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656B1 - 변환 장치 및 이를 설치한 현악기 - Google Patents

변환 장치 및 이를 설치한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656B1
KR100765656B1 KR1020060037930A KR20060037930A KR100765656B1 KR 100765656 B1 KR100765656 B1 KR 100765656B1 KR 1020060037930 A KR1020060037930 A KR 1020060037930A KR 20060037930 A KR20060037930 A KR 20060037930A KR 100765656 B1 KR100765656 B1 KR 100765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converter
sound
adhesive layer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475A (ko
Inventor
요지로 다바야시
겐따 호리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14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17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14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08870A/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5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in which the tones are picked up through the bridge structur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465Bridge-positioned, i.e. assembled to or attached with the bridge of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 G10H2220/501Two or more bridge transducers, at least one transducer common to several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25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vibration sensing or vibration excitation in the audio range; Piezoelectric strain sensing, e.g. as key velocity sensor; Piezoelectric actuators, e.g. key actua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복수개의 현(11)의 후단부측을 섀들(12)로 지지하고, 그 섀들(12)을 보유 지지하는 브리지(13)가 중공 형상의 본체(2)의 표면판(15) 상에 설치되고, 현(11)의 진동을 변환 장치(22)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현악기(10)이며, 그 변환 장치(22)는 표면판(15)의 하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설치면(22A)을 갖고, 그 설치면(22A)이 표면판(15)의 브리지(13)를 설치한 영역의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현, 변환 장치, 브리지, 섀들, 본체, 표면판, 현악기, 설치면

Description

변환 장치 및 이를 설치한 현악기 {TRANSDUCER AND STRINGED INSTRUMENT EQUIPPED WITH THE SAM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2는 도1의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3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현악기 및 변환 장치의 설치 구조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4는 도3의 Ⅳ-Ⅳ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구성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변환 장치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종래의 현악기에 있어서의 변환 장치의 설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
3 : 네크
4 : 손가락판
5 : 헤드
7 : 줄감개
8 : 너트
10 : 현악기
11 : 현
12, 52 : 섀들
13, 53 : 브리지
14 : 사운드 홀
15 : 표면판
16 : 이면판
18 : 핀
20 : 보강 부재
22, 51 : 변환 장치
24 : 접착층
25 : 중간층
27 : 압전 소자
30 : 리드선
본 발명은 현악기 및 그에 이용되는 변환 장치와 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변환 장치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얻어지는 재생음의 음질을 개선 할 수 있는 현악기 및 그에 이용되는 변환 장치와 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현악기로서, 중공 형상의 본체 및 복수개의 현을 구비한 발현악기인 어쿠스틱 기타가 있다. 이러한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하여 직접적으로 청취하는 소리로서는 현의 진동에 의해 공기가 진동하여 발생하는 소리와, 현의 진동이 본체의 표면판에 전파하여 진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리와, 본체의 사운드 홀을 통해 발하는 소리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런데, 어쿠스틱 기타에 있어서는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를 본체에 설치하고, 앰프 등을 통해 전기음을 재생 가능하게 한 타입의 것도 이용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 변환 장치를 설치한 어쿠스틱 기타로서는, 이하에 서술하는 종래 구조 1[도6 및 미국 특허 제5,123,325호 명세서(US 제5,123,325B) 참조], 종래 구조 2 및 종래 구조 3[일본 특허 공개 평7-5881호 공보(JP H7-5881A) 참조]이 알려져 있다.
종래 구조 1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는 편 형상의 압전 소자로 이루어지는 변환 장치(51)가 섀들(52)의 하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본체의 표면판에 설치되는 브리지(53)의 홈(53A) 내에 변환 장치(51) 및 섀들(52)을 차례로 수용함으로써, 변환 장치(51)가 브리지(53)와 섀들(52)에 의해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종래 구조 2에서는, 변환 장치가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본체 외면에 접착 등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종래 구조 3에서는, 변환 장치가 사운드 홀의 내측에 위치하는 코일체를 구비하고 있고, 이 코일체의 전자 유도에 의해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구조 1에 있어서는 현의 장력에 의해 섀들(52)에 하측 방향으로의 힘이 부여되기 때문에, 변환 장치(51)에 비교적 강한 압축력이 항상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변환 장치(51) 자신이 자유로운 움직임을 저해하고, 연주 행위에 의한 복잡한 표면판의 진동을 모조리 변환할 수 없는 경향이 있었다. 이 결과, 앰프 등을 통한 재생되는 소리가 실제로 어쿠스틱 기타로부터 직접 청취하는 연주음과는 멀리 떨어진 음질 및 음색이 되어 연주음의 재현성을 손상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구조 2에서는 변환 장치가 본체의 진동을 검지하지만, 본체로의 설치 위치에 의해 검지되는 진동이 크게 변화된다. 그로 인해, 양호한 음질 및 음색을 얻기 위해 변환 장치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이 곤란하면서 번잡하게 되고, 그 작업에 요하는 부담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구조 3에 있어서는 본체의 진동을 검지할만한 것은 아니므로, 변환 장치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의 연주음과는 음질 및 음색이 다르게 된다. 즉, 어쿠스틱 기타의 연주시에 있어서의 청취음은, 주로 본체의 표면판이 진동하여 발생하는 소리이기 때문에, 현의 진동을 주로 검지하는 종래 구조 3에서는 재현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어쿠스틱 기타 등의 발현악기에 있어서, 현의 진동을 전기 신 호로 변환 가능한 픽업 등의 변환 장치로서는 판형 혹은 시트형의 압전 소자를 구비한 타입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압전 소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직상 현악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리드선을 통해 앰프 등에 접속된다. 따라서, 연주시에 있어서의 현의 진동은 본체, 접착층, 압전 소자의 차례로 전파하고, 그 압전 소자가 출력하는 전기 신호에 따라서 전기음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현의 진동이 접착층에 의해 감쇠되어 압전 소자에 전파되지만, 접착층만으로서는 충분한 감쇠 작용을 얻은 것이 곤란해지고, 그 만큼 약한 힘으로 발현하였을 때에, 압전 소자의 전기적인 출력 레벨이 최대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그 이상의 힘으로 발현해도 출력 레벨이 커지지 않고 거의 변화하지 않게 되어, 재생되는 음색이나 음질이 불충분해진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게다가, 양호한 감쇠 작용을 발휘하는 주파수 대역이 비교적 좁아지는 경향이 있고, 감쇠가 필요한 주파수 대역에서 충분한 감쇠 작용이 어렵게 얻어지게 된다. 이 결과, 예를 들어 접착층에 있어서 고음역에 비해 중저음역으로 감쇠 작용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 그러한 음역 사이에서 출력 레벨이 부자연스럽게 변화하고, 이에 의해서도 음질이나 음색을 열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정 등에 요하는 작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어 변환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소리를 현악기로부터 직접 청취하는 소리에 가능한 한 근접할 수 있는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변환 장치와 그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변환 장치는, 현악기에 설치되어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이며, 상기 현악기에 접착층을 거쳐서 설치되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고, 그 접착층의 두께 방향의 중간부에 상기 접착층과는 다른 재질의 재료에 의한 적어도 1층의 중간층을 설치하고 있다.
그 변환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접착층은 부틸 고무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중간층은 목재에 의해 형성하면 좋다.
그러한 변환 장치가 설치되고, 복수개 병설된 현과, 표면판 및 이면판을 포함하는 중공 형상의 본체와, 상기 각 현의 일단부측 영역을 지지하는 섀들과, 상기 표면판의 상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섀들을 보유 지지하는 브리지를 구비한 현악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변환 장치가, 상기 본체의 표면판의 하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설치면을 갖고, 그 설치면이, 상기 표면판의 상기 브리지를 설치한 영역의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본체의 상기 표면판의 하면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의 하방의 영역에 보강 부재를 설치하고, 그 보강 부재에 상기 변환 장치의 설치면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환 장치의 설치면은 상기 접착층에 의해 형성되면 좋다.
상기 복수개의 각 현은, 그 병렬 방향에 따라서 점차로 음고가 변화되고, 상기 변환 장치를 복수 설치하고, 그 각 변환 장치의 설치면을, 상기 섀들의 대략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과, 상기 각 현의 직하부보다 상기 병렬 방향의 양측으로 떨어진 영역으로 각각 배치하면 좋다.
이러한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섀들의 대략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상기 변환 장치를 복수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변환 장치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상기 전기 신호가 믹싱 회로에 의해 임의로 혼합됨으로써 음색이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설치면을 형성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거쳐서 상기 본체 또는 보강 부재에 설치되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두께 방향의 중간부에, 그 접착층과는 다른 재질의 재료에 의한 적어도 1층의 중간층을 설치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변환 장치의 설치 구조는, 표면판 및 이면판을 포함하는 중공 형상의 본체와, 그 표면판의 상면 상에 설치되어 섀들을 보유 지지하는 브리지와, 그 섀들에 지지되어 복수개 병설된 현을 구비한 현악기에, 상기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를 설치시키는 설치 구조이며,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본체의 표면판의 하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설치면을 갖고, 그 설치면이, 상기 표면판의 상기 브리지를 설치한 영역의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표면판의 하면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의 하방의 영역에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 장치의 설치면을 그 보강 부재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환 장치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가, 상기 설치면을 형성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거쳐서 상기 본체 또는 보강 부재에 설치되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두께 방향의 중간부에, 상기 접착층과는 다른 재질의 재료에 의한 적어도 1층의 중간층을 설치하고 있으면 좋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표면판의 하면측에 변환 장치의 설치면이 위치하기 때문에, 변환 장치에 시트 형상 혹은 박판형의 압전 소자를 이용한 경우, 장현에 의한 예압이 변환 장치에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표면판의 진동이 그대로 변환 장치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변환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소리가 현악기로부터 직접 청취하는 연주음에 근사하게 되어, 그 연주음에 대한 재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변환 장치의 설치면이 표면판의 브리지를 설치한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위치하므로, 변환 장치에 전파하는 진동이 표면판의 브레이스 등의 구조상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어, 재생되는 음질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변환 장치가 본체의 외측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변환 장치가 방해되지 않고 항상 설치해 둘 수 있어, 변환 장치의 설치에 수반하는 조정 작업 등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에 변환 장치의 설치면을 설치하면, 본체에 있어서 비교적 안정적으로 진동하는 영역의 진동을 변환 장치가 변환하기 때문에, 하울링을 방지할 수 있어, 재생음의 음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섀들의 대략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과, 각 현의 직하부로부터 현의 병렬 방향 양측으로 떨어진 영역에 각 변환 장치의 설치면을 각각 배치하면, 전술 의 재현성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섀들은 현을 지지하기 때문에, 그 직하부에서는 현의 진동에 의해 표면판이 두께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쉽게 여진하게 된다. 따라서, 이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변환되는 전기 신호는 현의 진동에 의해 발하는 소리의 기초음에 가까운 재생음이 된다. 한편, 최고음을 발하는 현측으로 변환되는 전기 신호는 현의 진동에 의해 공기가 진동하여 발생하는 소리에 비교적 가까운 재생음이 되고, 최저음을 발하는 현측으로 변환되는 전기 신호는 본체의 표면판이 진동하여 발생하는 소리에 비교적 가까운 재생음이 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의 타입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 가능하게 되고, 그 전기 신호에 의한 재생음을 직접적으로 청취하는 자연스러운 소리에 근접할 수 있다. 게다가, 믹싱 장치 등을 통해 각 변환 장치로부터의 전기 신호의 음량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양한 음색의 설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섀들의 대략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변환 장치를 복수로 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고음측의 현의 진동을 주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와, 저음측의 현의 진동을 주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를 별도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현의 진동 검지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어, 음질 향상을 더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변환 장치는 중간층에 의해 접착층과는 다른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강하게 발현할 때에 압전 소자에 전파하는 진동을 양호하게 감쇠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압전 소자의 출력 레벨을 내리고, 발현의 힘에 따른 출 력 레벨을 실현할 수 있어 전기 회로부나 사운드 시스템을 통해 재생되는 소리의 음색 및 음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중간층과 접착층에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감쇠 작용을 발휘하는 설계를 채용할 수 있어, 양호한 감쇠 작용이 얻어지는 주파수 대역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의 차이에 의한 출력 레벨의 변화가 작아지고, 이에 의해서도 재생음의 음색이나 음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의 재질이 다른 변환 장치를 복수 타입 준비함으로써, 그러한 변환 장치를 치환하는 것만으로 여러 가지의 감쇠 작용을 얻을 수 있어, 음색 등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특별히 명시하지 않은 한,「위」,「아래」,「좌측」,「우측」은 도4를 기준으로서 사용한다. 또한,「앞」은 도3에 있어서의 상측에 대해, 「뒤」는 그 반대측의 하측에 대해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의 일실시예의 외관을 도1 및 도2에 의해 설명한다. 도1은 그 현악기의 측면도, 도2는 도1의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현악기(10)는, 대표적인 발현악기인 어쿠스틱 기타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그 악기 본체인 본체(2)는 외주가 동일 형상의 표면판(15)과 이면판(16)을 갖고, 그 외주를 곡면 형상의 측판(17)을 통해 접합시킨 중공 구조의 공명동이다. 그 표면판(15)이 작은 쪽의 팽창부의 중앙부에 원형의 사운드 홀(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본체(2)의 도1 및 도2에 있어서의 우측의 선단부에 손가락판(4)을 지지하는 동시에 선단부에 헤드(5)를 구비한 네크(3)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또한, 표면판(15)의 표면(15a) 상에 있어서의 사운드 홀(14)을 끼워 손가락판(4)과 반대측(도1에서 좌측)에는, 섀들(12)을 지지하는 브리지(13)가 접착에 의해 고정 부착되어 있다.
네크(3)의 선단부의 헤드(5)에는, 각각 페그(9)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6개의 줄감개(7)가 설치되어 있고, 그 각 줄감개(7)와 브리지(13)에 형성된 6개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핀(18) 사이에, 스틸 또는 거트 등에 의한 6개의 현(11)이 뻗어져 있다. 그리고, 헤드(5)와 네크(3)의 경계에 설치된 너트(8)와, 브리지(13)에 지지되어 있는 섀들(12)이 각각 각 현(11)을 지지하여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다음에, 이 현악기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부분에 대해,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현악기 및 변환 장치의 설치 구조의 주요부를 확대한 개략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4에는 도1의 Ⅳ-Ⅳ선에 따르는 단면도가 구성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한 현악기(10)에 있어서, 각 현(11)은 그 병렬 방향 즉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에 따라서 점차로 음고가 높게 변화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각 현(11) 중, 가장 좌측의 현이 최저음을 발하는 현(11A)[이하, 최저음현(11A)이라 칭함]이며, 가장 우측의 현이 최고음을 발하는 현(11B)[이하, 최고음현 (11B)이라 칭함]이다.
섀들(12)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브리지(13) 상에 세워 설치하는 동시에, 상단부측에서 각 현(11)의 후단부측 영역을 절곡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섀들(12)의 현(11)의 병렬 방향의 길이는, 그 양단부측이 최저음현(11A) 및 최고음현(11B)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브리지(13)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흑단에 의해, 표면판(15)의 상면(15a)에 따르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브리지(13)는 섀들(12)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두께가 점차로 얇아지도록 형성되고, 그 상면측에 섀들(12)을 수용하는 홈(13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브리지(13)에 있어서의 섀들(12)의 후방측에는 핀(18)이 삽입되는 6개의 구멍(13B)이 설치되고, 그 핀(18)에 의해 현(11)의 후단부측이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2)의 표면판(15)의 상면(15a) 상에 브리지(13)가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표면판(15)의 하면(15b)측에는, 이 표면판(15)을 보강하기 위한 복수의 브레이스(1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스(19) 중의 2개의 브레이스(19A, 19A)는, 브리지(13)와 도2에 도시한 사운드 홀(14) 사이에서 크로스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면판(15)의 하면(15b)측이며, 브리지(13)의 하방에 있어서의 2개의 브레이스(19A, 19A) 사이의 영역에는 판형의 보강 부재(20)가 설치련되고, 이 보강 부재(20)에 의해 현(11)의 장력에 의해 하중이 부여되는 표면판(15)의 브리지(13)의 설치 영역을 보강하고 있다.
이 보강 부재(20)의 하면에는, 현(11)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 가능한 복수의 변환 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그 각 변환 장치(22)는 평면 형상이 대략 원형을 이루는 판형 혹은 시트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변환 장치(22)의 상면은 보강 부재(20)의 하면에 설치되는 설치면(22A)으로 되어 있고, 표면판(15)의 하면(15b)에 대향한다. 각 설치면(22A)은 표면판(15)의 브리지(13)를 설치한 영역의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브리지(13)를 평면에서 본 도3의 상태에서, 브리지(13)의 설치 영역 내에 각 설치면(22A)이 대략 수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변환 장치(22)는 섀들(12)의 하방에 3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최저음현(11A)의 좌측에 떨어진 위치 및 최고음현(11B)의 우측에 떨어진 위치에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섀들(12) 하방의 각 변환 장치(22)의 설치면(22A)은 섀들(12)의 대략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고, 그러한 면내 중심부가 최저음현(11A)과 그 인접한 현(11) 사이, 최고음현(11B)과 그 인접한 현(11) 사이, 중앙부의 2개의 현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최저음현(11A)의 좌측의 변환 장치(22)의 설치면(22A)은, 그 최저음현(11A)과 브리지(13)의 좌단부측에 겹치는 브레이스(19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최고음현(11B)의 우측의 변환 장치(22)의 설치면(22A)은, 그 최고음현(11B)과 브리지(13)의 우단부측에 겹치는 브레이스(19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 변환 장치(22)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층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보강 부재(20)의 하면에 접착하는 접착층(24)과, 이 접착층(24)의 두께 방향 중간부 에 설치된 중간층(25)과, 접착층(24)의 하면에 황동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판(26)을 통해 시트 형상 혹은 판형의 압전 소자(27)를 구비하고 있다.
접착층(24)은, 예를 들어 부틸 고무에 의해 형성된다. 이 부틸 고무는 성분 배합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지만, 비가황 타입으로 자기 점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25)은 접착층(24)과 다른 재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이플 등의 목재를 이용하고 있다. 금속판(26)에는 어스선(29)이 접속되고, 압전 소자(27)에는 리드선(30)이 접속되어 있다.
이 압전 소자(27)는 발현된 현(11)의 진동에 의한 표면판(15)의 진동을 검지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 전기 신호를 리드선(30)을 통해 본체(2) 내의 전기 회로부에 출력한다. 그 전기 회로부는, 각 변환 장치(22)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연산 증폭기 등으로 증폭 및 임피던스 변환하고, 믹싱 회로나 이퀄라이징 회로 등을 지나서, 현악기(10)의 외부에 설치된 사운드 시스템(앰프 및 스피커 등)으로 송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사운드 시스템에서는 현악기(1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앰프로 증폭하고, 스피커에 의해 전기ㆍ음향 변환하여 연주음을 방음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현악기(10)의 연주를 행하기 위해 발현을 행하면, 그 현(11)의 진동이 섀들(12), 브리지(13), 표면판(15), 각 변환 장치(22)의 차례로 전파하고, 각 변환 장치(22)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각 변환 장치(22)로 변환된 전기 신호는 리드선(30)을 통해 상술한 전기 회로부에 출력되고, 또한 외부의 사운드 시스템에 의해 음향으로서 재생된다.
여기서, 각 변환 장치(22)에 전파되는 표면판(15)의 진동은 브리지(13)의 두께나 각 현(11)과의 위치 관계에 기인하여 다르게, 이에 따라서 재생되는 소리도 다르게 된다.
이를 더 상세하게 서술하면, 섀들(12)의 하방 영역의 표면판(15)에 있어서는, 그 직상 영역의 브리지(13)의 두께가 크고, 현(11)을 지지함으로써 여진부가 되는 섀들(12)과의 거리가 근접하므로, 두께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변위하여 쉽게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섀들(12) 하방의 각 변환 장치(22)는 현(11)의 진동의 기초음에 가까운 음색을 안정적으로 검지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섀들(12)의 좌우 양측의 표면판(15)은, 그 직상 영역의 브리지(13)가 얇아져 섀들(12)의 아래 쪽보다 브리지(13)의 강도가 저하되지만, 브레이스(19A, 19A)와의 거리가 근접해질수록 강도가 증대하기 때문에, 진동 변위가 약간 비틀어지게 된다. 따라서, 최저음현(11A)의 좌측의 변환 장치(22)는 배음성분이 증대하고, 또한 최저음현(11A)에 근접하므로, 표면판(15)의 진동에 의해 직접 청취하는 소리에 가까운 음색을 안정적으로 검지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최고음현(11B)의 우측의 변환 장치(22)도 배음성분이 증대하는 동시에 최고음현(11B)에 근접하므로, 현(11)의 진동에 의해 공기가 진동하여 발생하는 소리에 근사한 음색을 안정적으로 검지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변환 장치(22)의 설치 위치에 의해 다른 음색의 진동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전기 회로부의 믹싱 회로에 의해, 각 변환 장치(22)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임의로 혼합하여 가감함으로써, 다양한 음악 신에 따른 음색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섀들(12)의 하방의 각 변환 장치(22)의 음량을 A, 최저음현(11A)의 좌측의 변환 장치(22)의 음량을 B, 최고음현(11B)의 우측의 변환 장치(22)의 음량을 C로 한 경우, 이들 음량의 비 A : B : C = 2 : 3 : 5라 하면, 솔로 연주로 현악기(10)의 울림을 살린 음색이 되고, A : B : C = 3 : 2 : 5라 하면, 코드 연주를 주체로 발음이 좋은 음색이 되는 것이 기대된다.
그런데, 각 변환 장치(22)에 있어서, 설치면(22A)으로부터 압전 소자(27)에 전파하는 진동은 접착층(24) 및 중간층(25)에 의해 감쇠된다. 특히, 메이플로 이루어지는 중간층(25)은 여진되어 진동 에너지가 소비되고, 압전 소자(27)의 출력 레벨을 일정치 이하로 내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구조와 같이 발현의 힘을 강하게 해도 출력 레벨에 차이가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재생음의 음색 및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틸 고무로 이루어지는 접착층(24)에서는 고음역에 있어서의 감쇠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어, 여분의 잔향을 삭제하여 확실하게 한 음색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중간층(25)에서는 접착층(24)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 즉 저음역 및 중음역의 감쇠 작용을 얻거나 부틸 고무에는 없는 메이플 특유의 감쇠 특성과 음색 보정 효과도 얻어진다. 따라서, 이 중간층(25)에 의해 양호한 감쇠 작용이 얻어지는 주파수 대역을 확대하거나, 불필요해지는 주파수 성분의 저감이나 조정을 할 수 있어, 이에 의해서도 보다 좋은 음색이나 음질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섀들(12)의 직하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20)에 각 변환 장치(22)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표면판(15)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진동하는 영역의 진동을 얻을 수 있어, 하울링의 발생을 방지하여 전기적으로 재생되는 음질 및 음색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간층(25)에 의해 진동이 감쇠되기 때문에, 전기 회로부에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발현의 힘에 따라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2) 내부의 보강 부재(20)의 하면에 각 변환 장치(22)를 설치하였으므로, 그 설치 상태를 항상 유지한 경우라도 변환 장치(22)가 방해되는 일이 없다. 그로 인해, 현악기(10)를 케이스로부터 출입할 때마다, 변환 장치(22)를 착탈하거나 변환 장치(22)로부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게다가, 섀들(12)의 대략 직하에 3개의 변환 장치(22)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각 현마다 음량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및 방법 등은, 이상의 기재에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관해 특별히 도시하고, 또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원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 형태에 대해 형상, 위치, 재질 혹은 방향, 그 밖의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여러 가지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형상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할 만한 것은 아니므로, 그러한 형상 등 한정의 일부 혹은 전부의 한정을 뺀 부재의 명칭에서의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현악기 및 그 변환 장치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보강 부재(20)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고, 각 변환 장치(22)의 설치면(22A)을 표면판(15)의 하면에 직접 설치하거나, 변환 장치(22)를 섀들(12)의 하측에 일체만 설치하거나 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단, 전술의 작용 및 효과를 얻는 것을 고려하면,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보강 부재(20)를 설치하여 복수의 변환 장치(22)를 배치한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섀들(12)의 하방의 변환 장치(22)의 설치수는 변경해도 좋고, 예를 들어 6개 혹은 2개로 할 수 있다. 변환 장치(22)를 6개로 한 경우, 그러한 면내 중심부가 각 현(11)의 대략 직하에 위치하여 변환 장치(22)를 2개로 한 경우에는, 그러한 면내 중심부가 최저음현(11A) 및 최고음현(11B)의 각각 인접한 현(11)의 대략 직하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래식 기타나 우쿨렐레, 만돌린 등의 다른 각종 현악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변환 장치(22)의 설치 위치는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본체(2)의 표면판(15)이나 이면판(16)의 외면 등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접착층(24) 사이에 설치하는 중간층(25)의 재질은 메이플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목재를 이용하는 등, 여러 가지 재질의 것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그래서, 중간층의 재질이 다른 변환 장치(22)를 복수 타입 준비하고, 그 변 환 장치(22)를 바꿈으로써, 중간층(25)의 재질에 기인하는 감쇠 특성이나 음색의 변화를 얻을 수 있어, 음색의 조정이나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간층(25)을 복수층 형성해도 좋고, 그 경우 각 중간층 사이에 접착층(24)이 더 설치되게 된다. 또한, 중간층(25)의 평면 사이즈를 접착층(24)보다 작게 형성하거나 접착층(24)보다 작게 형성한 중간층(25)을 동일면 내에 복수 배치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정 등에 요하는 작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어 변환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소리를 현악기로부터 직접 청취하는 소리에 가능한 한 근접할 수 있는 현악기 및 이에 이용되는 변환 장치와 그 설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현악기에 설치되어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장치이며,
    상기 현악기에 접착층을 거쳐서 설치되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두께 방향의 중간부에, 상기 접착층과는 다른 재질의 재료에 의한 적어도 1개의 중간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부틸 고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중간층은 목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변환 장치를 설치한 현악기이며,
    복수개 병설된 현과, 표면판 및 이면판을 포함하는 중공 형상의 본체와, 상기 각 현의 일단부측 영역을 지지하는 섀들과, 상기 표면판의 상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섀들을 보유 지지하는 브리지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본체의 표면판의 하면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설치면을 갖고, 상기 설치면은 상기 표면판의 상기 브리지를 설치한 영역의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표면판의 하면에 있어서의 상기 브리지의 하방의 영역에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 부재에 상기 변환 장치의 설치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장치의 설치면은 상기 접착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각 현은 그 병렬 방향에 따라서 점차 음고가 변화되고, 상기 변환 장치는 복수 설치되고, 그 각 변환 장치의 상기 설치면은 상기 섀들의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과, 상기 각 현의 직하부로부터 상기 병렬 방향의 양측의 적어도 한쪽으로 떨어진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섀들의 직하부를 포함하는 영역에는, 상기 변환 장치가 복수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변환 장치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상기 전기 신호가 믹싱 회로에 의해 임의로 혼합됨으로써 음색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변환 장치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상기 전기 신호가 믹싱 회로에 의해 임의로 혼합됨으로써 음색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KR1020060037930A 2005-04-28 2006-04-27 변환 장치 및 이를 설치한 현악기 KR100765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1434A JP4281707B2 (ja) 2005-04-28 2005-04-28 変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弦楽器
JPJP-P-2005-00131425 2005-04-28
JP2005131425A JP2006308870A (ja) 2005-04-28 2005-04-28 弦楽器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変換装置の取付構造
JPJP-P-2005-00131434 2005-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475A KR20060113475A (ko) 2006-11-02
KR100765656B1 true KR100765656B1 (ko) 2007-10-10

Family

ID=3658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930A KR100765656B1 (ko) 2005-04-28 2006-04-27 변환 장치 및 이를 설치한 현악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060243121A1 (ko)
EP (1) EP1717795B1 (ko)
KR (1) KR100765656B1 (ko)
AT (1) ATE377820T1 (ko)
CA (1) CA2544984C (ko)
DE (1) DE602006000211T2 (ko)
ES (1) ES2294753T3 (ko)
HK (1) HK1093256A1 (ko)
TW (1) TWI2984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9318B2 (en) * 2004-03-16 2007-08-21 Ilitch S. Chiliachki Magnetic pickup device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large free shape low impedance coil for noise cancelation
TWI298482B (en) * 2005-04-28 2008-07-01 Yamaha Corp Stringed musical instrument, transducer for the same and its mounting structure on the same
WO2007025330A1 (en) * 2005-08-30 2007-03-08 Australian Native Musical Instruments Pty Ltd A sensor for an acoustic instrument
US7663038B2 (en) * 2008-02-14 2010-02-16 Thomas M. Stadler Integral saddle and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8049095B2 (en) * 2008-11-07 2011-11-01 Richard Barbera Transducer saddle for stringed instrument
US8263851B2 (en) 2008-11-07 2012-09-11 Richard Barbera Transducer saddle for stringed instrument
US8748724B1 (en) * 2009-11-25 2014-06-10 Michael G. Harmo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ffects based on audio signal analysis
US8704075B2 (en) * 2010-04-27 2014-04-22 Angelo Gournis Guitar pickup assembly
JP5929375B2 (ja) * 2011-03-24 2016-06-08 ヤマハ株式会社 楽器用振動センサ、ピックアップサドルおよび楽器
JP5935401B2 (ja) * 2012-03-06 2016-06-15 ヤマハ株式会社 弦楽器のための信号処理装置
US9183823B2 (en) * 2012-10-09 2015-11-10 Kesumo, Llc Pickup and sustainer for stringed instruments
DE102014106071A1 (de) * 2014-04-30 2015-11-05 Christian Aschauer Schallwandler, Schallquelle mit Schallwandler und Verfahren zum Umwandeln des Schalls einer Schallquelle in elektrische Signale
US9466276B1 (en) * 2015-06-12 2016-10-11 Steven Martin Olso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a resonator assembly
TWI634544B (zh) * 2017-06-21 2018-09-01 范志明 Brake device for electric and acoustic guitars
FR3079655B1 (fr) * 2018-04-03 2020-03-27 Wild Customs Dispositif pour interchanger des systemes electriques ou electroniques de captation des vibrations des cordes d'un instrument de musique
CN108335690A (zh) * 2018-05-10 2018-07-27 广州博创乐器有限公司 一种用于弦乐器振动传感和放大系统的传导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8951A (en) * 1979-06-01 1980-08-26 Willard Tressel Stringed instrument
US4941389A (en) * 1988-08-22 1990-07-17 Wendler David C Electronic pickup with mounting assembly for a hollow bodied musical instrument
US5078041A (en) * 1990-06-04 1992-01-07 Schmued Laurence C Suspension bridge pickup for guitar
US5123325A (en) * 1991-04-05 1992-06-23 Turner Robert A Film piezoelectr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8295A (en) * 1971-03-31 1972-06-06 Paul Daniel Broussard Electromagnetic audio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volume control means, and suitable for use with any type strings
US3733425A (en) * 1971-11-08 1973-05-15 K Chaki Pick up device for stringed instrument
DE2648956A1 (de) 1976-10-28 1978-05-11 Bosch Gmbh Robert Membranventil
JPS5845860B2 (ja) 1977-02-09 1983-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変調回路
US4378721A (en) * 1978-07-20 1983-04-05 Kabushiki Kaisha Kawai Seisakusho Pickup apparatus for an electric string type instrument
JPS587196A (ja) 1981-07-06 1983-01-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音声信号検出装置
JPS5814190A (ja) 1981-07-18 1983-01-26 駒田 仁志 ギターのピックアップ取付構造
US4501186A (en) * 1982-06-21 1985-02-26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Pickup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GB2137007A (en) 1983-03-17 1984-09-26 Andrew Bond Electric guitar
US5670733A (en) * 1986-04-28 1997-09-23 Fishman; Lawrence R. Musical instrument transducer
US4785704A (en) * 1986-06-19 1988-11-22 Fishman Lawrence R Musical instrument transducer
US5438157A (en) 1993-01-14 1995-08-01 Actodyne General, Inc. Acoustic pick-up assembly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H07146685A (ja) 1993-11-24 1995-06-06 M R C Du Pont Kk 制振材料
JPH0825312A (ja) 1994-07-11 1996-01-30 Takamine Gakki Seisakusho:Kk 音響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5552562A (en) * 1994-08-29 1996-09-03 Motorola, Inc. Inertial acoustic pickup
JPH08110781A (ja) 1994-10-11 1996-04-30 Hoshino Gakki Kk ギターのピックアップ構造
JP2850836B2 (ja) 1996-03-12 1999-01-27 ヤマハ株式会社 電子ドラムパッド
US5900572A (en) * 1996-07-15 1999-05-04 Donald Dean Markley Pliable pickup for stringed instrument
JPH10240239A (ja) 1997-02-27 1998-09-11 Yamaha Corp 電気弦楽器におけるピックアップ装置の取付構造
WO2000046785A1 (en) * 1999-02-02 2000-08-10 The Guitron Corporation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6605711B1 (en) * 1999-11-15 2003-08-12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NY-ESO-1 peptid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US6689943B2 (en) * 2001-01-17 2004-02-10 Gibson Guitar Corp. Acoustic guitar with integral pickup mount
US6605771B1 (en) * 2001-03-23 2003-08-12 Lloyd R. Baggs Pickup assembly for musical instrument
EP1298641B1 (en) * 2001-09-27 2009-02-18 Yamaha Corporation Simpl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player's console and signal processing system incorporated therein
JP4007048B2 (ja) 2002-04-24 2007-11-14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打楽器
US6822156B1 (en) * 2002-07-30 2004-11-23 Arnold M Lazarus Acoustic guitar under the saddle piezo pickup
JP3815426B2 (ja) * 2002-11-28 2006-08-30 ヤマハ株式会社 弦楽器用の圧電変換装置、弦楽器用の駒及び弦楽器
US20050087062A1 (en) * 2003-10-23 2005-04-28 Yamaya Kiyohiko Method of processing sounds from stringed instrument and pickup device for the same
CN100390858C (zh) 2003-12-29 2008-05-28 孙心若 一种无源电弦乐器
TWI298482B (en) 2005-04-28 2008-07-01 Yamaha Corp Stringed musical instrument, transducer for the same and its mounting structure on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8951A (en) * 1979-06-01 1980-08-26 Willard Tressel Stringed instrument
US4941389A (en) * 1988-08-22 1990-07-17 Wendler David C Electronic pickup with mounting assembly for a hollow bodied musical instrument
US5078041A (en) * 1990-06-04 1992-01-07 Schmued Laurence C Suspension bridge pickup for guitar
US5123325A (en) * 1991-04-05 1992-06-23 Turner Robert A Film piezoelectr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94753T3 (es) 2008-04-01
EP1717795A1 (en) 2006-11-02
US20060243121A1 (en) 2006-11-02
CA2544984C (en) 2009-11-03
DE602006000211D1 (de) 2007-12-20
TW200643893A (en) 2006-12-16
ATE377820T1 (de) 2007-11-15
KR20060113475A (ko) 2006-11-02
CA2544984A1 (en) 2006-10-28
HK1093256A1 (en) 2007-02-23
US20080092724A1 (en) 2008-04-24
EP1717795B1 (en) 2007-11-07
US7982125B2 (en) 2011-07-19
TWI298482B (en) 2008-07-01
DE602006000211T2 (de)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656B1 (ko) 변환 장치 및 이를 설치한 현악기
KR101245381B1 (ko) 어쿠스틱 전자 겸용 바이올린족 현악기
US7394015B2 (en) Pickup device for plucked string instrument and plucked string instrument
US7847169B2 (en) Stringed instrument
US6791023B2 (en) Bowed stringed musical instrument for generating electric tones close to acoustic tones
JP2008292739A (ja) 響板付き鍵盤楽器
WO2012014888A1 (ja) 変換装置
CN1855221B (zh) 变换装置以及安装有该变换装置的弦乐器
US8067685B2 (en) Stringed instrument utilizing sympathetic vibrations
JP4577441B2 (ja) 変換装置
US10311837B1 (en) Enhanced string instrument
US20060042455A1 (en) Piezoelectric transduc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7098219B1 (ja) 弦楽器励振装置および弦楽器励振システム
US11482197B2 (en) Musical instrument
JP2019174500A (ja) 弦楽器励振装置および弦楽器励振システム
JP4281707B2 (ja) 変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弦楽器
JP2010224570A (ja) 弦楽器
US6031164A (en) Mute acoust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damping bridge
JP3843812B2 (ja) 擦弦楽器
KR102277583B1 (ko)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 확성장치
JP4222237B2 (ja) 擦弦楽器
JPH0798585A (ja) 電気弦楽器
JP2007309957A (ja) 楽音装置及び楽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