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976B1 -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976B1
KR100891976B1 KR1020080097550A KR20080097550A KR100891976B1 KR 100891976 B1 KR100891976 B1 KR 100891976B1 KR 1020080097550 A KR1020080097550 A KR 1020080097550A KR 20080097550 A KR20080097550 A KR 20080097550A KR 100891976 B1 KR100891976 B1 KR 10089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sea
unloading
conveyor
mari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플랜
Priority to KR102008009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면의 변화에 관계없이 해사를 계속하여 직접 이송할 수 있는 해사 직접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수간만에 의한 썰물시에도 해수에 부유되어 상기 해사운반선(1,2)들이 근접하거나 정박하여 해사를 공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거나 정박하도록 운전되는 하역바지선(10); 해저면에 설치되며 장방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체(21)와, 상기 지지체(21)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22)와, 상기 몸체(22)에 설치되는 받침대(23)와, 상기 하역바지선(10)의 컨베이어(15)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24)와, 상기 호퍼(24)에 의해 수집된 해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25)와, 상기 몸체(22)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5)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의 이송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가변식 컨베이어(26)를 구비하며, 조수 간만에 의한 해수면의 높이에 무관하게 상기 하역바지선(10)으로부터 해사를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하역장치(20);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의 후방부가 상단에 연결되는 호퍼장치(30); 상기 호퍼장치(30)에 공급되는 해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장치(40); 상기 제1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는 해사를 내륙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장치(50); 및 상기 제2이송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매립지 또는 다른 운송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제3이송장치(60)로 구성된다.
해사, 직접이송, 하역장치, 매립지, 하역바지선

Description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System for Transferring Sea Soil Directl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조제를 기준으로 바다측 해사를 이용하여 내륙측 간석지를 매립하거나 해사를 운송하기 위한 해사 직접 운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해수면의 변화에 관계없이 해사를 계속하여 직접 이송할 수 있고, 해사의 이송이 용이하고 간편하며, 이송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토의 유효면적을 넓히거나 해안을 매립하는 경우 해안가를 따라 방조제를 건설한 후 방조제를 기준으로 하여 내륙측은 토사, 골재 등을 이용하여 매립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매립의 경우 대부분 육지로부터 토사, 골재 등을 운송하여 매립하여 왔으나, 최근 바다에는 선로를 준설함과 동시에 준설시 수집되는 해사를 매립지로 이송하여 매립하는 공법이 시행되고 있다. 한편, 해사의 운송 및 매립에는 기본적으로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과 그로부터 토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토사 이송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가 특허 제10-758732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10-758732호는,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이송시켜주는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으로 토사 이송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대(335) 상의 턴테이블(331)에 의해 360° 회전이 가능하면서 턴테이블(331)과 저어더(337) 사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332)에 의해 일측 호퍼(333)와 타측 낙하부(334)의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며, 지지대(335) 하부에 구동휠(336)을 설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보조컨베이어(330)와; 하역컨베이어 바지선(33)의 갑판(310) 표면 가장자리에 각각 일렬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336)이 구비된 복수의 보조컨베이어(330)가 갑판(310)의 양족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되게 하는 다수의 레일(311a,311b)(312a,312b)과; 상기의 양쪽 레일(311a,311b)(312a,312b) 사이에 위치되며, 보조컨베이어(330)의 낙하부(334)에서 낙하되는 토사가 갑판(3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갑판(310)상에 일렬로 형성한 다수의 토사투입구(320)와; 상기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갑판(310)의 토사투입구(320) 아래에 설치되어 투입된 토사를 받아 선단(341)으로 이송하는 고정 컨베이어(340)와; 상기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에서 낙하되는 토사를 받을 수 있도록 후미는 고정컨베이어(340)의 선단(341) 아래에 위치되고, 선단은 지지탑(360)의 와이어(361)에 매달려 지지된 상태에서 턴테이블(351)과 유압실린더(352)에 의해 좌우 및 상하 각도가 조절되는 가변컨베이어(35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예컨대 해안 매립지의 해상에서 보조컨베이어(330), 고정컨베이어(340), 가변컨베이어(350)가 구비된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양쪽에 토사채취선(700)을 접근시킨 후 보조컨베이어(330)의 위치를 조절한 후 토사채취선(700)의 토사를 하역컨베이어바지선(300)의 보조컨베이어(330), 고정컨베이어(340), 가변컨베이어(350)를 차례로 통과시켜 해안도로 또는 육상에 설치된 다른 컨베이어를 통해 매립지로 운송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인력소모 및 유류비 등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물론 종래기술들은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해안가에서는 썰물인 경우 작업이 불가하거나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썰물로 인해 하역컨베이어 바지선이 방조제 또는 해안가에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해사의 이송작업이 중단됨으로써 매립지의 매립, 해사 운송 등의 작업이 지연되어 공기가 연장됨은 물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수간만의 차에 관계없이 항상 해사를 이송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해사운반선 및 하역 바지선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해사 직접운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사 직접 이송장치는, 방조제 전방의 바다에서 해사를 채취하여 방조제 후방의 매립지 또는 운송수단에 직접 공급하기 위한 해사 직접 이송장치에 있어서, 해사운반선으로부터 해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수에 부유되며 상기 해사운반선이 양측에 정박가능한 장방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받침대와, 상기 본체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와, 각각의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고 상기 해사운반선으로부터 포크레인에 의해 이적되는 해사를 수용하기 위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에 공급되는 해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권취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컨베이어의 선단에 고정되는 조절 와이어를 구비하며, 조수간만에 의한 썰물시에도 해수에 부유되어 상기 해사운반선들이 근접하거나 정박하여 해사를 공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거나 정박하도록 운전되는 하역바지선; 조수 간만에 위한 썰물시에도 상기 하역바지선으로부터 항상 해사를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의 해저면에 설치되며 장방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하역바지선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를 수집하거나 해사운반선으로부터 포크레인에 의해 이적되는 해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의해 수집된 해사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와, 상기 몸체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의 이송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후단에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식 컨베이어를 구비하며, 조수 간만에 의한 해수면의 높이에 무관하게 상기 하역바지선으로부터 항상 해사를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하역장치; 상기 하역장치와 일정거리의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체와, 상기 하역장치의 가변식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해사를 수집하기 위한 호퍼로 이루어진 호퍼장치; 상기 호퍼 장치에 공급되는 해사를 상기 방조제를 향해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호퍼장치로부터 상기 방조제까지 연속 반복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교각과, 각각의 상기 교각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해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제1이송장치; 상기 방조제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는 해사를 내륙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전방부는 해안측 지면에 고정되며 후방부는 매립지측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체와, 상기 제1이송장치의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수집하기 위해 전방의 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수집되는 해사를 내륙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제2이송장치; 및 상기 제2이송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매립지 또는 다른 운송수단에 공급하기 위해, 매립지측 또는 내륙측에 고정되며 타설 고정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장치의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수집하기 위한 호퍼와, 상기 호퍼에 수집되는 해사를 매립지 또는 다른 운송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제3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사 직접 이송장치를 이용한 해사 직접 이송방법은, 해사운반선들이 하역장치까지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해수의 높이가 충분하면 포크레인을 탑재한 해사운반선을 이용하여 해사를 채취한 후 상기 해사운반선들 중 2척의 해사운반선을 하역바지선의 본체의 양측에 정박시키고, 나머지 2척의 해사운반선은 상기 하역장치의 몸체의 양측에 정박시키는 단계; 각각의 상기 해사운반선에 설치된 각각의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하역바지선의 호퍼 및 상기 하역장치의 호퍼에 해사를 하역하는 단계; 상기 하역바지선의 호퍼 및 상기 하역장치의 호퍼에 공급된 해사를 상기 하역바지선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하역장치의 호퍼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하역장치의 컨베이어를 이용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된 가변식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호퍼장치의 호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호퍼장치의 호퍼에 수집되는 해사를 상기 호퍼장치의 호퍼의 하부까지 연장 설치된 제1이송장치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방조제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1이송장치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를 상기 제1이송장치에 연계된 제2이송장치의 호퍼로 이송하고 상기 제2이송장치의 컨베이어로 내륙측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2이송장치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를 제3이송장치의 호퍼로 수집한 후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직접 매립지에 공급하여 매립하거나 다른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하역바지선을 해사운반선이 항상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기 하역바지선이 연결되는 하역장치가 베이스캠프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하역장치의 몸체의 높이가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어 조수간만의 차로 인해 해수면의 높이가 변하는 것에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해사를 이송시켜 매립지 또는 다른 운송수단에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해사운반선 및 하역바지선의 이동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어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해사 직접 이송장치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의 해사 직접 이송장치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7은 썰물 때의 하역 바지선과 하역장치의 작용모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이송장치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사 직접 이송장치를 이용한 해사 직접 이송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부호 10은 바다에서 해사를 채취하여 운반하는 해사운반선(1,2)으로부터 해사를 공급받아 이송시키기 위한 하역바지선이다. 상기 하역바지선(10)은 해수면에서 부유되어 이동 가능하며, 양측에 상기 해사운반선(1,2)이 근접하여 포크레인(5)에 의해 해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역바지선(10)은 해수에 부유되는 장방형의 본체(11)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받침대(12)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12)는 골조 또는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 또는 받침대(12)의 후방에는 후술되는 컨베이어의 후단을 지지하며 그 컨베이어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12)의 후방에는 각각의 상기 해사운반선(1,2)으로부터 포크레인(5)에 의해 이적되는 해사를 수용하기 위한 호퍼(14)가 설치된다. 상기 호퍼(14)는 후술되는 조절 와이어에 의해 전방이 상하로 회동가능하세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호퍼(14)는 상기 본체(11)의 양측에서 각각의 해사운반선(1,2)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14)의 하부에는 그 호퍼(14)에 의해 수집된 해사를 실제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5)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15)는 후술되는 조절 와이어에 의해 상기 호퍼(14)와 함께 전방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5)는 후술되는 하역장치의 호퍼에 이를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13)의 상단에는 상기 호퍼(14) 및 컨베이어(15)의 선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와이어(16)가 연결된다. 상기 조절 와이어(16)의 일단은 상기 지지대(13)의 상단에 풀림 가능하게 지지되거나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컨베이어(15)의 선단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하역바지선(10)은 조수간만에 의한 썰물시에도 해수에 부유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이동하거나 정지되어 상기 해사운반선(1,2,3,4)들이 근접하거나 정박하여 해사를 공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거나 정박하여야 한다.
부호 20은 상기 하역바지선(10)으로부터 해사를 공급받아 이송시키기 위한 하역장치이다. 상기 하역장치(20)는 해안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식 하역바지선(10) 또는 해사운반선(3,4)으로부터 해사를 공급받아 임시로 적재하거나 또는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하역장치(20)는 상기 하역바지선(10)이 해수에 부유된 상태로 해사를 공급할 수 있는 범위내의 위치에 설치되어 일명 “베이스캠프(Base Camp)”역할을 하여야 한다. 즉, 상기 하역장치(20)는 바다에 고정되어 상기 하역바지선(10) 또는 상기 해사운반선(3,4)으로부터 해사를 공급받아 일시적으로 적재하거나 수집한 상태에서 후술되는 호퍼장치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역장치(20)는 해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체(2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21)는 항타 공법에 의해 해저에 타설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부재(211)를 구비한다.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재(211)는 폴, H빔, "ㄱ" 자형 단면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장방형의 몸체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호 장방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1)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는 몸체(22)가 해수면의 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용 설치된다. 상기 몸체(22)는 상기 지지체(21)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22)에는 골조 또는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받침대(23)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23)의 상부에는 상기 하역바지선(10)의 컨베이어(15)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를 수집하거나 해사운반선(3,4)으로부터 포크레인(5)에 의해 이적되는 해사를 수용하기 위한 호퍼(2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호퍼(24)의 하부에는 그 호퍼(24)에 의해 수집된 해사를 실제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25)가 무한궤도 방식으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몸체(22)의 후단에는 상기 컨베이어(25)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를 후술되는 호퍼장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가변식 컨베이어(26)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의 전방단에는 상기 몸체(22)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도록 상기 몸체(22)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형성된 롤링부재(261)가 설치된다. 상기 롤링부재(261)는 롤러, 바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의 후방부에는,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를 후술되는 호퍼장치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재(262)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262)는 회동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22)의 전후, 좌우에는 상기 지지체(21)에 대해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또한 상기 지지체(21)의 각각의 프레임부재(211)에 미끄럼가능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복수의 롤러(221)가 설치될 수 있다.
부호 30은 상기 하역장치(20)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수집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호퍼장치이다.
상기 호퍼장치(30)는 해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체(3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31)는 항타공법에 의해 해저에 타설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부재(311)와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재(311)를 연결함은 물론 지지체 전체의 보강을 위한 보강 프레임(3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31)의 상부에는 상기 하역장치(20)의 가변식 컨베이어(26)로부터 이송되는 해사를 수용 또는 수집하기 위한 호퍼(32)가 설치된다. 상기 호퍼(32)는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로부터 공급되는 해사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용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장치(30)의 호퍼(32) 또는 지지체(31)의 상단에는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에 구비된 연결부재(262)가 고정되어,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의 후방부가 상기 호퍼(32)에 대해 상하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부호 40은 상기 호퍼장치(30)에 공급되거나 수집되는 해사를 내륙 또는 매립지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장치이다. 상기 제1이송장치(40)는 해안과 내륙측의 경계선에 설치된 방조제(SW)까지 연장되도록 충분한 길이로 설치된다.
상기 제1이송장치(40)는 방조제(SW)까지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교각(41)을 구비한다. 각각의 상기 교각(41)은 항타 공법에 의해 해저에 타설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부재(411)를 구비한다.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재(411)는 전술된 각각의 프레임부재(211;311)와 같이 폴, H빔 등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교각(41)의 상부에는 실제적으로 상기 호퍼장치(30)의 호퍼(32)에 수집되는 해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42)가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42)의 선단부는 상기 호퍼장치(30)의 호퍼(32)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32)의 하부에 위치하며, 후단부는 후술되는 방조제에 설치된 제2이송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이송장치(40)는 상기 컨베이어(42)의 과도한 길이로 인한 작동불능을 방지하고 굴곡진 방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이송장치(400)가 상호 연계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단위 이송장치(400)는 물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에 타설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체(401)와, 상기 해사를 수집 또는 수용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401)들 중 최전방의 지지체에 설치되는 호퍼(402)와, 상기 호퍼(40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402)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후속하는 단위 이송장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403)로 이루어진다.
부호 50은 상기 제1이송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해안측에서 매립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장치이다.
상기 제2이송장치(50)는 전방부는 해안측 지면에 고정되며 후방부는 매립지측 또는 내륙측에 고정되는 지지체(51)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체(51)는 상기 지지체(21;31;41)와 유사하게 타설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부재(511)를 구비한다. 각각의 상기 프레임부재(511)는 폴, H빔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51)의 전방 상부에는 실제적으로 상기 제1이송장치(40)의 컨베이어(42)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수집하기 위한 호퍼(5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51)의 상부에는 상기 호퍼(52)에 수집되는 해사를 내륙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53)가 길이방향 전체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2이송장치(50)에서는 구성의 단순화를 위해 호퍼(52)가 생략될 수 있는 바, 이는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 60은 상기 제2이송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매립지(R) 또는 트럭과 같은 다른 운송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제3이송장치이다.
상기 제3이송장치(60)는 상기 제2이송장치(50)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3이송장치(60)는, 매립지측 또는 내륙측에 고정되며 타설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부재(611)로 구성되는 지지체(61)와, 상기 지지체(56)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장치(50)의 컨베이어(52)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수집하기 위한 호퍼(62)와, 상기 호퍼(62)에 수집되는 해사를 매립지 또는 다른 운송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63)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3이송장치(60)에서도 구성의 간단성을 위해 호퍼(62)가 생략될 수 있다.
부호 70은 상기 하역바지선(10)과 상기 하역장치(20)를 일렬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이다.
상기 연결장치(70)의 일단부는 상기 하역장치(20)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역바지선(10)에 해제 가능하게 고리식으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볼라드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해사 직접 이송장치를 이용한 해사 이송방법을 도 9를 주로 하고 도 3 내지 8을 부가적으로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밀물일 경우, 즉 상기 해사운반선(1,2,3,4)들이 상기 하역장치(20)까지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해수(W)의 높이가 충분한 경우 상기 포크레인(5)을 탑재한 해사운반선(1,2,3,4)을 이용하여 해사를 채취한 후 상기 해사운반선(1,2,3,4) 중 해사운반선(1,2)을 하역바지선(10)의 본체(11)의 양측에 정박시키고, 나머지 해사운반선(3.4)은 하역장치(20)의 몸체(22)의 양측에 정박시킨다(S100).
한편, 각각의 상기 해사운반선(1,2;3,4)을 상기 하역바지선(10)과 상기 하역장치(20)의 측부에 정박시키기 전에, 상기 하역바지선(10)과 상기 하역장치(20)간의 정확한 정렬을 위해 상기 하역바지선(10)의 본체(11)와 상기 하역장치(20)의 몸체(22)를 연결장치(70)로 연결시키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상기 해사운반선(1,2;3,4)에 설치된 각각의 포크레인(5)을 이용하여 상기 하역바지선(10)의 호퍼(14) 및 상기 하역장치(20)의 호퍼(24)에 해사를 하역한다(S102).
다음으로 상기 하역바지선(10)의 호퍼(14) 및 상기 하역장치(20) 호퍼(24)에 공급된 해사를 상기 하역바지선(10)의 컨베이어(15)를 이용하여 상기 하역장치(20)의 호퍼(24)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하역장치(20)의 컨베이어(25)를 이용하고 상 기 컨베이어(25)의 하부에 설치된 가변식 컨베이어(26)를 이용하여 호퍼장치(30)의 호퍼(32)로 이송한다(S104).
이후, 상기 호퍼장치(30)의 호퍼(32)에 수용되거나 수집되는 해사를 상기 호퍼장치(30)의 호퍼(32)의 하부까지 연장 설치된 제1이송장치(40)의 컨베이어(42)를 이용하여 이송한다(S106).
이와 같이 상기 제1이송장치(40)의 컨베이어(42)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는 상기 제1이송장치(40)에 연계된 제2이송장치(50)의 호퍼(52)로 이송되어 상기 제2이송장치(50)의 컨베이어(53)에 의해 내륙측으로 이송한다(S108).
상기와 같이 제2이송장치(50)의 컨베이어(53)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는 다시 제3이송장치(60)의 호퍼(62)로 수집한 후 컨베이어(63)를 이용하여 직접 매립지(R)에 공급하여 매립하거나 트럭과 같은 다른 운송수단(T)을 이용하여 운송한다(S110).
한편, 해사의 이송 중에 밀물에 의해 해수면이 낮아져 상기 하역바지선(10)이 해수면을 따라 그 부유높이가 낮아짐과 동시에 그 하역바지선(10)의 본체(11)에 연결된 하역장치(20)의 몸체(12)가 낮아지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역장치(20)의 가변식 컨베이어(26)가 그 전방단에 설치된 롤링부재(261)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의 후방에 구비된 연결부재(262)에 의해 회동되어 가변 조정됨으써, 해사를 하역장치(20)에서 호퍼장치(30)로 계속하여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역장치(10)의 몸체(22)가 상,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에는 상기 몸체(22)에 구비된 각각의 롤러(221)가 상기 지지체(21)에 대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어 연속적이고 원활한 해사의 이송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역장치(20)의 몸체(22)가 지지체(21)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하역장치의 가변식 컨베이어(26)의 선단이 전후로 이동가능하고 하방이 상하로 회동되어 자동으로 조절됨으로써, 계속하여 해사를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역바지선(10)이 상기 해사운반선(1,2)이 정박할 수 있는 범위에 위치하거나 정박하여 있고 상기 하역장치(20)가 상기 하역바지선(10)에 연결되어 있어 항상 해사운반선(1,2)에 의해 해사를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임의로 중단시키지 않는 한 계속적으로 해사를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해사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해사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해사 직접 이송장치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의 해사 직접 이송장치를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썰물 때의 하역 바지선과 하역장치의 작용모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이송장치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사 직접 이송장치를 이용한 해사 직접 이송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역바지선 20: 하역장치
30: 호퍼장치 40: 제1이송장치
50: 제2이송장치 60: 제3이송장치

Claims (8)

  1. 방조제(SW) 전방의 바다에서 해사를 채취하여 상기 방조제(SW) 후방의 매립지(R) 또는 운송수단(T)에 직접 공급하기 위한 해사 직접 이송장치에 있어서,
    해사운반선(1,2)으로부터 해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해수에 부유되며 상기 해사운반선(1,2)이 양측에 정박가능한 장방형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2개의 받침대(12)와, 상기 본체(11)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3)와, 각각의 상기 받침대(12)에 설치되고 상기 해사운반선(1,2)으로부터 포크레인(5)에 의해 이적되는 해사를 수용하기 위한 호퍼(14)와, 상기 호퍼(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14)에 공급되는 해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5)와, 상기 컨베이어(15)의 이송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일단은 상기 지지대(13)의 상단에 권취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컨베이어(15)의 선단에 고정되는 조절 와이어(16)를 구비하며, 조수간만에 의한 썰물시에도 해수에 부유되어 상기 해사운반선(1,2)이 근접하거나 정박하여 해사를 공급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거나 정박하도록 운전되는 하역바지선(10);
    조수 간만에 위한 썰물시에도 상기 하역바지선(10)으로부터 해사를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의 해저면에 설치되며 장방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체(21)와, 상기 지지체(21)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22)와, 상기 몸체(22)에 설치되는 받침대(23)와, 상기 하역바지선(10)의 컨베이어(15)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를 수집하거나 해사운반선(3,4)으로부터 포크레인(5)에 의해 이적되는 해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24)와, 상기 호퍼(24)에 의해 수집된 해사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호퍼(24)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25)와, 상기 몸체(22)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25)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의 이송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22)의 후단에 이동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식 컨베이어(26)를 구비하며, 조수 간만에 의한 해수면의 높이에 무관하게 상기 하역바지선(10)으로부터 항상 해사를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하역장치(20);
    상기 하역장치(20)와 일정거리의 해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체(31)와, 상기 하역장치(20)의 가변식 컨베이어(26)로부터 이송되는 해사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의 후방부가 회동가능하게 상단에 연결되는 호퍼(32)로 이루어진 호퍼장치(30);
    상기 호퍼 장치(30)에 공급되는 해사를 상기 방조제(SW)를 향해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호퍼장치(30)로부터 상기 방조제(SW)까지 연속 반복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교각(41)과, 각각의 상기 교각(41)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해사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42)로 이루어진 제1이송장치(40);
    상기 방조제(SW)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장치(40)로부터 이송되는 해사를 내륙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전방부는 해안측 지면에 고정되며 후방부는 매립지(R)측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체(51)와, 상기 제1이송장치(40)의 컨베이어(42)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수집하기 위해 전방의 상기 지지체(51)의 상부에 설치되는 호퍼(52)와, 상기 호퍼(52)에 수집되는 해사를 내륙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53)로 이루어진 제2이송장치(50); 및
    상기 제2이송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매립지(R) 또는 다른 운송수단(T)에 공급하기 위해, 매립지측 또는 내륙측에 타설 고정되는 지지체(61)와, 상기 지지체(61)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장치(50)의 컨베이어(52)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수집하기 위한 호퍼(62)와, 상기 호퍼(62)에 수집되는 해사를 매립지(R) 또는 다른 운송수단(T)에 공급하기 위한 컨베이어(63)로 이루어진 제3이송장치(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직접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장치(20)의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의 전방단에는 상기 몸체(22)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도록 상기 몸체(22)에 대해 구름 가능하게 형성된 롤링부재(261)가 설치되며,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의 후방부에는 상기 가변식 컨베이어(26)를 상기 호퍼장치(30)의 호퍼(3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6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직접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장치(20)의 몸체(22)는 썰물시 상기 해사운반선(3,4)이 양측에 정박되어 해사를 공급받도록 설치되며, 상기 몸체(22)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체(21)에 대해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21)의 각각의 프레임부재(211)에 미끄럼가능하게 접촉되는 복수의 롤러(2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직접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장치(40)는 상기 컨베이어(42)의 과도한 길이로 인한 작동불능을 방지하고 굴곡진 방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위 이송장치(400)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단위 이송장치(400)는 해저면에 타설고정되는 복수의 지지체(401)와, 상기 해사를 수집 또는 수용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401)들 중 최전방의 지지체에 설치되는 호퍼(402)와, 상기 호퍼(40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402)로부터 공급되는 해사를 후속하는 단위 이송장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40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직접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바지선(10)과 상기 하역장치(20)를 일렬로 연결시키기 위해, 일단부는 상기 하역장치(20)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하역바지선(1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장치(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직접 이송장치.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해사 직접 이송장치를 이용한 해사 직접 이송방법에 있어서,
    해사운반선(1,2;3,4)이 하역장치(20)까지 충분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해수(W)의 높이가 충분하면 포크레인(5)을 탑재한 상기 해사운반선(1,2;3,4)을 이용하여 해사를 채취한 후 상기 해사운반선(1,2;3,4) 중 2척의 해사운반선(1,2)을 하역바지선(10)의 본체(11)의 양측에 정박시키고, 나머지 2척의 해사운반선(3,4)은 상기 하역장치(20)의 몸체(22)의 양측에 정박시키는 단계(S100);
    각각의 상기 해사운반선(1,2;3,4)에 설치된 각각의 포크레인(5)을 이용하여 상기 하역바지선(10)의 호퍼(14) 및 상기 하역장치(20)의 호퍼(24)에 해사를 하역하는 단계(S102);
    상기 하역바지선(10)의 호퍼(14) 및 상기 하역장치(20)의 호퍼(24)에 공급된 해사를 상기 하역바지선(10)의 컨베이어(15) 및 상기 하역장치(20)의 컨베이어(25)를 이용하고 상기 컨베이어(25)의 하부에 설치된 가변식 컨베이어(26)를 이용하여 호퍼장치(30)의 호퍼(32)로 이송하는 단계(S104);
    상기 호퍼장치(30)의 호퍼(32)에 수집되는 해사를 상기 호퍼장치(30)의 호퍼(32)의 하부까지 연장 설치된 제1이송장치(40)의 컨베이어(42)를 이용하여 방조제(SW)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S106);
    상기 제1이송장치(40)의 컨베이어(42)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를 상기 제1이송장치(40)에 연계된 제2이송장치(50)의 호퍼(52)로 이송하고 상기 제2이송장치(50)의 컨베이어(53)로 내륙측으로 이송하는 단계(S108);
    상기 제2이송장치(50)의 컨베이어(53)에 의해 이송되는 해사를 제3이송장치(60)의 호퍼(62)로 수집한 후 컨베이어(63)를 이용하여 직접 매립지(R)에 공급하여 매립하거나 다른 운송수단(T)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직접 이송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해사의 이송 중에 밀물에 의해 해수면이 낮아져 상기 하역바지선(10)이 해수면을 따라 부유높이가 낮아짐과 동시에 상기 하역바지선(10)의 본체(11)에 연결된 하역장치(20)의 몸체(12)가 낮아지면, 상기 하역장치(20)의 가변식 컨베이어(26)를 롤링부재(261) 및 연결부재(262)를 이용하여 회동시켜 상기 호퍼장치(30)의 호퍼(32)로 해사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직접 이송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해사운반선(1,2,3,4)을 상기 하역바지선(10)과 상기 하역장치(20)에 정박시키는 단계(S100) 전에, 상기 하역바지선(10)과 상기 하역장치(20)간의 정확한 정렬을 위해 상기 하역바지선(10)의 본체(11)와 상기 하역장치(20)의 몸체(22)를 연결장치(70)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사 직접 이송방법.
KR1020080097550A 2008-10-06 2008-10-06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 KR100891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50A KR100891976B1 (ko) 2008-10-06 2008-10-06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50A KR100891976B1 (ko) 2008-10-06 2008-10-06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976B1 true KR100891976B1 (ko) 2009-04-08

Family

ID=4075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550A KR100891976B1 (ko) 2008-10-06 2008-10-06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9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1627A (en) 1979-01-27 1980-08-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Continuous unloader for earth filling
JPS5878838U (ja) 1981-11-20 1983-05-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荷役装置
JPS63255195A (ja) 1987-04-09 1988-10-21 Kusakabe Kisen Kk 2つのフロ−タからなる揚土船
KR20050013355A (ko) * 2003-07-28 2005-02-04 주식회사 선학골재 골재의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1627A (en) 1979-01-27 1980-08-0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Continuous unloader for earth filling
JPS5878838U (ja) 1981-11-20 1983-05-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荷役装置
JPS63255195A (ja) 1987-04-09 1988-10-21 Kusakabe Kisen Kk 2つのフロ−タからなる揚土船
KR20050013355A (ko) * 2003-07-28 2005-02-04 주식회사 선학골재 골재의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4714B1 (en) Pier and wharf structures having means for directly transferring cargo between two vessels or between a vessel and railcars
KR101037222B1 (ko) 이송바지선을 이용한 해안 부두의 야적물 선적시스템
US6010295A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transfer of cargo
KR100758732B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US6390006B1 (en) Sea bulk transfer vessel
CN104870305B (zh) 生产支持和存储船舶
CN102124164B (zh) 用于将大量水下土壤传送至填筑区的方法
KR101015167B1 (ko) 이동식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바지선 및 운반물의 이송에따른 바지선의 발라스팅 방법
CN201321148Y (zh) 石块运输船
KR100891976B1 (ko) 해사 직접 이송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88900A (ko) 매우 얕은 흘수 벌크선
KR100768956B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공법
CN204078016U (zh) 一种过驳装卸运输散货船
CN204150732U (zh) 一种集装船、卸船、运输于一体的多功能船
KR20100069035A (ko) 하역 컨베이어 바지선
CN201587808U (zh) 用于移动卸船机的轨道系统
KR101027742B1 (ko) 해상에서 해안도로변으로의 토사 하역 공법
CN113371473A (zh) 适用于超大水位差的干散货码头装卸工艺系统及方法
KR200431865Y1 (ko) 하역컨베이어바지선을 이용한 토사 이송장치
CN104291128A (zh) 集装船、卸船、运输于一体的功能船
WO1982001859A1 (en) Azimuthal mooring material handling terminal and tower
KR20070045642A (ko) 해상 선박에서의 골재 선적 및 하역시스템과 그에 적용되는작업선
CN206126372U (zh) 用于船舶货物转运的转驳平台
AU2013101068B4 (en) A terminal and a method for loading a ship with bulk material
CN110834907A (zh) 一种抛石整平船的碎石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