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091B1 - 방조제 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 - Google Patents

방조제 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091B1
KR100932091B1 KR20090073868A KR20090073868A KR100932091B1 KR 100932091 B1 KR100932091 B1 KR 100932091B1 KR 20090073868 A KR20090073868 A KR 20090073868A KR 20090073868 A KR20090073868 A KR 20090073868A KR 100932091 B1 KR100932091 B1 KR 10093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cavation
reclaimed land
land
facilit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7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식
이광준
Original Assignee
오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식 filed Critical 오광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091B1/ko
Priority to SG201108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SG175873A1/en
Priority to EP10780724.0A priority patent/EP2436843B1/en
Priority to CN201080023558.1A priority patent/CN102449239B/zh
Priority to JP2012512948A priority patent/JP5723872B2/ja
Priority to MYPI2011005393A priority patent/MY159037A/en
Priority to PCT/KR2010/002957 priority patent/WO201013781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 Sewa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조제내의 간척지 조성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예정지내의 준설토을 성토하여 간척지를 조성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외부 준설에 따른 환경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매립예정지내의 준설에 의해 형성된 구덩이를 각종 산업시설이나, 하천 공원등으로 활용함은 물론 특히 청정 빗물을 용수로 대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간척지 시설 구조는 방조제(1)의 매립예정지(10)내에 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매립예정지(20)의 둘레를 따라 흙이나 석제를 쌓아 설치되는 가토부와, 상기 매립예정지(10)내의 일정 면적을 준설하여 구덩이가 형성된 굴착부(50)와, 상기 굴착부(50)에서 얻어진 토사를 이용하여 상기 굴착부(50)를 제외하고 상기 매립예정지(10)를 매립하여 상기 내수의 표고보다 높은 평지가 형성된 성토부(30) 및 상기 굴착부(50)의 둘레를 따라 설치한 차수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73868
방조제, 매립, 가토제, 준설선, 성토, 하천, 간척지

Description

방조제 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Method and device establishig reclaimed land of a sea wall and device installing}
본 발명은 방조제내의 간척지 조성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예정지내의 준설토을 성토하여 간척지를 조성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외부 준설에 따른 환경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매립예정지내의 준설에 의해 형성된 구덩이를 각종 산업시설이나, 하천 공원등으로 활용함은 물론 특히 청정 빗물을 용수로 활용할 수 있는 간척지 조성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구조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지나 농업용지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안에 방조제를 세워 갯벌과 바다를 땅으로 전환하는 간척지 조성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에는 새만금 간척사업을 들 수 있다.
방조제 내의 내수 매립은 인근 야산의 토석 채취장에서 채취한 토석으로 성 토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토석 채취장 개발이 여의치 않을 때 또는 새만금 간척사업과 같이 성토 면적이 대단히 큰 경우에는 인근 해역에서 준설한 준설토로 성토하게 된다.
그러나, 방조제의 내수를 매립하기 위해 외부 준설토를 사용하는 경우 공정에 따라 적기에 준설토를 공급하는데에 한계가 있다.
즉, 외부 준설토를 성토재로 활용하는 경우 환경문제와 시공 기관별 공사 계획 불일치로 성토재의 공급이 어려워져 공기 연장이 불가피한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인근 해역에서 준설한 준설토를 성토재로 활용한 경우에는 해역에서 준설하기 위한 장비와 준설토를 운반하기 위한 차량등 막대한 장비와 인력 및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도 초래된다.
한편, 방조제의 내수를 일정면적 매립한 매립지에는 방조제에 의해 형성된 담수호를 유입수로 사용하게 되는데, 담수호로부터 유입된 물은 매립지의 산업단지내를 순환한 후 유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방조제에 의해 형성된 담수호는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되지 않고 수질 관리에 어려움이 많아 수질이 쉽게 오염되게 됨으로써 많은 환경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매립예정지내의 일정한 지역을 굴착하여 얻어진 토사를 활용하여 성토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외부 준설에 따른 환경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매립예정지내의 굴착에 의해 형성된 구덩이를 각종 산업시설이나 하천, 공원등으로 활용하고 특히 정화된 빗물을 각종 시설에 필요한 용수로 적극 이용하는 방조제내의 간척지 조성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조제의 내수를 매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립예정지내 일정 면적의 둘레를 따라 흙이나 석재를 쌓아서 가토제를 축조하는 가토제 축조단계와, 상기 매립예정지내의 굴착부로 준설선을 투입하는 준설선 투입단계와, 상기 준설선을 이용하여 굴착부내의 토사를 상기 가토제 내측으로 내수의 표고보다 높게 성토하되 상기 매립예정지 내의 굴착부만을 남겨두고 성토하는 성토단계와, 상기 성토를 완료하기 전에 상기 준설선을 상기 매립예정지 외부로 빼내는 준설선 배출단계와, 상기 매립예정지내의 성토를 완료한 후 상기 굴착부내의 물을 상기 매립예정지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단계 및 상기 매립예정지 내의 토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준설선의 투입이 불가능한 매립예정지에서의 방조제의 내수를 매립하는 방법은, 매립예정지 내의 일정 면적의 둘레를 따라 도로를 건설하는 도로 축조 단계와, 상기 매립예정지내의 굴착부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굴착부의 둘레을 따라 차수벽을 형성하는 차수벽 설치 단계와, 상기 매립예정지내의 물을 상기 매립예정지의 외부로 배수하고 토사를 건조하는 배수 및 건조단계 및 상기 굴착부내의 토사를 굴착하여 상기 굴착부를 제외하고 상기 내수의 표고높이보다 높게 성토하는 성토단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은 방조제의 시설 구조에 있어서, 방조제의 매립예정지내에 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매립예정지의 둘레를 따라 흙이나 석제를 쌓아 설치되는 가토부와 상기 매립예정지내의 일정 면적을 준설하여 구덩이가 형성된 굴착부와, 상기 굴착부에서 얻어진 토사를 이용하여 상기 굴착부를 제외하고 상기 매립예정지를 매립하여 상기 내수의 표고보다 높은 평지가 형성된 성토부 및 상기 굴착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한 차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매립예정지내의 굴착부에서 채굴한 준설토를 활용하여 성토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외부 준설에 따른 환경 문제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굴착부에서의 준설을 통해 만들어진 구덩이에 정수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조로 활용하여 산업용수로 이용하는 한편,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간척지내에 순환시킴으로써 생태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예정지에 준설선을 투입하여 준설하는 방조제의 간척지 조성 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별 작업 흐름도이고, 도 2는 매립예정지에 준설선의 투입이 가능하지 않는 방조제내의 간적지 조성 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별 작업 실시예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조제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을 통하여 매립된 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방조제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은 매립예정지내에 준설선을 통한 작업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먼저 준설선을 통하여 준설작업을 실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 다.
방조제내의 매립예정지에 준설선을 통한 준설작업이 가능한 지역은 준설선을 이용하는 작업이 비용 절감면에서 유리함으로 다음과 같이 가토부 축조단계(S1)와, 준설선 투입단계(S2)와, 성토부 축조 단계(S3)와, 준설선 배출단계(S4)와, 배수단계(S5)와, 건조단계(S6) 및 차수벽 설치단계(S7)로 이루어 진다.
상기의 구체적인 단계별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가. 가토제 축조 단계(S1)
가토제 축조 단계(S1)는 미립예정지(10)내 일정 면적의 둘레를 따라 흙이나 석재를 쌓아서 가토부(20)를 축조하는 단계이다.
방조제(1)의 내수를 매립할 때, 전체를 동시에 매립하지 않고 산업단지나 주택단지 또는 농업단지로 사용할 용도에 따라 일정 면적의 매립예정지(10)를 설정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매립공사를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토제 축조단계(S1)는 일정 면적의 매립예정지(10)를 설정한 후에 매립예정지(10)의 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면적의 둘레 를 따라 가토부(20)를 축조하게 된다.
즉, 매립예정지(10)내의 복수개로 분할된 면적의 둘레를 따라 흙이나 석재를 쌓아서 가토부(20)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복수개의 분할된 면적 중 먼저 하나의 면적 둘레에 가토부(20)를 축조한 후에 이어서 다음 면적의 둘레에 가토부(20)를 축조하게 되며, 이렇게 다음 면적의 둘레에 가토부(20)를 이어서 축조하는 동안 이전에 축조 완료된 가토부(20)의 내측으로 준설선(미도시)을 통한 성토(30)작업이 함께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가토부(20)의 높이는 방조제(1)의 내수면의 높이와 성토부(30)의 높이보다도 높게 축조하는게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매립예정지(10)내에 가토부(20)를 축조할 때 준설선이 투입되는 통로(미도시)는 남겨놔야 한다.
나. 준설선 투입단계(S2)
준설선 투입단계(S2)는 상기 매립예정지(10)의 준설작업공간(S) 즉 굴착부(50)에 준설선을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 굴착부(50)는 매립예정지(10)내의 대략 중앙부에 일정 면적을 설정하는게 바람직 하지만, 매립예정지(10)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준설선을 투입하는 시기는 상기 가토부 축조단계(S1)의 전, 후 또는 축조 진행 도중에 투입하여도 무방하다.
다. 성토단계(S3)
성토단계(S3)는 준설선을 이용하여 굴착부(20)내의 토사를 상기 가토부(20)의 내측으로 성토하되 매립예정지(10) 굴착부(20)만 남겨두고 성토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가토부 축조단계(S1)에서 일정 면적의 둘레에 축조된 가토부(20)의 내측으로 준설선을 통해 퍼올려진 토사를 굴착부(20)를 제외하고 성토부(30)에 쌓아 올리는 것이다. 이때, 성토부(30)의 높이는 방조제(1)의 내수면의 표고보다 높이하고, 상기 가토부(20)의 높이보다 낮게 하는게 바람직하다.
이처럼 가토부 축조단계(S1)와 성토단계(S3)를 반복 수행하여 복수개로 분할하여 축조된 가토부(20)의 내측을 순차적으로 쌓아올려 매립예정지(10)내의 전체 가토부(20) 내측에 성토를 실시한다.
따라서, 매립예정지(10)는 토사를 파 올린 굴착부(50)내에 구덩이가 생기는 동시에 나머지 부분은 방조제(1)의 내수면의 높이보다 높은 성토부(30)가 만들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굴착부(50)내에서 준설작업을 실행했던 준설선이 매립예정지(10)의 외부로 빠져나갈 통로는 남겨두고 성토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가토부(20)의 내측으로 토사를 성토작업을 하는 도중에 가토부(20) 밖으로 배수되게 된다.
라. 준설선 배출단계(S4)
준설선 배출단계(S4)는 준설선을 매립예정지(10)의 전체의 성토작업이 완료되기전에 매립예정지(10)의 밖으로 빼내는 작업이다.
상기 준설선을 매립예정지(10)의 외부로 빼낸 후에는 준설선을 빼내기 위해 남아있던 통로를 마지막으로 성토를 하여 성토부(30)를 완성한다.
이렇게 준설선까지 매립예정지(10)의 외부로 빼내게 되면, 매립예정지(10)의 굴착부(50)는 준설선으로 토사를 파올려 구덩이가 발생하고, 그 나머지는 모두 일정높이의 토사로 쌓아올려진 성토부(30)가 완성되며, 굴착부(50)에 생긴 구덩이의 저부에는 물이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마. 배수단계(S5)
배수단계(S5)는 매립예정지(10)내의 성토를 완료한 후 굴착부(50)내의 구덩이의 저부에 채워진 물을 매립예정지(10)의 외부로 배수하는 작업이다.
즉, 펌프 등을 이용하여 굴착부(50)에 채워져 있는 물을 모두 매립예정지(10)의 내수측으로 배수하게 되는 것이다.
바. 건조단계(S6)
건조단계(S6)는 배수단계(S5)를 거쳐 굴착부(50)내의 물을 모두 매립예정지(10)의 내수측으로 배수한 후에 일정기간 동안 매립예정지(10)내의 토사를 자연 건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성토부(30)에 쌓여진 토사뿐만 아니라, 굴착부(50)내의 준설을 통해 형성된 구덩이(50)내의 토사까지 모두 건조시키게 된다.
사. 차수벽 설치단계(S7)
차수벽 설치단계(S7)는 건조단계(S6)후에 매립예정지(10)내에 형성된 구덩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굴착부(50)의 둘레를 쉬트파일(Sheet pile)(40)를 항타하거나 그라우팅을 실시한다.
이때, 쉬트파일(40)은 지질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대략 지하 대략 25~35m 깊이까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쉬트파일(40)을 항타하는 도중에 암반이 나와 작업이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발생하면 암반에서 물이 새어 나오는 부위를 그라우팅한다.
이처럼, 상기 굴착부(50)의 둘레를 쉬트파일(40)의 설치 또는 그라우팅을 실시함으로써, 굴착부(50)에 발생한 구덩이의 지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준설 작업을 통하여 형성된 굴착부(50)내의 구덩이는 도 4에서 보다 더욱 완만한 경사면(51)을 갖는데, 상기 경사면(51)을 계단 형태로 형성하여 각각의 수평면(52)에 산업시설이나, 건물, 공원, 태양광 발전소등 다양한 시설을 건설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굴착부(50)의 경사면(51)을 계단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히빙, 보일링, 파이핑, 슬라이딩, 지하수 유입 등으로 인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 다.
또한, 굴착부(50)의 바닥면은 정지작업을 통하여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조(55)를 만들고, 상기 저수조(55)의 물을 매립된 간척지에 순환시키는 생태하천을 통하여 정화시킨다.
따라서, 매립예정지(10)내의 준설을 통해 형성된 굴착부(50)의 구덩이에 각종 시설이나 공원,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수호의 물을 유입하지 않고도 정화된 빗물을 용수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친수형 생태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
다음은 매립예정지(10) 내의 내수의 깊이가 작거나 석재등 장애물이 많아서 준설선을 투입하기가 어려울 때의 간척지 조성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에는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토제 및 도로 축조단계(S100)와, 차수벽 설치단계(S200)와, 배수 및 건조단계(S300) 및 굴착 및 성토단계(S400)로 간척지를 조성한다.
이와같이 매립예정지(10)내에 준설선을 투입할 수 없는 경우에 구체적인 단계별 작업은 다음과 같다.
가. 도로 축조 단계(S100)
도로 축조 단계(S100)는 매립예정지(10)에 토사나 콘크리트등으로 매립예정지(10)내에 도로를 건설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방조제(1)내의 내수와 접하는 도로는 내수의 표고보다 높게 형성하여 내수의 침입을 방지한다. 한편, 매립예정지(10)내에 위치한 도로는 산업단지, 주택단지등 미리 계획된 단지별 특성에 맞게 시공한다.
이 때 매립예정지(10)내의 대략 중앙부에 미리 굴착부(50)를 설정하여 상기 굴착부(50)의 둘레에 걸쳐 도로를 축조하게 된다.
나. 차수벽 설치단계(S200)
차수벽 설치단계(S7)는 도로축조단계(S100)후에 매립예정지(10)내에 추후 작업을 통하여 형성될 구덩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굴착부(50)의 둘레를 쉬트파일(Sheet pile)(40)를 항타하거나 그라우팅을 실시한다.
이때, 쉬트파일(40)은 지질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대략 지하 대략 25~35m 깊이까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쉬트파일(40)을 항타하는 도중에 암반이 나와 작업이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발생하면 암반에서 물이 새어 나오는 부위를 그라우팅한다.
이처럼, 상기 굴착부(50)의 둘레를 쉬트파일(40)의 설치 또는 그라우팅을 실시함으로써, 굴착부(50)에 발생한 구덩이의 지반 침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물의 유입을 방지한다.
다. 배수 및 건조단계(S300)
배수 및 건조단계(S300)는 매립예정지(10)내의 전체에 존재하는 물을 방조제(1)의 내수에 배수하고 동시에 건조하는 과정이다.
즉, 펌프등을 이용하여 매립예정지(10)에 존재하는 물을 모두 내수측으로 배수하는 동시에 일정기간동안 자연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의 배수 및 건조단계(S300)를 통하여 매립예정지(10)내의 전 면적에 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매립예정지(10)는 도로(20)를 제외하고 물의 깊이 만큼 낮게 된다.
라. 굴착 및 성토단계(S400)
굴착 및 성토단계(S400)는 차수벽 설치단계(S200)에서 쉬트파일이 설치된 굴착부(50)에서 토사를 채취하여 성토부(30)를 만드는 작업이다.
즉, 매립예정지(10)내에 미리 설정된 굴착부(50)에서 토사를 파 올려서 굴착부(50)의 외부로 이동하여 적재하여 성토부(30)를 완성하게 된다.
이 때 성토하는 높이는 방조제(1)의 내수면 높이보다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착 및 성토단계(S400)를 완료하면 굴착부(50)에는 파올린 토사로 인하여 구덩이가 생기고, 성토부(30)는 방조제(1)의 내수보다 높은 평지를 만들어 지게 된다.
이때 굴착부(50)의 둘레에 이미 차수벽 설치단계(S200) 쉬트파일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굴착부(50)의 구덩이에는 물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굴착부(50)내의 구덩이는 앞에서 준설선을 투입하여 간척지을 조성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도경사면(51)을 갖는데, 상기 경사면(51)을 계단 형태로 형성하여 각 각의 수평면(52)에 산업시설이나, 건물, 공원, 태양광 발전소등 다양한 시설을 건설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굴착부(50)의 경사면(51)을 계단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히빙, 보일링, 파이핑, 슬라이딩, 지하수 유입 등으로 인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굴착부(50)의 바닥면은 정지작업을 통하여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조(55)를 만들고, 상기 저수조(55)의 물을 매립된 간척지에 순환시키는 생태하천을 통하여 정화시킨다.
다음은 상기의 방조제(1)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에 의하여 생긴 굴착부(50)의 구덩이를 이용하여 정화된 빗물을 용수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간척지는
방조제(1)의 매립예정지(10)내에 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매립예정지(20)의 둘레를 따라 흙이나 석제를 쌓아 설치되는 가토부 또는 도로(20)와, 상기 매립예정지(10)내의 일정 면적을 준설하여 구덩이가 형성된 굴착부(50)와 상기 굴착부(50)에서 얻어진 토사를 이용하여 상기 굴착부(50)를 제외하고 상기 매 립예정지(10)를 매립하여 상기 내수의 표고보다 높은 평지가 형성된 성토부(30) 및 상기 굴착부(50)의 둘레를 따라 설치한 차수부(4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굴착부(50)는 계단 형태로 이루어진 경사부(53)와 바닥에 형성된 저수조(55)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부(51)는 수평면(51)과 경사면(52)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간척지내에 설치되는 산업시설 및 아파트등에 제공되는 물을 담수된 내수를 이용하지 않고 정화된 빗물을 용수로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굴착부(50)의 저수조(55)에 채워진 빗물을 정화시키기 위하여 하천을 만들어 순환시키는 한편, 오염된 빗물(초기 내리는 빗물)을 정화시키는 시설을 별도로 설치한다.
도 5는 본발명의 간척지의 대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는 굴착부(50)의 저수조(55)에 채워진 물을 순환시키는 구성이 표현되어 있다.
저수조(55)에 저장된 물은 평지의 성토부(30)에 설치된 양수기(70)로 하여금 상수로(73)를 통하여 하천(80)에 공급된다. 상기 하천(80)은 평지로 이루어진 성토부(30) 및 굴착부의 경사부(51)에 각각 형성되어 저수조(55)에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양수기(70)를 가동하면 저수조(55)의 물은 저수조(55)→ 상수로(73)→ 성토부(30)의 하천(80) → 경사부(51)의 하천(80)→저수조(55)로 순환하게 되어, 저수조(55)에 저장된 물은 자연스럽게 정화하게 된다.
물론, 상기의 양수기(70)와 하천(80)은 간척지의 단지별 특성에 맞게 설치하거나 만들 수 있다.
한편, 하천(80) 중간마다 공지의 정화시설부(71)를 복수로 설치하여 더욱더 청정한 물을 순환시킨다.
또한, 성토부(30)와 굴착부(50)의 경사부(53)가 접하는 하천에 수문(72)을 설치하여 자연낙하에 의하여 수질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청정한 빗물하천은 초기에 내리는 빗물을 어떻게 정화시킬 수 있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초기에 내리는 빗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단이 하천(80)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본발명의 하천(80)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8A, 8B 및 8C는 도 7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상기 빗물 수집수단(100)은
노상의 빗물이 유입되는 우수관(110)과, 상기 우수관(110)을 통과한 빗물이 상기 하천(80)에 흐르는 물과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집수관(130) 및 상기 집수관(130)을 통과한 빗물을 일시적으로 모이게 유도하는 저류조(140)로 이루어진다.
집수관(130)은 우수관(110)의 직경보다 상당히 크게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의 오염된 빗물이 내린 후에 강수량이 많아지게 되면 우수관(110)에 흐르는 빗물이 하천(80)으로 유입되도록 상부 우수관(110)과 연결되는 집수정(150)을 설치한다.
따라서,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의 집수정(150)을 통과한 빗물은 하천바닥부(12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우수관(115)을 거쳐 집수관(130)으로 흐르게 된다.
도 7 및 도 8B 에 나타나 있듯이 집수정(150)은 하천(80)의 경사면(81과 접하는 부분이 상부 우수관(110)의 유입구(111)보다 높고 폭은 어느정도 크게 형성하여 상부 우수관(110)의 유입구(111)를 통과한 빗물이 일시적으로 집수정(150)에 저장된다.
그후 상기 집수정(150)에 상부 우수관(110)의 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많아져 집수관(130)의 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월류부(151)를 통하여 하천(80)으로 넘쳐 흐르게 된다.
한편, 도 6에 표현한 바와 같이, 빗물 저수조(55)와 근접한 하천(80)의 하류 부근에 집수관(130)에 연결된 지류관(145)을 지상에 설치하여, 집수관(130)에 모여진 빗물이 지류관(145)을 통하여 하천(80)외에 설치된 저류조(140)에 모여지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빗물 수집수단(100)을 하천(80)과 별도로 둘 경우에는 지류관(145)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없이 집수관(130)을 곧바로 저류조(140)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의 지류관(145)은 하천(40)과 별개의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본발명의 집수관(130)과 저류조(140)사이에 설치된 지류관(145)상에 오염된 물과 함께 섞인 부유물을 거르는 제거부(160)와 물을 정화시키는 정화부(170)가 설치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거부(160)와 정화부(170)를 나타내고 있다.
제거부(160)는 지류관(145)의 일부를 확대하여 상기 지류관(145)의 단면적보다 크게 하여 유속을 느리게 하는 만곡부(161),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유도부(162) 및 지류관(145)의 바닥보다 깊게 형성한 침전부((164)로 이루어져 빗물이 상기 제거부(160)를 통과하는 동안에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이 상기 제거부(160)에 남겨지게 된다.
또한, 정화부(170)는 지류관(145)의 일부를 확대한 확관부(171)와, 확관부(171)의 내부에 물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유도부(172) 및 물이 흐르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설치된 정화필터(175)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침전부(160)와 정화부(170)를 갖는 지류관(145)을 거치는 동안 상당히 걸러진 빗물은 저류조(140)에 도달하게 된다.
저류조(140)는 수질의 상태에 따라 정수 처리장으로 연결되는 제1관로(141)와, 하수종말 처리장에 연결되는 제 2관로(142) 및 배수로에 연결되는 제 3관 로(143)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저류조(140)에 연결된 관로의 일례에 불과하며 수질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시설물에 연결하여 빗물을 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발명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의 하수종말 처리장 내지 상기 정수 처리장의 시설을 통과한 빗물은 청정한 상태로 저수조(55)에 흘러 보낼수 있게 된다.
앞에서 적시한 본 발명의 방조제의 내수 매립방법에 의해 조성된 간척지에 생기는 구덩이의 물을 순환시키는 수단과 정화된 빗물을 수집하는 수단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빗물을 이용한 많은 방법들을 포함시킬 있을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방조제의 매립예정지내의 준설토를 활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매립예정지내의 준설에 의해 형성된 구덩이에 각종 산업시설이나 하천을 유치하는 동시에 빗물저장조로 활용함으로써 조성된 단지에 청정한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척지내에 빗물을 순환시키는 하천을 통하여 생태공간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단지를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예정지에 준설선을 투입하여 준설하는 방조제의 간척지 조성 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별 작업 흐름도,
도 2는 매립예정지에 준설선의 투입이 가능하지 않는 방조제내의 간적지 조성 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별 작업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조제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을 통하여 매립된 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발명의 간척지의 대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발명의 하천(80)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의 단면도,
도 8a, 8b 및 8c는 도 7의 각각의 단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거부(160)와 정화부(170)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매립예정지 20: 가토부
30: 성토부 40: 쉬트파일
50: 굴착부 55: 저수조
80: 하천 71: 정화시설부
100: 빗물 수집수단 150: 집수정

Claims (26)

  1. 방조제(1)의 내수를 매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립예정지(10)내 일정 면적의 둘레를 따라 흙이나 석재를 쌓아서 가토부(20)를 축조하는 가토부 축조단계(S1);
    상기 매립예정지(10)내의 굴착부(50)로 준설선을 투입하는 준설선 투입단계(S2);
    상기 준설선을 이용하여 굴착부(50)내의 토사를 상기 가토제(20) 내측으로 내수의 표고보다 높게 성토하되 상기 매립예정지(10)내 굴착부(50)만을 남겨두고 성토부(30)를 완성하는 성토단계(S3);
    상기 성토(30)를 완료하기 전에 상기 준설선을 상기 매립예정지(10) 외부로 빼내는 준설선 배출단계(S4);
    상기 매립예정지(10)내의 성토(30)를 완료한 후 상기 굴착부(50)내의 물을 상기 매립예정지(10)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단계(S5) 및
    상기 매립예정지(10)내의 토사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S6)에 후에 상기 굴착부(50)에서 준설을 통하여 형성된 굴착부(50)의 둘레를 차수할 수 있도록 상기 굴착부(50)의 둘레에 차수벽 설치단계(S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토부 축조단계(S1)는 상기 매립예정지(10)의 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가토제(20)를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50)의 경사면(51)은 계단 형태로 형성하여 각종 시설을 설치하고, 상기 준설 작업공간(S)의 바닥은 빗물을 저장하는 저수조(55)로 이루어 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5. 방조제(1)의 내수를 매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립예정지(10) 일정 면적의 둘레를 따라 도로(20)를 건설하는 도로 축조 단계(S 100);
    상기 매립예정지(10)내의 굴착부(50)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굴착부(50)의 둘레를 따라 차수벽(40)을 형성하는 차수벽(40) 설치 단계(S200);
    상기 매립예정지(10)내의 물을 상기 매립예정지(10)의 외부로 배수하고 토사를 건조하는 배수 및 건조단계(S300) 및
    상기 굴착부(50)내의 토사를 굴착하여 상기 굴착부(50)를 제외하고 상기 내수의 표고높이보다 높게 성토하는 성토단계(S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축조단계(S100)는 상기 매립예정지(10)의 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도로(20)를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50)의 경사부(53)는 계단 형태로 형성하여 각종 시설을 설치하고, 상기 굴착부(50)의 바닥은 빗물을 저장하는 저수조(55)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8. 방조제(1)의 매립예정지(10)내에 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매립예정지(10)의 둘레를 따라 흙이나 석제를 쌓아 설치하는 가토부(20);
    상기 매립예정지(10)내의 일정 면적을 준설하여 구덩이가 형성된 굴착부(50);
    상기 굴착부(50)에서 얻어진 토사를 이용하여 상기 굴착부(50)를 제외하고 상기 매립예정지(10)를 매립하여 상기 내수의 표고보다 높은 평지가 형성된 성토부(30) 및
    상기 굴착부(50)의 둘레를 따라 설치한 차수부(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50)는 계단 형태로 이루어진 경사부(53)와 바닥에 형성된 저수조(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40)는 쉬트 파일(Sheet Pi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40)는 그라우팅을 설치한 후 쉬트 파일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12. 제 9항에 있어서,
    평지가 된 상기 성토부(30)와 상기 굴착부(50)의 경사면(51)을 따라 하천(80)을 형성하고 상기 성토부(30)에 설치된 양수기(70)를 이용하여 상기 저수조(55)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 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80)에 복수의 정화시설부(7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80)의 굴착부(50)의 경사면(51)에 접하는 부분에 수문(7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80)에 빗물 수집수단(1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수집수단(100)은
    노상의 빗물이 유입되는 우수관(110, 115)과
    하천 바닥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관(110, 115)을 통과한 빗물이 상기 하천(40)에 흐르는 물과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집수관(130) 및
    상기 집수관(130)을 통과한 빗물을 일시적으로 모이게 하는 저류조(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관(130)은 우수관(110, 11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 바닥부(120)와 접하는 부분에 상기 우수관(110)과 연결되는 집수정(150)을 설치하여 유수량이 많아지면 상기 하천(80)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150)이 상기 하천(80)의 경사부(81)와 만나는 지점에 월류부(151)를 설치하여 상기 하천(80)의 수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월류부(151)를 통하여 빗물이 상기 하천(80)으로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수조(55)와 근접하는 상기 하천(80)의 하류 부근에 상기 집수관(130)에 연결되는 지류관(145)을 설치하여, 상기 집수관(130)에 모여진 빗물이 상기 지류관(145)을 통하여 상기 저류조(140)에 모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21. 제 16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140)는 수질의 상태에 따라 정수 처리장으로 연결하는 제 1관로(141);
    하수종말 처리장에 연결되는 제 2관로(142) 및
    배수로에 연결되는 제 3관로(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종말 처리장 및 상기 정수 처리장을 통과한 물은 상기 저수조(5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지류관(145)은 상기 하천(80)과 별도의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류관(145)에 빗물이 흐르는 동안에 부유물과 침전물이 제거하는 제거부(160)와 물을 정화 시키는 정화부(17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160)는 상기 지류관(145)의 단면적보다 크게 하여 유속을 느리게 하는 만곡부(161)와,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유도부(162) 및 상기 지류관(145)의 바닥보다 깊게 형성한 침전부(164)로 이루어져 빗물이 상기 제거부(160)를 통과하는 동안에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이 상기 제거부(160)에서 남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170)는 상기 지류관(145)의 일부를 확대한 확관부(171)와,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유도부(172) 및 상기 확관부(171)의 내부에 설치된 정화필터(17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175)는 물이 흐르는 방향에 직교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조제(1)의 간척지 시설 구조
KR20090073868A 2009-05-26 2009-08-11 방조제 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 KR100932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11080967A SG175873A1 (en) 2009-05-26 2010-05-10 Method for forming reclaimed land within seawall and construction equipment thereof
EP10780724.0A EP2436843B1 (en) 2009-05-26 2010-05-10 Method for forming reclaimed land within seawall and construction equipment thereof
CN201080023558.1A CN102449239B (zh) 2009-05-26 2010-05-10 在海堤内形成开垦土地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设施结构
JP2012512948A JP5723872B2 (ja) 2009-05-26 2010-05-10 防潮堤内の干拓地造成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施設構造
MYPI2011005393A MY159037A (en) 2009-05-26 2010-05-10 Method of preparing reclaimed land within seawall and facility structure using the same
PCT/KR2010/002957 WO2010137813A2 (ko) 2009-05-26 2010-05-10 방조제 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909 2009-05-26
KR20090045909 2009-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091B1 true KR100932091B1 (ko) 2009-12-16

Family

ID=4168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73868A KR100932091B1 (ko) 2009-05-26 2009-08-11 방조제 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436843B1 (ko)
JP (1) JP5723872B2 (ko)
KR (1) KR100932091B1 (ko)
CN (1) CN102449239B (ko)
MY (1) MY159037A (ko)
SG (1) SG175873A1 (ko)
WO (1) WO2010137813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3918A (zh) * 2019-10-28 2019-12-24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一种土壤管道排盐改良系统及排盐方法
KR20220152644A (ko) 2021-05-10 2022-11-17 오광식 방조제 내의 물 순환 시스템 및 방법
CN118187234A (zh) * 2024-05-16 2024-06-14 中建三局(福建)投资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山地别墅施工的高边坡排水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92518B (zh) * 2016-11-03 2018-11-20 浙江海洋大学 滩涂养殖围垦堤坝结构
CN106560558B (zh) * 2016-11-07 2018-12-28 浙江海洋大学 滩涂养殖海藻围垦结构
CN106592520B (zh) * 2016-11-07 2018-11-20 浙江海洋大学 滩涂造田围垦结构
CN106592521B (zh) * 2016-11-07 2018-11-20 浙江海洋大学 滩涂养鱼围垦结构
KR102117631B1 (ko) * 2019-04-17 2020-06-09 윤종익 매립용 토사 펌핑 하역 공법 및 장비
CN111990005B (zh) * 2020-08-05 2022-08-26 贺勇衡 一种土质丘陵山地垦造水田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609B1 (ko) 1999-12-29 2003-01-06 박해연 해저면 연약지반 보강용 스프레이 매립 장치 및 그 공법
KR100633795B1 (ko) * 2005-11-16 2006-10-16 (주)써포텍 장지간 조립식 띠장의 정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863B2 (ko) * 1972-03-17 1975-09-03
NL7515208A (en) * 1975-12-30 1977-07-04 Iersel Bosbouw En Cultuurtechn Aeration of overflow effluent from a drainage system - in a system of ponds and waterfalls contg. surface water
JPS6080620A (ja) * 1983-06-25 1985-05-08 Takenaka Komuten Co Ltd 泥状物脱水工法用フロート
JPS6153921A (ja) * 1984-08-21 1986-03-18 Unyusho Daisan Kowan Kensetsu Kyokucho 埋立方法
JPH07116698B2 (ja) * 1993-04-23 1995-12-13 信雄 中西 埋立て装置
JPH08184022A (ja) * 1994-12-29 1996-07-16 Shimizu Corp 気中埋立て工法
JPH09235769A (ja) * 1996-02-29 1997-09-09 Takiron Co Ltd 雨水処理システム
JP2002228536A (ja) * 2001-02-06 2002-08-14 Shinichiro Hayashi 埋立施設
JP2005083030A (ja) * 2003-09-08 2005-03-31 Hosooka Bio Hightech Kenkyusho:Kk 埋立工法
CN101581086B (zh) * 2009-06-12 2010-10-20 中交二航局第三工程有限公司 人工岛岛堤建造的定位抛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609B1 (ko) 1999-12-29 2003-01-06 박해연 해저면 연약지반 보강용 스프레이 매립 장치 및 그 공법
KR100633795B1 (ko) * 2005-11-16 2006-10-16 (주)써포텍 장지간 조립식 띠장의 정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3918A (zh) * 2019-10-28 2019-12-24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一种土壤管道排盐改良系统及排盐方法
KR20220152644A (ko) 2021-05-10 2022-11-17 오광식 방조제 내의 물 순환 시스템 및 방법
CN118187234A (zh) * 2024-05-16 2024-06-14 中建三局(福建)投资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山地别墅施工的高边坡排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6843A2 (en) 2012-04-04
JP5723872B2 (ja) 2015-05-27
WO2010137813A2 (ko) 2010-12-02
CN102449239B (zh) 2015-10-21
MY159037A (en) 2016-12-15
SG175873A1 (en) 2011-12-29
EP2436843A4 (en) 2014-10-29
EP2436843B1 (en) 2017-03-08
WO2010137813A3 (ko) 2011-03-17
CN102449239A (zh) 2012-05-09
JP2012528259A (ja)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091B1 (ko) 방조제 내의 간척지 조성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설 구조
RU2567927C2 (ru) Подзем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водой для горных выработок
CN109056761A (zh) 河道清淤方法
CN216475132U (zh) 一种基坑快速降水系统
CN107700507B (zh) 钢板桩止水帷幕辅助槽内降水施工工法
CN104711968B (zh) 一种负压立体导流扰动冲击固结吹填土方法
CN102605791A (zh) 软土地基中土方开挖方法
JP6593703B2 (ja) 石炭灰の埋立方法
CN104328836B (zh) 一种环保型预制双箱深孔式排水井及其施工方法
KR101080088B1 (ko) 생태환경을 고려한 저류지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RU2751569C1 (ru) Горизонтальное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111827198A (zh) 一种潮汐湖水环境生态修复中控水换填的施工方法
KR101072407B1 (ko) 강변여과수의 여과층 조성 및 집수장치 설치방법
RU2758237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водозабор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204225257U (zh) 一种环保型预制双箱深孔式排水井
KR20110016254A (ko) 생태공간 시설 구조 및 조성 방법
CN113356325B (zh) 一种景观水域水生态环境综合治理方法
CN113882415B (zh) 一种排水方法
CN217758883U (zh) 一级饮用水源保护区环保型土石围堰结构
CN114809231B (zh) 一种利用反滤围井处理疏浚淤泥的方法
KR101236417B1 (ko) 생태공간 시설 구조
JP5349551B2 (ja) 土砂沈殿用構造物、沈殿池施工方法、及び水路回復方法
RU2465076C1 (ru) Хранилище отходов заглубленного типа и способ его создания
Shin Practical Applications of Various Geosynthetics in Korea
JPH03763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