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515B1 -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라벨 및 이와 관련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라벨 및 이와 관련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515B1
KR100770515B1 KR1020057022256A KR20057022256A KR100770515B1 KR 100770515 B1 KR100770515 B1 KR 100770515B1 KR 1020057022256 A KR1020057022256 A KR 1020057022256A KR 20057022256 A KR20057022256 A KR 20057022256A KR 100770515 B1 KR100770515 B1 KR 100770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fabric
transponder
fabric layers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613A (ko
Inventor
프란시스코 스파이크
Original Assignee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1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2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materials, e.g. to avoid wear during transport through the machi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28Tag details
    • G08B13/2434Tag housing and attachment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28Tag details
    • G08B13/2437Tag layered structure, processes for making layered tags
    • G08B13/244Tag manufacturing, e.g. continuous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만들어지며, 적어도 두 개의 직물층들(4, 6) 사이에 배치되는 트랜스폰더(8)를 포함하는 라벨이 개시된다. 이 직물층들은 적어도 두 개의 마주보는 변들(10, 12)상에서 상호 결합된다. 단순한 방법으로 본 라벨을 생산가능하도록, 직물층들(4, 6)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되며, 적어도 점용접(14, 16)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마주보는 변들(10, 12)상에서 상호 결합된다.
라벨, 스트립, 직물, 트랜스폰더, 편직, 직조.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라벨 및 이와 관련된 제조장치{LABEL MADE OF POLYESTER FIBERS, AND INSTALLATION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라벨과, 제8항의 특징부에 따른 상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형태의 라벨에 관한 하나의 예가 WO 제94/29503호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라벨은 종측변을 따라 상호 직조된 두 개의 직물층을 갖고 있으며, 그 두 개의 직물층 사이에는 트랜스폰더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라벨을 생산하기 위하여, 스트립이 직조기에서 생산되고, 적어도 일정 영역에서 두 개의 층으로 형성되며, 그 사이에서는 공동(空洞)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적어도 두 개의 부분단계로 분할되어 생성된다. 제 1 부분단계에서는, 편물조각의 선두부가 이중층영역에서 개구상태의 포켓으로 형성되고, 직조공정이 정지된 후 트랜스폰더가 포켓의 개구를 통하여 포켓의 내부로 인입된다. 제 2 부분단계에서, 포켓의 폐쇄부를 통해 편물조각의 말단부가 이중층영역에서 생성되면서, 닫힌 공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트랜스폰더를 포켓에 포함시켜 종료한다. 최종적으로, 트랜스폰더가 제공된 직물은 개개의 편물조각으로 절단되어, 소위 라벨을 형성한다. 트랜스폰더를 받아들이는 공동은 라벨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편물 확장기에 의하여 양 측 각각에서 결합된다. 또한, 라벨상에는 그림 또는 숫자형태 등의 표현물이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중층구조의 스트립이 생산되어야하고, 공동이 닫혀지기 이전에 트랜스폰더의 인입으로 직조공정이 중단되기 때문에, 상기의 라벨생산은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직조기구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물을 인도하는 확장기 및 압착장치가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선두장소에서 트랜스폰더가 상기 공동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직조기구를 조심하게 살펴야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상술된 단점들을 회피하면서 라벨 및 라벨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다음에 의해 획득된다:
a) 상기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따르는 라벨;
b) 제8항에 따르는 장치.
트랜스폰더를 갖는 라벨의 제조가 두 개의 직물층들의 제조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각 제조공정 자체가 최적화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데, 다시 말하면, 각각의 직물층에서의 직조공정이 트랜스폰더의 삽입단계에 의해 더이상 중단되지 않게되며, 두 개의 직물층사이의 트랜스폰더의 삽입동안 라벨제조가 완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청구항 제2항 내지 제7항에서는 라벨의 향상된 한정발명이 특정되고, 제9항 내지 제14항에서는 라벨의 제조장치에 대한 향상된 한정발명이 특정된다.
일반적으로, 공동은 트랜스폰더를 양변, 바람직하게는 종측변들에서만 받아들이고, 나머지 두 개의 측변들은 개방상태로 둘 수도 있다. 또한, 청구항 제2항의 한정에서와 같이, 직물층들을 점용접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에서 한번 더 상호 결합시키면 더욱 효과적이다.
직물층들의 점용접은 결합이음매가 유연적이고, 따라서 라벨이 불균일성에 보다 잘 순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을 가져다준다. 더군다나, 용접결합이음매는 부드럽기때문에, 의류에 배치되는 경우 라벨의 착용감에 있어서 보다 향상된 편안함을 제공해준다. 하지만, 이러한 용접이음매는 청구항 제3항에 따르는 바와 같이 필요하다면 연속용점이음매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또한, 점용접이음매 이외에 연속용접이음매를 설치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또한, 종측변과 횡측변의 결합에 있어서, 재봉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결합을 제공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청구항 제4항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은 절단 종변사(cut longitudunal edges)를 갖는 스트립이 된다. 청구항 제5항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은 직조(woven) 또는 편직(knitted) 종변사를 갖는 스트립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라벨은 사실상 설치된 트랜스폰더의 크기로 제한되지만, 청구항 제6항에 따르는 형태, 즉, 반대측변상, 바람직하게는 좁은면상에 트랜스폰더로부터 연장된 스트립 비존재 부분이 존재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보다 더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스트립 비존재 부분은 라벨을 대상물에 견고하게 고착시키는데에 특히 효과적이다.
제7항에 따르면, 라벨의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은 인쇄식(printed) 및/또는 편직 또는 직조식으로 형성된 표현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현물은 정보용 및/또는 장식용도의 역할을 한다.
라벨제조장치는 합체스테이션을 구비하는데, 이 합체스테이션에서, 제 1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제 1 직물 스트립과, 제 2 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제 2 직물 스트립은 이송된 트랜스폰더와 밀접되면서 상호 대향하여 접촉된다. 합체스테이션에는 적어도 직물 스트립들의 종변사의 영역에서, 서로를 대향시키면서 직물 스트립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들이 설치된다.
트랜스폰더의 이송형태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제9항에 따르는 형태와 같이, 직물 스트립등 중의 하나가, 예를 들어, 트랜스폰더에 접착부착되어 미리 장착될 수 있다. 청구항 제10항에 따르면, 제조장치에는, 트랜스폰더를 운송제재로부터 합체스테이션으로 전송시키기 위하여 합체스테이션에 설치된 운반구성부를 가지며, 운송제재상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트랜스폰더용의 제 3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운반구성부로 하여금 트랜스폰더를 직물 스트림들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는 트랜스폰더용의 매거진을 포함하는 제 3 공급장치를 구상할 수도 있다.
청구항 제11항에 따르면, 적어도 제 3 측변에서 트랜스폰더에 대한 공동을 닫기위하여, 합체스테이션은 스트립 이동 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결합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청구항 제12항에 따르면, 연속적인 라벨 스트립으로부터 개별적인 라벨들을 잘라내기 위하여, 스트립 이동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분리장치가 합체스테이션의 하류에 설치된다.
결합장치와 분리장치의 구체적 한정에 대해서는 수 많은 다양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결합장치는 재봉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직물 스트립들을 함께 용접하는 초음파장치를 구상해낼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장치는, 청구항 제13항에 따라 레이져건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분리장치의 형태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가능하며, 특히, 기계적 전단력에 의한 방법과는 동떨어진, 열절단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라벨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벨을 Ⅱ-Ⅱ선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제 2 라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라벨의 제 1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라벨의 제 2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2: 라벨 2a: 라벨
4: 제 1 직물층 6: 제 2 직물층
8: 트랜스폰더 10: 종변사
12: 종변사 14: 점용접이음매
16: 점용접이음매 18: 공동(空洞)
20: 횡측(橫側)변 20a: 횡측변
22: 횡측변 22a: 횡측변
24: 용접이음매 26: 용접이음매
28: 스트립 조각 30: 스트립 조각
32: 횡측이음매 34: 횡측이음매
40: 합체장치 42: 제 1 공급장치
44: 제 1 직물 스트립 44a: 제 1 직물 스트립
46: 제 2 공급장치 48: 제 2 직물 스트립
50: 편향롤러 52: 편향롤러
54: 제 3 공급장치 56: 운송제재
58: 공급롤러 60: 운반구성체
61: 권취롤러 62: 운반장치
64: 지지롤러 66: 스프링장치
68: 압착롤러 70: 결합장치
72: 분리장치 74: 라벨 스트립
76: 수거 콘테이너 78: 받침대
도 1 및 도 2에서는 제 1 라벨(2)이 도시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제 1 직물층(4)과 제 2 직물층(6)사이에 트랜스폰더(8)가 포함되고 있다. 종변사(longitudinal edges; 종측 끝마무리)(10, 12)와 직물층들(4, 6)은 점용접이음매(14, 16)에 의해서 상호 결합되어 공동(空洞)(18)을 형성하며, 이 공동내에는 트랜 스폰더(8)가 배치된다. 횡측(橫側)변들(20, 22)과 직물층들(4, 6)은 열에 의해 절단되며, 이로 인하여, 직물층들(4, 6)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용접이음매들(24, 26)이 생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라벨(2a)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었던 라벨(2)와 거의 일치하지만, 트랜스폰더(8)가 존재하지 않으면서 라벨을 기저면에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트립조각(28, 30)에 의해 트랜스폰더(8) 또는 공동(18)이 종축방향으로 결합된 점이 다르다. 공동(18)을 경계짓기 위하여, 횡측이음매(32, 34)가 횡측변들(20a, 22a)상에 배열된다. 횡측이음매(32, 34)는 기계식 재봉작업이나 점용접 또는 연속용접이음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직물층들 중의 하나에는, 장식용도 및/또는 정보용도로 사용되는 인쇄식 및/또는 편직 또는 직조식으로 형성된 표현물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겠다.
일반적으로, 트랜스폰더는 데이터 캐리어로서, 대체로, 송수신유닛과 마이크로칩을 포함하고 있다. 어떤 트랜스폰더는 자체 전압공급기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이와 같은 트랜스폰더들은 다양한 용도로 디자인되어 사용된다. 그 중에 잘 알려진 하나의 사용분야로서, 소매상거래에서 팔려지는 상품이 절도당하지 않도록 보호하거나 관리하는데에 활용되고 있다.
도 4는 라벨(2, 2a)의 제 1 제조장치에 대하여 도시한다. 라벨제조장치는 합체스테이션(40)을 구비하며, 이 합체스테이션은 제 1 직물 스트립(44)을 위한 제 1 공급장치(42)와 제 2 직물 스트립(48)을 위한 제 2 공급장치(46)에 배치된다. 이 공급장치들(42, 46)은 두 직물스트립들(44, 48)들의 부분정렬을 위한 편향롤러(50, 52)와 합체스테이션(40)의 위쪽과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조장치에는 운송제재(56)상에 배치된 트랜스폰더(8)를 공급롤러(58)로부터 인출해내어 합체스테이션(40)에 공급시키는 제 3 의 공급장치(54)가 구비되며, 운반구성부(60)는 트랜스폰더(8)가 직물스트립들(44, 48)사이의 합체스테이션(40)에 전달되도록 운송제재(56)를 급격하게 편향시키는 롤러로서 형성된다. 비어진 운송제재(56)는 귄취롤러(61)에 의해 감겨진다. 운반장치(62)는, 지지롤러(64)와, 스프링장치(66)에 의해 눌려지는 압착롤러(68)를 포함하며, 이 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구동되어 합체 직물스트립들을 운반시킨다. 각각의 종변사에는, 레이져건 등으로서 형성되어 종변사에서 직물스트립들(44, 48)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70)가 마련된다. 하류 분리장치(72)가 라벨 스트립(74)을 절단하여 개별 라벨들(2)을 만들고, 이 개별 라벨들(2)은 수거콘테이너(76)에서 수거된다. 분리장치(72)는 레이저건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라벨스트립(74)을 절단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이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직물 스트립들(44, 48)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에는 또 다른 하나의 제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도 4에서 도시된 제조장치와 거의 유사하지만, 제 3 공급장치(54)가 생략되고, 제 1 직물 스트립(44)에 트랜스폰더(8)가 미리 장착되어 제공되어진다는 점이 다르다. 그러면, 제 2의, 상부 직물 스트립(48)은 받침대(78)위에 놓여있는 트랜스폰더(8)와 함께 제 1 직물 스트립(44a)위로 위치된다. 이하의 직물 스트립들(44a, 48)들이 결합되는 것은 상기 설명에서의 내용과 동일하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만들어지며, 적어도 두 개의 직물층들(4, 6) 사이에 배치되는 트랜스폰더(8)를 포함하는 라벨은 인쇄식(printed) 및/또는 편직 또는 직조식으로 형성된 표현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정보용 및/또는 장식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두 개의 마주보는 변들(10, 12)에서 상호 결합된 두 개의 직물층들(4, 6)사이에 배치된 트랜스폰더를 구비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만들어진 라벨로서,
    상기 직물층들(4, 6, 44, 44a, 48)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마주보는 변들(10, 12)상에서, 적어도 점용접(14, 16)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들(4, 6)은 적어도 점용접(32, 34)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에서 한번 더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들(4, 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속용접이음매(24, 26)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들(4, 6) 중 적어도 하나는 절단 종변사(cut longitudinal edges)를 갖는 직물 스트립(44, 44a, 48)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들(4, 6) 중 적어도 하나는 직조(woven) 종변사 또는 편직(knitted) 종변사를 갖는 직물 스트립(44, 44a, 48)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변들측에서의 좁은 영역에는 상기 트랜스폰더(8)가 존재하지 않는 스트립 조각들(28, 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들(4, 6)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인쇄식, 편직 또는 직조식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 표현물들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라벨의 제조장치로서, 제 1 공급장치(42)로부터 이송되는 제 1 직물 스트립(44, 44a)과 제 2 공급장치(46)로부터 이송되는 제 2 직물 스트립(48)이 이송된 트랜스폰더(8)와 밀접되면서 서로 대향하여 접촉되는 합체스테이션(40)을 구비하며, 상기 합체스테이션은 적어도 서로 대향된 직물 스트립들의 종변사(10, 12) 영역에서 직물 스트립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들(70)에 배치되는 라벨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70)는 점용접을 실시하기 위한 레이저 건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스트립들(44a) 중 하나는, 접착식 부착방법에 의해 미리 장착된 트랜스폰더(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제조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폰더(8)를 운송제재(56)로부터 상기 합체스테이션(40)으로 전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합체스테이션(40)에 설치된 운반구성부(60)를 가지며, 상기 운송제재(56)상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트랜스폰더용의 제 3 공급장치(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제조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합체스테이션(40)은 스트립 이동 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결합장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스트립 이동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분리장치(72)가 상기 합체스테이션(40)의 하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제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72)는 레이저 건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장치.
  14. 삭제
KR1020057022256A 2003-05-20 2004-03-05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라벨 및 이와 관련된 제조장치 KR100770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900/03 2003-05-20
CH9002003 2003-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613A KR20060017613A (ko) 2006-02-24
KR100770515B1 true KR100770515B1 (ko) 2007-10-25

Family

ID=3345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256A KR100770515B1 (ko) 2003-05-20 2004-03-05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라벨 및 이와 관련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51473A1 (ko)
EP (1) EP1625556A1 (ko)
KR (1) KR100770515B1 (ko)
CN (1) CN1809850A (ko)
BR (1) BRPI0410574A (ko)
CA (1) CA2525963A1 (ko)
WO (1) WO2004104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70044A1 (it) * 2007-01-15 2008-07-16 Gloriatex S R L Metodo di produzione e articolo in tessuto incorporante un trasponder di tracciatura
US20090121880A1 (en) * 2007-11-12 2009-05-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licator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s
US8726911B2 (en) * 2008-10-28 2014-05-20 Rf Surgical Systems, Inc. Wirelessly detectable objects for use in medical proced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9226686B2 (en) 2009-11-23 2016-01-05 Rf Surgical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ccount for transponder tagged objects used during medical procedures
CN102667825A (zh) * 2009-11-25 2012-09-12 艾利丹尼森公司 用于工业加工和护理后处理的rfid服装标签
AU2016200113B2 (en) 2015-01-21 2019-10-31 Covidien Lp Wirelessly detectable objects for use in medical proced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10660726B2 (en) 2015-01-21 2020-05-26 Covidien Lp Sterilizable wirelessly detectable objects for use in medical proced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3247304A4 (en) 2015-01-21 2018-07-11 Covidien LP Detectable sponges for use in medical procedures and methods of making, packaging, and accounting for same
AU2016200928B2 (en) 2015-02-26 2020-11-12 Covidien Lp Apparatuses to physically couple transponder to objects, such as surgical objects,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12644828B (zh) * 2020-12-21 2023-10-24 海峡(晋江)伞业科技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机械化快速贴标设备
DE102021133664A1 (de) * 2021-12-17 2023-06-22 Schreiner Group Gmbh & Co. Kg Kennzeichnungsetikett, Kennzeichnungssystem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ennzeichnungsetiket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4341B1 (en) 1999-04-06 2002-06-11 1175634 Ontario Limited Security t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08632U1 (de) * 1993-06-09 1994-11-10 Friedrich Graf Soehne Gmbh & C Diebstahl-Sicherungssystem für Waren, die aus nähfähigen Bahnen bestehen
EP0692774B1 (en) * 1994-06-13 2000-03-01 Paxar Corporation Fabric security label
JPH0872898A (ja) * 1994-08-31 1996-03-19 Sensormatic Electronics Corp 電子式物品監視タッグ
US5595670A (en) * 1995-04-17 1997-01-21 The Twentyfirst Century Corporation Method of high speed high power welding
US6264577B1 (en) * 1996-08-23 2001-07-2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mart splice
US6395373B2 (en) * 1998-02-11 2002-05-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bel/tag with embedded signaling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using
US6164005A (en) * 1998-05-19 2000-12-26 Norma W. Copeland Portable hunting blind
US6398814B1 (en) * 1998-09-14 2002-06-04 Bionx Implants Oy Bioabsorbable two-dimensional multi-layer composite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S1042571Y (es) * 1999-04-20 2000-08-16 Vergara Miguel Angel Guillo Etiqueta tejida de tejido tubular que contiene un detector antirrobo utilizada en ropa, calzado y objetos de marroquineria.
EP1246152B1 (de) * 2001-03-28 2008-11-19 Latschbacher GmbH Signierelement zum Kennzeichnen von Holz, insbesondere von Baumstämmen
US6789340B2 (en) * 2001-05-11 2004-09-14 C-Line Products, Inc. Display holder for mounting items on fabric or non-woven fibrous surfaces
ATE358862T1 (de) * 2001-05-15 2007-04-15 Pittsfield Weaving Co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f- etiket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4341B1 (en) 1999-04-06 2002-06-11 1175634 Ontario Limited Security ta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9850A (zh) 2006-07-26
US20070051473A1 (en) 2007-03-08
BRPI0410574A (pt) 2006-06-20
KR20060017613A (ko) 2006-02-24
CA2525963A1 (en) 2004-12-02
WO2004104956A1 (de) 2004-12-02
EP1625556A1 (de)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515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라벨 및 이와 관련된 제조장치
CA2265403C (en) Textile length, process for producing one such textile length, and a device for executing this process
US4659614A (en) Ultrasonically bonded non-woven fabric
KR100199906B1 (ko) 용기 운반기구
JP2014510347A (ja) Rfidタグアセンブリ、およびラベル工程
CN109688995B (zh) 伸缩片材、使用该伸缩片材的穿着物品及伸缩片材的制造装置
KR100452568B1 (ko) 일회용 오물 닦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S61500950A (ja) 女性の衛生用品タンポン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9212011B2 (en) Stack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tion of web member
US20090146790A1 (en) RFID tag and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H04101952A (ja) ウエブ製造装置および積層体製造装置
CN102725128B (zh) 密封袋体的方法
JP2007151678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の製造方法
GB2231837A (en) Strapping joint and method for forming it
JP2016158801A (ja) ファスニングテープの製造方法,テープ型の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ファスニングテープ,及びテープ型の使い捨ておむつ
TWI375639B (ko)
TW201348102A (zh) 清掃用纖維網構件的製造裝置、及製造方法
JP2012254602A (ja) 熱接着方法および熱接着装置
CN116619757A (zh) 片状原材料的接合装置
US6241834B1 (en) Method for producing a seam reinforcement
KR101090415B1 (ko) 내피 분리형 다층포대 및 그 제조 방법
US10568484B2 (en) Method for producing cleaning member, and system for producing cleaning member
JP6123798B2 (ja) 包材シートの溶断装置
JP2507402B2 (ja) ティ―バッ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1143A (ja) 中空糸膜束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