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185B1 -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185B1
KR100765185B1 KR1020060089229A KR20060089229A KR100765185B1 KR 100765185 B1 KR100765185 B1 KR 100765185B1 KR 1020060089229 A KR1020060089229 A KR 1020060089229A KR 20060089229 A KR20060089229 A KR 20060089229A KR 100765185 B1 KR100765185 B1 KR 100765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orkpiece
die
pipe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박찬석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일진산업 주식회사
이용재
조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산업 주식회사, 이용재, 조영훈 filed Critical 일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용 헤더파이프와 드라이어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파이프용 커넥터(142)의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하단부의 둘레면에 원형부(11)를 형성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상부면에 상부오목홈(13)을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하부면에 상기 상부오목홈(13)과 대응하는 하부오목홈(15)을 형성하는 제3성형단계;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상기 상부오목홈(13)과 하부오목홈(15)을 관통하는 공간부(17)를 제거하는 제4성형단계 및;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상/하단부에 각각의 라운딩부(19-1,19-2)를 형성하는 제5성형단계로 이루어져; 응축기용 커넥터의 성형작업이 봉형상의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하므로 압축하중의 집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량률이 최소화되어 제품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제조단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가공소재의 절단작업이 절단날에 의해 이루어져 절단과정에서의 낭비가 최소화되므로 제품단가가 절감된다.
응축기, 커넥터파이프, 커넥터, 상/하부오목홈, 격벽, 공간부, 라운딩부

Description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nector of connector pipe using in condenser}
도 1은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응축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응축기의 커넥터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커넥터파이프가 제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응축기 140 : 커넥터파이프
141 : 연통관 142 : 커넥터
10 : 가공소재 11 : 원형부
13, 15 : 상/하부오목홈 16 : 격벽
17 : 공간부 19-1, 19-2 : 라운딩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헤더파이프와 드라이어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파이프의 제조에 따른 작업공정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용 응축기(condensor)는 냉매가스와 외기를 열교환하여 응축시키는 열교환기의 한 종류로서, 이 응축기는 압축기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로 전환되는 냉매를 냉각팬을 통해 외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주위 온도를 하강시키는 증발잠열을 발생시킨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공기조화기용 응축기(100)는, 헤더파이프(110)의 사이에 냉매의 이동경로를 형성함은 물론 주름관(130)을 통해 방열되는 다수개의 튜브(120)가 고정되면서, 상기 헤더파이프(110)의 일측부에 커넥터파이프(140)를 매개로 드라이어탱크(150)가 장착된다.
그리고, 커넥터파이프(140)는, 도 2에서와 같이, 헤더파이프(110)에 유입된 냉매를 드라이어탱크(150)로 이송하는 연통관(141)과, 이 연통관(141)의 둘레면에 구성되면서 그 양단부가 헤더파이프(110)와 드라이어탱크(150)의 둘레면에 각각 접촉하는 커넥터(1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커텍터(142)는, 상기 연통관(141)에 비해 약간 작은 길이의 관체를 가공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그 양단부에 전방라운딩부(142a)와 후방라운딩부(142b)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헤더파이프(110)의 둘레면 또는 드라이어탱크(150)의 둘레면과의 접착성 및 결합력이 극대화된다.
그런데, 커넥터(142)의 가공소재로 이용하는 파이프의 경우 내경이나 외경이나 두께 등이 균일하지 않으므로, 예컨대 가공소재가 세팅무게 이상으로 절단되는 경우, 상기 전방라운딩부(142a)와 후방라운딩부(142b)의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 잉여소재로 인하여 돌출부분(142c)이 형성된다.
즉, 커넥터(142)가 세팅무게 이상으로 절단되는 경우 커넥터(142)의 둘레면에 돌출부분(142c)이 형성되고, 세팅무게 이하로 절단되는 경우 상기 전/후방라운딩부(142a,142b)가 불량가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커넥터(142)에 형성된 돌출부분(142c)으로 인해 제품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돌출부분(142c)의 제거비용 및 제거공정이 추가되어 제품단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커넥터(142)의 가공소재를 절단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경우 중공파이프가 압축되어 우그러질 우려가 있어, 전동톱을 이용하여 절단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전동톱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가공소재가 낭비되어 제품단가가 증대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파이프의 제조에 따른 작업공정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가공소재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하단부의 둘레면에 원형부를 형성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가공소재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상부면에 상부오목홈을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 상기 가공소재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하부면에 상기 상부오목홈과 대응하는 하부오목홈을 형성하는 제3성형단계; 상기 가공소재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상기 상부오목홈과 하부오목홈을 관통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4성형단계 및; 상기 가공소재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상/하단부에 각각의 라운딩부를 형성하는 제5성형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응축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2는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응축기의 커넥터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의 커넥터파이프가 제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100)의 헤더파이프(110)와 드라이어 탱크(150)를 연결하여 냉매의 유동관로로 이용되는 연통관(141)을 감쌈은 물론 그 양단부가 상기 헤더파이프(110)와 드라이어탱크(150)의 둘레면을 따라 접착되는 공기조화기용 커넥터(142)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42)의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하단부의 둘레면에 원형부(11)를 형성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상부면에 상부오목홈(13)을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하부면에 상기 상부오목홈(13)과 대응하는 하부오목홈(15)을 형성하는 제3성형단계;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상기 상부오목홈(13)과 하부오목홈(15)을 관통하는 공간부(17)를 형성하는 제4성형단계 및;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상/하단부에 각각의 라운딩부(19)를 형성하는 제5성형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100)의 헤더파이프(110)와 튜브(120)와 주름관(130)과 커넥터파이프(140)와 드라이어탱크(150) 등과 같은 구성요소는 공지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동일 도면부호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특히 응축기(100)에 이용되는 커넥터파이프(140) 내지는 커넥터파이프(140)에 구성된 모든 커넥터(142)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가공소재(10)는, 커넥터(142)의 성형소재로 이용되는 금속재질의 소재로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주재료로하는 합금 등과 같이 가공성이 우수한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공소재(10)의 절단수단으로서 종래의 전동톱이 아닌 전동날을 이용 하여 절단함이 바람직하며, 가공소재(10)의 절단기준으로서 가능한 무게에 따라 절단길이를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공소재(10)의 절단공정을 거친 다음, 가공소재의 외관에 형성된 각종 흠집이나 절단면 등을 가능한 폴리싱 등의 공정을 통해 미려하게 형성한 상태에서 이후의 성형단계를 거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성형단계는, 가공소재(10)의 둘레면 하부측에 반원형상을 갖는 원형부(11)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다이(미도시)의 성형장소에 안착된 가공소재(10)를 펀칭하여 성형작업을 수행하며, 특히 다이의 바닥면에 원형부(11)와 대응하는 형상 및 면적을 갖는 소정크기의 수용홈이 형성된다.
이때, 제1성형단계에서는, 펀칭기의 압축에 의해 가공소재(10)의 높이가 약간 낮아지는 반면 폭이 약간 넓어지는 형태로 가공된다.
그리고, 제2성형단계는, 제1성형단계를 거친 가공소재(10)의 상면에 상부오목홈(13)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다이(미도시)의 성형장소에 안착된 가공소재(10)의 상면을 펀칭하여 성형작업을 수행하며, 특히 펀칭기(미도시)에 상부오목홈(13)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압축돌기부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때, 제2성형단계는, 펀칭기의 압축에 의해 가공소재(10)의 높이가 약간 낮아지는 반면 폭이 약간 넓어지는 형태로 가공된다.
그리고, 제3성형단계는, 제2성형단계를 거친 가공소재(10)의 하면에 하부오목홈(15)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다이(미도시)의 성형장소에 가공소재(10)를 뒤집어서 안착하여 즉 상부오목홈(13)이 하부방향으로 향하도록 안착한 상태에서 펀칭하 여 성형작업을 수행하며, 특히 펀칭기(미도시)에 하부오목홈(15)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압출돌기부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때, 제3성형단계는, 펀칭기의 압축에 의해 가공소재(10)의 높이가 약간 낮아지는 반면 폭이 약간 넓어지는 형태로 가공되며, 특히 상부오목홈(13)과 하부오목홈(15)의 사이에 일정두께의 격벽(16)이 형성된다.
또한, 제3성형단계에서, 상부오목홈(13)과 하부오목홈(15)의 입구 둘레면에 각각의 단차부(13a,15a)를 형성하여 펀칭기의 펀칭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최대한 흡수하도록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4성형단계는, 제3성형단계를 거친 가공소재(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공간부(17)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다이(미도시)의 성형장소에 가공소재(10)를 직립상태로 안착하여 펀칭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가공소재(10)내의 격벽(16)이 제거되면서 공간부(17)가 형성된다.
이때, 제4성형단계는, 펀칭기의 압축에 의해 가공소재(10)의 높이가 약간 낮아지믄 반면 폭이 약간 넓어지는 형태로 가공되며, 특히 공간부(17)에 의해 상/하부오목홈(13,15)이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가공된다.
그리고, 제5성형단계는, 제4성형단계를 거친 가공소재(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라운딩부(19-1,19-2)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다이(미도시)의 성형장소에 가공소재(10)를 직립상태로 안착하여 펀칭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가공소재(1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압축되어 라운딩부(19-1,19-2)가 형성된다.
이때, 제5성형단계에 사용되는 다이의 경우, 다이(미도시)의 바닥면에 하부 라운딩부(19-2)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볼록돌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펀칭기에 상부라운딩부(19-1)와 대응하는 형상의 압축돌기부를 형성하여 성형과정에서의 작업공정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성형단계에서, 가공소재(10)의 둘레면 상단부에 원형부(11)를 형성하는 경우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또한, 제5성형단계에서, 다이의 중심부에 공간부(17)로 삽입되는 돌출기둥을 구성하는 경우, 가공소재(10)의 상단부가 펀칭되는 과정에서 응력이 집중되더라고 외력에 의한 우그러짐이나 돌출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응축기용 커넥터의 성형작업이 봉형상의 소재를 이용하여 성형하므로 압축하중의 집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량률이 최소화되어 제품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제조단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가공소재의 절단작업이 절단날에 의해 이루어져 절단과정에서의 낭비가 최소화되므로 제품단가가 절감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응축기(100)의 헤더파이프(110)와 드라이어탱크(150)를 연결하여 냉매의 유동관로로 이용되는 연통관(141)을 감쌈은 물론 그 양단부가 상기 헤더파이프(110)와 드라이어탱크(150)의 둘레면을 따라 접착되는 공기조화기용 커넥터(142)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42)의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하단부의 둘레면에 원형부(11)를 형성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상부면에 상부오목홈(13)을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하부면에 상기 상부오목홈(13)과 대응하는 하부오목홈(15)을 형성하는 제3성형단계;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상기 상부오목홈(13)과 하부오목홈(15)을 관통하는 공간부(17)를 제거하는 제4성형단계 및;
    상기 가공소재(10)를 다이에 안착하고 펀칭하여 그 상/하단부에 각각의 라운딩부(19-1,19-2)를 형성하는 제5성형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소재(1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에 의해 성형된 봉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방법.
KR1020060089229A 2006-09-14 2006-09-14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 KR10076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29A KR100765185B1 (ko) 2006-09-14 2006-09-14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29A KR100765185B1 (ko) 2006-09-14 2006-09-14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185B1 true KR100765185B1 (ko) 2007-10-15

Family

ID=3941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229A KR100765185B1 (ko) 2006-09-14 2006-09-14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1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210A (ko) 2017-02-23 2018-08-31 (주)대정금속 파이프 커넥터 소재 절단 및 성형장치
KR101953666B1 (ko) 2018-03-30 2019-03-04 (주)대정금속 자동차 공기조화기 응축기용 간격유지 파이프의 제조방법
KR20200124841A (ko) 2019-04-25 2020-11-04 (주)대정금속 자동차 공기조화기 응축기용 커넥터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385A (ko) * 1996-02-26 1997-09-12 박종현 파이프용 연결구 제조방법
KR20030001051A (ko) * 2001-06-28 2003-01-06 유태승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 방법
JP2005088286A (ja) 2003-09-16 2005-04-07 Excel Kk コネクタパイプを有するブロー成形中空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00890U (ko) * 2019-02-28 2019-04-08 (주) 비엠비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385A (ko) * 1996-02-26 1997-09-12 박종현 파이프용 연결구 제조방법
KR20030001051A (ko) * 2001-06-28 2003-01-06 유태승 자동차용 냉매 순환관의 단부 연결구 제조 방법
JP2005088286A (ja) 2003-09-16 2005-04-07 Excel Kk コネクタパイプを有するブロー成形中空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00890U (ko) * 2019-02-28 2019-04-08 (주) 비엠비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210A (ko) 2017-02-23 2018-08-31 (주)대정금속 파이프 커넥터 소재 절단 및 성형장치
KR101953666B1 (ko) 2018-03-30 2019-03-04 (주)대정금속 자동차 공기조화기 응축기용 간격유지 파이프의 제조방법
KR20200124841A (ko) 2019-04-25 2020-11-04 (주)대정금속 자동차 공기조화기 응축기용 커넥터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534B1 (ko) 자동변속기용 오일냉각기 제조방법
KR100765185B1 (ko) 응축기용 커넥터파이프의 커넥터 제조 방법
CN100475382C (zh) 锻造方法及锻造装置
CN100580290C (zh) 电磁四通阀用主阀座加工方法
JP2013508170A (ja) スクラップ形状保持
JP2007163040A (ja) 熱交換器用ヘッダタンクおよびこれに用いる外側プレートの製造方法
JP2016095132A (ja) 二重管の製造方法
KR100630598B1 (ko) 차량용 에어컨 머플러의 제조방법
CN106141584B (zh) 一种铝套及其加工工艺
CN101898267B (zh) 一种铝制板翅式换热器的制造方法
JP2002102931A (ja) Uoe鋼管の製造方法
JP4479327B2 (ja) Uoe鋼管製造工程におけるuプレス用ポンチ装置
KR100634099B1 (ko) 열교환기 헤더의 구멍 가공방법
KR20140014505A (ko) 다단 단조공법을 이용한 스태빌라이저 바 아이부 가공방법
KR20080047191A (ko) 자동변속기용 오일냉각기 제조방법
JP2006312978A (ja) コンロッドの製造方法
KR101410351B1 (ko) 냉간 단조를 이용한 자동변속기의 유증기 배출용 에어브리드 파이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에어브리드 파이프
KR100492747B1 (ko) 관이음쇠의 제조방법
KR100565560B1 (ko) 자동차 에어컨용 압축기 풀리의 제조방법
KR101271140B1 (ko) 열교환기 헤더파이프의 튜브삽입홀 가공용 펀치
KR100452121B1 (ko) 압축기용 철계 어큐뮤레이터의 일체화 제조방법
CN205096459U (zh) 一种螺母模具
JPS58163619A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ツク板材の加工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抜き型
US766534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ne piece turnbuckle
CN108580690A (zh) 一种汽车空调管路一次成型夹管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