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631B1 -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 - Google Patents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631B1
KR102117631B1 KR1020190044766A KR20190044766A KR102117631B1 KR 102117631 B1 KR102117631 B1 KR 102117631B1 KR 1020190044766 A KR1020190044766 A KR 1020190044766A KR 20190044766 A KR20190044766 A KR 20190044766A KR 102117631 B1 KR102117631 B1 KR 102117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discharge
landfill
centrifugal pump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익
Original Assignee
윤종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익 filed Critical 윤종익
Priority to KR102019004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631B1/ko
Priority to CN201910450207.1A priority patent/CN111822477A/zh
Priority to SG10202003389YA priority patent/SG10202003389Y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10Placing gravel or light material under water inasmuch a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91Pump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에 관한 것으로 매립 가능한 특정 매립지 지점의 해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비교적 토사 적재가 용이한 어느 해안가나 연안 지점에 정박된 하역선에서 건조 또는 반건조 상태의 토사 혼합물을 원심펌프의 진공압으로 흡입하여 하역선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매립 가능한 특정 지점의 해상까지 연장된 방출호스를 통하여 원스텝으로 압송시켜 해상 매립지의 해저면으로 연속 방출하며 포설하는 식의 매립을 이루게 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이러한 공법 수행에 요구되는 장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Develop Soil Pumping Discharge Method for Reclamation and its Equipment}
본 발명은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사가 적재된 토운선으로부터 토사를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물과 함께 흡입하여 멀리 떨어진 매립지에 곧바로 신속하게 균등포설 또는 매립할 수 있는 공법 및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토사의 매립 공법에 있어서, 예컨대 토사를 적재한 토운선 또는 바지선들이 매립 가능한 해상 지점까지 직접 이동한 상태에서 그래브(Grab) 또는 스플릿 호퍼 바지(Split Hopper Barge)로 매립지 해저면 상부에 토사를 직접 방출 포설하는 식으로 매립하고 있다.
이러한 토운선 또는 바지선들은 예컨대 대략 5백에서 5천 입방 미터 토사를 적재한 상태로 매립 가능한 특정의 해상 지점까지 반드시 운행되어야 한다.
이후, 토운선 또는 바지선에 적재된 토사는 그래브(Grab)나 스플릿 호퍼 바지(Split Hopper Barge)를 통하여 해저 매립지 해저면 상부에 직접 방출 포설하는 식으로 매립하고 있다. 물론, 토운선 또는 바지선에 실린 토사는 크레인에 연결된 흡입장치를 통해 흡입되어 해저 매립지의 바닥에 방출 포설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토사 매립에 있어서는 토운선 또는 바지선 모두를 토사 매립이 가능한 해상의 특정 지점까지 운항시켜 매립해야 하지만 수심이 낮아 토운선 또는 바지선의 진입이 불가능하여 매립의 생산성 저하 및 공사비 증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항만 지형이 협소한 예컨대 홍콩의 항만에서는 이와 같은 기존의 토사 매립 공법 운용이 더욱 어렵다. 즉, 홍콩의 항만은 다른 국가의 항만과 같이 넓지 않은 협소한 해상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홍콩의 항만 내에 운항되고 있는 선박들이 매우 많은 관계로, 운항되고 있는 선박들 간의 잦은 간섭에 따른 접촉사고나 충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토사 매립에 일반적으로 필요한 예컨대 대략 5천톤 가량의 토사가 적재된 토운선은 수심이 5m 이상 확보되어야 하나, 홍콩의 해상 매립지에는 수심이 낮기 때문에, 토운선이 토사를 허용 용량 전체를 적재한 상태로 매립 가능한 특정 지점의 해상 영역에 도달하여 직접 매립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현실이다.
특허문헌 001 : 일본출원특허 제02409277호(출원일자 1990.12.28)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사 매립이 가능한 특정 지점의 해상 위치까지 토사를 적재한 선박들의 운행 없이도 인근 해안가나 연안 지역에서 토사를 매립 가능한 특정 지점의 해상 구역의 해저 매립지로 균등 포설하거나 일반 포설하는 매립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사 적재가 용이한 어느 해안가나 연안가 지점에 정박된 하역선에서 건조 또는 반건조 상태의 토사가 강제로 조성된 가수웅덩이에서 물과 혼합된 상태로 진공 흡입되어 상기 하역선에부터 멀리 떨어진 특정 해상의 매립지까지 연장된 방출호스(배토관(配土管))를 통하여 원스텝으로 압송된 상태에서 상기 매립지에 연속 포설되는 방식으로 매립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물과 토사로 혼합된 혼합물의 강제 진공 흡입을 위한 흡입수단과 흡입된 상기 혼합물을 연속 포설하는 방출수단이 조합된 흡입방출장치가 더 이용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에 일 특징이 있다.
토운선과 보조선으로 세트화된 하나의 하역선을 토사 적재가 용이한 어느 특정 해안가나 연안가 지점에 정박시키고, 상기 보조선에 탑재된 조정장치의 선단에 토사를 진공 흡입하기 위한 흡입수단이 결합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정박단계, 상기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에 대하여 상기 흡입수단이 적재된 상기 토사의 일측편 국부 토사 방향에서부터 타측편 국부 토사 방향으로 토사의 국부에 물의 강압적인 제트 분사에 따른 가수웅덩이를 조성함과 동시 가수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가수단계, 상기 토사의 국부에 조성된 가수웅덩이에서부터 상기 흡입수단이 물과 토사로 혼합된 혼합물을 진공 상태에서 흡입하며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를 점진적으로 소진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펌핑단계, 흡입된 상기 혼합물이 상기 하역선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해저 매립지의 해상 지점에 이르는 구간까지 연장된 방출호스를 통하여 압송되어 방출호스의 말미에 연결된 방출수단을 통해 방출되며 상기 해저 매립지상에 토사가 포설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토사포설단계, 및 상기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가 상기 흡입수단에 의해 흡입되며 소진됨에 따라 상기 토운선의 주변에서 상시 대기하는 조달선들이 상기 토운선에 접안하여 컨베어밸트로 상기 조달선들에 적재된 토사들을 상기 토운선의 소진 토사량만큼 보충하여 공급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토사보충단계를 포함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혼합물은 물 50 부피(m3) 내지 90 부피(m3)와 토사 10 부피(m3) 내지 50 부피(m3)로 혼합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에 일 특징이 있다.
한편, 어느 특정 해저의 매립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토사 적재가 용이한 어느 해안가나 연안가 지점에 정박된 하역선에서 건조 상태의 토사를 물로 포화시킨 혼합물로 변화시키기 위한 강제적인 가수웅덩이 조성에 따라, 상기 혼합물을 흡입수단으로 진공 흡입 하여 상기 하역선에서부터 상기 매립지의 해상까지 연장된 방출호스를 통하여 원스텝으로 압송한 상태에서 상기 방출호스의 말미에 연결된 방출수단으로부터 상기 혼합물을 상기 매립지상에 연속 포설하는 방식으로 매립하게 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매립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토사 적재가 용이한 어느 해안가나 연안가 지점에 정박되어 토사를 적재하고 있는 토운선과 상기 토운선의 어느 일측편에 배치되어 상기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를 일측 방향에서부터 타측 방향으로 진공 흡입하는 방식으로 소진하는 흡입수단을 결합한 조정장치의 탑재가 이루어진 보조선으로 세트화된 하역선, 상기 조정장치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의 일부 국부에 대한 강압적인 가수웅덩이의 조성과 함께 가수가 이루어지며 상기 가수웅덩이에서 물과 토사로 혼합된 혼합물을 원심펌프의 진공압으로 흡입하는 흡입수단과, 상기 방출호스의 말미에 연결되어 상기 혼합물을 방출하여 매립대상지역에 토사를 연속 포설하는 방출수단으로 조합 구성된 흡입방출장치로 구성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가수웅덩이에서 혼합물의 진공 흡입을 위해 원통형 구조의 외관 하단에 결합되어 진공 흡입 면적의 확보에 용이한 평평하면서도 넓적한 바닥 형태를 갖는 흡입헤드를 갖는 원통형 구조의 원심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심펌프는 정밀한 움직임을 가지며 토사를 소진할 수 있도록 조정장치에 직접 결합되되, 상기 조정장치는 포크레인이 이용되고 상기 포크레인의 붐대 끝단에 상기 원심펌프가 직접 결합되며, 상기 원심펌프의 원통형 외관의 어느 외측으로는 물을 가수(Water Supply)하기 위한 물공급관, 상기 원심펌프의 원통형 외관의 어느 내측으로는 물을 제트 분사하기 위한 제트분사노즐, 상기 물공급관과 상기 제트분사노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밸브장치, 상기 원심펌프의 원통형 외관의 다른 어느 외측으로는 흡입된 혼합물을 방출호스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연결관, 및 상기 원심펌프의 원통형 외관의 또 다른 어느 외측으로는 혼합물의 흡입 과정에서 에어 발생으로 야기되는 기포를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에어 릴리프 볼 밸브를 더 포함하는 구조의 원심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은 물 50 부피(m3) 내지 90 부피(m3)와 토사 10 부피(m3) 내지 50 부피(m3)로 혼합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방출수단은 상기 방출호스의 말미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수단으로부터 흡입된 혼합물을 분배 방출하여 매립지 상에 포설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며 다수로 형성된 토출구들이 포함된 구조의 방출분배토출관 타입에서는 상기 다수의 토출구들을 통하여 고르게 분배 방출되는 토사들이 상기 매립지에 균등 포설되고, 하나의 토출구 구조로 이루어진 방출분배토출관 타입에서는 상기 하나의 토출구를 통하여 방출되는 토사들이 상기 매립지에서 일반 포설 즉 비균등으로 포설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매립지에서 포설되는 혼합물의 포설 과정에서 상기 방출분배토출관의 용이한 핸들링을 위해 상기 방출분배토출관의 인접된 상기 방출호스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방출분배토출관에 대한 적정한 부력을 조절하여 주는 부력조정장치가 더 포함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부력조정장치는 부력구조물로서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제1,2 폰툰으로 구성된 폰툰부, 상기 폰툰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출분배토출관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위성과 교신하는 GPS, 상기 폰툰부에 설치되어 상기 GPS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받아 상기 방출분배토출관의 위치 파악에 따라 상기 제1,2 폰툰에 감긴 권선을 감도록 윈치의 자동을 지시히여 상기 GPS의 새로운 위치좌표값 방향으로 상기 폰툰부를 이동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매립지에 포설되는 토사물의 포설층 두께를 에코 사운딩 데이터로 모니터링하는 계측기를 더 포함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토운선의 적재실은 흡입수단인 원심펌프의 진공 흡입에 따른 토사 소진 진행에 맞춰 어느 일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성을 가짐에 따라, 상기 원심펌프를 붐대의 선단에 결합한 구조의 포크래인은 상기 보조선에 탑재된 채로 이동없이 상기 원심펌프의 가수웅덩이 조성을 위한 붐대의 조작만 가하는 한편, 상기 원심펌프는 상기 붐대의 조작 반경 영역에서만 동작되고, 상기 토사에 대한 진공 흡입 과정을 통해 적재실에 적재된 토사를 연속적으로 소진하게 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사 적재가 용이한 어느 해안가 특정 지점에 정박된 하역선에 실린 토사를 진공 흡입한 상태에서 해안가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 매립지 지점까지 연장되어 도달하는 방출호스를 통해 토사의 압송과 함께 매립지상에 직접 포설되어 매립됨으로써, 매립지의 해상 지점으로 토사를 실은 석박들을 운항할 필용없이 토사를 원스텝으로 매립지상에 매립 가능함에 따라, 얕은 수심 조건에서도 매립 시공이 가능하며, 수심 변화와 관계없이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토사 매립의 공사 기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립지에 토사의 매립에 있어 매립지가 위치된 해상 지점으로 토사를 실은 선박의 운항이 필요 없는 관계로 매립구역 내에 운행되고 있는 타 선박들과의 간섭에 따른 접촉 사고나 충돌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매립 시공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매립지에 토사의 매립에 있어 토사를 실은 정박 상태의 하역선에서 곧바로 토사를 진공 흡입하여 멀리 떨어진 매립지상에 포설하는 방식으로, 토사 매립이 원스텝으로 구현 가능함에 따라 토사 매립의 작업성이 수월하고 편리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의 순서를 블록으로 개념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를 이용하여 해저 매립지로 토사를 포설하는 상황을 일례로 개념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에서의 토운선과 보조선으로 세팅된 하역선에 대한 평면을 일례로 개념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조선에 탑재된 조정장치에 대한 측면을 일례로 개념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흡입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일례로 개념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방출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일례로 개념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에서의 토운선과 보조선으로 세팅된 하역선에 대한 평면을 다른 일례로 개념화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토운선의 적재실에 적재된 토사에서의 국부 토사 소진에 따른 적재실의 이동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에 표기된 A 절단선에 따른 A 절단선의 측 방향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에 표시된 B 절단선에 따른 B 절단선의 측 방향을 보이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에서의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 소진시 조달선들로부터 토사를 공급받는 상태를 일례로 개념화한 평면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을 통한 기술적 사상에 이르는 권리 범위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유첨된 도면들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첨부된 관계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첨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다음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어느 특정 국가의 항만 예컨대 홍콩의 협소한 항만에서 토사 매립이 가능한 특정 지점의 해상 구역에 이르기까지 매립용 토사를 포설 공급하기 위하여 해당 해상 구역 가까이 하역 선박을 운항시킬 필요 없이 인근 해안가나 연안 지점에서 예컨대 대략 800 내지 1,200M나 멀리 떨어진 상기의 해당 해상 구역까지 토사를 진공압으로 흡입하여 해당 해상 구역까지 연장된 방출호스를 통하여 곧바로 연속 방출하여 해당 해상 구역의 해저 매립지로 포설되도록 하는 점에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은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박단계(S10), 가수단계(S20), 펌핑단계(S30), 포설단계(S40), 및 보충단계(S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박단계(S10)
상기 정박단계(S10)는 토사의 선적이 용이한 어느 특정 지대의 가까운 해안가나 연안가에 하역선(100)을 정박시킨 후, 상기 하역선(100)을 구성하는 토운선(110)에 토사를 적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물론, 상기 토운선(110)의 어느 일측편에 위치된 보조선(120)에서는 조정장치(121)의 탑재 및 고정 작업과 함께, 토사를 흡입하여 매립 가능한 특정 해상 구역의 해저 매립지에 방출할 수 있는 흡입방출장치(200)의 설치 작업도 수행될 수 있다.
가수단계(S20)
상기 가수단계(S20)는 상기 토운선(110)에 적재된 토사의 어느 한 국부에 가수 환경을 조성하는 작업으로서 토사의 어느 한 국부에 물을 투입하여 국부적인 가수웅덩이(WH)을 조성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이때, 토사의 국부적인 가수웅덩이(WH)에서의 물과 토사의 혼합에 요구되는 혼합비율에 있어서, 물 50 부피(m3) 내지 90 부피(m3)와 토사 10 부피(m3) 내지 50 부피(m3)로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사는 후술되는 과정에서 토사로만 명기될 수 있되,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상기 토사의 종류에 한정될 필요는 없되, 흙, 실트질 토사, 모래, 및 기타 토사 종류를 총칭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토사에 대한 후술 과정에서의 실시예 설명에서 이용되는 상기 토사는 예컨대 흙, 실트질 토사, 모래, 및 기타 토사 종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물과 토사의 혼합에 요구되는 혼합비율에 있어 물과 토사의 혼합 비율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후술될 흡입방출장치(200)의 구성 요소인 흡입수단(210)의 진공압 조건에서의 흡입력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흡입수단(210)은 납작한 흡입헤드(217)를 갖는 원심펌프 적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이 50 부피(m3)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토사가 차지하는 함량이 높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물이 차지하는 함량은 낮아지는 관계로, 진공도가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흡입수단(210)의 진공 조건에서의 흡입력이 떨어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물이 90 부피(m3) 초과일 경우 상대적으로 토사가 차지하는 함량이 낮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물이 차지하는 함량은 높아져 흡입수단(210)의 진공압 조건에서의 흡입력은 향상될 수 있을지 모르나 토사의 흡입량은 떨어지는 관계로, 종국에는 해당 해저 매립지에 포설될 토사의 공급 방출량이 떨어짐으로써 토사 하역이 지연되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물론, 토사의 국부적인 가수웅덩이(WH) 조성에 있어서는, 흡입방출장치(200)의 구성 요소로서 흡입수단(210)의 주변으로 설치된 물공급관(216)로부터 분사되는 물과 제트분사노즐(218)들로부터 제트분사되는 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관(216)이나 상기 제트분사노즐의 개수는 설계 환경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특히, 물공급관(216)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은 분사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토운선(110)의 적재실(110a) 벽에 붙어 있는 토사 덩어리들을 분쇄하여 적재실(110a)의 하부 중앙 부위로 집중시켜 원심펌프의 흡입구로 몰릴 수 있게 유도하는 기능도 한다.
이때, 물은 물공급관(216)에서 분사되는 물과 제트분사노즐에서 제트분사되는 물로 구성될 수 있되, 밸브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물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분사되는 물은 물공급관(216)의 다양한 각도 조정에 따라 다양한 분사각을 이루며 분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물공급관(216)과 제트분사노즐(218)은 설계 환경에 따라 흡입수단(210)의 주변 부위에 증감되는 수로 설치 구성되어 다양한 물 분사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관(216)과 제트분사노즐(218)은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 인접 주변으로 물의 공급 및 제트 분사에 따른 가수웅덩이(WH)의 효율적인 조성을 위해 토사의 경사벽 형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영상카메라렌즈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상카메라렌즈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는 조종장치(121)의 조종실에 구성된 영상검출부를 통해 분석되어 토사의 국부 부위에 대한 다양한 경사벽(예컨대, 제1 경사벽, 제2 경사벽, 제3 경사벽 및 기타) 기울기 정보값에 따라 에어라인으로 에어압의 주입량이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에어압의 주입량에 따라 튜브가 팽창되는 정도에 따라 물공급관(216)의 기울기도 실시간으로 변화되면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가수웅덩이(WH)의 강압 조성이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물과 혼합되는 토사의 부유량은 예컨대 혼탁측정기(미도시)를 통해 측정되어 파악될 수 있고, 이러한 토사의 부유량은 흡입수단(210)인 원심펌프의 최대 흡입도에 만족할 수 있는 임의의 부유량값에 부합될 때 흡입수단(210)인 원심펌프 흡입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혼탁측정기는 예컨대 탁도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되, 상기 탁도계는 광전도계 방식의 탁도계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펌핑단계(S30)
상기 펌핑단계(S30)에서는 상기의 과정들을 통해 이루어진 토사의 국부적인 가수웅덩이(WH)의 조성, 물과 토사의 혼합비율, 물에 부유되는 토사의 부유량값이 만족될 때, 흡입방출장치(200)의 흡입수단(210)으로서 원심펌프의 구동을 통해 혼합물(물+토사)이 흡입되어 펌핑되는 과정이다.
즉, 상기 원심펌프는 보조선(120)에 탑재 고정된 조정장치(121)에 고정식으로 결합되어 토운선(110)의 적재실(110a)에 적재된 토사의 국부 지점에 형성된 가수웅덩이(WH)에서 상기 혼합물(물+토사)을 흡입하는 방식으로 구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원심펌프는 상기 혼합물(물+토사)의 흡입 과정에서 국부 지점의 토사 소진에 따른 흡입 중단 없이 연속적인 흡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토운선(110)의 적재실(110a)이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거나혹은 보조선(120)이 예컨대 상기 토운선(110)의 선두에서 선미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동작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토운선(110)이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통해 적재실(110a)의 이동에 따라 토사가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소진될 수 있고, 혹은 상기 토운선(110)이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보조선(120)이 어느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통해 마치 상기 적재실(110a)이 이동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흡입수단(210)인 원심펌프를 통한 상기 혼합물(물+토사)의 연속적인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 보조선(120)은 상기 토운선(110)의 적재실(110a)에 적재된 토사의 국부 지점에 있는 일부 토사가 소진되는 정도를 파악하며 이동할 수도 있되, 토사의 소진 정도의 파악은 적재실(110a)의 격벽에 설치된 센서 감지 신호에 근거할 수 있다.
포설단계(S40)
상기 토사포설단계(S40)에서는 상기 흡입수단(210)의 원심펌프를 통하여 흡입되는 상기 혼합물(물+토사)이 흡입방출장치(200)의 방출호스(220) 및 방출수단(230)을 통하여 해상의 매립지 해저면에 방출되는 방식으로 포설되며 매립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혼합물(물+토사)은 하역선(100)이나 토사 운반선의 수심 확보가 가능한 해안가나 연안가에 정박된 하역선(100)에서부터 매립 가능한 해상의 매립지 지점에 이르는 먼 거리 구간까지 연장된 방출호스(220)를 통하여 압송되다가 상기 방출호스(220)의 말미에 연결된 방출수단(230)으로서 방출분배토출관(231)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구(231a)들로부터 분배식으로 고르게 방출되면서 매립지에 균등 포설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출분배토출관(231)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구(231a)들을 통한 혼합물에 포함된 토사의 포설은 매립지에 균등 포설될 수 있는데, 이는 다수의 토출구(231a)들로부터 혼합물에 포함된 토사들이 고르게 분배되면서 방출되는 관계로 매립지에서의 균등 포설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기 방출분배토출관(231)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구(231a) 구조를 통한 토사의 균등 포설 방식뿐만 아니라 매립 목적에 따라 일반 포설 방식도 가능한데 이러한 일반 포설 방식은 하나의 토출구 구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나의 토출구에서 방출되는 혼합물에 포함되는 토사는 매립지에 균등하게 포설되지 않는 일반 포설 즉 비균등하게 포설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외에도 요철형으로도 포설될 수도 있다.
이처럼, 매립지에 포설되는 토사는 끊김 없이 연속성을 유지하며 포설될 수 있는데, 이는 매립지가 위치된 해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토사 적재가 용이한 즉 특정 해안가나 연안가에 정박 중인 하역선(100)으로부터 끊임없는 토사의 신속 공급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방출호스(220)의 내부로는 상기 혼합물(물+토사)이 압속되는 관계로, 상기 혼합물(물+토사)의 압송량이 임계량 수준으로 압송되는지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밀도측정기가 상기 방출호스(220)의 길이 중 어느 특정 지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밀도측정기는 상기 방출호스(220)의 특정 지점에서 압송되는 상기 혼합물에서 물에 포함된 토사의 밀도량을 측정하여 상기 방출호스(220)의 전체 구간으로 압송되고 있는 토사의 압송량을 평균값으로 나눠 산출하기 위한 기준 밀도량값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보충단계(S50)
상기 보충단계(S50)는 어느 특정 해안가나 연안가에 정박 중인 하역선(100)의 토운선(110) 적재실(110a)에 적재된 토사 소진 정도에 따라 상기 적재실(110a)에 토사를 보충하여 공급하는 과정이다.
상기 토운선(110)의 상기 적재실(110a)에서 토사가 흡입방출장치(200)의 흡입수단(210)에 의해 흡입되는 방식으로 소진하게 되면, 그 소진된 토사만큼 새로운 토사를 상기 적재실(110a)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새로운 토사를 실은 조달선(300)들이 토운선(110)의 주변 해상에서 상시 대기하고 있다가 토사의 소진량에 따라 도 10과 같이 상기 토운선(110)에 접안한 상태로 컨베이어벨트(310)를 통해 적재실(110a)로 소진된 토사량만큼 새로운 토사를 공급하여 보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는,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 매립이 가능한 특정 해저의 매립지가 위치된 해상 지점까지 하역선(100)을 운항할 필요 없이 토사 적재가 용이한 어느 특정 해안가 인근에 하역선(100)을 정박해 둔 상태로 하역선(100)에 적재된 토사를 진공 조건 상태로 흡입하여 매립지까지 연장된 흡입방출장치(200)의 방출호스(220)를 통하여 압송시켜 방출호스(220)의 말미에 연결된 방출수단(230)에서 방출되는 방식으로 매립지에 포설시킬 수 있는 장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는 하역선(100)에 실린 건조 또는 반건조 토사를 원스텝(one-step: 흡입+압송)으로 신속하게 매립지상에 연속 포설하는 방식으로 매립 가능한 시스템인 것이다.
상기 하역선(100)은 예컨대 도면 3 내지 4와 같이 토사가 적재된 토운선(110)과 상기 토운선의 어느 측편에 위치된 보조선(120)으로 세트화된 하나의 구성 선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때 상기 토운선(110a)에 적재되는 토사는 건조 또는 반건조 상태의 토사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토운선(110)에는 토사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실(110a)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선(120)에는 조정장치(121)가 탑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정장치(121)는 상기 흡입방출장치(200)의 구성 요소인 흡입수단(21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흡입수단(210)은 그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로 예컨대 상기 토운선(110)의 이동에 따라 적재실(110a)에 적재된 토사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토사를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소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참고도면은 도면 7 내지 9를 참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토운선(110)의 이동을 통해 동시 이동되는 적재실(110a)은 상기 흡입수단(210)의 토사 흡입 과정에서 적재실(110a)에 묻은 토사 덩어리를 개별 입자로 해체할 수도 있지만, 적재실(110a)의 배면 부위에 복수개 이상으로 설치된 진동모터(VM)의 동작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서도 적재실(110a)의 격벽에 묻은 토사 덩어리들을 해체하여 떨어뜨리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조정장치(121)는 상기 흡입수단(210)에 대한 정밀하고도 신속한 조종을 위해 예컨대 포크래인을 적용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입수단(210)은 상기 적재실(110a)에 적재된 토사 중 어느 국부에 있는 토사에 대하여 강압적인 가수웅덩이(WH) 환경 조건으로 조성하는 가수(加水) 작업과 함께 상기 가수웅덩이(WH)에서 물과 토사가 혼합된 혼합물(물+토사)을 진공 조건에서 흡입하는 작업을 병행할 수 있는 물공급관(216)과 제트분사노즐(218)과 평평한 흡입헤드(217)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예컨대 원심펌프 적용 이용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흡입수단(210)으로서 사용될 예컨대 상기 원심펌프는 도면 4와 같이 상기 조정장치(121)로 사용될 예컨대 포크레인(excavator)의 붐대(121a) 끝단에 고정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관계로, 포크레인의 붐대(121a)는 보조선(120)에서부터 토운선(110)의 적재실(110a)에 이르기까지 가로 지르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붐대(121a)의 끝단에 결합 연결된 원심펌프는 상기 붐대(121a)의 정밀한 동작성을 기반으로 적재실(110a)의 국부에서 건조 상태에 있는 국부 토사에 대한 강압적인 가수(加水) 작업에 따른 가수웅덩이(WH)를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원심펌프는 보조선(120)에 마련된 전력공급부(12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공급부의 인근 위치에 마련된 물공급펌프(123)도 상기 전력공급부(122)로부터 전력을 분배받아 가수(加水)에 필요한 물(해수)을 펌핑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원심펌프는 도면 5와 같이 예컨대 기존 원심펌프와 달리 원통 형상의 외관 내부에는 그 중심으로 축설된 샤프트(213), 상기 샤프트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211), 상기 샤프트의 어느 일 구간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임펠라(212), 상기 임펠라의 하단에서 샤프트(213)의 어느 구간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동시 회전되며 가수웅덩이(WH)에 함유된 혼합물(물+토사)을 진공 환경에서 흡입하는 흡입구(214)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외관의 어느 외측에는 상기 물공급펌프(123)로부터 펑핑된 물을 제트 분사하는 방식으로 방출하여 가수(加水)할 수 있는 제트분사노즐(218),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혼합물(물+토사)을 매립지까지 연장된 방출호스(220)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연결관(215), 외관의 바닥에 구성되어 혼합물(물+토사)의 진공 흡입력을 제고하기 위한 평평한 바닥 구조를 갖는 흡입헤드(217)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물공급펌프(123)는 가수(加水)를 위해 상기 물공급관(216)로부터 분사되는 물과 함께 가수(加水) 성질의 물을 건조 상태의 국부 토사에 공급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물공급관(216)과 제트분사노즐(218)의 개수는 가수(加水) 및 가수웅덩이(WH)의 효과적인 조성을 위해 가감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공급관(216)의 일부는 분사되는 물 압력으로 적재실(110a)의 격벽에 붙어 있는 토사를 떨어뜨리는 효과와 함께 뭉쳐 있는 토사 덩어리를 개별 입자로 해체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강압적인 가수웅덩이(WH)를 조성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물공급관(216)의 나머지 물은 가수웅덩이(WH)에 물을 보충하는 가수(加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이, 물공급관(216)은 분사되는 물의 분사 각을 다양한 각도로 설정하여 토사 덩어리의 해체 및 가수웅덩이(WH)의 신속한 조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수웅덩이(WH)에는 혼합물 즉 물과 토사가 균질되게 혼합될 수 있다.
특히, 가수웅덩이(WH)에 가수되는 가수량은 적재실(110a)의 격벽에 설치된 수위조절센서(미도시)의 수위 감지를 통해 가수 및 분사되는 물의 양을 제어부(미도시)로 제어하여 조정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후술될 제어부(242)와 별개로 독립되어 토운선(110)의 어느 한 부위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심펌프는 특히 예컨대 네덜란드에서 제작된 고성능 유압식 원심펌프 타입으로서 DOP 원심펌프 적용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원심펌프는 포크래인의 붐대(121a) 조작에 따라 적재실(110a)에 적재된 토사들 중 일측편에 있는 국부 토사부터 타측편에 있는 국부 토사 방향으로 건조 토사의 일부를 강압적인 가수웅덩이(WH)의 조성 및 가수(加水) 조건으로 만들어 가수웅덩이(WH)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물(물+토사)을 효과적으로 진공 흡입하는 방식으로 국부 토사를 소진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원심펌프는 혼합물(물+토사)의 진공 흡입을 위해 가수웅덩이(WH)의 바닥 부위로 흡착이 용이한 평평하면서도 넓적한 구조의 흡입헤드(217)가 더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혼합물에 대한 흡입 면적을 많이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혼합물(물+토사)의 진공 흡입력도 향상될 수 있고, 혼합물(물+토사)에 균일하게 혼합된 물과 토사의 혼합 비율은 상술된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에 기재된 범위를 참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과 토사의 혼합 비율 범위도 원심펌프의 진공 흡입 향상에 일조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원심펌프는 예컨대 유압식 원심펌프로서 도면 5와 같이 유압을 주입할 수 있는 오일 라인(OIL LINE)과 함께, 외관의 어느 한 부위에 혼합물의 진공 흡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에어로 인한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링배출장치로서 에어 릴리프 볼 밸브가 구성될 수 있다. 도면 5에서는 에어 릴리프 볼 밸브를 AIR RELIEF V/V로 표기되어 있음을 참고할 수 있다. 따라서, 기포는 에어 릴리프 볼 밸브에 구성된 볼이 들리면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에어의 외부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원심펌프는 정밀하고도 신속한 조작 동작을 갖는 붐대(121a)의 선단에 결합되어 건조 상태의 토사 국부 부위에 대한 신속한 가수웅덩이(WH)의 조성과 더불어 가수웅덩이로부터 혼합물을 진공 흡입하여 적재 토사에 대한 소진 및 포설의 연속성과 신속성을 확보 가능하며, 이러한 소진 및 포설의 연속성은 결국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와 함께 공사 기간에 소모되는 비용마저도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흡입된 혼합물은 방출호스(220)를 통하여 하역선(100)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심해의 매립지까지 이송될 수 있고, 방출호스(220)의 말미에 연결된 방출수단(230)에서 포설되는 방식으로 매립지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방출수단(230)은 도면 6과 같이 혼합물이 분배되는 방식으로 방출될 수 있게 구성된 다수의 토출구(231a)를 갖는 방출분배토출관(23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방출분배토출관(231)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의 방출호스(220) 구간에는 부력조정장치(240)가 더 설치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력조정장치(240)는 상기 방출호스(220)에 대해 일정한 부력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부력조정장치(240)에 구성된 권선(S)을 풀거나 감는 방식으로 GPS와의 교신을 통해 얻어진 특정 좌표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부력조정장치(240)가 필요한 것은 상기 방출분배토출관(231)으로부터 혼합물이 토출될 때 토사가 매립지에 효율적으로 포설되는 작업성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 상기 부력조정장치(240)가 없다면, 상기 방출분배토출관(231)이 방출호스(220)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육중한 무게 하중으로 상기 방출분배토출관(231)의 핸들링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부력조정장치(240)의 구비에 따라 상기 방출분배토출관(231)의 핸들링이 용이하고 혼합물의 방출에 따른 포설의 작업성도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부력조정장치(240)는 이러한 상기 방출분배토출관(231)의 용이한 핸들링 조작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부력조정장치(240)는 부유구조물로서 폰툰부(24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폰툰부(241)는 양측단으로 제1 폰툰(241a)과 제2 폰툰(241b)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2 폰툰(241a)(241b)의 사이에 구비된 제어부(242), 상기 제어부의 인접 위치에 구비된 발전기(243)와 더불어, 상기 제1,2 폰툰(241a)(241b)에 감긴 권선(S)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42)는 상기 폰툰부(241)에 설치된 GPS 및 적외선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받아 윈치(W)의 권선(S) 감기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42)는 방출호스(220)의 말미에 연결된 방출분배토출관(231)의 토출구(231a)들로부터 방출되는 혼합물의 방출 과정에서 토사가 매립지상에 포설되는 두께층을 모니터링하는 적외선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를 근거로 GPS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윈치(W)의 권선(S) 감기나 풀기 정도에 필요한 신호를 지시할 수 있다.
특정 매립지상의 포설이 완료되면, GPS는 다른 위치좌표값을 발신하게 되고, 이러한 발신된 위치 좌표 값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242)는 윈치(W)에게 권선(S)의 감기나 풀기 정도에 필요한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이러한 상기 제어부(242)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윈치(W)는 상기 권선(S)을 감거나 풀거나 하는 방식으로 상기 부력조정장치(240)의 폰툰부(241)들에 대한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폰툰부(241)들은 GPS로부터 발신된 다른 위치 좌표 값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에 따라, 다른 매립지 지점으로 상기 방출분배토출관(231)에서 방출되는 혼합물의 토사들이 포설되어 매립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면 6에서는 상기 폰툰부(241)가 방출호스(220)의 말미 즉 유연성이 있는 호스 재질에 연결된 방출수단(230)인 방출분배토출관(231)의 인접 호스에 A 프레임(F)을 통해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폰툰부(241)는 방출호스(220)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방출호스(220)의 말미에 연결된 방출분배토출관(231)의 토출구(231a)들로부터 방출되는 혼합물의 방출 과정에서 토사가 매립지상에 포설되어 만족하는 포설 두께층을 이루게 되면,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는 적외선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받은 제어부(242)는 GPS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제어부(242) 자신의 위치가 방출호스(220)의 어느 구간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242)는 방출분배토출관(231)에 대한 적정한 부력 조절을 위해 윈치(W)에 권선(S) 감기에 필요한 신호를 지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권선(S)이 감기거나 풀리면서 폰툰부(241)들이 GPS로부터 제공된 위치 좌표 값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른 매립지에서의 토사 포설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방출분배토출관(231)의 핸들링 조작이 용이하면, 방출분배토출관(231)의 토출구(231a)들을 통해 포설되는 토사의 포설 매립 작업도 신속하면서도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는 관계로, 토사 포설 매립 작업성이 편리해질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는 토운선 내 적재된 건조 토사를 신속히 원스텝(one-step; 흡입+압송)으로 멀리 떨어진 해상의 매립지 상에 연속 포설하는 급속 포화 방식의 매립 구현이 가능한 장비로서, 목표 하역 거리는 예컨대 800M 내지 1,200M에 이를 수 있되, 이러한 하역 거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의 장비에서는 물공급관 및 제트분사노즐의 경우 물의 가수를 예컨대 1,200m3/hr 이상으로 구현 가능하고, 원심펌프를 통한 방출 토 사량은 예컨대 200m3/hr 이상으로 구현 가능하며, 토운선 내 국부적 가수 및 원심펌프를 이용한 혼합물의 펌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는 토사 즉 예컨대 토사의 1일 매립양(10시간 작업기준)은 대략 2,000m3 이상으로 예상되며, 토운선의 매립지 내 이동을 최소화하여 선박 충돌에 따른 작업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토사 적재 선박에서의 단발성 토사 하역과 달리 연속 포설식의 연속 하역이 가능함에 따라 하역 진행의 지속시간 개선을 통해 공사 기간의 획기적인 단축과 함께 소요 비용의 획기적인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하역선(100) 조정장치(121)
흡입방출장치(200) 흡입수단(210)
방출호스(220) 방출수단(230)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어느 특정 해상의 매립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토사 적재가 용이한 어느 해안가나 연안가 지점에 정박된 하역선에서 건조 또는 반건조 상태의 토사를 혼합물로 변화시키기 위한 강제적인 가수웅덩이 조성에 따라 상기 혼합물을 흡입수단으로 진공 흡입 하여 상기 하역선에서부터 상기 매립지의 해상까지 연장된 방출호스를 통하여 원스텝으로 압송한 상태에서 상기 방출호스의 말미에 연결된 방출수단으로부터 상기 혼합물을 상기 매립지상에 연속 포설하는 방식으로 매립하게 되고,
    매립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토사 적재가 용이한 어느 해안가나 연안가 지점에 정박되어 토사을 적재하고 있는 토운선과, 상기 토운선의 어느 일측편에 배치되어 상기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을 일측 방향에서부터 타측 방향으로 진공 흡입하는 방식으로 소진하는 흡입수단을 결합한 조정장치의 탑재가 이루어진 보조선으로 세트화된 하역선; 상기 조정장치의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토운선에 적재된 토사의 일부 국부에 대한 강압적인 가수웅덩이의 조성과 함께 가수가 이루어지며 상기 가수웅덩이에서 물과 토사로 혼합된 혼합물을 원심펌프의 진공압으로 흡입하는 흡입수단과, 상기 방출호스의 말미에 연결되어 혼합물을 방출하여 매립대상지역에 토사를 연속 포설하는 방출수단으로 조합 구성된 흡입방출장치; 로 구성되며,
    상기 방출수단은
    상기 방출호스의 말미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수단으로부터 흡입된 혼합물을 분배 방출하여 매립지 상에 포설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며 다수로 형성된 토출구들이 포함된 구조의 방출분배토출관 타입에서는 상기 다수의 토출구들을 통하여 고르게 분배 방출되는 토사들이 상기 매립지에서 균등 포설되고;
    하나의 토출구 구조로 이루어진 방출분배토출관 타입에서는 상기 하나의 토출구를 통하여 방출되는 토사들이 상기 매립지에서 일반 포설 즉 비균등 포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가수웅덩이에서 혼합물의 진공 흡입을 위해 원통형 구조의 외관 하단에 결합되어 진공 흡입 면적의 확보에 용이한 평평하면서도 넓적한 바닥 형태를 갖는 흡입헤드를 갖는 원통형 구조의 원심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심펌프는 정밀한 움직임을 가지며 토사를 소진할 수 있도록 조정장치에 직접 결합되되,
    상기 조정장치는 포크레인이 이용되고 상기 포크레인의 붐대 끝단에 상기 원심펌프가 직접 결합되며,
    상기 원심펌프의 원통형 외관의 어느 외측으로는 물을 가수(Water Supply)하기 위한 물공급관;
    상기 원심펌프의 원통형 외관의 어느 내측으로는 물을 제트 분사하기 위한 제트분사노즐;
    상기 물공급관과 상기 제트분사노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밸브장치;
    상기 원심펌프의 원통형 외관의 다른 어느 외측으로는 흡입된 혼합물을 방출호스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연결관; 및
    상기 원심펌프의 원통형 외관의 또 다른 어느 외측으로는 혼합물의 흡입 과정에서 에어 발생으로 야기되는 기포를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에어 릴리프 볼 밸브;
    를 더 포함하는 구조의 원심펌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물은 물 50 부피(m3) 내지 90 부피(m3)와 토사 10 부피(m3) 내지 50 부피(m3)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에 포설되는 혼합물의 포설 과정에서 상기 방출분배토출관의 용이한 핸들링을 위해 상기 방출분배토출관의 인접된 상기 방출호스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방출분배토출관에 대한 적정한 부력을 조절하여 주는 부력조정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정장치는
    부력구조물로서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제1,2 폰툰으로 구성된 폰툰부;
    상기 폰툰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출분배토출관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위성과 교신하는 GPS;
    상기 폰툰부에 설치되어 상기 GPS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받아 상기 방출분배토출관의 위치 파악에 따라 상기 제1,2 폰툰에 감긴 권선을 감도록 윈치의 작동을 지시하여 상기 GPS의 새로운 위치 좌표값 방향으로 상기 폰툰부를 이동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매립지에 포설되는 토사물의 포설층 두께를 영상 촬영 데이터로 모니터링하는 적외선카메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운선의 선적실은 흡입수단인 원심펌프의 진공 흡입에 따른 토사 소진 진행에 맞춰 어느 일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성을 가짐에 따라, 상기 원심펌프를 붐대의 선단에 결합한 구조의 포크래인은 상기 보조선에 탑재된 채로 이동없이 상기 원심펌프의 가수웅덩이 조성을 위한 붐대의 조작만 가하는 한편, 상기 원심펌프는 상기 붐대의 조작 반경 영역에서만 동작되고, 상기 토사에 대한 진공 흡입 과정을 통해 적재실에 적재된 토사를 연속적으로 소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장비.
KR1020190044766A 2019-04-17 2019-04-17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 KR10211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66A KR102117631B1 (ko) 2019-04-17 2019-04-17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
CN201910450207.1A CN111822477A (zh) 2019-04-17 2019-05-28 填埋用土壤抽吸卸载施工法及设备
SG10202003389YA SG10202003389YA (en) 2019-04-17 2020-04-14 Method and Apparatus for Pumping and Discharging Soil for Recla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66A KR102117631B1 (ko) 2019-04-17 2019-04-17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631B1 true KR102117631B1 (ko) 2020-06-09

Family

ID=7108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766A KR102117631B1 (ko) 2019-04-17 2019-04-17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17631B1 (ko)
CN (1) CN111822477A (ko)
SG (1) SG10202003389Y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70A (ko) 2020-09-21 2022-03-29 현대건설주식회사 수중 토사 매립 시 토사 유실 및 부유사 확산 방지 장치 및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9277A (ja) 1989-06-29 1990-02-19 Canon Electron Inc 記録または再生装置
KR100505194B1 (ko) * 2004-04-23 2005-08-03 주식회사 태길종합건설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KR200431865Y1 (ko) * 2006-07-21 2006-11-27 주식회사 선학골재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6617B2 (ja) * 1999-08-03 2002-04-22 氣 木村 海砂を利用した海洋埋立方法
JP2001262538A (ja) * 2000-03-16 2001-09-26 Penta Ocean Constr Co Ltd 土砂埋立方法及び装置
GB0715527D0 (en) * 2007-08-10 2007-09-19 Acergy Uk Ltd Methods & 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laying elongate articles at sea
KR100932091B1 (ko) * 2009-05-26 2009-12-16 오광식 방조제 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9277A (ja) 1989-06-29 1990-02-19 Canon Electron Inc 記録または再生装置
KR100505194B1 (ko) * 2004-04-23 2005-08-03 주식회사 태길종합건설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KR200431865Y1 (ko) * 2006-07-21 2006-11-27 주식회사 선학골재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70A (ko) 2020-09-21 2022-03-29 현대건설주식회사 수중 토사 매립 시 토사 유실 및 부유사 확산 방지 장치 및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202003389YA (en) 2020-11-27
CN111822477A (zh)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7229A (en) Apparatus for pneumatic excavation
KR102117631B1 (ko)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
HUE030692T2 (en) Pumping tool for towing by towed self-loading suction dredger and towed self-loading suction dredger equipped with such a pumping device
WO2018021916A1 (en) Removing dredged material from a cargo space
US20230193589A1 (en) Material handling systems and methods
JP2006348666A (ja) 水中物吸引搬送装置とこれを用いた浚渫方法、ケーソンの中詰材除去方法及び基礎杭内の堆積物除去方法
EP2141288B1 (en) Method for delivering large quantities of under water soil to a reclamation area
JP4950111B2 (ja) 土砂投入方法
MXPA01007440A (es) Carga y descarga de una substancia solida que tiene alto grado de contenido de agua.
TW201502048A (zh) 沙粒卸載系統及其方法
US5853264A (en) Bridge, dock and pier shoring-up bulk-delivery floating conveyor unit
CN111636502A (zh) 一种基于绞吸挖泥船的采砂施工工艺
JP2006207372A (ja) 水底物の浚渫装置
JPH1018345A (ja) 軟弱土による埋立工法および浚渫埋立・一貫施工システム
JP4341772B2 (ja) 浚渫方法及び浚渫システム
KR200371699Y1 (ko) 선적된 토사의 이송 장치
KR100366609B1 (ko) 해저면 연약지반 보강용 스프레이 매립 장치 및 그 공법
KR200193262Y1 (ko) 해저면 연약지반 보강용 스프레이 매립 장치
KR100511442B1 (ko) 선적된 토사의 이송 공법
JP2005016062A (ja) 砂撒き方法及び砂撒き船
KR20120117607A (ko) 부상토 채집 설비가 구비된 심층혼합처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심층혼합처리 공법
EP0747540B1 (en) Underwater suction dredging unit and method therefor
NO20211271A1 (ko)
JP6083729B2 (ja) 土砂輸送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覆砂工法
CN210310800U (zh) 适用于强塑性板结土地基软化的施工驳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