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226B1 -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 Google Patents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226B1
KR100769226B1 KR1020070054132A KR20070054132A KR100769226B1 KR 100769226 B1 KR100769226 B1 KR 100769226B1 KR 1020070054132 A KR1020070054132 A KR 1020070054132A KR 20070054132 A KR20070054132 A KR 20070054132A KR 100769226 B1 KR100769226 B1 KR 100769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lock
collecting groove
block body
railroad
cr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07005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1/00Track superstructure adapted for tramways in paved streets
    • E01B21/02Special supporting means; Draining of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4Pavings for railroad level-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7Drai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에 관한 것으로, 건널목에 우수가 고이지 않도록 하여 지반 침하를 막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은, 지면에 안착되며 통행블록 안착부(11)가 구비된 베이스블록 몸체(12), 상기 통행블록 안착부의 좌우 양측 단부에 형성되며 레일(1)이 설치되는 레일 받침부(14), 상기 통행블록 안착부 중앙부에 형성되는 집수홈(15), 상기 베이스블록 몸체의 내부에 일측이 상기 집수홈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매설되며 타측이 하수처리장측의 드레인관과 이음되는 유동관(16)을 포함하는 베이스블록(10)과; 상기 통행블록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면에 요철형 미끄럼방지 매트가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는 통행블록 몸체(22), 상기 통행블록 몸체의 내부에 상기 집수홈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배수홀(23), 상기 통행블록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집수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배수홀(24), 상기 제1배수홀의 상단 입구측에 결합되는 그물망 구조의 그레이팅(25)으로 이루어진 통행블록(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철도, 레일, 건널목, 배수

Description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A DRAINING RAILROAD CROSSING GAT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의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레일, 10 : 베이스 블록
11 : 통행블록 안착부, 12 : 베이스블록 몸체
13,26 : 앵커, 14 : 레일 받침부
15 : 집수홈, 20 : 통행블록
21 : 미끄럼방지 매트, 22 : 통행블록 몸체
23,24 : 배수홀, 25 : 그레이팅
본 발명은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가 건널목 및 지반 내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 함수율 증가에 따른 강도 저하를 막아 지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건널목에는 레일이 설치되는 관계로, 그 레일의 사이에 침목을 설치하여 철도 건널목의 도로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철도 건널목은 한 쌍의 철도 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지면과 철도 레일 간의 높이를 없애기 위한 다수의 침목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 건널목은, 구조적으로 단순히 레일 사이를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우천시 우수가 스폰지 현상에 의해 건널목의 침목과 상기 건널목 아래의 지반에 침투하게 되며, 폭우가 내리거나 이와 같은 현상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지반의 침하가 유발되어 기차의 탈선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건널목의 침목의 함수율이 높을 경우 부식이 빨라지고 통행시 미끄럼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지면과 철도 레일 간의 높이만 없애는 것임에 따라 우천이나 폭설시 우수와 눈이철도 건널목의 침목 표면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철도 건널목을 통 과(횡단)하려는 차량이 미끄러지게 되고, 결국, 차량이 철도 건널목을 탈선함으로써 전복되어 차내 탑승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또한, 철도 건널목을 탈선한 차량을 긴급히 안전한 곳으로 운반하지 않을 경우 철도 레일을 따라 운행하는 기차와 충돌하여 대형의 참사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천시 우수가 철도 건널목에 고이지 않고 하수처리계통으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지반 침하를 막을 수 있는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은, 철도 레일의 경로 상 지면에 설치되며 그 상면에 한 쌍의 레일이 깔리고 내부에 집수홈과 하수처리계통과 연결된 유동관이 형성된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 상부에 안착되어 통행을 유도하며 상기 집수홈과 연통된 배수홀을 갖는 통행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 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100)은, 크게 철도 레일(1)이 설치되는 베이스 블록(10)과, 베이스 블록(10)에 결합되어 통행을 안내하는 통행블록(20)으로 구성되며, 이하 배수를 위한 구조적인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 블록(10)은 평탄화 작업을 통해 조성된 지면(2)에 안착되며 상면 중앙부에 좌우 양측보다 낮은 홈 형태의 통행블록 안착부(11)가 구비된 베이스블록 몸체(12), 베이스블록 몸체(12)의 통행블록 안착부(11)의 좌우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며 제1앵커(13)들이 매설되어 레일(1)이 안착된 후 클립(3)을 통해 고정되는 레일 받침부(14), 베이스블록 몸체(12)의 통행블록 안착부(11) 중앙부에 형성되는 집수홈(15), 베이스블록 몸체(12)의 내부에 일측이 집수홈(15)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매설되며 타측이 하수처리장측의 드레인관(4)과 이음되는 유동관(16), 베이스블록 몸체(12)의 집수홈(15)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매설되는 다수의 제2앵커(17)로 구성될 수 있다.
유동관(16)은 집수홈(15)내에 집수된 우수가 드레인관(4)으로 자연스럽게 배수될 수 있도록 드레인관(4)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관된다.
이러한 구조의 베이스 블록(1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일 수 있고, 집수홈(15)은 부식방지를 위하여 방수제가 코팅될 수 있다.
통행블록(20)은 좌우 양측이 통행블록 안착부(11)의 내측에 배치되는 폭으로 이루어져 베이스블록(10)의 통행블록 안착부(11)에 안착되며 상면에 요철 형태의 미끄럼방지 매트(21)가 볼트(미도시) 등으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제2앵커(17)가 끼워져 조임구(18)를 통해 고정되는 통행블록 몸체(22), 통행블록 몸체(22)의 내부에 집수홈(15)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배수홀(23), 통행블록 본체(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베이스블록(10)의 집수홈(15)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배수홀(24), 제1배수홀(23)의 상단 입구측에 결합되는 그물망 구조의 그레이팅(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행블록 몸체(22)는 정면에서 볼 때 좌우측 상부가 하부보다 돌출되어 클립(3)을 덮는 구조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를 재질로 할 수 있고, 표면에 방수제가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가 원활하도록 제2배수홀(24)은 집수홈(15)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다. 제2배수홀(24)은 통행블록 안착부(11)를 향해 개방된 형태로서 통행블록 안착부(11)와 함께 배수홀을 형성하는 것이며, 통행블록 안착부(11)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집수홈(15)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것이다.
제1배수홀(23)에는 하나 이상의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고, 이 입구에 그레이팅(25)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보행자나 차량이 철도 건널목(100)을 통행할 경우 요철 형태의 미끄럼방지 매트(21)를 밟거나 굴러 지나가기 때문에 비나 눈에 의해 결빙되어도 미끄럼 사고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우천시 우수가 그레이팅(25)을 통해 제1배수홀(23)에 유입되고, 통행 블록(20)과 레일(1) 사이의 틈을 통해 제2배수홀(24)에 유입된다. 제1배수홀(23)에 유입된 우수는 중력에 의해 직하방의 집수홈(15)에 유입되고, 제2배수홀(24)에 유입된 우수는 제2배수홀(24)의 경사를 타고 자연스럽게 집수홈(15)에 유입되어, 제1,2배수홀(23,24)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집수홈(15)에 모이게 된다.
집수홈(15)에 모인 우수는 유동관(16)을 통해 드레인관(4)에 유입되고, 드레인관(4)을 경유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배수된다. 따라서, 철도 건널목(100)에 우수가 고이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25)은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져 제1배수홀(23)의 상단 입구측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고, 집수홈(15)의 내부에는 상부를 향해 개방된 여과망(30)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우수의 배수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단, 우수에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 이물질은 여과망(30)에 모이게 되고, 이때, 그레이팅(25)을 통행블록 몸체(22)에서 분리한 후 여과망(30)을 집수홈(15)에서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집수홈(15)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지 않으므로 원활한 배수를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에 의하면, 우천시 우수가 배수홀을 통해 집수홈에 집수된 후 드레인관을 경유하여 하수처리계통으로 배수 처리됨에 따라 건널목에 우수가 고이지 않고 또한 건널목 하부의 지중에 침투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수에 의한 지반의 연약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건널목의 침하에 따른 열차 탈선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도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레일의 사이에 구축되는 철도 건널목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며 상면 중앙부에 좌우 양측보다 낮은 홈 형태의 통행블록 안착부가 구비된 베이스블록 몸체, 상기 베이스블록 몸체의 통행블록 안착부의 좌우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며 제1앵커들이 매설되어 상기 레일이 안착된 후 클립을 통해 고정되는 레일 받침부, 상기 베이스블록 몸체의 통행블록 안착부 중앙부에 형성되는 집수홈, 상기 베이스블록 몸체의 내부에 일측이 상기 집수홈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매설되며 타측이 하수처리장측의 드레인관과 이음되는 유동관, 상기 베이스블록 몸체의 집수홈 좌우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매설되는 다수의 제2앵커를 포함하는 베이스블록과;
    좌우 양측이 상기 통행블록 안착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폭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블록의 통행블록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면에 요철형 미끄럼방지 매트가 볼트를 통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제2앵커가 끼워져 조임구를 통해 고정되는 통행블록 몸체, 상기 통행블록 몸체의 내부에 상기 집수홈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배수홀, 통행블록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베이스블록의 집수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배수홀, 상기 제1배수홀의 상단 입구측에 결합되는 그물망 구조의 그레이팅으로 이루어진 통행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제1배수홀에 분리 가능하게 볼트 체결되고, 상기 집수홈의 내부에는 상부를 향해 개방된 여과망이 삽입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KR1020070054132A 2007-06-01 2007-06-01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KR100769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32A KR100769226B1 (ko) 2007-06-01 2007-06-01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132A KR100769226B1 (ko) 2007-06-01 2007-06-01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226B1 true KR100769226B1 (ko) 2007-10-24

Family

ID=3881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132A KR100769226B1 (ko) 2007-06-01 2007-06-01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1783A (zh) * 2013-01-12 2013-04-10 米亚建筑材料(昆山)有限公司 轨道排水沟与轨道的连接结构
KR101705343B1 (ko) * 2015-09-30 2017-02-09 영중산업 주식회사 매립형 궤도 배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6403A (en) 1979-01-23 1983-09-27 True Temper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a containment reservoir
JP2000336601A (ja) 1999-05-26 2000-12-05 Sei Tanaka 線路土盛部への水の流入を防ぐ線路覆い装置
KR200235967Y1 (ko) 2001-02-15 2001-09-29 주식회사 태명실업 콘크리트도상 궤도 구조
JP2005264489A (ja) 2004-03-17 2005-09-29 Railway Technical Res Inst 省力化軌道およびその路盤変状防止方法
KR200419504Y1 (ko) 2006-04-10 2006-06-20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자갈흐름 방지 측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6403A (en) 1979-01-23 1983-09-27 True Temper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a containment reservoir
JP2000336601A (ja) 1999-05-26 2000-12-05 Sei Tanaka 線路土盛部への水の流入を防ぐ線路覆い装置
KR200235967Y1 (ko) 2001-02-15 2001-09-29 주식회사 태명실업 콘크리트도상 궤도 구조
JP2005264489A (ja) 2004-03-17 2005-09-29 Railway Technical Res Inst 省力化軌道およびその路盤変状防止方法
KR200419504Y1 (ko) 2006-04-10 2006-06-20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자갈흐름 방지 측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1783A (zh) * 2013-01-12 2013-04-10 米亚建筑材料(昆山)有限公司 轨道排水沟与轨道的连接结构
KR101705343B1 (ko) * 2015-09-30 2017-02-09 영중산업 주식회사 매립형 궤도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31474B2 (en) Rail Track Sleeper Support
CN102182332B (zh) 轨道车库门前地面上的隙缝式截水沟系统
KR100769226B1 (ko) 철도레일 횡단구간 배수처리가 가능한 철도 건널목
JP4053076B2 (ja) 集水桝とこれ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
KR101232896B1 (ko) 수로를 이용한 식생부를 가지는 매립형 궤도 선로 구조체
JPH0853808A (ja) 透水性歩道ブロック
KR20090000259U (ko) 경사형 빗물받이 뚜껑
US245721A (en) Construction of roads
CN201962983U (zh) 轨道车库门前地面上的隙缝式截水沟系统
JP2000144616A (ja) 透水性アスファルト舗装道路の浸透水排出設備とその施工法
DE3516654A1 (de) Strassenentwaesserungsrinne
KR102435459B1 (ko) 산악철도용 궤도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RU254018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линий
CN210151515U (zh) 一种挖方边坡超高路段路面排水系统
JP2764544B2 (ja) 透水性舗装路面用街渠蓋
KR101013173B1 (ko) 매립형 궤도 레일 구조체
CN110080102A (zh) 一种跨铁路桥梁的桥面排水结构
US2161105A (en) Rapid transit system
KR200345471Y1 (ko) 강재를 이용한 2-아치형 도로 및 철로 낙석방지시설
CN217232153U (zh) 一种新型路面横向排水装置
CN218932828U (zh) 一种人行天桥钢结构焊接主体
JPH0893041A (ja) 排水性舗装における排水構造
RU2745460C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автомобильная
JP3073705B2 (ja) 排水ブロック
KR20110030522A (ko)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