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194B1 -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194B1
KR100505194B1 KR1020040046651A KR20040046651A KR100505194B1 KR 100505194 B1 KR100505194 B1 KR 100505194B1 KR 1020040046651 A KR1020040046651 A KR 1020040046651A KR 20040046651 A KR20040046651 A KR 20040046651A KR 100505194 B1 KR100505194 B1 KR 100505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ction member
seawater
ship body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길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길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길종합건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 대상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역에서 준설선에 의해 그 해저에서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옮겨 하적한 후 토운선을 매립 대상지 가까이 이동시킨 후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를 매립 대상 지역으로 해상을 오염시키지 않고 이송시키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공법에 이용될 수 있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선적된 토사의 이송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선은, 선박 본체에 설비된 토사 이송경로 상에 설치된 펌핑 부재; 선박 본체에 인접되게 위치된 토운선 상의 토사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선박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해수 공급부재; 토사 이송경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해수 공급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해수와 소정 비율로 혼합된 해수 혼합 토사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재; 및 흡입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흡입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선박 본체와 흡입부재 사이에 설치된 이동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soil loaded in a boat}
본 발명은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선적된 토사의 이송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립 대상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역에서 준설선에 의해 그 해저로부터 준설된 토사를 토운선에 옮겨 하적한 후 토운선을 매립 대상지 가까이 이동시킨 후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를 매립 대상 지역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선적된 토사의 이송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준설이라 함은 육지의 하천, 호수, 강 등의 '육지 준설'과 바다 등을 대상으로 하는 '해양 준설'로 구분된다. 상기 '해양 준설'은 항로, 항만 등의 바닥의 깊이를 보다 깊게 하기 위해 그 바닥에 존재하는 흙, 모래, 자갈, 돌 등을 파내는 작업, 해저의 토양 등을 단순히 채취하는 작업, 해저 폐기물을 끌어 올려 제거하는 작업 등을 포함한다. 또한, 준설될 수역의 깊이와 바닥의 토질의 종류, 준설된 물질의 운반 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절한 설비와 장비가 이용된다.
한편, 간척 사업을 위한 매립지 조성 또는 해안의 갯벌과 같은 연약 지반을 매립하여 항만 및 부두 시설 등을 설비하기 위해서는 해안 지역의 일정한 범위에 임시 호안을 설치하고, 인근의 바닷가 또는 해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저에서 준설한 토사를 매립지 내로 투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최근 매립지의 경우 해양 생태계 보호와 수환경의 개선과 친수환경 조성 등을 고려하여 매립지 주변의 해저에 대한 준설 시공은 거의 불가능하고 대신 그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역의 해저에 대한 준설 시공이 각광을 받고 있다.
해양 준설을 통한 매립지 조성을 위한 종래의 공사 방식은 크게 2가지로 구별된다.
첫째, 제1 방식은 준설선을 이용하여 해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저에서 토사를 준설하면 이를 바지선을 통해 운반한 후, 제방 근처에 바지선을 접안 시킨후 바지선의 토사를 크레인, 포크레인, 및 덤프 트럭 등을 이용하여 매립한다. 그런데, 이 방식은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공사 기간이 매우 길며, 바지선을 위한 접안 시설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며, 토사의 이송 과정에서 토양이 유실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둘째, 제2 방식은 준설선을 이용하여 토사를 준설한 후, 선체의 하면이 개방 가능한 토운선에 선적한 후, 제방 근처의 해상에 토사를 하적시킨 후, 그 하적된 토사를 선체의 하방으로 해저까지 연결된 흡입장치를 가진 펌프 준설선을 이용하여 제방 너머의 호안으로 이송시킴으로써 매립한다. 이러한 방식은 전자의 방식보다 비용과,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그러나, 토사의 유실량이 매우 많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팬스 형태의 '오탁방지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오탁방지시설 자체의 유실 등에 의해 해양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된 것으로서, 매립용 또는 투기용 토사의 유실량을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공사 방식에 비해 환경 친화적인 구조를 가진 선적된 토사의 이송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선적된 토사의 이송선)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선적된 토사의 이송선)는, 선박 본체에 설비된 토사 이송경로 상에 설치된 펌핑 부재; 상기 선박 본체에 인접되게 위치된 토운선 상의 토사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선박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해수 공급부재; 상기 토사 이송경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해수 공급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해수와 소정 비율로 혼합된 해수 혼합 토사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재; 및 상기 흡입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박 본체와 상기 흡입부재 사이에 설치된 이동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부재는: 상기 이송경로의 선단과 연통되도록 설비된 제1 파이프; 상기 제1 파이프에 연통되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파이프; 및 굴곡 파이프에 의해 상기 제2 파이프에 연통되며, 상기 해수 혼합 토사를 흡입할 수 있는 제3 파이프;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파이프는 상기 선박 본체의 선수의 좌,우측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설치되고, 상기 해수 공급부재는 상기 제1 파이프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선박 본체의 측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흡입부재를 상기 선박 본체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수직 이동부재; 및 상기 흡입부재를 상기 선박 본체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수평 이동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 이동부재는: 상기 흡입부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선박 본체에 설치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상기 선박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과 상기 흡입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선박 본체에 설치된 실린더;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상기 흡입부재의 굴곡된 부위에 설치되어 굴곡된 흡입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제2 실린더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해수 공급부재는: 해수를 선박 본체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박 본체에 설치된 해수 펌프; 및 상기 해수 펌프와 연통되도록 상기 선박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소정 길이의 해수 공급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부재의 실질적인 말단으로부터 상기 펌핑부재 방향으로 상기 흡입부재 내부로 해수를 분출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부재의 소정 위치에 관통된 분출부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출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부재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재와 나란하게 설치된 분출관; 상기 분출관과 연통되며, 상기 흡입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분출 하우징; 상기 분출 하우징으로부터 각각 소정 각도 경사지게 상기 흡입부재에 연통되는 다수의 분기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출 하우징은 분출관을 통해 공급되는 해수를 상기 토운선 상의 토사 측으로 분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교란 노즐을 더 구비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선적된 토사의 이송선)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선적된 토사의 이송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적된 토사"라 함은 준설 토사, 모래 채취된 토사, 기초공사용 토사 등 준설 공사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거나 준설과 관련되어 채취되는 토양, 모래 이외에 자갈, 슬러지 등을 포함하는 토사가 준선설에 의해 준설되어 토운선에 선적된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선(100)은 선박 본체(110)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선박 본체(110)에 설비된 토사 이송경로(120) 상에 설치된 펌핑 부재(122)와, 토운선(10 :도 4 참조) 상의 토사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선박 본체(110)에 설치된 해수 공급부재(130)와, 토사 이송경로(120)에 연통되어 해수와 혼합된 혼합 토사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재(140), 및 흡입부재(140)를 지지하면서 그것을 움직일 수 있도록 선박 본체(110)에 설치된 이동부재(150)를 구비한다.
상기 선박 본체(110)는 기관이 없이 예인선에 의해 이동되는 선박(비자항선)이 바람직하지만 자항선 등도 무방하다.
상기 이송경로(120)는 선수(112)로부터 선미(114)까지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고, 파이프 등과 같이 토사가 이송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또한, 이송경로(120)는 선박 본체(110)에 설치된 구조물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배관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미(114)에 위치된 이송경로(120)의 끝단은 제방(20)을 넘어 매립 대상 지역(30)으로 토사를 투기하기 위한 연결 파이프(40)의 연결을 위한 소정 구조의 연결부(124)가 마련된다.
상기 펌핑 부재(122)는 선박 본체(110)의 대략 중간 지점에 위치되고 선수(112)로부터 토사를 유입하여 선미(114) 방향으로 그 토사를 이송시키는 원동력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경로(120) 상에 설치된다. 펌핑 부재(122)는 원심력 펌프 등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해수 공급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해수 공급부재(130)는 선박 본체(110)에 인접되게 위치된 저개식 선박 즉, 호퍼를 구비한 토운선(10: 도 4 참조) 상에 선적된 토사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준설선(50: 도 4 참조)에 의해 준설된 토사가 토운선(10)에 선적되면 해수가 거의 없는 토양이므로, 흡입부재(140)의 흡입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토운선(10) 상에 소정 량의 해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상기 토사와 해수의 혼합 비율은 대략 15:8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수 공급부재(130)는 흡입부재(140)를 기준으로 선박 본체(11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선박 본체(110)의 양 측면 중 어느 위치에 정박하더라도 그 토운선(10)에 해수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해수 공급부재(130)는 해수를 선박 본체(110)로 흡입할 수 있도록 선박 본체(110)에 설치된 해수 펌프(132)와, 이 해수 펌프(132)와 연통되는 소정 길이의 해수 공급관(134)과, 해수 공급관(134)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비(미도시)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부재(140)는 해수가 혼합된 토사를 토운선(10)으로부터 흡입하여 이송경로(120)를 통해 보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선박 본체(110)의 선수 부근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은 도 1의 흡입부재 및 이동부재 부위를 발췌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동부재에 의한 흡입부재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부재(140)는 이송경로(120)의 선단과 연통되고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설비된 제1 파이프(142)와, 제1 파이프(142)에 연통되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파이프(144), 및 굴곡 파이프(146)에 의해 제2 파이프(144)에 연통되고 해수가 혼합된 토운선(10) 상의 토사를 흡입할 수 있는 제3 파이프(148)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3 파이프(142)(144)(148) 및 굴곡 파이프(146)는 전체적으로 연통되어 있으며, 토운선(10)의 위치 및 토운선(10)에 하적된 토사의 량에 따라 제3 파이프(148)의 끝단의 위치를 변형시키기 위해 일종의 관절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재(150)는 기본적으로 흡입부재(140)를 선박 본체(110)에 대하여 지지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흡입부재(140)의 수직 및/또는 수평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동부재(150)는 선박 본체(110)와 흡입부재(14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150)는 흡입부재(140)를 선박 본체(11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수직 이동부재와 흡입부재(140)를 선박 본체(11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수평 이동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수평 이동부재는 흡입부재(140), 바람직하게는, 제1 파이프(142)를 둘러싸도록 선박 본체(110)에 설치된 베이스(152), 및 흡입부재(140)를 둘러싸도록 베이스(1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154)을 구비한다. 베이스(152)를 중심으로 회전판(154)이 회전하는 경우 제1 파이프(142)도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이송경로(120)의 끝단과 제1 파이프(142)의 일단은 커플러(6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선박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156)와, 회동부재(156)의 일단과 흡입부재(14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58)와, 일단이 회동부재(156)에 연결되도록 선박 본체(110)에 설치된 실린더(151), 제2 파이프(144)의 일단과 제3 파이프(148)의 일단 사이에 설치된 제2 실린더(153)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부재(156)는 선박 본체(110)에 일 지점이 힌지 결합되는 대략 3각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58)는 각각의 일단은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그 타단은 흡입부재(14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로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151) 및 제2 실린더(153)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통상의 액츄에이터이다.
상기 실린더(151)는 예를 들어, 제3 파이프(148)의 끝단이 도 3의 "A" 위치에서 "B"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와 같이, 회동부재(156)를 회동시킴에 의해 연결부재(158)에 의해 흡입부재(140)의 위치를 수직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실린더(153)는 예를 들어, 제3 파이프(148)의 끝단이 도 3의 "B" 위치로부터 "C"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와 같이, 흡입부재(140)의 굴곡 파이프(146) 부위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흡입부재(140)의 굴곡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토사가 투기될 호안의 외측 즉, 매립 대상지역(30) 외부의 소정 위치에 선적된 토사의 이송선(100)을 접안시킨다. 이 과정에서 이송선(100)에 설치된 앵커(미도시)를 이용한다.
다음, 매립 대상 지역(30)과 이송경로(120)의 끝단, 바람직하게는 연결부(124)를 연결 파이프(40)로 연결 시공한다. 이 과정에서 매립 대상 지역(40)과 이송선(100)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부스터 선박(booster boat)을 중간 지점에 별도로 정박시켜 연결 파이프(40)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토사가 선적된 토운선(10)을 이송선(100)과 나란히 인접되게 정박시킨다.
다음, 이송선(100)에 설치된 해수 공급부재(130)를 이용하여 주변의 해수를 토운선(10) 측으로 공급한다.
이어서, 이동부재(150:도 1)를 이용하여 흡입부재(140)의 끝단이 토운선(10)에 적재된 토사 속으로 약간 삽입될 수 있도록 흡입부재(140)를 이동시킨다.
다음, 펌핑 부재(122)를 가동시키게 되면, 토운선(10)에 적재된 토사는 흡입부재(140)를 통해 흡입되어 이송경로(120) 및 연결 파이프(40)를 통해 매립 대상지역(30)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토운선(10)에 적재된 토사의 량이 계속하여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토운선(10)에 적재된 토사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에 대응하여 흡입부재(140)의 끝단의 위치를 하강시킬 필요가 있는 바, 작업자는 이동부재(150)를 가동시켜 그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제3 파이프(148)의 위치를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매립 대상 지역(30)에 토사가 계속 쌓이게 되면 연결 파이프(40)의 끝단을 그에 따라 연장할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출부재 부위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진 동일부재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이송 장치(200)는 흡입부재(140)를 통해 흡입되는 토사의 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흡입부재(140)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흡입부재(140)의 말단 부위 즉, 제3 파이프(148)의 거의 말단 부위에 연통되게 설치된 분출부재(160)를 구비한다.
상기 분출부재(160)는 펌핑부재(122)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재(140)를 통해 흡입되는 토사의 이동을 보완하기 위해 흡입부재(140) 내부에서 해수를 고속으로 분출시킴으로써 토사의 이송을 원활하게 한다.
이를 위해, 분출부재(160)는 이동부재(150)에 의해 흡입부재(14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흡입부재(140)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펌프(미도시)에 의해 유입되는 해수를 분출시킬 수 있는 분출관(162)과, 분출관(162)과 연통되고 흡입부재(1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분출 하우징(164)과, 분출 하우징(164)으로부터 각각 소정 각도 경사지게 흡입부재(140)에 연통되는 다수의 분기관(166), 및 분출관(162)을 통해 공급되는 해수의 일부를 토운선(10) 상의 토사 측으로 분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교란 노즐(168)을 구비한다.
상기 분출관(162)의 일단은 선박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해수를 유입할 수 있는 구조이며, 분출관의 소정 부위에는 펌프가 설치된다. 상기 펌프는 흡입부재(140)를 통해 이송되는 토사의 이송을 돕기에 충분한 분출압력을 제공한다.
상기 분출 하우징(164)은 분출관(162)의 말단에 연통되어 분출관(162)으로부터 공급되는 해수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분기관(166)은 분출 하우징(164)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마련되고 흡입부재(14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노즐(168)은 토운선(10) 상의 토사의 엉김 등과 같은 고형화를 방지함으로써, 흡입부재(140)의 말단을 통해 토사가 공급되기 전에 토사를 교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흡입부재(140)는 거치대(170)에 거치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토사 이송장치(200)에 있어서, 제1 파이프(142)는 선박 본체(110) 선수의 좌,우측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설치되고, 해수 공급부재(130)는 제1 파이프(142)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선박 본체(110)의 어느 일 측면에 설치되는 점이 전기 실시예와 다르다. 제1 파이프(142)와 해수 공급부재(130)를 이렇게 배치하게 되면, 선박 본체(110)의 선수의 좌, 우측 중 어느 한 쪽에 위치된 토운선(10)에 흡입부재(140)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및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과도한 동력 및 재료비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해수에 의해 토운선에 수용된 토사가 흡입부재(140)를 통해 미리 교란됨으로써 공급되는 토사의 공급 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분기관(166)을 통해 해수를 빠른 속도로 분출시킴으로써 펌핑부재(122) 만을 이용한 토사의 이송을 분출부재(160)를 통해 보완함으로써 토사를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방법의 플로우 챠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방법은 매립 대상 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양의 해저에서 준설된 토사를 매립 대상지역으로 용이하고 저렴하고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방법이다.
먼저, 단계 S10에서, 매립 대상 지역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진 해역 즉, 매립 대상 지역 부근의 해저를 준설함으로써 인근 지역의 환경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근 지역의 환경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을 만큼 충분히 떨어진 지역에서 소정의 준설선을 이용하여 해저를 준설한다.
이어서, 단계 S20에서, 준설선에 의해 준설된 토사를 소정의 용량과 구조를 가진 토운선으로 옮겨 하적한다. 이 과정에서 준설선 내부에서 토사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토운선에 옮길 수도 있고 준설선에 의해 준설되는 토사를 직접 토운선에 옮길 수도 있다. 또한, 토운선에 충분한 양의 토사가 하적되면 토운선을 매립 대상 지역 근처로 이송시킨다. 통상적으로, 토운선은 비자항선이므로 토운선은 소정의 예인선(미도시)에 의해 예인된다.
이어서, 단계 S30에서, 선적된 토사의 이송선과 토운선이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정박시킨다.
다음, 단계 S40에서, 매립 대상지의 내측과 선적된 토사의 이송선을 연결 파이프로 연결한다.
한편, 선적된 토사의 이송선의 정박 및 연결 파이프의 연결 단계와 토운선의 이송 단계는 공사 현장의 상황에 따라 그 순서를 달리 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즉, 상기 S10 내지 S40의 사이의 단계들은 시계열적인 것은 아니다.
다음, 단계 S50에서, 선적된 토사의 이송선의 펌핑 부재를 작동시켜 토운선 상의 토사를 매립 대상 지역으로 이송시킨다. 이 단계는 토운선 내부에 해수(물)가 충분히 함유되어 있는 상태에 적합하다. 그러나, 통상적인 경우에는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에는 수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주변의 해수를 토운선에 공급하여 토사에 소정의 수분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계 S60에서, 필요한 경우 토운선 내부의 토사에 함유된 수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흡입에 필요한 만큼의 해수를 토운선 내부로 공급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분출부재를 통해 주변의 해수를 고속으로 펌핑부재 내부로 분사시키게 되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토사의 공급 속도 및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노즐을 통해 토운선 내부로 해수를 분출시키게 되면 토운선에 하적된 토사를 교란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흡입부재의 말단으로 토사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토운선에 의해 운반된 토사를 매립 대상 지역 외측의 해양에 임시적으로 투기하지 않기 때문에 오탁방지시설을 채택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선적된 토사의 이송 식은 비용이 저렴하고, 공기가 단축되며, 토사의 유실량을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는 종래의 오탁방지시설 및 토사에 의한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해양 생태계 보호와 수환경의 개선과 친수환경 조성에 매우 큰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는 종래의 준설선의 선수 부분을 간단하게 개조시킴으로써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은 새로운 개념의 준설 공사 및 설계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응용 분야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선적된 토사의 이송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해수 공급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이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흡입부재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분출부재 부위의 발췌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적된 토사의 이송 공법의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토운선 20...제방 30...매립 대상 지역
40...연결 파이프 50...준설선 100...선적된 토사의 이송선
110...선박 본체 120...이송경로 130...해수 공급부재
140...흡입부재 150...이동부재 160...분출부재
162...분출관 164...분출 하우징 166...분기관
168...노즐 170...거치대

Claims (12)

  1. 삭제
  2. 선박 본체에 설비된 토사 이송경로 상에 설치된 펌핑 부재;
    상기 선박 본체에 인접되게 위치된 토운선 상의 토사에 해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선박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해수 공급부재;
    상기 이송경로의 선단과 연통되도록 설비된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에 연통되어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파이프와, 굴곡 파이프에 의해 상기 제2 파이프에 연통된 제3 파이프를 가지며, 상기 해수 공급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해수와 소정 비율로 혼합된 상기 토운선 상의 토사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부재; 및
    상기 흡입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박 본체와 상기 흡입부재 사이에 설치된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는 상기 선박 본체의 선수의 좌,우측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설치되고,
    상기 해수 공급부재는 상기 제1 파이프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상기 선박 본체의 측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흡입부재를 상기 선박 본체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수직 이동부재; 및
    상기 흡입부재를 상기 선박 본체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수평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부재는:
    상기 흡입부재를 둘러싸도록 상기 선박 본체에 설치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상기 선박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과 상기 흡입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선박 본체에 설치된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부재는, 상기 흡입부재의 굴곡 파이프에 설치된 제2 실린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공급부재는:
    해수를 선박 본체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박 본체에 설치된 해수 펌프; 및
    상기 해수 펌프와 연통되도록 상기 선박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소정 길이의 해수 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펌핑부재 방향으로 상기 흡입부재 내부로 해수를 분출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부재의 소정 위치에 관통된 분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흡입부재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재와 나란하게 설치된 분출관;
    상기 분출관과 연통되며, 상기 흡입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분출 하우징;
    상기 분출 하우징으로부터 각각 소정 각도 경사지게 상기 흡입부재에 연통되는 다수의 분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 하우징은 분출관을 통해 공급되는 해수를 상기 토운선 상의 토사 측으로 분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교란 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12. 삭제
KR1020040046651A 2004-04-23 2004-06-22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KR100505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417 2004-04-23
KR20040028417 2004-04-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636U Division KR200371699Y1 (ko) 2004-04-23 2004-06-22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5194B1 true KR100505194B1 (ko) 2005-08-03

Family

ID=373039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651A KR100505194B1 (ko) 2004-04-23 2004-06-22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KR20-2004-0017636U KR200371699Y1 (ko) 2004-04-23 2004-06-22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636U KR200371699Y1 (ko) 2004-04-23 2004-06-22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5051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820B1 (ko) 2007-06-13 2008-03-13 (주)부일엠앤드씨 매립토 이송 장치
KR101028135B1 (ko) * 2010-06-07 2011-04-08 주식회사 용호건설 준설선용 토사 적재장치
KR102117631B1 (ko) * 2019-04-17 2020-06-09 윤종익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
JP2020147065A (ja) * 2019-03-11 2020-09-17 東洋建設株式会社 作業船及び埋立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820B1 (ko) 2007-06-13 2008-03-13 (주)부일엠앤드씨 매립토 이송 장치
KR101028135B1 (ko) * 2010-06-07 2011-04-08 주식회사 용호건설 준설선용 토사 적재장치
JP2020147065A (ja) * 2019-03-11 2020-09-17 東洋建設株式会社 作業船及び埋立方法
JP7168492B2 (ja) 2019-03-11 2022-11-09 東洋建設株式会社 作業船
KR102117631B1 (ko) * 2019-04-17 2020-06-09 윤종익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
CN111822477A (zh) * 2019-04-17 2020-10-27 尹钟益 填埋用土壤抽吸卸载施工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699Y1 (ko) 200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890B1 (ko) 복합 준설선
US4945661A (en) Dredging apparatus
US5970635A (en) Jet agitation dredging system
US7637696B2 (en) Underwater trenching apparatus
EP2236679A2 (de) Verfahren zur Sediment-Transport-Baggerung und Schleppkopfsaugbagg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2124164B (zh) 用于将大量水下土壤传送至填筑区的方法
KR100505194B1 (ko)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WO2014133462A1 (en) Unloading system for sand and the method thereof
KR100511442B1 (ko) 선적된 토사의 이송 공법
JPH1018345A (ja) 軟弱土による埋立工法および浚渫埋立・一貫施工システム
JPH04228730A (ja) 固形しゅんせつ物処理方法及びしゅんせつ方法
JP7107767B2 (ja) 浚渫ステーションおよび浚渫システム
KR100835584B1 (ko) 준설된 점성토의 파쇄 후 이송방법
US71884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bringing ashore or refloating a floating body
JP4341772B2 (ja) 浚渫方法及び浚渫システム
JP5731243B2 (ja) 固定式ダム浚渫工法
KR20120117607A (ko) 부상토 채집 설비가 구비된 심층혼합처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심층혼합처리 공법
KR100798751B1 (ko) 고효율 친환경 준설토사운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사배출방법
KR102495693B1 (ko) 어항 내의 퇴적 갯벌 제거 및 갯벌 퇴적 방지 시스템
JP2000238692A (ja) 揚土兼覆砂台船
CN211898616U (zh) 船载多功能取沙造岛挖掘器
JPH02243830A (ja) 高濃度浚渫排送装置
KR20100136027A (ko) 부스터선을 이용하여 준설물을 전송하는 준설선
KR100812820B1 (ko) 매립토 이송 장치
EP0747540B1 (en) Underwater suction dredging unit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