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035A -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 Google Patents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035A
KR20100069035A KR1020080127586A KR20080127586A KR20100069035A KR 20100069035 A KR20100069035 A KR 20100069035A KR 1020080127586 A KR1020080127586 A KR 1020080127586A KR 20080127586 A KR20080127586 A KR 20080127586A KR 20100069035 A KR20100069035 A KR 20100069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conveyor
main body
fixed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도
Original Assignee
박병도
태경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도, 태경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도
Priority to KR102008012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035A/ko
Publication of KR20100069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6Devices for loading or unloading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roller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6Floating substructures as supports
    • E02F9/062Advancing equipment, e.g. spuds for floating dred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풍이나 강풍에 의한 전복이나 위치변동을 막을 수 있으며, 토사의 이송위치를 손쉽게 바꿀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은 바지선본체(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컨베이어(20)와, 방향전환이 가능한 가동컨베이어(40)가 구비되어, 작업중에 토사의 이송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선체고정장치(60)의 승강가이드(61)를 해저면 또는 하저면(6)에 매입고정하므로써, 태풍이나 강풍에 의해 전복이나 위치변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지선본체(10)의 일측에는 포크레인 탑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컨베이어(20)는 기단부가 상기 포크레인 탑재부(12)와 간섭되지 않도록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되므로써, 고정컨베이어(20)와 포크레인(5)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어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이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P1020080127586
바지선, 컨베이어, 하역, 포크레인, 선체고정

Description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conveyor barge}
본 발명은 태풍이나 강풍에 의한 전복이나 위치변동을 막을 수 있으며, 토사의 이송위치를 손쉽게 바꿀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사운반 바지선에 의해 운반된 토사를 항만 매립현장이나 해안 야적장 등으로 운반하는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지선본체(1)와, 상기 바지선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컨베이어장치(2)로 구성된다.
상기 바지선본체(1)는 전후방향으로 긴 사각형으로 구성되며, 닻이나, 제방 등에 묶이는 밧줄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정박된다. 상기 컨베이어장치(2)는 중간부에 구비된 조절장치(3)에 의해 각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낙하안내용 슈트(2a)와 호퍼(2b)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A)을 항만 매립현장이나 해안 야적장에 최대한 인접되도록 정박시키고, 상기 슈트(2a)가 목표지점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 기 컨베이어장치(2)의 각도와 방향을 조절한 상태에서, 토사를 실은 토사운반 바지선(4)을 일측에 정박시키고, 토사운반 바지선(4)에 탑재된 포크레인(5)을 이용하여 토사를 호퍼(2b)에 공급되면, 토사는 컨베이어장치(2)와 슈트(2a)를 통해 목표지점인 항만 매립현장이나 해안 야적장 등으로 투하되어 쌓이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A)은 토사운반 바지선(4)에 의해 운반된 토사를 항만 매립현장이나 해안 야적장으로 공급하는 것 이외에, 강이나 바다 등에서 토사를 채취하는 토사채취선에 의해 채취된 토사를 토사운반 바지선(4)으로 운반할 때와 같이, 토사를 근거리의 다른 장소로 운반할 때도 활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A)은 상기 컨베이어장치(2)가 상부로 높게 솟아오르도록 설치되므로, 중심이 불안하여 하역작업중 전복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태풍이나 강풍이 불어올 때, 더욱 심해진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장치(2)가 호퍼(2b)부터 슈트(2a)까지 일직선으로 이루어지므로, 컨베이어장치(2)에 의해 운반된 토사가 높이 쌓여 토사를 다른 위치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운반작업을 일차 정지시킨 후, 컨베이어장치(2)의 방향을 바꾸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우에 따라,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A)의 일측에 정박된 토사운반 바지선(4)의 위치까지 바꾸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더욱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A)은 해상 또는 하천에 떠있는 상태로 단순히 닻이나, 제방 등에 연결되는 밧줄에 의해 고정되므로, 태풍이나 강풍이 불 경 우, 닻이나 밧줄이 끊어지면서 떠내려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A)은 상면 면적이 협소하여 토사를 퍼 나르기 위한 포크레인(5)을 탑재하기 어려우며, 포크레인(5)을 탑재할 경우 무게중심이 달라져, 하역컨베이어 바지선(A)이 기울어지거나 심할 경우, 전복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토사운반 바지선(4)에 포크레인(5)을 탑재여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풍이나 강풍에 의한 전복이나 위치변동을 막을 수 있으며, 토사의 이송위치를 손쉽게 바꿀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지선본체(10)와; 상기 바지선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기단부 상측에는 호퍼(21)가 구비된 고정컨베이어(20)와; 상기 고정컨베이어(20)의 선단부 하측에 위치되도록 바지선본체(10)에 구비된 턴테이블(30)과; 기단부가 상기 턴테이블(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컨베이어(40)와; 상기 가동컨베이어(40)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컨베이어(40)를 회동승강시키는 승강조절장치(50)와; 상기 바지선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강시 하단이 해저면 또는 하저면(6)에 매입고정되는 승강가이드(61)와, 상기 승강가이드(61)에 연결되어 승강가이드(6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62)를 포함하는 선체고정장치(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지선본체(10)의 데크(11) 일측에는 토사를 상기 호퍼(21)로 퍼 나르기 위한 포크레인(5)이 탑재되는 포크레인 탑재 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컨베이어(20)는 기단부가 상기 포크레인 탑재부(12)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지선본체(1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서 타측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은 바지선본체(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컨베이어(20)와, 방향전환이 가능한 가동컨베이어(40)가 구비되어, 작업중에 토사의 이송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선체고정장치(60)의 승강가이드(61)를 해저면 또는 하저면(6)에 매입고정하므로써, 태풍이나 강풍에 의해 전복이나 위치변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지선본체(10)의 일측에는 포크레인 탑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컨베이어(20)는 기단부가 상기 포크레인 탑재부(12)와 간섭되지 않도록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되므로써, 고정컨베이어(20)와 포크레인(5)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어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이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은, 바지선본체(10)와; 상기 바지선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고정컨베이어(20)와; 상 기 바지선본체(10)에 구비된 턴테이블(30)과; 기단부가 상기 턴테이블(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컨베이어(40)와; 상기 가동컨베이어(40)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컨베이어(40)를 회동승강시키는 승강조절장치(50)와; 상기 바지선본체(10)에 구비된 선체고정장치(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지선본체(10)는 평면형상이 전후방향으로 긴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데크(11)를 갖도록 제작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지선본체(10)의 선두방향 일측에는 토사를 퍼 나르기 위한 포크레인(5)이 탑재되는 포크레인 탑재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포크레인 탑재부(12)는 포크레인(5)이 탑재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도록 상기 바지선본체(10)의 데크(11)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의 일측에 토사운반 바지선이 정박되면, 상기 포크레인(5)이 포크레인 탑재부(12)의 내부에서 위치이동하면서 토사운반 바지선에 실린 토사를 퍼서 상기 고정컨베이어(2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고정컨베이어(20)는 기단부 상측에는 호퍼(21)가 구비되며, 기단부보다 선단부가 상부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포크레인(5)에 의해 호퍼(21)로 투입된 토사를 선단부쪽으로 이송하여 하측으로 투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컨베이어(20)는 선단부가 상기 바지선본체(1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위치되고, 기단부는 상기 포크레인 탑재부(12)와 간섭되지 않도록 바지선본체(10)의 데크(11)의 중심부에서 타측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턴테이블(30)은 상기 데크(1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턴테이블본 체(31)와, 상기 턴테이블본체(31)에 연결된 구동모터(32)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컨베이어(20)의 선단부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바지선본체(10)의 데크(11)에 장착된 것으로, 상기 턴테이블본체(31)의 상면에는 상기 가동컨베이어(40)의 기단부가 설치되는 브라켓(31a)이 구비되어, 구동모터(32)로 턴테이블본체(31)를 회전시키므로써 고정컨베이어(2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가동컨베이어(40)는 기단부가 상기 턴테이블본체(31)의 브라켓(31a)에 힌지축(41)으로 결합되어, 선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선단부가 바지선본체(10)의 전방 외측으로 충분히 연장되도록 길게 제작되어, 상기 고정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된 토사를 받아 바지선본체(10)의 외측으로 이송한다.
상기 승강조절장치(50)는 상기 고정컨베이어(20)의 선단부에 위치되도록 바지선본체(10)에 구비된 지지타워(51)와, 상기 지지타워(51)와 상기 가동컨베이어(40)의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52)과, 상기 케이블(52)에 연결된 권취장치(5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타워(51)는 상기 바지선본체(10)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바지선본체(10)의 데크(11) 상측으로 높게 연장된다. 상기 케이블(52)은 상기 지지타워(51)의 상단과 가동컨베이어(40)의 중간부에 각각 구비된 도르래기구(52a)에 연결되어 힘을 증폭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취장치(53)는 상기 지지타워(51)에 구비되며 둘레면에 상기 케이블(52)이 감기는 권취드럼(53a)과, 상기 권취드럼(53a)에 연결된 구동모터(53b)로 구성된 것으로, 구동모터(53b)로 상기 권취드럼(53a)을 회전시켜 케이블(52)을 감거나 풀므로써, 상기 가동컨베이어(40)의 선 단부를 승강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선체고정장치(60)는 상기 바지선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강시 하단이 해저면 또는 하저면(6)에 매입고정되는 승강가이드(61)와, 상기 승강가이드(61)에 연결되어 승강가이드(6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62)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61)는 금속재의 사각파일 형태로 구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승강구동장치(62)가 결합되는 랙기어(61a)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구동장치(62)는 상기 바지선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랙기어(61a)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62a)와, 감속기를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62a)에 연결된 구동모터(62b)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62b)는 유압모터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장치(62)로 승강가이드(61)를 하강시켜, 승강가이드(61)의 하단이 해저면 또는 하저면(6)에 충분히 매입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62b)에 작용되는 유압을 제거하면, 바지선본체(10)는 해수면 또는 하수면의 수위변화에 추종하여, 상기 승강가이드(6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은, 예인선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체고정장치(60)의 승강가이드(61)를 하강시켜, 승강가이드(61)가 해저면이나 하저면(6)에 매입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30)과 승강조절장치(50)를 이용하여 가동컨베이 어(40)의 선단부가 항만 매립현장이나 해안 야적장 등을 향하도록 방향과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의 일측에 토사운반 바지선을 정박시켜 고정한 후, 상기 포크레인(5)을 이용하여 토사운반 바지선에 실린 토사를 퍼서 상기 호퍼(21)로 투입하면, 토사는 고정컨베이어(20)와 구동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항만 매립현장이나 해안 야적장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상기 턴테이블(30)과 승강조절장치(50)를 이용하여, 가동컨베이어(40)의 방향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닻이나 밧줄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종래의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에 비해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므로, 태풍이나 강풍에 의해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이 전복되거나 떠내려가 위치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체고정장치(60)의 구동모터(62b)에 작용되는 유압을 해제하면, 바지선본체(10)가 해수면 또는 하수면의 수위변화에 추정하여 승강가이드(61)를 따라 승강되므로, 해수면 또는 하수면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바지선본체(10) 또는 승강가이드(61)를 비롯한 선체고정장치(60)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지거나, 해수면 또는 하수면의 수위가 높아져 승강가이드(61)가 해저면 또는 하저면(6)에서 뽑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컨베이어(20)와 가동컨베이어(40)를 이용하여 토사를 이송하므로, 이송작업중이라도 필요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30)과 승강조절장치(50)를 이용하여 가동컨베이어(40)의 선단부의 방향과 높이를 조절하므로써 토사의 이송위치 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태풍이나 강풍이 불어올 경우, 상기 가동컨베이어(40)의 높이를 낮추어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전체의 무게중심을 낮추므로써, 전복이 발생될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바지선본체(10)의 일측에는 포크레인 탑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컨베이어(20)는 기단부가 상기 포크레인 탑재부(12)와 간섭되지 않도록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되므로써, 상기 포크레인 탑재부(12)에 포크레인(5)을 탑재할 경우에, 고정컨베이어(20)와 포크레인(5)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어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이 기울어지거나 전복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에 포크레인(5)을 탑재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포크레인(5)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와같이 고정컨베이어(20)를 배치하면, 바지선본체(10)의 상면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여 바지선본체(10)의 사이즈를 키울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포크레인(5)을 이용하여 토사운반 바지선에서 토사를 퍼 나를 때 고정컨베이어(20)에 의해 방해가 발생되거나, 포크레인(5)이 고정컨베이어(2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체고정장치(60)의 승강구동장치(62)는 유압모터인 구동모터(62b)를 이용하여, 구동모터(62b)에 가해지는 유압을 제거하면 상기 바지선본체(10)가 승강가이드(61)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62b)와 랙기어(61a)의 사이에 클러치를 구비하여 클러치의 연결을 해제하므로써, 기어드모터와 같은 다른 종류의 모터를 상기 구동모터(62b)로 활용하고 필 요에 따라 상기 바지선본체(10)가 승강가이드(61)를 따라 자유롭게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을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을 도시한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을 도시한 정면구성도이다.

Claims (2)

  1. 바지선본체(10)와;
    상기 바지선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기단부 상측에는 호퍼(21)가 구비된 고정컨베이어(20)와;
    상기 고정컨베이어(20)의 선단부 하측에 위치되도록 바지선본체(10)에 구비된 턴테이블(30)과;
    기단부가 상기 턴테이블(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컨베이어(40)와;
    상기 가동컨베이어(40)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컨베이어(40)를 회동승강시키는 승강조절장치(50)와;
    상기 바지선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하강시 하단이 해저면 또는 하저면(6)에 매입고정되는 승강가이드(61)와, 상기 승강가이드(61)에 연결되어 승강가이드(6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62)를 포함하는 선체고정장치(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이 제공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본체(10)의 데크(11) 일측에는 토사를 상기 호퍼(21)로 퍼 나르기 위한 포크레인(5)이 탑재되는 포크레인 탑재부(12)가 형성되 며, 상기 고정컨베이어(20)는 기단부가 상기 포크레인 탑재부(12)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바지선본체(1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서 타측으로 편향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KR1020080127586A 2008-12-16 2008-12-16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KR20100069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586A KR20100069035A (ko) 2008-12-16 2008-12-16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586A KR20100069035A (ko) 2008-12-16 2008-12-16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035A true KR20100069035A (ko) 2010-06-24

Family

ID=4236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586A KR20100069035A (ko) 2008-12-16 2008-12-16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0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756B1 (ko) * 2014-08-13 2014-12-04 김현준 잭업 바지의 승하강장치
KR101480517B1 (ko) * 2014-08-13 2015-01-08 김현준 잭업바지의 승하강방법
KR20150129352A (ko) * 2014-05-12 2015-11-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앵글형 접근교량이 장착된 바지선
KR20160017975A (ko) * 2014-08-07 2016-02-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L형 접근교량이 장착된 바지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352A (ko) * 2014-05-12 2015-11-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앵글형 접근교량이 장착된 바지선
KR20160017975A (ko) * 2014-08-07 2016-02-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L형 접근교량이 장착된 바지선
KR101463756B1 (ko) * 2014-08-13 2014-12-04 김현준 잭업 바지의 승하강장치
KR101480517B1 (ko) * 2014-08-13 2015-01-08 김현준 잭업바지의 승하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29303A1 (en) Foundation Construction Platform Used In a Beach or Offshore Areas
JPH0551734B2 (ko)
US6010295A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transfer of cargo
KR20100069035A (ko)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KR100758732B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RU23811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йдовой загрузки или разгрузки судов
KR100768956B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KR100301159B1 (ko) 버켓엘리베이터형식의연속식하역기
KR101059131B1 (ko) 토사 하역용 컨베이어 바지선의 하역컨베이어 시스템
KR200431865Y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KR101027742B1 (ko) 해상에서 해안도로변으로의 토사 하역 공법
JPS6153921A (ja) 埋立方法
JP3538085B2 (ja) 杭材料の搬送システム
EP2098445A1 (en) Inland vessel with container lifting crane and a method for handling containers transported on inland waterways
BE1018565A4 (nl) Ponton.
JP2000006881A (ja) ばら物運搬船における陸揚げ用コンベヤの位置制御装置
KR101147246B1 (ko) 토사 하역용 이송장치
US202203559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ack structure for a transport vessel adapted for use with an offshore self-elevating vessel
CN216765898U (zh) 一种桥梁桩基冲刷防护施工船舶
JP7489301B2 (ja) 浮体構造物搬出方法および沈設架台
NL2028741B1 (en) upend crane and installation vessel
CN214143720U (zh) 一种组合式整平装置
KR100724055B1 (ko) 해상 선박에서의 골재 선적 및 하역시스템과 그에 적용되는작업선
NL2021801B1 (en) Fall pipe system
JP5480523B2 (ja) 土砂積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