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732B1 -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732B1
KR100758732B1 KR1020060068172A KR20060068172A KR100758732B1 KR 100758732 B1 KR100758732 B1 KR 100758732B1 KR 1020060068172 A KR1020060068172 A KR 1020060068172A KR 20060068172 A KR20060068172 A KR 20060068172A KR 100758732 B1 KR100758732 B1 KR 100758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and
earth
soi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학골재
이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7378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587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학골재, 이선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학골재
Priority to KR1020060068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토사 이송장치는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포크레인으로 퍼 담을 때 바다속으로 유실되는 토사량이 많고, 토사 이송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무게중심이 위쪽에 위치되어 작은 파도에도 전복사고 등의 우려가 있으며, 토사 하역에 따른 시간이 많이 걸려서 원가상승 내지는 매립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지지대(335)상의 턴테이블(331)에 의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유압실린더(332)에 의해 호퍼(333)와 낙하부(334)의 위치가 상하로 조절되며, 지지대(335) 하부에 구동휠(336)이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보조컨베이어(330)와;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 표면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일렬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형 보조컨베이어(330)가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311a,311b)(312a,312b)과; 상기 보조컨베이어(330)의 낙하부(334)에서 낙하되는 토사가 갑판(310) 내부로 유입되도록 갑판(310) 중앙에 일렬로 형성된 다수의 토사투입구(320)와; 상기 갑판(310) 아래에 설치되어 각 토사투입구(320)로 투입된 토사를 받아 선단(341)으로 이송하는 고정컨베이어(340)와; 상기 고정컨베이어(340)로부터 토사를 받아 이송하며 선단이 지지탑(360)의 와이어(361)에 매달려 지지된 상태에서 턴테이블(351)과 유압실린더(352)에 의해 좌우 및 상하 각도가 조절되는 가변컨베이어(35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토사채취선에서 포크레인 작업시 토사의 유실됨을 방지할 수 있고, 토사 이송때 무게중심이 갑판 아 래쪽에 작용하여 전복의 우려가 별로 없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건조비가 저렴하고, 토사 이송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큰 것이다.
하역컨베이어바지선, 토사 이송, 보조컨베이어, 토사채취선,

Description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Transfer device of earth and sand by using a loading conveyer barge}
도1 은 종래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으로 토사를 이송하는 상태도
도2a 는 종래의 선 발명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측면도
도2b 는 종래의 선 발명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평면도
도3 은 본 발명이 실시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측면도
도4 는 본 발명이 실시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갑판 일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5 는 본 발명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으로 토사채취선 2척의 토사를 동시에 이송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6 은 본 발명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과 해안도로에 설치한 제2보조컨베이어로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해안 매립지로 바로 이송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하역컨베이어바지선 310 : 갑판
311a,311b,312a,312b: 레일 313 : 이동 통로
330 : 보조컨베이어 331,351 : 턴테이블
332,352: 유압실린더 336 : 구동휠
340 : 고정컨베이어 350 : 가변컨베이어
400 : 제2보조컨베이어 410,420: 지지체
500 : 해안도로 600 : 포크레인
700 : 토사채취선
본 발명은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토사채취선으로부터 토사를 공급받는 고정컨베이어와 방향 및 각도조절되는 가변컨베이어로 구성된 이송컨베이어장치를 바지선에 설치할 때 바지선의 양쪽에서 접근된 토사채취선 2척의 토사 이송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 매립지 및 각종 건설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모래 등의 토사는 귀중한 자원으로서 육지의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것을 채취하거나 또는 하천과 강 및 바다 등의 바닥에 있는 흙, 모래, 자갈, 돌 등을 준설하여 채취하는데, 최근에는 육지에서 채취되는 토사가 점차 고갈되고 있어서 강이나 바다 등의 해상에서 준설하여 채취하는 토사의 비중이 점차 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토사를 준설하여 채취할 때는 대부분 준설선인 토사채취선으로 토사를 준설 채취한 다음 토사의 운반거 리가 원거리인 경우 일단 토사운반바지선(이하 "토운선"이라 칭함)에 선적하여 항만 매립현장이나 해안 야적장으로 운반시켜 이송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근거리의 토운선으로 옮길 때, 또는 토운선에 선적된 토사를 매립현장이나 항만의 부두 야적장으로 옮길 때 처럼 근거리의 다른 장소로 토사를 옮길 때 종래에는 대부분 이송컨베이어 설비가 구비된 별도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도1 은 종래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이송컨베이어바지선(20)은 대부분 벨트컨베이어(15)의 선단에 낙하안내용 슈트(19)가 설치되고 후미에는 호퍼(18)가 설치된 구조이며, 벨트컨베이어(15)의 저어더(15A)일측 힌지점(H2)에 로드가 연결된 유압실린더(22)를 턴테이블(16)의 상부 회전체(21)에 설치하여 타측의 힌지점(H1)을 중심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턴테이블(16)에 의해 벨트컨베이어(15)가 360도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역컨베이어바지선(20)은 후미에 1척의 토사채취선(12)만이 근접되어 작업할 수 있다. 즉, 1척의 토사채취선(12)에 실린 토사를 1척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20)으로 1:1 로만 이송 작업하는 것이므로 시간당 작업량이 적고, 그동안 다른 토사채취선(12)은 기다려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벨트컨베이어(15)의 호퍼(18)와 낙하부(19)가 일직선상을 이루고 있어서 토사의 이송 방향이 한방향으로 한정되므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멀리 토사를 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려면 하역컨베이어바지 선(20)으로부터 낙하되는 토사를 받아 다른 곳으로 보내줄 수 있는 또 하나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이 필요하여 하역에 따른 물류비용이 상승하게 되므로 이는 결국 토사의 원가상승 및 매립지의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원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골재의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를 개발한 후 특허등록 제509274호(특허공개번호 2005-0013355호)로서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
도2a 는 상기의 선 발명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측면도이고, 도2b 는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평면도로서,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표면 선단에는 한쌍의 제1,2 가변컨베이어(110a,120a)가 지지탑(140)의 와이어에 매달려 지지된 상태로 나란히 병열로 설치되어 있고, 그 후미에는 선단이 제1,2 가변컨베이어(110a,120a)의 끝단 위에 위치되면서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호퍼(113,123)가 구비된 제1,2 고정컨베이어(110b,120b)가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표면 양쪽에 나란히 병열로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01)은 저어더이고, (170)은 상판(171)에 포크레인(160)을 실어 대기시키는 받침대이다.
이러한 선 발명은 도2b 와 같이 2척의 토사채취선(50)이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양쪽에 접근하면 상판(171)에 있던 포크레인(160)이 토사채취선(50)으로 이동한 후 토사채취선(50)의 토사를 퍼서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제1,2 고정컨베이어(110b,120b)의 상부에 구비된 다수의 호퍼(113,123)로 넣으면 제1,2 고정컨베이어(110b,120b)에서 제1,2 가변컨베이어(110a,120a)로 토사가 옮겨져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선 발명은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 양쪽에서 2척의 토사채취 선(50)에 채취된 많은 량의 토사를 단시간내에 항만의 매립지 현장이나 토사운반선 또는 부두 야적장으로 이송시킬 수 있기는 하다.
그런데,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양쪽 측면에 접근하는 2척의 토사채취선(50)에서 작업하는 포크레인은 그 버켓 길이가 대부분 길지 못하기 때문에 토사채취선(50)은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양쪽 옆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해상에서는 파도가 심하기 때문에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과 토사채취선(50) 사이는 상당한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각각의 토사채취선(50) 위에서 작업하는 포크레인(160)은 토사를 퍼올린 버켓을 휘둘러 회전시켜서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양쪽 제1,2 고정컨베이어(110b,120b)에 있는 호퍼(113,123)로 퍼 담을 때 마다 상당량의 토사가 버켓에서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선 발명은 포크레인(160)이 토사를 퍼올린 버켓을 휘둘러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호퍼(113,123)에 담을 때 마다 버켓에서 흘러내리는 상당량의 토사가 바다 속으로 떨어짐에 따라 힘들게 채취한 토사의 상당량을 도로 유실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제1,2 고정컨베이어(110b,120b)에 구비된 다수의 호퍼(113,123)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토사채취선(50)에 올라가 토사를 퍼올려 작업하는 포크레인(160)은 자연적으로 그 이동거리가 많아지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즉, 처음에는 호퍼(113,123)와 가까운 곳에서 작업하므로 포크레인(160)이 별로 이동하지 않고서도 퍼올린 토사를 하역컨베이어바지선(100)의 호퍼(113,123)에 넣을 수 있지만 점차 먼 곳에서 퍼올린 토사를 넣으려면 그만큼 포크레인(160)의 이동거리가 많아지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이는 촌각을 다투는 항만이나 부두에서의 하역작업 지연으로 이어져서 원가상승 또는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사채취선 위에서 작업하는 포크레인이 퍼올린 토사를 하역컨베이어바지선으로 보낼 때 버켓에서 흘러내리는 토사가 바다 속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신속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능률의 향상과 더불어 상당한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사채취선으로부터 토사의 이송작업을 하는 동안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무게중심이 보다 아래쪽으로 작용되게 하여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쪽에서 접근된 토사채취선 2척의 토사 이송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도 저렴한 가격에 건조할 수 있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상에서 토사채취선으로 채취한 토사를 항만의 부두에 야적하지 않고 곧바로 해안도로가 있는 매립지 현장에 매립할 수 있어 작업시간 단축과 인력 및 유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기술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로 첨부한 별첨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은 본 발명이 실시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측면도이고, 도4 는 본 발명이 실시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갑판 일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5 는 본 고안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으로 토사채취선 2척의 토사를 동시에 이송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이송시켜주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으로 토사 이송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대(335) 상의 턴테이블(331)에 의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면서 턴테이블(331)과 저어더(337)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332)에 의해 일측 호퍼(333)와 타측 낙하부(334)의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는 보조컨베이어(33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컨베이어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와 같은 보조컨베이어(330)를 그 지지대(335) 하부에 구동휠(336)을 설치하여 이동형이 되게 구성하고,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 표면 양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보조컨베이어(330)의 구동휠(336)을 안내하 는 다수의 레일(311a,311b)(312a,312b)을 일렬로 설치하여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표면 양쪽 가장자리에서 다수의 보조컨베이어(330)가 각각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게 한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311a)(312a)과 레일(311b)(312b) 사이에는 갑판(310)에서 이동되는 양쪽 보조컨베이어(330)의 낙하부(334)에서 낙하되는 토사가 갑판(3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토사투입구(3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갑판(310)의 아래 내부에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 토사투입구(320)로 투입되는 토사를 받아 이송하는 고정컨베이어(340)를 설치하되 그 선단(341)은 비스듬히 상향시켜서 갑판(310) 위로 돌출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지탑(360)의 와이어(361)에 매달려 지지된 상태에서 턴테이블(351)에 의해 좌우 이송방향이 조절됨과 아울러 양단의 높낮이 각도가 유압실린더(352)로 조절되는 가변컨베이어(350)를 후미가 상기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 아래에 위치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1열 횡대로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311a,311b)(312a,312b)은 레일(311a)과 레일(311b) 사이 및 레일(312a)과 레일(312b) 사이를 소정간격 이격시켜서 갑판(310) 위에 실려 대기중인 포크레인(600)이 토사채취선(700)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이동 통로(31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탑(360)의 와이어(361)는 윈치(도면에 미도시)로 동작되는 드럼(도면에 미도시)에 감겨있으며, 가변컨베이어(35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할 때마다 와이어(361)의 감김과 풀림동작이 반복 되는 것은 동분야에서 일반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고, 상기 보조컨베이어(330)와 고정컨베이어(340) 및 가변컨베이어(350)들은 모두 순환형 컨베이어벨트를 다수의 로울러가 받쳐서 처지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며, 이는 동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5 와 같이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양쪽에 각각 2개의 레일(311a,311b)(312a,312b)이 일렬로 설치되고 4대의 포크레인이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에 다수의 포크레인(600)을 실어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양쪽으로 각각 1척의 토사채취선(700)을 접근시켜 놓고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에 실려 대기중인 포크레인(600)을 양쪽 토사채취선(70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일렬로 설치된 각 레일(311a)(312a)과 레일(311b)(312b) 사이는 서로 떨어져서 포크레인(600)이 지나다닐 수 있는 이동 통로(31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4대의 포크레인(600)은 레일을 멀리 돌아가지 않고 각 레일(311a)(312a)과 레일(311b)(312b) 사이의 이동 통로(313)를 통해 2대는 우측에 접근된 토사채취선(700)으로 이동하고, 다른 2대의 포크레인(600)은 좌측에 접근된 토사채취선(700)으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휠(336)에 의해 이동되는 각 보조컨베이어(330)는 각각의 레 일(311a,311b)(312a,312b)을 따라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보조컨베이어(330)의 구동휠(336)은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는 수동식으로 하여도 되고 또는 전동기의 동력을 받아 이동시키는 전동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또한 보조컨베이어(330)를 이동시킨 후에는 안전을 위해 보조컨베이어(330)의 구동휠(336)에 브레이크 등의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위치가 조절된 보조컨베이어(330)는 턴테이블(331)로 회전시키면서 유압실린더(332)로 조절하여 호퍼(333)는 토사채취선(700) 위에 낮게 놓이게 하고 낙하안내구는 갑판(310)에 형성된 다수의 토사투입구(320)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위에 적당한 높이로 놓이도록 양쪽의 보조컨베이어(330)를 각각 조절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5 에서와 같이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에 형성된 다수의 토사투입구(320) 중 2개는 우측 토사채취선(700)을 향하고 있는 2개 보조컨베이어(330)의 낙하부(334)와 일치된 상태가 되고, 다른 2개의 토사투입구(320)는 좌측 토사채취선(700)을 향하고 있는 2개 보조컨베이어(330)의 낙하부(334)와 일치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쪽 토사채취선(700)으로 이동된 각 포크레인(600)은 토사채취선(700)내에서 토사를 버켓으로 퍼올린 후 보조컨베이어(330)의 호퍼(333)에 넣기만 하면 그 호퍼(333)에 넣어진 토사는 후미의 낙하부(334)를 통해 하역컨베이 어바지선(300)의 갑판(310)에 형성된 토사투입구(320)로 낙하된다.
이때, 본 발명은 토사채취선(700)에서 작업하는 각 포크레인(600)이 토사채취선(700) 위에 낮게 놓인 호퍼(333)에 토사를 퍼 넣기만 하면 된다. 즉 작업중 토사를 퍼올린 버켓을 휘둘러 호퍼(333)에 토사를 담을 때 버켓에서 토사가 흘러내리더라도 그 흘러내린 토사는 토사채취선(700)에 그대로 떨어지므로 종래처럼 토사를 바다물 속으로 유실시키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컨베이어(330)의 호퍼(333)는 토사채취선(700) 위에 낮게 놓인 상태에서 포크레인(600)의 작업 위치를 따라 턴테이블(331)로 회전시켜 항시 포크레인(600) 가까이 근접되게 조절되는 것이므로 포크레인(600)을 토사채위선에서 별로 이동시키지 않고서도 가까이 위치된 호퍼(333)에 신속하게 토사를 담을 수 있는 것으로서, 작업능률이 뛰어나 토사 하역에 따른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사투입구(320)로 투입된 토사는 갑판(310)의 토사투입구(320) 하단에 설치된 고정컨베이어(340) 위로 낙하된다. 이때, 고정컨베이어(340)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갑판 위에서 상당한 높이에 고정컨베이어(340)가 설치된 종래 바지선에 비해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무게중심이 훨씬 아래쪽에 작용하여 전복됨을 방지하면서 보다 안전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으로 이송된 토사는 지지탑(360)의 와이어(361)에 매달린 상태에서 턴테이블(351)로 각도 조절되는 가변컨베이어(350) 후미로 낙하되어 가변컨베이어(350)의 선단을 향하여 이송되는데, 이때 가 변컨베이어(350)는 턴테이블(351)과 유압실린더(352)에 의해 토사를 낙하시키는 방향을 좌/우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양쪽 토사채취선(700)과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작업 방향에 상관없이 토사를 다양한 방향으로 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1척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 중앙에 1열의 고정컨베이어(340)와 가변컨베이어(350)만을 설치하고서도 그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양쪽에 동시 접근된 토사채취선(700) 2척의 토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 작업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고정컨베이어(340)와 가변컨베이어(350)가 2열로 설치되는 선 등록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에 비해 건조비가 저렴하다고 할 수 있다.
도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하역컨베이어바지선에 해안도로를 횡으로 가로질러 토사를 이송시키는 제2보조컨베이어(400)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즉, 구동휠(336)이 구비된 이동형 보조컨베이어(330), 갑판(310)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311a,311b)(312a,312b), 토사투입구(320), 고정컨베이어(340), 가변컨베이어(350)가 구비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과;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가변컨베이어(350)로부터 토사를 공급받으면서 타측의 낙하부(402)가 해안도로(500)를 가로질러 매립지 위에 놓이도록 해안도로(500)를 가로질러 양쪽 지지체(410,429) 위에 설치되는 제2보조컨베이어(400); 로 이루어진 토사 이송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토사채취선(700)으로 채취한 토사를 해안도로(500)가 있는 매립지에 매립하고자 할 때 종래처럼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일단 항만의 부두 로 옮겨 야적시킨 후 육상차량으로 토사를 매립지로 이송시켜 매립하는 것이 아니라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하역컨베이어바지선과 제2보조컨베이어(400)를 이용하여 곧바로 해안도로(500)의 매립지에 매립할 수 있다.
즉, 해안 매립지의 해상에서 상기에서와 같이 보조컨베이어(330), 고정컨베이어(340), 가변컨베이어(350)가 구비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양쪽에 토사채취선(700)을 접근시켜 놓고 보조컨베이어(330)의 위치를 적당히 조절한 다음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보조컨베이어(330)⇒고정컨베이어(340)⇒가변컨베이어(350)를 차례로 통과시킨 후 해안도로(500)를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한 제2보조컨베이어(400)를 통해 곧바로 해안매립지에 토사를 매립하는 것이므로 작업시간이 상당히 단축되고 인력소모와 유류비 등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양쪽으로 토사채취선 2척을 동시에 접근시킨 상태에서 그 토사채취선들의 토사를 해안 매립지 등으로 보내고자 할 때 양쪽 토사채취선에 올라가 작업하는 포크레인의 버켓에서 흘러내리는 토사가 바다 속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토사채취선의 토사 하역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 향상과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다.
그리고, 토사채취선으로부터 토사의 이송작업을 하는 동안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으로 작용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1열로 횡 배열된 고정컨베이어와 가변컨베이어만으로 양쪽 토사채취선의 토사 이송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바지선 건조비가 저렴한 효과도 있다.
또한, 토사채취선의 토사를 항만의 부두에 야적하지 않고 해상에서 곧바로 해안도로가 있는 매립지 현장에 매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 단축과 인력 및 유류 소모를 줄일 수 있어 이로 인한 원거절감의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Claims (4)

  1.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이송시켜주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으로 토사 이송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대(335) 상의 턴테이블(331)에 의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면서 턴테이블(331)과 저어더(337)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332)에 의해 일측 호퍼(333)와 타측 낙하부(334)의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며, 지지대(335) 하부에 구동휠(336)을 설치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보조컨베이어(330)와;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 표면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일렬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336)이 구비된 다수의 보조컨베이어(330)가 갑판(310)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레일(311a,311b)(312a,312b)과;
    상기의 양쪽 레일(311a,311b)(312a,312b) 사이에 위치되며, 보조컨베이어(330)의 낙하부(334)에서 낙하되는 토사가 갑판(3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갑판(310)상에 일렬로 형성한 다수의 토사투입구(320)와;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갑판(310)의 토사투입구(320) 아래에 설치되어 투입된 토사를 받아 선단(341)으로 이송하는 고정컨베이어(340)와;
    상기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에서 낙하되는 토사를 받을 수 있도록 후미는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 아래에 위치되고, 선단은 지지탑(360)의 와이어(361)에 매달려 지지된 상태에서 턴테이블(351)과 유압실린더(352)에 의해 좌 우 및 상하 각도가 조절되는 가변컨베이어(35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은 비스듬히 상향시켜서 갑판(310) 위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가변컨베이어(350)는 후미가 그 갑판(310) 위로 돌출된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 아래에 놓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갑판(310)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레일(311a,312a)과 레일(311b,312b)은 그 사이에 포크레인(600)이 지나갈 수 있는 소정간격의 이동 통로(31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336)이 설치된 이동형 보조컨베이어(330). 갑판(310)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복수의 레일(311a,311b)(312a,312b), 토사투입구(320), 고정컨베이어(340), 가변컨베이어(350)로 이루어진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과;
    상기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가변컨베이어(350)로부터 토사를 공급받으면서 타측의 낙하부(402)가 해안도로(500)를 가로질러 매립지 위에 놓이도록 해안도로(500)를 가로질러 양쪽 지지체(410,429) 위에 설치되는 제2보조컨베이어(400);
    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KR1020060068172A 2006-07-20 2006-07-20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KR100758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172A KR100758732B1 (ko) 2006-07-20 2006-07-20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172A KR100758732B1 (ko) 2006-07-20 2006-07-20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658U Division KR200431865Y1 (ko) 2006-07-21 2006-07-21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8732B1 true KR100758732B1 (ko) 2007-09-14

Family

ID=3873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172A KR100758732B1 (ko) 2006-07-20 2006-07-20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73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9109B (zh) * 2009-03-26 2011-06-08 钱尧翎 船用皮带卸料机
KR101059131B1 (ko) * 2009-01-28 2011-08-25 주식회사 천도 토사 하역용 컨베이어 바지선의 하역컨베이어 시스템
KR101110622B1 (ko) * 2010-02-01 2012-02-17 유겐가이샤 데라오카 쇼지 전방위 로딩 및 언로딩 가능 시스템
CN104691714A (zh) * 2015-02-13 2015-06-10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 清漂船横向转运装置
CN108909958A (zh) * 2018-07-27 2018-11-30 中交广州航道局有限公司 一种驳船铺沙装置及其安装方法
CN109296824A (zh) * 2018-10-31 2019-02-01 中海油能源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悬空治理的便捷式抛沙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5195A (ja) 1987-04-09 1988-10-21 Kusakabe Kisen Kk 2つのフロ−タからなる揚土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5195A (ja) 1987-04-09 1988-10-21 Kusakabe Kisen Kk 2つのフロ−タからなる揚土船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31B1 (ko) * 2009-01-28 2011-08-25 주식회사 천도 토사 하역용 컨베이어 바지선의 하역컨베이어 시스템
CN101519109B (zh) * 2009-03-26 2011-06-08 钱尧翎 船用皮带卸料机
KR101110622B1 (ko) * 2010-02-01 2012-02-17 유겐가이샤 데라오카 쇼지 전방위 로딩 및 언로딩 가능 시스템
CN104691714A (zh) * 2015-02-13 2015-06-10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 清漂船横向转运装置
CN104691714B (zh) * 2015-02-13 2017-03-15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 清漂船横向转运装置
CN108909958A (zh) * 2018-07-27 2018-11-30 中交广州航道局有限公司 一种驳船铺沙装置及其安装方法
CN108909958B (zh) * 2018-07-27 2024-05-07 中交广州航道局有限公司 一种驳船铺沙装置、安装方法及铺沙工艺
CN109296824A (zh) * 2018-10-31 2019-02-01 中海油能源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悬空治理的便捷式抛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732B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RU2396394C1 (ru) Вскрышной агрегат
RU2456454C1 (ru) Экскавационно-транспортирующий комплекс
JP2000505166A (ja) 港湾の建設、拡張および近代化に使用するためのモジュラ・ケーソン
KR100768956B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US556487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handling of bulk materials
CN210285750U (zh) 一种移动码头装卸皮带输送机
RU23811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йдовой загрузки или разгрузки судов
KR200431865Y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CN101725162B (zh) 井式抓斗挖砂、清淤船
KR20100087558A (ko) 토사 하역용 컨베이어 바지선
KR101027742B1 (ko) 해상에서 해안도로변으로의 토사 하역 공법
CN111634696A (zh) 临海土方输送系统及其施工方法
KR20100069035A (ko)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KR101059131B1 (ko) 토사 하역용 컨베이어 바지선의 하역컨베이어 시스템
CN103332271A (zh) 一种吹砂用可行进式浮动平台
CN113371473A (zh) 适用于超大水位差的干散货码头装卸工艺系统及方法
JPS6153921A (ja) 埋立方法
CN210503089U (zh) 一种卸泥伺服船
KR101059128B1 (ko) 해안도로의 토사하역용 벨트컨베이어 시스템
KR101096890B1 (ko)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CN201288348Y (zh) 井式抓斗挖砂、清淤船
KR101269547B1 (ko) 카운터 웨이트 연동형 플로팅 갠트리 크레인을 이용한 골재 반송용 선박
JP2663571B2 (ja) ダム堆砂処理用揚土設備
KR20100105284A (ko) 토사 이적용 벨트컨베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223

Effective date: 201005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