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6362B1 -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6362B1
KR100766362B1 KR1020060132742A KR20060132742A KR100766362B1 KR 100766362 B1 KR100766362 B1 KR 100766362B1 KR 1020060132742 A KR1020060132742 A KR 1020060132742A KR 20060132742 A KR20060132742 A KR 20060132742A KR 100766362 B1 KR100766362 B1 KR 10076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frame
railway vehicle
underfram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김남포
한성호
서승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32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41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with bodies characterised by use of light metal, e.g.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10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4Inorganic
    • B32B2266/04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10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차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은 경량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하부를 구성하는 언더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져 차체의 무게를 경량화함과 동시에 강도나 충격 하중에도 강한 특성을 가지는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의 차체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바닥부분으로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언더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양측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되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 차체의 상부프레임은 강화섬유와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용한 복합소재로 제작하여 경량화 효과를 극대화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이 결합되는 언더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제작하여 경량화 및 하부기기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철도차량, 차체, 프레임

Description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body of railroad vehicle having two way structu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
도 1은 일반적인 철도차량의 차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철도차량의 차체 상단 연결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철도차량의 차체 하단 연결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차체 연결부위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차체 110: 언더프레임
120: 상부프레임 121: 연결부
122: 사이드프레임 124: 천정프레임
125: 보강부재
본 발명은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차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은 경량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지고 하부를 구성하는 언더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져 차체의 무게를 경량화함과 동시에 강도나 충격 하중에도 강한 특성을 가지는 철도차량 차체와 그와 같은 철도차량 차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차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을 구성하는 언더프레임(110)과, 그 언더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상기 언더프레임(110)의 양측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사이드프레임(122)과, 그 사이드프레임(122)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천정프레임(124)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외측면에는 내장재 또는 외장재로 마감처리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철도차량의 차체(100)는 종래에는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압출재를 이용하여 언더프레임(110)과 사이드프레임(122) 및 천정프레임(124)을 부분적으로 제작하고 이들을 용접에 의해 결합하여 차체를 완성하였으나, 이들은 그 철도차량 차체(100)의 무게가 증가하여 철도차량의 운행시 전력 및 에너지 소모가 증가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철도차량 차체의 경량(輕量)화를 위해 복합소재를 적용하여 철도차량 차체를 제작하기도 하는데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내외판(130,131)의 내부에 폼코어나 알루미늄 허니콤(132)을 삽입한 샌드위치패널 구조를 이용하여 철도차량 차체(100)를 구성하는 언더프레임(110)과 사이드프레임(122) 및 천정프레임(124)을 제작하여 접착제를 이용, 결합하여 철도차량의 차체(100)를 완성하게 된다. 즉, 언더프레임(110)의 측단부 및 사이드프레임(122)의 하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부착하여 결합시키고, 사이드프레임(122)의 상단부 및 천정프레임(124)의 측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부착하여 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해 철도차량 차체(100)를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내판(130)이나 외판(131)만를 접착제만으로 부착하여 찰도차량 차체(100)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강도나 충격 하중에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또한, 최근의 다른 방식으로 언더프레임(110)을 제외한 나머지 사이드프레임(122) 및 천정프레임(124)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120)을 일체로 성형하고 언더프레임(110)과 리벳팅을 통해 체결하여 철도차량 차체(100)를 제작하기도 하지만 볼트나 리벳을 적용할 경우 볼트 및 리벳을 체결하기 위한 홀을 가공해야 하므로 그와 같은 작업공정의 추가로 인해 제작시간이 길어지고, 이러한 홀은 철도차량 차체의 손상으로 작용하여 철도차량 차체의 강도를 취약하게 만드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 차체의 상부프레임은 복합소재를 적용하여 경량화를 극대화하고 하부의 언더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제작하여 경량화 및 하부기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과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언더프레임의 단부를 조립시 리벳이나 볼트 및 접착제를 적용하지 않고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구조를 가지는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바닥부분으로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언더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양측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되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벽체를 형성하는 사이드프레임과, 그 사이드프레임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천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천정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연 결부를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상기 언더프레임의 양측단부에 상기 연결부를 용접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을 구성하는 복합소재는 강화섬유와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화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재료는 에폭시, 폴리에스터 또는 페놀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은 차체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보강부재(stiffener)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I"자형 또는 "ㄷ"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철도차량의 바닥부분으로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언더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며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내판과 외판의 사이에 알루미늄이나 폼코어를 삽입하여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패널로 이루어지되 그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져 상기 언더프레임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하여 철도차량의 차체 바닥을 구성하는 언더프레임을 성형하는 제 1단계와, 강화섬유와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층시키되 그 하단부분에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삽입하고 일체로 상부프레임을 성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성형된 언더프레임의 양측단부에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 연결부를 용접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는 상부프레임을 성형시 차체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차체 하단 연결부위를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100)는 철도차량의 바닥부분으로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언더프레임(110)과, 그 언더프레임(110)의 양측단부(110a,110b)에 하단부(120a,120b)가 결합되어 일정한 공 간부(150)를 형성하되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20)은 상기 언더프레임(110)의 양측단부에 수직방형으로 구비되어 철도차량의 벽체를 형성하되 다수의 도어틀 및 창틀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사이드프레임(122)과, 그 사이드프레임(122)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천정프레임(124)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사이드프레임(122)과 천정프레임(124)은 일체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복합소재는 강화섬유와 기지재료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강화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며, 상기 기지재료는 에폭시, 폴리에스터 및 페놀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강화섬유와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제작되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120)은 제작된 차체(100)의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I"자형 등의 다양한 보강부재(stiffener)(125)를 동시에 성형하여 추가하게 된다. 물론, 상기 보강부재(125)는 "I"자형 뿐만아니라 "ㄷ"자형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짐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125)는 철도차량 차체(100)의 강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내장재(미도시됨) 설치를 위한 브라켓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언더프레임(110)의 양측단부(110a,110b)와, 상부프레임(120)의 하단부(120a,120b)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도시한 도면으로, 복합소재로 구성되는 철도차량 차체(100)의 상부프레임(120)과, 알루미늄 압 출재로 제작된 언더프레임(110)간의 접합부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와 복합소재와 같은 이종(異種)재질을 갖는 구조물의 경우 조립을 위한 체결방법으로 주로 볼트나 리벳을 이용한 방법 또는 접착재를 이용한 방법등이 적용되고 있으나 볼트나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적용할 경우 볼트 및 리벳이 관통되기 위한 홀(hole)을 가공해야 하고 이러한 홀은 그 철도차량 차체(100)의 손상으로 작용하여 차체(100)의 강도가 취약해지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강도나 충격하중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복합소재로 제작되는 차체(100)의 상부프레임(120)의 하단부(120a,120b)에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21)를 복합재 내부에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하게 된다.
즉, 상부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양측면의 사이드프레임(122)을 구성하는 복합소재를 적층하는 단계에서 그 사이드프레임(122)의 하단부에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21)를 각각 삽입하여 동시에 일체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21)가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프레임(120)을 언더프레임(110)에 고정시에는 용접을 통해 간단히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20)의 연결부(121)를 언더프레임(110)의 양측단부(110a,110b)에 결합시에는 연결부(121)와 언더프레임(110)의 재질이 알류미늄이므로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을 하게 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차체의 제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하여 철도차량의 차체(100) 바닥을 구성하는 언더프레임(110)을 성형하게 된다.(제 1단계)
상기 제1 단계를 거쳐 언더프레임(110)을 성형한 후, 강화섬유와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층시 상부프레임(120)의 그 하단부(120a,120b) 부분에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21)를 각각 삽입하고 일체로 성형하게 된다.(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를 거쳐 상부프레임(120)을 성형한 후, 상기 언더프레임(110)의 양측단부에 상부프레임(120)의 하단부(120a,120b)를 용접하여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제 3단계)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100)를 도시한 도면으로, 차체(100)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120)을 복합소재로 이루어지게 하되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내판(127a)과 외판(127b)의 사이에 알루미늄이나 폼코어(127c)를 삽입하여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패널(12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이나 폼코어를 삽입하여 줌으로써 철도차량 차체(1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별도의 보강부재가 필요없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샌드위치패널(127)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120)의 하단부(120a,120b)에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복합재 내부에 삽입하여 일체로 구비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 차체의 상부프레임은 강화섬유와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용한 복합소재로 제작하여 경량화 효과를 극대화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이 결합되는 언더프레임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제작하여 경량화 및 하부기기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부프레임의 양측 하단부에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각각 구비하여, 상부프레임을 언더프레임에 결합시에 리벳이나 볼트 및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용접을 통해 간단히 결합시켜 줌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11)

  1. 철도차량의 바닥부분으로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언더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양측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어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되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벽체를 형성하는 사이드프레임과, 그 사이드프레임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천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천정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상기 언더프레임의 양측단부에 상기 연결부를 용접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을 구성하는 복합소재는 강화섬유와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재료는 에폭시, 폴리에스터 또는 페놀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차체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보강부재(stiffener)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I"자형 또는 "ㄷ"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9. 철도차량의 바닥부분으로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언더프레임과;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며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내판과 외판의 사이에 알루미늄이나 폼코어를 삽입하여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패널로 이루어지되 그 하단부에는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져 상기 언더프레임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10. 알루미늄을 압출성형하여 철도차량의 차체 바닥을 구성하는 언더프레임을 성형하는 제 1단계와;
    강화섬유와 기지재료를 함침하여 반경화시킨 프리프레그를 적층시키되 그 하단부분에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삽입하고 일체로 상부프레임을 성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성형된 언더프레임의 양측단부에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 연결부를 용 접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의 제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부프레임을 성형시 차체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원화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의 제조 방법.
KR1020060132742A 2006-12-22 2006-12-22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66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742A KR100766362B1 (ko) 2006-12-22 2006-12-22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742A KR100766362B1 (ko) 2006-12-22 2006-12-22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6362B1 true KR100766362B1 (ko) 2007-10-12

Family

ID=3942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742A KR100766362B1 (ko) 2006-12-22 2006-12-22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63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002B1 (ko) 2009-07-13 2011-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차체 구조물
KR101384557B1 (ko) 2012-06-27 2014-04-1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견고한 결합력 확보를 위한 복합소재 철도차량용 구조물의 슬롯결합 구조 그것이 적용된 철도차량
KR101396269B1 (ko) * 2012-06-08 2014-05-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
KR101496851B1 (ko) 2014-10-23 2015-02-27 (주)국민산업 복합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지지대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667617A (zh) * 2019-10-22 2020-01-10 中铁轨道交通装备有限公司 一种高地板有轨电车的头车车体结构
CN115771536A (zh) * 2022-12-12 2023-03-10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导轨式胶轮捷运系统车体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942Y1 (ko) 1997-10-23 1999-12-15 추호석 철도차량용 상구조
KR20000001441A (ko) * 1998-06-11 2000-01-15 조문수 철도차량용 구체의 제조방법
US6092472A (en) 1996-07-19 2000-07-25 Trn Business Trust Composite box structure for a railway car
US6367391B1 (en) 1996-07-19 2002-04-09 Trn Business Trust Railway car with composite box structure formed from molded components
JP2003095090A (ja) 2001-09-25 2003-04-03 Hitachi Ltd 軌条車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472A (en) 1996-07-19 2000-07-25 Trn Business Trust Composite box structure for a railway car
US6367391B1 (en) 1996-07-19 2002-04-09 Trn Business Trust Railway car with composite box structure formed from molded components
KR200162942Y1 (ko) 1997-10-23 1999-12-15 추호석 철도차량용 상구조
KR20000001441A (ko) * 1998-06-11 2000-01-15 조문수 철도차량용 구체의 제조방법
JP2003095090A (ja) 2001-09-25 2003-04-03 Hitachi Ltd 軌条車両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002B1 (ko) 2009-07-13 2011-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차체 구조물
KR101396269B1 (ko) * 2012-06-08 2014-05-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
KR101384557B1 (ko) 2012-06-27 2014-04-1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견고한 결합력 확보를 위한 복합소재 철도차량용 구조물의 슬롯결합 구조 그것이 적용된 철도차량
KR101496851B1 (ko) 2014-10-23 2015-02-27 (주)국민산업 복합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지지대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667617A (zh) * 2019-10-22 2020-01-10 中铁轨道交通装备有限公司 一种高地板有轨电车的头车车体结构
CN115771536A (zh) * 2022-12-12 2023-03-10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导轨式胶轮捷运系统车体结构
CN115771536B (zh) * 2022-12-12 2024-05-10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导轨式胶轮捷运系统车体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362B1 (ko)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4966B1 (ko) 차량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차량용 도어
US807492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osite structural truss
JP5089760B2 (ja) 耐力窓
JP2000510071A (ja) 鉄道車両の車体
US200802459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osite structural truss
JP2012531343A (ja) 航空機胴体に設ける開口枠部
JP2020506112A (ja) 鉄道車両に用いられる車体
JP2012162147A (ja) 複合材構造体、これを備えた航空機主翼および航空機胴体
JP2009539672A (ja) 航空機胴体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11370463B2 (en) Roof segments for the roof of a carriage body
JP4855932B2 (ja) 局所的に補強された積層物
US20110042516A1 (en) Window element for a double-shell skin field of an aircraft fuselage cell
MXPA01001909A (es) Un elemento estructutral arreglado para formar al menos una parte de un aemazon de una carroceria de un vehiculo ferroviario.
CN113508071B (zh) 车辆的顶棚构造
JPH11343083A (ja) エレベ―タ―用かご
CN113044071A (zh) 一种双蒙皮的拼接结构及双蒙皮拼接车身
EP3919265A1 (en) Exterior wall segment for a railway vehicle,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xterior wall segment
CN209870059U (zh) 一种复合车门
KR100766361B1 (ko) 내장재 설치용 보강부재가 구비된 철도차량의 차체 및 이의제조 방법
JP2020142632A (ja) 車両のルーフ構造
JP7405024B2 (ja) 車体構造
CN213082891U (zh) 一种电池箱下箱体和电池箱
JP7200879B2 (ja) 骨格部材構造
JP2008114633A (ja) ルーフピラー一体成形部材及びルーフピラーガーニッシュ一体成形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