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300B1 - 도전성 발포체 - Google Patents

도전성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300B1
KR100765300B1 KR1020060045013A KR20060045013A KR100765300B1 KR 100765300 B1 KR100765300 B1 KR 100765300B1 KR 1020060045013 A KR1020060045013 A KR 1020060045013A KR 20060045013 A KR20060045013 A KR 20060045013A KR 100765300 B1 KR100765300 B1 KR 100765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und composition
foaming
synthetic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복
배태용
이동만
서찬길
추윤경
최진혁
고아라
안희정
김진아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서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서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서학원
Priority to KR102006004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38Bursting the cell walls by a sudden pressure rele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6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도전성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게 도전성 발포체에 있어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100중량부에 가교제 0.3~2중량부, 발포제 2~10중량부, 충전제 10~60중량부, 도전성 고분자 첨가제 1~10중량부 및 합성고무 1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컴파운드 조성물을 형성하고,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을 시트 또는 펠릿 형상으로 제조하여 발포시킴으로써 내부에 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발포체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주기재로 하여 가교제, 발포제, 충전제, 도전성 고분자 첨가제 및 합성고무를 첨가하여 정전기를 방지시킴과 동시에 발생된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를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며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며, 또한 도전성 발포체의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합성고무로 인해 셀(cell)이 형성되어 비중이 0.2이하로 매우 가벼워 방진화 등에 사용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전 발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정전기 도전성 고분자

Description

도전성 발포체{foaming material with electric conducting}
본 발명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도전성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또는 외부와의 마찰 등에서 발생되는 대전 정전기를 방지시킴과 동시에 발생된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를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가볍고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며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도전성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및 고무 등의 고분자 소재는 우수한 전기적 절연체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절연체로 유효하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절연체는 금속 등과 접촉했을 때 정전기를 띄며 다른 물질과의 마찰에 의해 대전되기도 하여 절연성에 오히려 장애가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집적회로 및 이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반도체 등은 제조, 저장, 운반 등의 취급 시에 집적회로의 파괴 또는 성능저하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전성을 가지는 고분자에 대한 관심은 기능성 고분자의 대표적인 신소재로써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전성 재료를 전기적 특성으로 분류하면 전기저항이 100ohm/sq 이하를 초전도체, 100~104ohm/sq 범위를 도전체, 104~107ohm/sq 범위를 반도체, 107~1010ohm/sq 범위를 대전 방지체, 1012ohm/sq 이상을 절연체라고 한다. 도전성 고분자는 고분자 자체가 도전성을 갖는 물질과 부도체인 고분자에 도전성 물질을 첨가하여 도전성을 갖는 물질로 구분된다. 산업현장에서는 후자의 응용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절연성 고분자 기재에 도전성 카본을 혼합한 제품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특히 발포제품의 경우에는 폴리우레탄(PU), 폴리염화비닐(PVC)을 이용하여 제작 사용하였으나, 이의 경우 기재의 특성상 높은 비중으로 인하여 중량이 무거워지고, 마모에 의하여 카본 분진 등의 먼지가 발생됨에 의해 작업환경을 해치거나, 전기제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내구성이 비교적 약하며 다양한 색상으로의 변형이나 적용이 용이하지 않아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에 가교제, 발포제, 충전제, 도전성 고분자 첨가제 및 합성고무를 첨가하여 정전기를 방지시킴과 동시에 발생된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를 최소화시키킬 뿐만 아니라, 내부에 셀(cell)이 형성되어 가볍고, 가공성 및 적용성이 뛰어난 도전성 발포체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도전성 발포체에 있어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100중량부에 가교제 0.3~2중량부, 발포제 2~10중량부, 충전제 10~60중량부, 도전성 고분자 첨가제 1~10중량부 및 합성고무 1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컴파운드 조성물을 형성하고,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을 시트 또는 펠릿 형상으로 제조하여 발포시킴으로써 내부에 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발포체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고무는 NBR(Nitril Butadiene Rubber), ECH(Epichlorohydrin)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ter)Diene Monomer) 중에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에는 첨가제로서 산화아연, 스테아르산 중 하나 이상이 0.1~5 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의 발포는,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을 시트 또는 펠릿 형상으로 제조하고, 제조된 시트 또는 펠릿을 밀폐된 금형 안에 투입한 후 150~180도 정도의 고온, 고압하에서 5~10분간 가열하여 가교제와 발포제를 완전히 분해시키고, 금형을 순간적으로 열어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급팽창시킨 후 상온에서 숙성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주기재로 하여 가교제, 발포제, 충전제, 도전성 고분자 첨가제 및 합성고무를 첨가하여 정전기를 방지시킴과 동시에 발생된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를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 상의 구현이 가능하며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며, 또한 도전성 발포체의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합성고무로 인해 셀(cell)이 형성되어 비중이 0.2이하로 매우 가벼워 방진화 등에 사용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볍고 친환경 소재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주기재로 하고 여기에 가교제, 발포제, 충전제, 전도성 고분자 첨가제 그리고 합성고무를 소정 비율로 첨가하여 컴파운드 조성물을 시트 또는 펠릿 형상으로 형성시킨 다음, 상기 시트 또는 펠릿을 금형에 넣고 발포시킴에 의해 도전성 발포체가 형성되는 것이며, 소정의 합성고무를 첨가함으로써 발포 후에 내부에 셀(cell)이 형성되어 비중이 0.2 이하의 상당히 가벼운 도전성 발포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합성고무로 NBR(니트릴부타디엔고무, Nitril Butadiene Rubber), ECH(에피클로로하이드린, Epichlorohydrin) 또는 EPDM(에틸린프로필렌이중합성고무, Ethylene Propylene (ter)Diene Monomer) 중에 하나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내부에 셀(cell)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당히 가볍고, 여러가지 색상으로의 염색이 가능하며, 가공성이 뛰어나 다양한 형태로의 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 또한 뛰어나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전성 발포체에 이러한 합성고무를 첨가함으로서, 상기 도전성 발포체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기본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상기 합성고무의 성질이 그대로 반영되어 내부에 셀(cell)이 형성되어 가볍고, 가공성 및 적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의 변형가능한 부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도성 발포체는 주기재로써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62중량부에 대하여 NBR(니트릴부타디엔고무, Nitril Butadiene Rubber) 38중량부를 혼합하고, 가교제로써 유기과산화물인 디큐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DCP) 0.73중량부를 혼합하고,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계열의 발포제를 8중량부 혼합하고, 충전제인 아나타제 타입의 이산화티타늄(TiO2)을 30중량부, 탄산컬슘(CaCO3)을 10중량부 혼합하고, 발포 및 가교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산화아연(ZnO) 3중량부와 스테아르산 1.2중량부를 혼합하고, 도전성 고분자 첨가제로는 폴리파라페닐렌(PPP), 폴리아닐린(PANI), 폴리파이롤(PPy), 폴리티오핀(PT) 등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4.2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컴파운드 조성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은 시트(sheet) 또는 펠릿(pellet) 형상으로 제조하여, 밀폐된 금형 안에 투입한 후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고온, 가압하에서 20~30분간 가공하여 가교제와 발포제를 분해시킨 다음, 금형을 순간적으로 열어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급팽창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발포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특히 시트(sheet) 또는 펠릿(pellet) 형상으로 제조된 조성물은 발포 사출기를 이용하여 상기와 유사한 과정을 거쳐 신발용 중창 및 원하는 모양의 제품을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소정의 합성고무를 첨가함으로써 도전성 발포체 내부에 셀(cell)이 형성되어 가볍고, 가공성 및 적용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주기재로 하여 가교제, 발포제, 충전제, 도전성 고분자 첨가제 및 합성고무를 첨가하여 정전기를 방지시킴과 동시에 발생된 정전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미세먼지를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며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도전성 발포체의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합성고무로 인해 셀(cell)이 형성되어 비중이 0.2이하로 매우 가벼워 방진화 등에 사용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도전성 발포체에 있어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100중량부에 가교제 0.3~2중량부, 발포제 2~10중량부, 충전제 10~60중량부, 도전성 고분자 첨가제 1~10중량부 및 합성고무 1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컴파운드 조성물을 형성하고,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을 시트 또는 펠릿 형상으로 제조하여 발포시킴으로써 내부에 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발포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NBR(Nitril Butadiene Rubber), ECH(Epichlorohydrin)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ter)Diene Monomer) 중에 적어도 하나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발포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에는 첨가제로서 산화아연, 스테아르산 중 하나 이상이 0.1~5 중량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발포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의 발포는,
    상기 컴파운드 조성물을 시트 또는 펠릿 형상으로 제조하고, 제조된 시트 또는 펠릿을 밀폐된 금형 안에 투입한 후 150~180도에서 5~10분간 가열하여 가교제와 발포제를 완전히 분해시키고, 금형을 순간적으로 열어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압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급팽창시킨 후 상온에서 숙성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발포체.
KR1020060045013A 2006-05-19 2006-05-19 도전성 발포체 KR100765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013A KR100765300B1 (ko) 2006-05-19 2006-05-19 도전성 발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013A KR100765300B1 (ko) 2006-05-19 2006-05-19 도전성 발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300B1 true KR100765300B1 (ko) 2007-10-12

Family

ID=3941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013A KR100765300B1 (ko) 2006-05-19 2006-05-19 도전성 발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8519B2 (en) 2004-06-17 2020-07-28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ur imag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10952827B2 (en) 2014-08-15 2021-03-23 Align Technology, Inc. Calibration of an intraoral scan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171A (ja) * 1992-10-08 1994-05-17 Ui Shu Hoon 導電性合成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960041248A (ko) * 1995-05-30 1996-12-19 황선두 자동차 범퍼용 심재
KR100305617B1 (ko) 1998-09-15 2001-11-30 박수관 신발용스폰지
JP2002194127A (ja) 2000-12-25 2002-07-10 Nagahiko Kanazawa 帯電防止ゴム及びeva発泡体の組成物
KR20050087967A (ko) * 2004-02-28 2005-09-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성 신발중창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6171A (ja) * 1992-10-08 1994-05-17 Ui Shu Hoon 導電性合成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960041248A (ko) * 1995-05-30 1996-12-19 황선두 자동차 범퍼용 심재
KR100305617B1 (ko) 1998-09-15 2001-11-30 박수관 신발용스폰지
JP2002194127A (ja) 2000-12-25 2002-07-10 Nagahiko Kanazawa 帯電防止ゴム及びeva発泡体の組成物
KR20050087967A (ko) * 2004-02-28 2005-09-01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생분해성 신발중창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8519B2 (en) 2004-06-17 2020-07-28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ur imag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10750152B2 (en) 2004-06-17 2020-08-18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ructure imag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10750151B2 (en) 2004-06-17 2020-08-18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ur imag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10764557B2 (en) 2004-06-17 2020-09-01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10812773B2 (en) 2004-06-17 2020-10-20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ur imag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10924720B2 (en) 2004-06-17 2021-02-16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urface topology and associated color of an intraoral structure
US10944953B2 (en) 2004-06-17 2021-03-09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ur imag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US10952827B2 (en) 2014-08-15 2021-03-23 Align Technology, Inc. Calibration of an intraoral scan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2611A (ko) 내충격 코팅된 케이블
CN106065123A (zh) 一种耐寒的绝缘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183881A (zh) 一种环保型热收缩应力套管及其制备方法
US20160254073A1 (en) Additive compositions for low loss wire and cable dielectric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JP2004311064A (ja) 直流電力ケーブル
KR100765300B1 (ko) 도전성 발포체
EP3143077A1 (en) Electrically dissipative foamable composition comprising conductive carbon powder emanating from lignin, a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and use thereof
CN103289240A (zh) 一种抗静电pvc鞋底的生产方法
KR20180013507A (ko) 케이블 절연층용 이상 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절연층, 전력케이블
KR20200077147A (ko) 전력 케이블의 절연층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력 케이블
JP5151096B2 (ja) ポリ乳酸樹脂を含む樹脂組成物、絶縁材、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ならびに電子又は電気機器
CN101463169A (zh) 电线电缆用过双波峰焊耐高温聚氯乙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3589079A (zh) 一种热缩应力管
KR101589812B1 (ko) 전력선용 반도전층 나노컴파운드 블렌드 및 그 조성물
JP2004311063A (ja) 電力ケーブル
CN105061828A (zh) 一种聚合物基导电弹性体及其制备方法
KR101990290B1 (ko) 도전성 형상 기억 스폰지 조성물
JP2011126983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KR20190072194A (ko) 고유연성 비가교 케이블용 절연층 조성물 및 고유연성 비가교 케이블
JP2012074182A (ja) 絶縁電線
KR101246677B1 (ko) 전기전도성을 갖는 발포체 조성물
KR102360096B1 (ko) 폐고무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 고무계 나노복합 마스터뱃치
Hu et al. Effects of Voltage Stabilziers on the AC and DC Breakdown Strengths of EPDM
KR100747084B1 (ko) 도전성 아웃솔이 구비된 방진화
JP5362312B2 (ja) 導電性樹脂成形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