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872Y1 -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 Google Patents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872Y1
KR200421872Y1 KR2020060011896U KR20060011896U KR200421872Y1 KR 200421872 Y1 KR200421872 Y1 KR 200421872Y1 KR 2020060011896 U KR2020060011896 U KR 2020060011896U KR 20060011896 U KR20060011896 U KR 20060011896U KR 200421872 Y1 KR200421872 Y1 KR 200421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building
finishing structure
waterproofing
adhes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희
Original Assignee
신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희 filed Critical 신정희
Priority to KR2020060011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8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8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joint fil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고안은 외부마감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채움재에 있어서, 단면이 원통형 혹은 사각형의 스티로품을 사용하되,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자른 백업재와 상기 백업재의 자른면을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밀착시키는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를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접착시키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지기에 본 고안은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 실링작업시 일부 공간을 채워주는 역할만을 하는 백업재에 방수성능을 갖게함으로써 공사후 실링이 손상되었을시에도 건축물에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 효과를 갖는다.
알루미늄시트판넬, 벤토나이트

Description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A Filler with water proofing properties, and a structure of water proofing properties on a building's exterior finish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시트판넬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시트판넬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의 공정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판넬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판넬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의 공정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채움재 110.... 백업재
120.... 접착부재 130.... 방수부재
200.... 판넬부 300.... 실링재
410.... 하지철물 420.... 지지부
430.... 고정부재 500.... 석재판넬
본 고안은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백업재에 방수성능을 확보케 하고 또한 이를 사용한 건축물의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 기존의 방수기능을 수행하는 실링재의 손실에 불구하고 건축물에 있어 누수방지 및 건축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에는 외관을 미려하게함과 아울러 벽체를 보호하는 외장재가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외장재는 금속계와 비금속계로 대별되며, 이중 금속계 외장재로는 알루미늄, 스텐레스 또는 아연강판 등이 사용되며, 비금속계 외장재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와, 유기질, 세라믹을 이용한 타일의 복합판넬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외장재에서 알루미늄이 대표적인 소재로써 널리 사용되는 것은 알루미늄의 특성에 그 이유가 있다. 타소재에 비하여 경량이며 부식에 강하고 가공성, 시공성이 뛰어나며 100% 재활용이 가능한 환경친화적인 소재이다.
이러한 강점으로 알루미늄 시트판넬은 대형 고층빌딩이나 소형건축물에서도 두루 사용되고 있으며 기술적인 측면이나 활용도에서 어떤 조건의 건축물이라도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내구성 불소수지 알루미늄시트를 사용한다.
방수란 건축 및 토목에 있어서 그 구조물의 사용 목적이나 내구성 유지를 위하여 내부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거나 오염수 등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을 말하며 이것은 단지 구조물 내부로 물이 새어나오는 것만을 막자는 의미만은 아니다. 사전적인 의미의 방수는 '물이 새어나오는 것이나 넘쳐 흐르지 못하게 하는 것' 이지만 건축, 토목적인 방수의 개념은 물이 새어나오는 것이나 넘쳐 흐르지 못하게 하는 의미를 넘어 '물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여 그 구조물의 내구성을 유지 시키고, 오염된 물이 지하수에 유입되거나, 주변 환경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방수는 그 공사 방법에 따라 크게 내방수 공법과 외방수 공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방수 자재의 사용에 따라 구체 방수, 액체 방수, 아스팔트 방수, 도막 방수, 침투성 방수, 벤토나이트 방수등으로 구분한다.
구체방수란 콘크리트 타설 시 혼화재를 첨가하여 수밀 콘크리트를 만들어 시공하는 방법이며 액체방수란 시멘트 모래 물. 배합의 몰탈에 무기질 또는 유기질의 방수재를 혼합하여 만든 몰탈을 콘크리트 구체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이며 아스팔트방수란 피막 방수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융용한 아스팔트 펠트나 아스팔트 루핑, 또는 특수 아스팔트 루핑 등을 번갈아 가며 적층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며 도막방수란 액상의 역청질 또는 고분자계 재료를 구조물에 여러번 도포하여 이음부가 없는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며 시트방수란 플라스틱이나 합성고무의 얇은 쉬트를 접착제로 구조물에 부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며 벤토나이트방수란 벤토나이트를 제품화시켜(쉬트, 매트, 패널등)구조물에 못으로 고 정하여 방수막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외장 알루미늄시트 판넬시공에 있어서의 방수는 종래의 외장마감방법에 있어 알루미늄시트를 건축물 외부의 하지철물에 고정후 시트와 시트사이를 충진재를 삽설한후 실링재를 사용하여 코팅 방수하는 공법을 사용하였으며 또한 외장 석재판넬 시공에 있어서의 방수는 건축물 외부에 구조물을 설치후에 석재판넬을 끼우게 되고 상기 2이상의 석재판넬이 맞닫는 부위에 생기는 줄눈에 실링재를 사용하여 코팅 방수하는 공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링재의 코팅 마감의 경우 실링재가 갈매기, 까치등의 조류에 의해서 발생되는 손실 및 시공후 오랜 시간의 경과에 의한 자연 손실등으로 실링이 얇아지고 틈이 생기게 되어 그틈으로 누수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건축물 전체적으로 구조물이 산화하여 부식함으로써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 될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청결하지 못하고 세균번식의 우려가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5-8935호에는 알루미늄판재의 4변에 알루미늄바가 부착되고, 알루미늄판재의 가장자리와 알루미늄바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건축용알루미늄시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노출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삽입부를 상기 공간에 삽입한 다음, 알루미늄판재의 측면과 접촉면 사이에 투명실리콘을 주입하여 고정할 수있도록 된 단면이 " "형상(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임)으로 건축용 알루미늄 시트의 연결부재가 개시되었으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새로운 구성요소를 설치함으로써 공사시간이 길어지며 방수 효과면에 있 어서는 시공후 장기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누수의 위험성은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실링재의 손실이 있는 경우에도 건축물에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를 이용함으로써 알루미늄시트판넬을 사용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를 이용함으로써 석재판넬을 사용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는 외부마감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채움재에 있어서, 단면이 원통형 혹은 사각형의 스티로품을 사용하되,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자른 백업재와 상기 백업재의 자른면을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밀착시키는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를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접착시키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방수부재는 고강도 폴리프로필렌(HDPE)필름위에 벤토나이트가루와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져 압축되고 결착되어 지는 벤토나이트방수시트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는 알루미늄시트판넬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외벽에 설치된 하지철물과 양측부가 절곡연장되어 있는 알루미늄시트판넬을 2개로하여 절곡연장 단부를 맞대고 각각 단부를 고정핀으로 하지철물의 상부에 고정시킨 판넬부와 상기 판넬부에 절곡되어 생긴 공간에 삽설되는 외부마감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채움재에 있어서, 단면이 원통형 혹은 사각형의 스티로품을 사용하되,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자른 백업재와 상기 백업재의 자른면을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밀착시키는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를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접착시키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위에 도포되는 실링재로써 마감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는 석재판넬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외벽에 설치되고 돌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석재판넬과 상기 석재판넬 2이상이 맞닫아 생긴 공간에 삽설되는 외부마감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채움재에 있어서, 단면이 원통형 혹은 사각형의 스티로품을 사용하되,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자른 백업재와 상기 백업재의 자른면을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밀착시키는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를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접착시키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위에 도포되는 실링재로써 마감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수부재는 고강도 폴리프로필렌(HDPE)필름위에 벤토나이트가루와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져 압축되고 결착되어지는 벤토나이트방수시트로 하고 상기 실링재는 실리콘실링재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백업재(110)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등으로 만들어지는 독립기포체로 적정한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형상은 각형, 둥근형이 사용 될 수 있다. 상기 백업재(110)는 일반적으로 직경 20mm~30mm의 원통형과 가로, 세로 20mm X 20~30mm의 사각기둥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잘라 자른후 상기 백업재(110)의 자른면을 하향하여 위치시키고 자른면에 밀착시키는 접착부재(120)를 사용하여 방수부재(130)를 결착시킬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접착부재(120)는 바람직하게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성분을 갖는 합성수지인 접착제일수있으며 상기 방수부재(130)는 바람직하게는 벤토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수 있으며 또한 고강도 폴리프로필렌(HDPE)필름위에 벤토나이트가루와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져 압축되고 결착되어지는 벤토나이트방수시트일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시트판넬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시트판넬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의 공정흐름도이다.
알루미늄시트판넬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외벽에 하지철물(410)을 설치(공정 S1)한후 양측부가 절곡연장되어 있는 알루미늄시트판넬을 2개로하여 절곡연장 단부를 맞대고 각각 단부를 고정핀으로 하지철물(410)의 상부에 고정시켜 판넬부(200)를 형성한다.(공정 S2) 이 경우 상기 고정핀은 피스 또는 고정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판넬부(200)에 절곡되어 생긴 공간에 채움재(100)를 삽설(공정 S3)하게 되는데 이 경우 채움재(100)는 외부마감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백업재(110)를 그단면이 원통형 혹은 사각형의 스티로품을 사용하며 상기 백업재(110)의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자른 백업재(110)와 상기 백업재(110)의 자른면을 하단으로 위치시킨후 자른면에 접착시키는 접착부재(120)와 상기 접착부재(120)의 하단면에 접착시키는 방수부재(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채움재(100)의 삽설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채움재(100) 위에 실링재(300) 마감을 할 수 있다(공정 S4). 이경우 상기 접착부재(120)는 바람직하게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성분을 갖는 합성수지인 접착제일수있으며 상기 방수부 재(130)는 바람직하게는 벤토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수 있으며 또한 고강도 폴리프로필렌(HDPE)필름위에 벤토나이트가루와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져 압축되고 결착되어지는 벤토나이트방수시트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실링재(300)는 실리콘실링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판넬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판넬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의 공정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석재판넬 건식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는 건축물외벽에 돌출되는 지지부(420)를 설치한다(공정 T1). 상기 지지부(420)는 건축물외벽에 앙카에 의해 고정되어 건축물외부로 돌출되어있는 L앵글과 상기 L앵글에 근각볼트 및 너트로 결착되는 조정판과 상기 조정판에 연결되고 석재판넬(500)을 지지 및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부재(4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석재판넬(500)을 상기 지지부(42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재(430)에 끼우게 된다(공정 T2). 이후 석재판넬(500)이 2이상이 맞닫아 생긴 공간(줄눈)에 채움재(100)를 사용할 수 있다(공정 T3). 상기 채움재(100)는 단면이 원통형 혹은 사각형의 스티로품을 사용하되,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자른 백업재(110)와 상기 백업재(100)의 자른면을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밀착시키는 접착부재(120)와 상기 접착부재(120)를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접착시키는 방수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100)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채움재(100) 위에 실링재(300)를 도포하여 마감한다(공정 T4). 이경우 상기 접착부재(120)는 바람직 하게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성분을 갖는 합성수지인 접착제일수있으며 상기 방수부재(130)는 바람직하게는 벤토나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일수 있으며 또한 고강도 폴리프로필렌(HDPE)필름위에 벤토나이트가루와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져 압축되고 결착되어지는 벤토나이트방수시트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실링재(300)는 실리콘실링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 실링작업시 일부 공간을 채워주는 역할만을 하는 백업재에 방수성능을 갖게함으로써 실링이 손상되었을시에도 건축물에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 효과가 있다.
또한 본고안은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판넬 외장 마감 시공시 실링재가 손상되어 빗물등이 누수가 되는 경우라도 채움재의 벤토나이트는 습윤시 팽창을 함으로써 알루미늄시트판넬의 시공시 생긴 이음간격을 메워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이후에 발생하는 크랙까지 침투하는 능력이 있어 꾸준히 방수 능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벤토나이트는 천연 무기질 광물로써 시간의 경과나 주위의 물질에 의해 화학적 변화가 적어 노화나 부식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방수 능력이 영구히 지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고안은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를 사용하여 석재판넬 마감 시공시에 사용함으로써 석재판넬 줄눈의 실링재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어 지지부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어 석재판넬시공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외부마감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채움재에 있어서,
    단면이 원통형 혹은 사각형의 스티로품을 사용하되,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자른 백업재와;
    상기 백업재의 자른면을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밀착시키는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를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접착시키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고강도 폴리프로필렌(HDPE)필름위에 벤토나이트가루와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져 압축되고 결착되어지는 벤토나이트방수시트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
  3. 알루미늄시트판넬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외벽에 설치된 하지철물과;
    양측부가 절곡연장되어 있는 알루미늄시트판넬을 2개로하여 절곡연장 단부를 맞대고 각각 단부를 고정핀으로 하지철물의 상부에 고정시킨 판넬부와;
    상기 판넬부에 절곡되어 생긴 공간에 삽설되는 외부마감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채움재에 있어서, 단면이 원통형 혹은 사각형의 스티로품을 사용하되,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자른 백업재와 상기 백업재의 자른면을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밀착시키는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를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접착시키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 및;
    상기 채움재 위에 도포되는 실링재로써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4. 석재판넬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건축물외벽에 설치되고 돌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석재판넬과;
    상기 석재판넬 2이상이 맞닫아 생긴 공간에 삽설되는 외부마감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채움재에 있어서, 단면이 원통형 혹은 사각형의 스티로품을 사용하되, 일측면을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자른 백업재와 상기 백업재의 자른면을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밀착시키는 접착부재와 상기 접착부재를 하향하여 위치시킨후 그 하면에 접착시키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 및;
    상기 방수 성능을 갖는 채움재 위에 도포되는 실링재로써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고강도 폴리프로필렌(HDPE)필름위에 벤토나이트가루와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져 압축되고 결착되어지는 벤토나이트방수시트로 하고 상기 실링재는 실리콘실링재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 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KR2020060011896U 2006-05-03 2006-05-03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KR200421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896U KR200421872Y1 (ko) 2006-05-03 2006-05-03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896U KR200421872Y1 (ko) 2006-05-03 2006-05-03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893 Division 2006-05-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872Y1 true KR200421872Y1 (ko) 2006-07-18

Family

ID=4177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896U KR200421872Y1 (ko) 2006-05-03 2006-05-03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8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1053B1 (en) Reinforced water-resistant board
Chew Maintainability of Facilities: Green FM for Building Professionals Second Edition
Lin Maintainability of facilities: for building professionals
KR101295029B1 (ko) 섬유로드를 이용한 역시공 건축 공법
KR20090095826A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욕실용 방수시스템
KR100512119B1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PL210549B1 (pl) Sposób powlekania elementów budowlanych wykonanych na bazie cementu i powlekany element kształtowy na bazie cementu
KR100771196B1 (ko) 구조물의 방수 공법, 방수 구조, 및 함침재의 조성물
CN112081493A (zh) 一种卫生间淋浴房止水反坎组件及其施工方法
KR100231910B1 (ko) 휨 및 표면충격 강도가 강화된 건축용 패널및 그 제조방법
KR200421872Y1 (ko) 방수성능을 갖는 채움재와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외장마감구조에 있어서 방수 구조
US2013022791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textured tile flooring product
KR20070085022A (ko) 옥상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KR100323119B1 (ko) 지붕 마감구조, 아스팔트 시트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공법
KR20120077760A (ko) 건축물의 방수 시공 방법
CN201183998Y (zh) 耐碱过墙地沟结构
KR200189604Y1 (ko) 바닥구조
CN200949288Y (zh) 与建筑物共存的生物防水种植屋面
KR100412013B1 (ko) 폴리머콘크리트를 주원료로하는 프리캐스트 트렌치 및이를 이용한 바닥배수구조
KR102632096B1 (ko)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US11685140B2 (en) Non-wicking underlayment board
KR20230141005A (ko) 공동주택 발코니의 반건식 바닥구조 및 시공방법
KR200290838Y1 (ko) 건축 구조물 내, 외장용 석재의 보강판
KR100463025B1 (ko) 건축 구조물 내, 외장용 석재의 보강판
JP2005240347A (ja) 部屋の耐水性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