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269B1 -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 - Google Patents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269B1
KR101396269B1 KR1020120061298A KR20120061298A KR101396269B1 KR 101396269 B1 KR101396269 B1 KR 101396269B1 KR 1020120061298 A KR1020120061298 A KR 1020120061298A KR 20120061298 A KR20120061298 A KR 20120061298A KR 101396269 B1 KR101396269 B1 KR 10139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rame
upper layer
lower layer
lay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778A (ko
Inventor
신광복
구준성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1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2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43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sub-units
    • B61D17/045The sub-units being construction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41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with bodies characterised by use of light metal, e.g. alumi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층열차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 복합소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상층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층 모듈과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하층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층 모듈, 그리고 상기 상층 모듈과 상기 하층 모듈의 경계부에 상기 하층 모듈의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천정 프레임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 프레임으로서 이층열차의 차제 프레임의 효율적인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 {Lightweight body-frame of double-decker train applied to composites and aluminum extruded panels}
본 발명은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복합소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상층 부분의 상층 모듈과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하층 부분의 하층 모듈을 갖는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석유 거래가격의 상승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연비가 큰 화두가 되고 있다. 이와 맞물려 국가의 탄소배출량을 거래하는 제도가 시행되면서 대중교통수단 특히 대량수송을 통한 탄소배출량 감소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철도에 대한 관심과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철도를 통한 여객 및 화물 수송은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연구되고 있는 것은 철도차량의 고속화와 철도차량의 복층화 이다. 기존 선로의 직진화 작업,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에도 속도를 유지하면서 주행 할 수 있는 틸팅열차의 개발 등을 통하여 고속화를 시도하며, 이층 구조의 복층객차 및 복층화물차를 이용하여 수송력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고속화 작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철도 차량의 경량화 작업이다. 이 작업은 기존의 금속재 객차를 좀더 가벼운 소재로 변경하여 열차의 연비 및 효율을 향상 시키는 작업이다. 이 작업에서 자주 쓰이는 소재는 알루미늄 압출재로서 기존의 금속재와 같은 금속 소재로서 동일 혹은 이상의 강도를 갖지만 중공을 가지게 되어 무게는 줄어드는 특성을 갖는다.
위와 같은 알루미늄 압출재를 이용한 경량화 차체프레임이 공개특허 제2010-0113400호(2010.10.21 등록)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알루미늄 압출재를 이용한 경량화 차체 프레임 또한 금속재이기 때문에 복층의 프레임을 형성하기에는 무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차체중량 및 승객하중이 낮은 상층부에 대해서 효율적인 경량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0-01134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층열차의 프레임에 있어서, 복합소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상층 부분의 상층 모듈과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하층부분의 하층 모듈로 구성되도록 하여, 상층 및 하층의 모듈화를 통한 제작 및 유지 보수의 편리성을 확보하면서, 열차의 강도는 유지하여 안전성은 그대로이면서 경량화된 이층열차의 차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층열차 차체 프레임(100)은 복합소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상층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층 모듈(110)과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하층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층 모듈(120) 및 상기 상층 모듈과 상기 하층 모듈(110)의 경계부에 상기 하층 모듈(120)의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천정 프레임 모듈(130)로 구성된다.
상기 상층 모듈(110)은 상기 상층 모듈(110)의 벽체를 형성하는 상층 사이드 프레임(111)과 상기 상층 모듈(110)의 천정을 형성하는 상층 천정 프레임(112), 그리고 상기 상층 사이드 프레임(111)과 상기 상층 천정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상층 연결 프레임(11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층 모듈(120)은 상기 하층 모듈(120)의 벽체를 형성하는 하층 사이드 프레임(121)과 상기 하층 모듈(120)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층 언더 프레임(122), 그리고 상기 하층 모듈(120)의 상기 하층 사이드 프레임(121)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층 모듈(120)과 상기 상층 모듈(110)및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의 결합을 돕는 연결부(1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3)는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의 지지를 보조하는 보강재(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을 가지며, 또한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은 상기 연결부(123)에 양측 단부가 연결되며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층열차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 복합소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상층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층 모듈과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하층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층 모듈, 그리고 상기 상층 모듈과 상기 하층 모듈의 경계부에 상기 하층 모듈의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천정 프레임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 프레임으로서 이층열차의 차체 프레임의 효율적인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종래의 알루미늄 압출재로만 구성된 차체 프레임과 비교하여 동등한 강도를 가져 동등한 안전성을 가지면서도 경량화된 차체 프레임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이층객차의 사용에 있어서 열차의 연비향상 및 운행속도의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체의 제작에 있어서 상층 모듈과 하층 모듈로 나누어 제작을 하고 두 개의 모듈을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폭넓은 변형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차후의 개량 및 다양한 설계 변경을 가능하도록 하며, 유지보수를 위한 정비시 편리성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의 상층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의 하층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의 상층 및 하층 모듈의 결합 예에 대한 단면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층열차 차체 프레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의 상층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의 하층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의 상층 및 하층 모듈의 결합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층열차 차체 프레임(100)은 복합소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상층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층 모듈(110)과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하층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층 모듈(120), 그리고 상기 상층 모듈(110)과 상기 하층 모듈(120)의 경계부에 상기 하층 모듈(120)의 바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천정 프레임 모듈(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층 모듈(110)은 상기 상층 모듈(110)의 벽체를 형성하는 상층 사이드 프레임(111)과 상기 상층 모듈(110)의 천정을 형성하는 상층 천정 프레임(112), 그리고 상기 상층 사이드 프레임(111)과 상기 상층 천정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상층 연결 프레임(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층 모듈(110)에 알루미늄 하니컴 심재를 갖는 샌드위치 패널 혹은 유리/에폭시 적층 복합소재를 필요에 맞게 사용함으로써 경량화에 따른 강도 저하를 상쇄 시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샌드위치 패널 적용시 상층 연결 프레임(113)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111)과 상기 상층 천정 프레임(112)의 용접 편의성을 증가 시켜서, 기존의 접착 방식에서 오는 강도 및 충격하중의 저하 문제 또는 리벳결합 방식에서 오는 피로파괴 등의 내구성 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유리/에폭시 적층 복합재 적용 시 일체 성형이 이루어져 연결부(123)와의 모듈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층 모듈(120)은 상기 하층 모듈(120)의 벽체를 형성하는 하층 사이드 프레임(121)과 상기 하층 모듈(120)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층 언더 프레임(122), 그리고 상기 하층 모듈(120)의 상기 하층 사이드 프레임(121)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층 모듈(120)과 상기 상층 모듈(110)및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의 결합을 돕는 연결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상기 연결부(123)는 'ㅏ'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단은 상기 상층 사이드 프레임(111)과 결합하게 되며, 하단은 상기 하층 사이드 프레임(121)의 단부와 결합하고, 측면 돌출부는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과 결합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하층 모듈(120)은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알루미늄 압출재를 사용하여 상기 상층 모듈(110)의 하중 및 여객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충분한 강도 및 충격 하중을 확보하여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량화 차체 프레임(100)은 상기 연결부(123)와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의 체결 부분을 지지하는 보강재(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은 상기 상층 모듈(110)과 상기 하층 모듈(120)의 양측 경계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123)에 양측 단부가 연결되며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이 상기 연결부(123)와 결합되어 지지될 때에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보강재가 상기 연결부(123)와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을 결합되는 부분의 하단에 형성되어 결합되는 부분을 지지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의 재료가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므로 차체의 특성 및 구조적 필요성에 따라 그 소재의 변경을 자유롭게 할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경량화를 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이층열차 차체 프레임
110: 상층 모듈
111: 상층 사이드 프레임 112: 상층 천정 프레임
113: 상층 연결 프레임
120: 하층 모듈
121: 하층 사이드 프레임 122: 하층 언더 프레임
123: 연결부
130: 천정 프레임 모듈
140: 보강재

Claims (5)

  1. 복합소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상층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상층 모듈(110);
    알루미늄 압출재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갖는 이층열차의 하층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층 모듈(120);
    상기 상층 모듈과 상기 하층 모듈의 양측 경계부에 상기 하층 모듈의 바닥과 평행하게 체결되는 천정 프레임 모듈(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층 모듈(110)은 상기 상층 모듈(110)의 벽체를 형성하는 상층 사이드 프레임(111), 상기 상층 모듈(110)의 천정을 형성하는 상층 천정 프레임(112), 및 상기 상층 사이드 프레임(111)과 상기 상층 천정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상층 연결 프레임(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층 모듈(120)은 상기 하층 모듈(120)의 벽체를 형성하는 하층 사이드 프레임(121), 상기 하층 모듈(120)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층 언더 프레임(122), 및 상기 하층 모듈(120)의 상기 하층 사이드 프레임(121)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층 모듈(120)과 상기 상층 모듈(110) 및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의 결합을 돕는 연결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은 상기 연결부(123)에 양측 단부가 연결되며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층 모듈(110)과 상기 하층 모듈(120)로 나누어 제작을 하고 두 개의 모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화 차체 프레임은,
    상기 연결부(123)와 상기 천정 프레임 모듈(130)의 결합 부분을 지지하는 보강재(140);
    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 열차의 경량화 차체 프레임.
  5. 삭제
KR1020120061298A 2012-06-08 2012-06-08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 KR10139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98A KR101396269B1 (ko) 2012-06-08 2012-06-08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98A KR101396269B1 (ko) 2012-06-08 2012-06-08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778A KR20130137778A (ko) 2013-12-18
KR101396269B1 true KR101396269B1 (ko) 2014-05-19

Family

ID=4998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298A KR101396269B1 (ko) 2012-06-08 2012-06-08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471A (ko) 2014-08-06 2016-02-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층 고속열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060B2 (ja) * 1988-07-15 1994-09-2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鉄道車両の構体構造
JPH08108849A (ja) * 1994-08-19 1996-04-30 Hitachi Ltd 鉄道車両の車体
JP2001199330A (ja) * 2000-01-18 2001-07-24 Hitachi Ltd 鉄道車両
KR100766362B1 (ko) * 2006-12-22 2007-10-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060B2 (ja) * 1988-07-15 1994-09-2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鉄道車両の構体構造
JPH08108849A (ja) * 1994-08-19 1996-04-30 Hitachi Ltd 鉄道車両の車体
JP2001199330A (ja) * 2000-01-18 2001-07-24 Hitachi Ltd 鉄道車両
KR100766362B1 (ko) * 2006-12-22 2007-10-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원화된 구조를 갖는 철도차량 차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7471A (ko) 2014-08-06 2016-02-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이층 고속열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778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0291B1 (en) Car body structure for a railway vehicle
WO2011157206A1 (zh) 一种轻量化全承载车体骨架结构
CN101445116B (zh) 一种铁路货运敞车
CN103347771B (zh) 斜撑杆装置、其制造方法和借助斜撑杆装置加强的机动车底部
CN1136297A (zh) 有轨动车
Wennberg Light-weighting methodology in rail vehicle design through introduction of load carrying sandwich panels
US20160207547A1 (en) Composite material structure for railroad car chassis
CN113619627A (zh) 车体及磁悬浮车辆
CN210212379U (zh) 轨道车辆司机室骨架及轨道车辆司机室
CN104669694A (zh) 一种货车车厢用复合车板及其制备方法
US11370463B2 (en) Roof segments for the roof of a carriage body
KR101396269B1 (ko) 복합소재와 알루미늄 압출재가 적용된 이층열차의 경량화 차체프레임
CN111959548B (zh) 轨道车辆及其连接高低地板的底架过渡结构
JPH11278258A (ja) 車両の外板の補強方法とこれを用いた構体構造
CN203920752U (zh) 一种100%现代城市有轨电车地板
CN2839055Y (zh) 车体结构
CN2887694Y (zh) 磁浮车辆车厢复合地板
CN109808718A (zh) 一种双层列车车厢
CN110481584B (zh) 一种低地板车体底架结构及有轨电车
CN110203289B (zh) 一种碳纤维复合材料门槛梁
JP2016037188A (ja) 軌条車両構体
CN205034176U (zh) 纯电动客车顶部结构及使用该顶部结构的纯电动客车
CN105216874A (zh) 一种纯电动客车顶部结构及使用该顶部结构的纯电动客车
CN110027578A (zh) 司机室车顶结构、司机室及轨道列车
KR101595778B1 (ko) 2층 열차의 차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