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956B1 -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 Google Patents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956B1
KR100768956B1 KR1020060069337A KR20060069337A KR100768956B1 KR 100768956 B1 KR100768956 B1 KR 100768956B1 KR 1020060069337 A KR1020060069337 A KR 1020060069337A KR 20060069337 A KR20060069337 A KR 20060069337A KR 100768956 B1 KR100768956 B1 KR 100768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oil
earth
san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학골재
이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학골재, 이선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학골재
Priority to KR102006006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40Working vehicles
    • B60L2200/42Fork 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채취선의 토사 이송공법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하역컨베이어바지선으로 이송할 때 바다속으로 유실되는 토사량이 많고, 토사 이송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무게중심이 위쪽에 위치되어 전복사고의 우려가 많으며, 토사 하역시간이 많이 걸려서 매립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대의 포크레인(600)이 실려 대기중인 갑판(31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면서 일측 호퍼(333)와 타측 낙하부(334)의 방향 및 각도가 조절되는 제1보조컨베이어(330)를 설치하고, 갑판(310) 중앙에는 상기 제1보조컨베이어(330)에서 토사를 공급받는 다수의 토사투입구(320)를 설치하며, 갑판(310) 아래에는 토사투입구(320)로 투입된 토사를 받아 이송하는 고정컨베이어(340)를 설치하고, 갑판(310) 위로 돌출된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에는 지지탑(360)에 매달린 상태에서 좌우 방향과 높낮이 각도가 조절되는 가변컨베이어(350)를 설치하여 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을 구비하는 제1단계; 토사채취선(700)은 준설지역에서 토사를 채취하고, 토사 매립지역 해안 가까이에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을 접안하여 정박시키는 제2단계; 상기 토사채취선(700) 2척을 1조로 하여 상기 정박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양 측면에 접근시키는 제3단계;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에 대기중인 여러대의 포크레인(600)을 양쪽 토사채취선(700)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4단계;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제1 보조컨베이어(330)와 가변컨베이어(350)의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하는 제5단계; 상기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제1보조컨베이어(330)와 고정컨베이어(340) 및 가변컨베이어(350)에 의해 해안의 야적장 또는 매립지로 이송하는 제6단계; 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토사채취선 2척의 토사를 동시에 해안 야적장이나 매립지 등에 이송시킬 수 있어 작업능률 향상 및 인력과 유류 절감에 의해 공사비를 낮출 수 있고, 이송작업을 하는 동안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무게중심이 갑판 아래쪽으로 작용하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해상에서 토사를 곧바로 매립지 현장으로 이송할 수 있어서 공사비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하역컨베이어바지선, 토사 이송공법, 보조컨베이어, 토사채취선,

Description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Transfer method of earth and sand by using a loading conveyer barge}
도1 은 종래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으로 토사를 이송하는 상태도
도2a 는 종래의 선 발명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측면도
도2b 는 종래의 선 발명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평면도
도3 은 본 발명이 실시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측면도
도4 는 본 발명이 실시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갑판 일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5 는 본 발명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으로 토사채취선 2척의 토사를 동시에 이송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6 은 본 발명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과 해안도로에 설치한 제2보조컨베이어로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해안 매립지로 바로 이송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7a 는 본 발명에 의해 토사를 이송하는 과정을 일례로 보인 블록도.
도7b 는 본 발명에 의해 토사를 이송하는 과정을 다른 실시예로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하역컨베이어바지선 310 : 갑판
311a,311b,312a,312b: 레일 330 : 제1보조컨베이어
331,351 : 턴테이블 332,352: 유압실린더
340 : 고정컨베이어 350 : 가변컨베이어
400 : 제2보조컨베이어 500 : 해안도로
600 : 포크레인 700 : 토사채취선
본 발명은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보조컨베이어와 고정컨베이어 및 가변컨베이어가 구비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하여 토사채취선 2척에 실려있는 토사를 보다 신속하게 하역 이송시킬 수 있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 매립지 및 각종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모래 등의 토사는 귀중한 자원으로서 육지의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것을 채취하거나 또는 하천과 강 및 바다 등의 바닥에 있는 흙, 모래, 자갈, 돌 등을 준설하여 채취하는데, 최근에는 육지에서 채취되는 토사가 점차 고갈되고 있어서 강이나 바다 등의 해상에서 준설하여 채취하는 토사의 비중이 점차 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토사를 준설하여 채취할 때는 대부분 준설선인 토사채취선으로 토사를 준설 채취한 다음 토사의 운반거리가 원거리인 경우 일단 토사운반바지선(이하 "토운선"이라 칭함)에 선적하여 항 만 매립현장이나 해안 야적장으로 운반시켜 이송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토운선으로 옮길 때 또는 상기 토운선을 제방이나 해안의 매립지 등에 접안시킨 후 토사를 해안 야적장이나 매립지 등으로 옮길 때 대부분 포크레인이나 크레인을 사용하는 토사 이송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이러한 방식은 해안에 토운선의 접안시설을 먼저 갖추어야 하고, 상기 포크레인이나 크레인 등으로 토사를 옮기는 과정에서 토사를 바다속으로 유실시키는 량이 상당하여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토사를 실는 선창 밑부분에 개방형 문을 설치한 토운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은 상기 토운선이 준설선인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옮겨받아 운반하는 단계와, 제방이나 해안 가까이 접근하여 선창 밑부분의 개방형 문을 열어 토사를 바다속에 쌓아놓는 단계, 양토기나 펌프를 구비한 양토선을 이용하여 상기 토운선이 해안 가까이의 바다속에 쌓아놓은 토사를 육지에 약륙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토사 이송공법은 토운선이 개방형 문을 열어 바다속에 토사를 하역하는 과정에서 토사의 상당량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위해서는 토사 유실방지를 위한 시설물을 별도로 갖추어야 하는데 그 유실방지시설물 자체를 바다속에서 유실하는 경우가 잦아 오염의 우려가 많고 그 설치비용도 만만치 않아 이는 결국 토사의 이송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호안 방조제를 먼저 완성한 후 토사를 채취하는 해역 바닥에 준설파이프의 일단을 설치하고, 그 준설파이프의 타단은 길게 얀장시켜서 기 완성된 호안 방조제 넘어 매립지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준설지역의 준설 토사를 준설파이프로 흡 입하여 곧바로 방조제 넘어 매립지에 매립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준설 토사 매립방법은 시꺼멓게 오염된 뻘 등이 토사와 함께 준설파이프로 흡입되어 매립지에 매립되는 것이기 때문에 매립지의 토양과 그 주변의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매립지의 오염된 뻘 등을 제거하기 위한 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 상기와 같이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토운선으로 옮길 때, 또는 토운선에 선적된 토사를 매립현장이나 해안의 야적장으로 옮길 때 처럼 근거리의 다른 장소로 토사를 옮길 때 종래에는 대부분 이송컨베이어 설비가 구비된 별도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도1 은 종래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이송컨베이어바지선(20)은 대부분 벨트컨베이어(15)의 선단에 낙하안내용 슈트(19)가 설치되고 후미에는 호퍼(18)가 설치된 구조이며, 벨트컨베이어(15)의 저어더(15A)일측 힌지점(H2)에 로드가 연결된 유압실린더(22)를 턴테이블(16)의 상부 회전체(21)에 설치하여 타측의 힌지점(H1)을 중심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턴테이블(16)에 의해 벨트컨베이어(15)가 360도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역컨베이어바지선(20)은 후미에 1척의 토사채취선(12)만이 근접되어 작업할 수 있다. 즉, 1척의 토사채취선(12)에 실린 토사를 1척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20)으로 1:1 로만 이송 작업하는 것이므로 시간당 작업량이 적고, 그동안 다른 토사채취선(12)은 기다려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벨트컨베이어(15)의 호퍼(18)와 낙하부(19)가 일직선상을 이루고 있어서 토사의 이송 방향이 한방향으로 한정되므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멀리 토사를 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려면 하역컨베이어바지선(20)으로부터 낙하되는 토사를 받아 다른 곳으로 보내줄 수 있는 또 하나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이 필요하여 하역에 따른 물류비용이 상승하게 되므로 이는 결국 토사의 원가상승 및 매립지의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재의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를 개발한 후 특허등록 제509274호(특허공개번호 2005-0013355호)로서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
도2a 는 상기의 선 발명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측면도이고, 도2b 는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평면도로서,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표면 선단에는 한쌍의 제1,2 가변컨베이어(110a,120a)가 지지탑(140)의 와이어에 매달려 지지된 상태로 나란히 병열로 설치되어 있고, 그 후미에는 선단이 제1,2 가변컨베이어(110a,120a)의 끝단 위에 위치되면서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호퍼(113,123)가 구비된 제1,2 고정컨베이어(110b,120b)가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표면 양쪽에 나란히 병열로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01)은 저어더이고, (170)은 상판(171)에 포크레인(160)을 실어 대기시키는 받침대이다.
이러한 선 발명은 도2b 와 같이 2척의 토사채취선(50)이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양쪽에 접근하면 상판(171)에 있던 포크레인(160)이 토사채취선(50)으로 이동한 후 토사채취선(50)의 토사를 퍼서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제1,2 고정컨 베이어(110b,120b)의 상부에 구비된 다수의 호퍼(113,123)로 넣으면 제1,2 고정컨베이어(110b,120b)에서 제1,2 가변컨베이어(110a,120a)로 토사가 옮겨져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선 발명은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 양쪽에서 2척의 토사채취선(50)에 채취된 많은 량의 토사를 단시간내에 항만의 매립지 현장이나 토사운반선 또는 부두 야적장으로 이송시킬 수 있기는 하다.
그런데,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양쪽 측면에 접근하는 2척의 토사채취선(50)에서 작업하는 포크레인은 그 버켓 길이가 대부분 길지 못하기 때문에 토사채취선(50)은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양 옆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해상에서는 파도가 심하기 때문에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과 토사채취선(50) 사이는 상당한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각각의 토사채취선(50) 위에서 작업하는 포크레인(160)은 토사를 퍼올린 버켓을 휘둘러 회전시켜서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양쪽 제1,2 고정컨베이어(110b,120b)에 있는 호퍼(113,123)로 퍼 담을 때 마다 상당량의 토사가 버켓에서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선 발명은 포크레인(160)이 토사를 퍼올린 버켓을 휘둘러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호퍼(113,123)에 담을 때 마다 버켓에서 흘러내리는 상당량의 토사가 바다 속으로 떨어짐에 따라 힘들게 채취한 토사의 상당량을 도로 유실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제1,2 고정컨베이어(110b,120b)에 구비된 다수의 호퍼(113,123)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토사채취선(50)에 올라가 토사를 퍼올려 작업하는 포크레인(160)은 자연적으로 그 이동거리가 많아지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즉, 처음에는 호퍼(113,123)와 가까운 곳에서 작업하므로 포크레인(160)이 별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퍼올린 토사를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호퍼(113,123)에 넣을 수 있지만 점차 먼 곳에서 퍼올린 토사를 넣으려면 그만큼 포크레인(160)의 이동거리가 많아지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이는 촌각을 다투는 항만이나 부두에서의 하역작업 지연으로 이어져서 원가상승 또는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컨베이어와 고정컨베이어 및 가변컨베이어가 구비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하여 토사채취선 2척에 실려있는 토사를 동시에 보다 신속하게 해안의 야적장이나 매립지, 토운선 등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상에서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해안의 야적장에 야적하였다가 트럭으로 이송하는 방식을 택하지 않고 곧바로 해안도로가 있는 매립지 현장으로 토사를 보내어 매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시간 단축과 인력 및 유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이송공법과 그 작용을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 은 본 발명이 실시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측면도이고, 도4 는 본 발명이 실시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갑판 일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5 는 본 고안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으로 토사채취선 2척의 토사를 동시에 이송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본 발명은 준설지역의 바닥에서 준설하여 토사채취선(700)에 채취된 토사를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에 의해 토운선이나 해안의 야적장 또는 매립지로 이송하는 과정을 보다 신속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과 유류 절감이 가능하며, 이송과정때 토사의 유실됨을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토사 이송공법으로서 이를 토사의 이송과정을 보인 도7a 의 블록도에 의해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하역컨베이어바지선 구비단계)
토사채취선(700)으로 옮겨갈 여러대의 포크레인(600)이 실려서 대기중에 있는 갑판(31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레일(311a,311b)(312a,312b)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311a,311b)과 레일(312a,312b) 사이의 갑판(310) 중앙에는 일렬로 다수의 토사투입구(320)를 형성하며, 상기 각 레일(311a,311b)(312a,312b)에는 유압실린더(332)에 의해 상하 각도가 조절되면서 턴테이블(331)에 의해 360도 회전이 가능 한 제1보조컨베이어(330)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호퍼(333)로 유입되는 토사가 후미의 낙하부(334)를 통해 상기 토사투입구(320)로 낙하되게 설치하고, 갑판(310) 아래에는 각 토사투입구(320)로 투입되는 토사를 받아 이송하면서 선단(341)이 비스듬히 경사져서 갑판(310) 위로 돌출되도록 고정컨베이어(340)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에는 지지탑(360)의 와이어(361)에 매달린 상태에서 턴테이블(351)과 유압실린더(352)에 의해 좌우 방향과 높낮이 각도가 조절되는 가변컨베이어(350)를 설치하여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 을 구비하는 단계를 행한다.
여기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313)은 갑판(310)의 레일과 레일 사이로 포크레인(6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통로 이고, (336)은 구동휠, (335)는 지지대이며, (337)은 저어더 이다.
제2단계(토사채취와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접안 단계)
상기 토사채취선(700) 수척을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준설지역으로 보내어 그 바닥의 토사를 준설하여 채취토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토사채취선(700)이 준설지역에서 토사를 준설하여 채취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준설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토사채취선(700)이 토사를 채취하는 동안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은 토사를 매립할 해안지역 가까이 접안시켜 정박하거나 또는 토사를 운반하는 토운선 가까이에 접근시켜 정박하는 단계를 행한다.
제3단계(토사채취선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 접근 단계)
상기 제3단계는 토사 채취가 완료된 다수의 토사채취선(700)을 2척을 한조로 하여 해안 매립지 또는 토운선 가까이에 정박되어 있는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그 이동되어 온 2척의 토사채취선(700)을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 양 옆으로 접근시키되 갑판(310)의 양쪽 레일(311a,311b)(312a,312b) 상에 설치된 제1보조컨베이어(330)가 미칠 수 있는 범위 내에 각각 근접될 수 있도록 상기 한조로 이동되어 온 2척의 토사채취선(700)을 하역컨베이어의 양 옆으로 가까이 접근시키는 단계이다.
제4단계(포크레인 이동단계)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에는 다수의 포크레인(600)이 대기중에 있다. 따라서 상기 와 같이 토사채취선(700)이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양 옆에 접근되면 그 대기중인 다수의 포크레인(600)을 나누어 양쪽 토사채취선(700) 위로 각각 이동시킨다. 즉, 각 토사채취선(700)마다 2대의 포크레인(600)이 필요할 경우 4대의 포크레인(600)을 움직여서 2대는 우측 토사채취선(700)으로 이동시키고, 나머지 2대는 좌측 토사채취선(700)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일렬 횡대로 설치된 각 레일(311a)과 레일(311b) 및 레일(312a)과 레일(312b) 사이는 소정 간격을 서로 떨어뜨려서 포크레인(600)이 지나다닐 수 있는 이동 통로(313)가 구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같이 하면 포크레인(600)은 레일의 양끝단을 멀리 돌아가지 않고 곧바로 상기 이동통로(313)를 통하여 토사채취선(700)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제5단계(하역컨베이어의 각 컨베이어 위치 조절단계)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 양쪽의 레일(311a,311b)(312a,312b)마다 설치된 각 제1보조컨베이어(330)는 레일(311a,311b)(312a,312b)을 따라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턴테이블(331)과 유압실린더(332)에 의해 호퍼(333)는 토사채취선(700) 위에 놓이게 하고, 낙하부(334)는 갑판(310)의 토사투입구(320) 위에 놓이도록 제1보조컨베이어(330)의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행한다.
그러면 도5 에서와 같이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에 형성된 다수의 토사투입구(320) 중 일부에는 우측 토사채취선(700)을 향하고 있는 제1보조컨베이어(330) 2개의 낙하안내구가 놓인 상태가 되고, 다른 일부에는 좌측 투사채취선을 향하고 있는 제1보조컨베이어(330) 2개의 낙하안내구가 놓인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지지탑(360)에 와이어(361)로 매달려 있는 가변컨베이어(350)는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 아래쪽에 일단이 놓이게 한 상태에서 턴테이블(351)에 의해서는 좌우 방향을 조절하고, 유압실린더(352)에 의해서는 높낮이 각도를 조절한다.
이와같이 가변컨베이어(350)의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면 양쪽 토사채취선(700)과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이 정박되어 있는 방향과 상관없이 토사를 가변컨베이어(350)가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여러 방향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
제6단계 (토사의 이송 단계)
상기 제1보조컨베이어(330), 고정컨베이어(340), 가변컨베이어(350)를 모두 구동시킨 상태에서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포크레인(600)이 제1보조컨베이 어(330)의 호퍼(333)에 담으면 그 호퍼(333)에 담겨진 토사는 제1보조컨베이어(330)와 고정컨베이어(340)를 차례로 거친 후 가변컨베이어(350)를 통해 토운선이나 해안의 야적장 또는 매립지로 이송된다.
즉, 양쪽의 토사채취선(700)으로 이동된 각 포크레인(600)은 토사채취선(700)내의 토사를 버켓으로 퍼올린 후 가까이 있는 제1보조컨베이어(330)의 호퍼(333)에 넣기만 하면 후미의 낙하안내구로 이송된 후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에 형성된 토사투입구(320)로 낙하되므로 작업성이 좋아서 시간당 작업능률이 상당히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토사채취선(700) 위에서 각 포크레인(600)이 버켓으로 토사를 퍼올려 호퍼(333)에 넣을 때 제1보조컨베이어(330)의 호퍼(333)가 토사채취선(700) 위에 낮게 놓여있는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므로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버켓을 휘둘러 토사를 담을 때 버켓에서 상당량의 토사가 흘러내리더라도 토사채취선(700)에 그대로 떨어지므로 종래처럼 토사를 바다물 속으로 유실시킬 염려가 없다.
상기 토사투입구(320)로 투입된 토사는 갑판(310)의 토사투입구(320) 하단에 설치된 고정컨베이어(340)로 낙하된 후 갑판(310) 속에서 이송되므로 갑판 위에서 상당한 높이에 고정컨베이어(340)가 설치된 종래 바지선에 비해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무게중심이 훨씬 아래쪽에 작용함에 따라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컨베이어(340)으로 이송되는 토사는 갑판(310)위로 돌출된 선단(341)으로 이송된 후 지지탑(360)의 와이어(361)에 매달린 상태에서 좌우 방향 및 각도 조절되는 가변컨베이어(350)로 옮겨졌다가 그 진행 방향을 따라 토운선이나 해안의 야적장 또는 매립지 등으로 낙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1척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 중앙에 1열의 고정컨베이어(340)와 가변컨베이어(350)만을 설치하고서도 그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양쪽에 동시 접근된 토사채취선(700) 2척의 토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 작업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고정컨베이어와 가변컨베이어가 2열로 설치되는 종래 선 등록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에 비해 건조비가 저렴하면서도 작업성과 안전성은 더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도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역컨베이어바지선과 해안도로에 설치한 제2보조컨베이어로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해안 매립지로 바로 이송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7b 는 도6 에 의해 토사를 이송하여 매립지를 매립하는 과정을 다른 실시예로 보인 블록도로서, 상기 제6단계의 토사이송단계를 행하기 전에 매립지의 해안도로(360)를 횡으로 가로질러 양단에 지지체(410)(420)를 설치하고, 그 양쪽 지지체(410)(420) 상에는 상기 가변컨베이어(350)로부터 토사를 공급받은 후 해안도로(360)를 가로질러 매립지 위로 낙하시키는 제2보조컨베이어(400)를 구비하여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토사채취선(700)으로 채취한 토사를 해안도로(360)가 있는 매립지에 매립하고자 할 때 종래처럼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일단 항만의 부두로 옮겨 야적시킨 후 육상차량으로 토사를 매립지로 이송시켜 매립하는 것이 아니라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제1보조컨베이어(330)⇒고정컨 베이어(340)⇒가변컨베이어(350)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해안도로(360)를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제2보조컨베이어(400)에 의해 곧바로 해안매립지에 토사를 매립할 수 있음에 따라 매립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토사이송공법은 제1보조컨베이어와 고정컨베이어 및 가변컨베이어가 구비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하여 토사채취선 2척에 실려있는 토사를 동시에 접근시킨 상태에서 곧바로 신속하게 해안의 야적장이나 매립지, 토운선 등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 단축과 작업능률 향상 및 인력과 유류 절감에 의해 공사비를 상당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은 고정컨베이어가 갑판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송작업을 하는 동안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무게중심이 갑판 아래쪽으로 작용하므로 보다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고, 제2보조컨베이어를 구비하는 단계에 의해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항만의 부두 등에 야적하지 않고 해상에서 곧바로 해안도로가 있는 매립지 현장에 매립할 수 있어서 공사비를 더욱 낮출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채취선의 토사 이송방법에 있어서,
    갑판(310)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된 다수의 레일(311a,311b)(312a,312b)에는 턴테이블(331)과 유압실린더(332)에 의해 좌우 방향 및 상하 각도가 조절되는 제1보조컨베이어(330)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여러대의 포크레인(600)이 실리는 갑판(310) 중앙에는 상기 제1보조컨베이어(330)로부터 토사를 공급받는 다수의 토사투입구(320)를 일렬로 설치하며, 상기 갑판(310) 아래에는 각 토사투입구(320)로 투입되는 토사를 받아 이송하는 고정컨베이어(34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에는 지지탑(360)의 와이어(361)에 매달린 상태에서 좌우 방향과 높낮이 각도가 조절되는 가변컨베이어(350)를 설치하여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을 구비하는 제1단계;
    토사채취선(700) 수척으로 준설지역의 바닥을 준설하여 토사채취선(700)에 토사를 채취하고, 토사를 매립할 해안지역 가까이에는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을 접안시켜 정박하는 제2단계;
    상기 토사를 채취한 토사채취선(700) 2척을 1조로 하여 상기 정박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양 측면으로 접근시키는 제3단계;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에 대기중인 여러대의 포크레인(600)을 운행하여 양쪽에 접근된 2척의 토사채취선(700) 위로 각각 이동시키는 제4단계;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 양쪽에 설치된 제1보조컨베이어(330)와 가변컨베이어(350)의 방향과 각도를 알맞게 조절하는 제5단계;
    상기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포크레인(600)이 제1보조컨베이어(330)의 호퍼(333)에 담으면 그 토사가 제1보조컨베이어(330), 고정컨베이어(340), 가변컨베이어(350)를 차례로 거쳐 해안의 야적장 또는 매립지로 이송되는 제6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의 토사이송단계를 행하기 전에,
    매립지의 해안도로(360)를 횡으로 가로질러 양단에 지지체(410)(420)를 설치하고, 그 양쪽 지지체(410)(420) 상에는 상기 가변컨베이어(350)로부터 토사를 공급받은 후 해안도로(360)를 가로질러 매립지로 낙하시키는 제2보조컨베이어(400)를 구비하여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KR1020060069337A 2006-07-24 2006-07-24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KR100768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337A KR100768956B1 (ko) 2006-07-24 2006-07-24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337A KR100768956B1 (ko) 2006-07-24 2006-07-24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956B1 true KR100768956B1 (ko) 2007-10-23

Family

ID=38815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337A KR100768956B1 (ko) 2006-07-24 2006-07-24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9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42B1 (ko) 2009-02-10 2011-04-07 주식회사 천도 해상에서 해안도로변으로의 토사 하역 공법
KR101059128B1 (ko) * 2009-02-02 2011-08-25 주식회사 천도 해안도로의 토사하역용 벨트컨베이어 시스템
KR102210694B1 (ko) 2019-08-14 2021-02-03 현대건설주식회사 회전원반투척기를 이용한 매립장치 및 매립공법
KR102627399B1 (ko) 2023-05-31 2024-01-19 주식회사 제이엠에이치 선별기능이 있는 컨베이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1627A (en) 1979-01-27 1980-08-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Continuous unloader for earth fil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1627A (en) 1979-01-27 1980-08-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Continuous unloader for earth fill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28B1 (ko) * 2009-02-02 2011-08-25 주식회사 천도 해안도로의 토사하역용 벨트컨베이어 시스템
KR101027742B1 (ko) 2009-02-10 2011-04-07 주식회사 천도 해상에서 해안도로변으로의 토사 하역 공법
KR102210694B1 (ko) 2019-08-14 2021-02-03 현대건설주식회사 회전원반투척기를 이용한 매립장치 및 매립공법
KR102627399B1 (ko) 2023-05-31 2024-01-19 주식회사 제이엠에이치 선별기능이 있는 컨베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732B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JP2000505166A (ja) 港湾の建設、拡張および近代化に使用するためのモジュラ・ケーソン
KR100768956B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WO1997021878A1 (en) A mobile pumping station
CN102124164B (zh) 用于将大量水下土壤传送至填筑区的方法
CN101725162B (zh) 井式抓斗挖砂、清淤船
KR200431865Y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KR101027742B1 (ko) 해상에서 해안도로변으로의 토사 하역 공법
KR101059131B1 (ko) 토사 하역용 컨베이어 바지선의 하역컨베이어 시스템
KR20100069035A (ko)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WO2019060948A1 (en) ROPE CONVEYOR SYSTEM
CN201587808U (zh) 用于移动卸船机的轨道系统
CN113371473A (zh) 适用于超大水位差的干散货码头装卸工艺系统及方法
CN210503089U (zh) 一种卸泥伺服船
KR100505194B1 (ko)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US3479089A (en) Undersea stockpile and blending apparatus
JP2000238692A (ja) 揚土兼覆砂台船
KR101096890B1 (ko)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CN217516243U (zh) 适用于超大水位差的干散货码头装卸工艺系统
KR101059128B1 (ko) 해안도로의 토사하역용 벨트컨베이어 시스템
KR100509274B1 (ko) 골재의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 장치
KR100835584B1 (ko) 준설된 점성토의 파쇄 후 이송방법
KR100891976B1 (ko)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
KR100724055B1 (ko) 해상 선박에서의 골재 선적 및 하역시스템과 그에 적용되는작업선
JPH01290831A (ja) 浚渫物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