함침재(6)에 의하여 형성되는 방수막(8)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방수막(8)에 형성되는 중도재(12)와 이 중도재(12)에 형성되는 바닥재(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방수 구조에서, 방수막(8)과 구조물(200)은 고정부재(2)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방수막(8)이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구조물(200)의 거동시, 방수 막(8)은 거동되는 부분과 거동되지 않는 부분을 가지게 되고, 이 두 부분 사이에서 변형이 일어나며, 그 변형된 상태로 구조물(200)의 방수 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 사용되는 함침재(6)의 대표적 실시예인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의 조성물과 제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용성 고무화 아스팔트는 주제와 보조제 및 미량 물질로 이루어진다.
주제는 아스팔트 33.0-60.0, 유화제 0.1-1.0, 정수 3.0-10.0,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수지 20.0-40.0, 소포제 0.5-2.0, 흐름 방지제 1.0-5.0 중량%, 보조제는 정수 5.0-8.0, 가성소다 0.02-0.08, 유화 아스팔트 안정제 0.05-0.1 중량%이다. 미량 물질은 0.1-0.8 중량%이다.
작업 온도를 120도씨에 60도씨 사이에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된 탱크와 이에 교반기를 구비한 혼합기가 사용된다.
먼저, 이 혼합기를 세정하고, 아스팔트를 120도씨 이하에서 55중량%를 투입하여 지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교반기를 600rpm으로 조정하여 정수 3중량%, 유화제 0.5중량%를 투입하여 교반한다.
온도를 80도씨로 조정하여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 수지 30중량%를 투입하고 40도씨 이하로 냉각한다.
40도씨 이하에 도달된 후 PH, 점도 등을 검사하고 저속으로 교반하면서 소포제 0.8중량%를 투입하고 흐름 방지제 2중량%를 투입하여 완전 혼합시키고 흐름성을 검사한다.
적정 흐름성이 확보된 것을 확인한 후, 점도를 2500cps 이하로 조정하고 PH, 고형성분 등을 검사하여 주제를 포장한다.
이때 사용되는 소포제는 미네랄 오일 타입이며, 유화 아스팔트 안정제는 트리에탄올아민 계열이다. 흐름 방지제는 유화 아스팔트 안정제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순수 실리카를 사용한다.
보조제는 별도 프라스틸 용기에 정수 6중량%, 가성소다 0.04중량%, 유화 아스팔트 안정제 0.07중량%를 혼합하여 50도씨 유지하여, 500rpm으로 20분간 교반한 후, 30도씨 이하가 되면 프라스틱 포장재에 300g씩 소분 포장한다.
시공시 주제와 보조제를 지정 비율로 혼합하여 도포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표면에 보강포를 대고 고정부재를 박아서 보강포를 설치하고 이 보강포에 함침재를 함침시켜 방수막을 형성함으로써, 구조물 상에서 방수막이 복수의 점들로 고정되므로 구조물의 표면 처리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아 구조물의 다양한 표면 상태에 시공 가능하며, 또한 구조물 거동 시, 방수막과 구조물이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방수막의 찢김이 방지되므로 습윤 바탕 구조물의 거동에 대응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구조물의 표면에 보강포를 대고 고정부재로 보강포를 구조물에 설치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보강포에 함침재를 함침시켜 상기 보강포와 함침재에 의한 방수막을 형성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함침재는,
    아스팔트 33.0-60.0, 유화제 0.1-1.0, 정수(淨水) 3.0-10.0,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수지 20.0-40.0, 소포제 0.5-2.0, 흐름 방지제 1.0-5.0 중량%의 주제와,
    정수(淨水) 5.0-8.0, 가성소다 0.02-0.08, 유화 아스팔트 안정제 0.05-0.1 중량%의 보조제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 물질 0.8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방수 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강포를 구조물의 표면에 펼쳐 대고,
    상기 고정부재의 박힘부를 상기 보강포를 관통하여 구조물에 박아서,
    상기 박힘부의 끝 부위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의 누름부로 상기 보강포를 누르게 하는 구조물의 방수 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강포의 일측 끝 부위와, 이에 포개어지는 다른 보강포의 끝 부위 사이를 양면 테이프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방수 공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강포로 부직포를 사용하는 구조물의 방수 공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보강포로 다공성 폴리우레탄 시트를 사용하는 구조물의 방수 공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에 중도재를 도포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방수 공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중도재로 수용성 아크릴을 사용하는 구조물의 방수 공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도재에 바닥재를 도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방수 공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바닥재로 수용성 도료를 사용하는 구조물의 방수 공법.
  11.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되는 보강포,
    상기 보강포를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보강포에 함침되어 방수막을 형성하는 함침재를 포함하며,
    상기 함침재는,
    아스팔트 33.0-60.0, 유화제 0.1-1.0, 정수(淨水) 3.0-10.0,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수지 20.0-40.0, 소포제 0.5-2.0, 흐름 방지제 1.0-5.0 중량%의 주제와,
    정수(淨水) 5.0-8.0, 가성소다 0.02-0.08, 유화 아스팔트 안정제 0.05-0.1 중량%의 보조제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 물질 0.8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방수 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는 부직포 및 다공성 폴리우레탄 시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방수 구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의 일측 끝 부위와, 이에 포개어지는 다른 보강포의 끝 부위 사이는 양면 테이프로 부착되는 구조물의 방수 구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보강포를 관통하여 구조물에 박히는 박힘부와,
    상기 박힘부의 끝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보강포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방수 구조.
  15. 삭제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방수막에 도포되는 중도재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방수 구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중도재는 수용성 아크릴로 형성되는 구조물의 방수 구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중도재에 도포되는 수용성 바닥재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방수 구조.
  19. 아스팔트 33.0-60.0, 유화제 0.1-1.0, 정수(淨水) 3.0-10.0, 스티렌 부타디엔 공중합수지 20.0-40.0, 소포제 0.5-2.0, 흐름 방지제 1.0-5.0 중량%의 주제와,
    정수(淨水) 5.0-8.0, 가성소다 0.02-0.08, 유화 아스팔트 안정제 0.05-0.1 중량%의 보조제와,
    기타 불가피한 불순 물질 0.8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함침재의 조성물.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미네랄 오일 타입인 함침재의 조성물.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유화 아스팔트 안정제는 트리에탄올아민 계열인 함침재의 조성물.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흐름 방지제는 순수 실리카인 함침재의 조성물.
KR1020050123758A 2005-12-15 2005-12-15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 KR10077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758A KR100771196B1 (ko) 2005-12-15 2005-12-15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758A KR100771196B1 (ko) 2005-12-15 2005-12-15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700A KR20070063700A (ko) 2007-06-20
KR100771196B1 true KR100771196B1 (ko) 2007-10-29

Family

ID=38363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758A KR100771196B1 (ko) 2005-12-15 2005-12-15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784B1 (ko) 2009-07-10 2011-12-23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단열복합방수시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복합방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737B1 (ko) * 2011-02-09 2013-07-03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방수방식 공법 및 그 구조물
KR101253524B1 (ko) * 2012-10-08 2013-04-11 유한회사 한길이엔텍 2액형 변성 폴리머계 고무아스팔트 에멀전을 이용한 스프레이 도막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도막 방수공법
KR102382175B1 (ko) * 2021-05-26 2022-04-04 이수근 옥상 또는 지붕의 차열 보수 공법
KR102451027B1 (ko) * 2021-10-15 2022-10-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동시포설용 개질 유화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768A (ko) * 2001-06-13 2002-12-18 주식회사 삼호특수 시트를 이용한 도막방수층의 이음부 마감공법 및 그마감구조
KR20030044644A (ko) * 2001-11-30 2003-06-09 (주)아텍스 부직포 및 플라스틱콘을 보강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20040018003A (ko) * 2002-08-24 2004-03-02 주식회사 삼원케미칼 방수시공방법
KR100475763B1 (ko) 2002-02-04 2005-03-10 일화기업 주식회사 강화섬유직포 및 합성수지 보강재료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방수 및 방식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768A (ko) * 2001-06-13 2002-12-18 주식회사 삼호특수 시트를 이용한 도막방수층의 이음부 마감공법 및 그마감구조
KR20030044644A (ko) * 2001-11-30 2003-06-09 (주)아텍스 부직포 및 플라스틱콘을 보강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0475763B1 (ko) 2002-02-04 2005-03-10 일화기업 주식회사 강화섬유직포 및 합성수지 보강재료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방수 및 방식공법
KR20040018003A (ko) * 2002-08-24 2004-03-02 주식회사 삼원케미칼 방수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784B1 (ko) 2009-07-10 2011-12-23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단열복합방수시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복합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700A (ko)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948B2 (en) Method of preparing a substrate to receive a covering
CA2446047C (en) Non-cellular adhesive for composite roof structure
KR100771196B1 (ko)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
US20080187671A1 (en) Method of waterproof and floor construction by using thixotropic urethane and fabric sheet
US20120198787A1 (en) Pre-pav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KR101241940B1 (ko)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101733535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156624B1 (ko) 연질 고무아스팔트계 도막재와 그 제조방법
KR100324364B1 (ko) 폴리우레아 방수시트 및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942977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 및 단열 복합 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및 단열 복합 시공공법
KR100845296B1 (ko) 복합형 수팽창 고무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 고무시트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1889329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KR20100058928A (ko) 양면 부착형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742919B1 (ko)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CN108868187B (zh) 一种电梯井渗漏水修缮系统的施工方法
KR100907647B1 (ko)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방수시트
KR102071458B1 (ko) 친환경 도막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20170108616A (ko)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0323119B1 (ko) 지붕 마감구조, 아스팔트 시트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공법
KR102094106B1 (ko)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JP6095842B1 (ja) 橋梁の床版遊間止水・床版防水構造
KR100473730B1 (ko) 우레아고분자수지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체의방수시공방법 및 콘크리트구조체의 표면방수구조.
KR102047112B1 (ko)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노출형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200421872Y1 (ko)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JP2001200548A (ja) 地下構造物壁面の先防水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