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379B1 - 사전 팽창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전 팽창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379B1
KR100764379B1 KR1020057010399A KR20057010399A KR100764379B1 KR 100764379 B1 KR100764379 B1 KR 100764379B1 KR 1020057010399 A KR1020057010399 A KR 1020057010399A KR 20057010399 A KR20057010399 A KR 20057010399A KR 100764379 B1 KR100764379 B1 KR 10076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pheres
scrapers
hollow body
expansion device
feed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905A (ko
Inventor
라르-올로프 스벤베르그
구이 홀브란트
토마스 홀름룬트
Original Assignee
악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악조 노벨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8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61Making or treating expandabl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42Mixing, kneading or conveying the foamable material
    • B29C44/3446Feeding the blowing agent
    • B29C44/3449Feeding the blowing agent through the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4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n solid form
    • B29C44/445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n solid form in the form of expandable granules, particles or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몸체로 둘러싸인 회전하는 공급수단(8)을 포함하는 팽창장치(6)로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를 적재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9)를 포함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의 제조 또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팽창하기 위한 팽창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소구체, 팽창장치

Description

사전 팽창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E- EXPANDING THERMOPLASTIC MICROSPHERES}
본 발명은 확장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확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들어 열적으로 팽창가능한 미소구체는 여기서 참고적으로 US 3615972 , EP 486080 , EP 566367 및 EP 1 067 151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미소구체에서 추진체는 열가소성 외피내에서 캡슐화된다.
가열시, 상기 추진체는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증발되고 동시에 외피가 부드러워져서 그 직경의 약 2-5까지 미소구체가 확장된다. 열가소성 미소구체는 팽창되거나 팽창되지 않음에 따라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확장되어지는 미소구체를 위한 적용예들은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구체를 건조시키기 위한 휘발성 기반수지이며 습성 구체를 위한 페인트와 같은 물(water) 기반 적용시스템이다.
열가소성 미소구체의 완전팽창은 팽창에 따라 얇은 열가소성 외피와 조합하여 완전팽창을 위한 고온으로 인해 덩어리가 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팽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하며 여기서 팽창도는 다른 밀도의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하고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저렴하며 최종사용자가 쉽게 사용하고 이에따라 팽창된 미소구체가 사용되고 운송크기와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팽창하기 위한 방법 및 팽창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EP 0 348 372는 팽창이 컨베이어 벨트사에서 발생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의 제조를 위한 공정을 공개하고 있다.
상기 공정은 잘 작동하나 상당한 공간과 비교적 비싼 비용을 요한다.
미국특허 제 4,722,943, 4,722,943, 및 5,342,689호는 건조단계동안 뭉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면 장벽 코팅과 혼합되는 미소구체의 팽창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탈크와 같은 처리 보조제의 양이 매우 높아 바른 냉각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미소구체의 팽창의 정도를 제어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 문제 및 덩어리화 문제를 최소화하는 작은 설비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미소구체 팽창정도는 이전보다 더 쉽게 제어될 수 있고 좁은 밀도 분포를 가지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방법을 위하여 적절한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위한 방법과 팽창장치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중공 몸체로 둘러싸인 회전 공급수단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팽창장치로 팽창가능한 미소구체를 열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미소구체층이 팽창을 달성하도록 미소구체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동안 팽창장치 내에 장착되고 팽창장치를 통해 미소구체를 이송하고 미소구체를 방출하는 것을 차단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는 공급수단의 외부 반경과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사이에 적절히 위치된다. 팽창 장치내의 결과적인 공급방향은 공급수단의 회전운동에 수직한다.
본 발명은 또한 중공몸체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회전가능한 공급수단과 중공몸체의 내부표면과 공급수단의 외부반경사이에 위치한 하나이상의 스크레이퍼를 포함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 및 팽창 장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의 연속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들 또는 그 표면층은 중합체 물질 바람직하게는 열저항 중합체 물질로 적절하게 이루어진다. 중합체 물질은 PTFE , PVDF , PEA , 또는 PEP와 같은 플루오르탄소 플라스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물질이 열가소성이라면, 중합체 물질의 녹는점은 약 200°C이상 바람직하게는 250°C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몸체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들은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에 대해 가압될 때 이들이 중공몸체의 내부표면과 이들과의 사이의 밀집된 접촉을 제공하도록 특정 가요성을 가진다. 중공 몸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히터들이 제공된다. 상기 히터들은 재킷 히터들인 것이 적절하다. 공급수단 자체에도 역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히터들이 제공된다.
상기 열적으로 팽창가능한 미소구체는 히터가 제공될 수 있는 스크류 공급기를 사용함으로써 팽창 장치의 인입구로 적절히 이송된다.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는 미소구체의 덩어리화를 방지하는 충전재와 함께 팽창장치로 들어가기 전에 사전 혼합된다.
상기 충전재는 약 1*10-9에서 1*10-3m 바람직하게는 약 1*10-8에서 약 3*10-5m까지의 입자 직경 범위를 가지는 미세입자의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의 예는 다음과 같은 무기물의 합성물이다:
알루미늄 파우더, 마그네슘 탄산염, 마그네슘 인산, 마그네슘 수산화물, 백운석, 칼슘 탄산염 칼슘 인산, 칼슘 설페이트, 탈크, 카올린, 실리콘 산화물, 철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및 수산화물, 아연 산화물, 수산화탈크사이트, 운모, 중정석, 유리구체, 플라이 애시, 미세모래, 미네랄 파이버 및 일반적인 강화 파이버, 규회석, 장석, 규조토,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중공 석영 및 세라믹 구체.
또한 특히, 충분한 높은 유화 온도를 가진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 목재 분말, 카본블랙, 탄소 섬유 및 그래파이트가 사용될 수 있고, 충전재는 규소 이산화물과 같은 규소 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는 순수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거나, 덩어리화 방지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방법으로 처리된 표면일 수 있다. 충전재를 다루는 표면의 한가지 방법은 이를 소수성으로 만드는 것이다.
가해진 충전재에 대한 미소구체의 중량 비율은 충전재가 사용되는 것에 따르나 약 1:1000, 바람직하게는 1:500에서 1:1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에서 1:3까지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25에서 1:5까지가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팽창 장치는 상표 "Expancel" 로 시중에 나와있는 팽창가능한 열가소성 미소구체의 모든 알려지는 종류들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미소구체는 아크릴로 니트릴과 같은 단량체, 메탈르릴로, 니트릴, 옥-크로로아크릴로 니트릴, 유-에톡시안크릴로 니트릴, 푸마로 니트릴, 크로토 니트릴, 메틸라크릴라이트와 같은 아크리릭 에스테르 또는 에틸 아크릴라이트, 메틸 메타크릴라이트와 같은 메타크릴릭 에스테르, 이소보닐 메타크릴라이트 도는 에틸 메타크릴라이트, 비닐 크롤라이드와 같은 비닐 할라이드, 비닐라이덴 크롤라이드와 같은 비닐라이덴 할라이드, 비닐 피리딘,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비닐 에스테르, 스티렌, 할로겐화 스티렌 또는 아크 메틸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 또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프렌과 같은 디엔을 포함하는 니트릴일 수 있는 다양한 에틸렌으로 불포화된 단량체들을 극성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중합체 또는 코-중합체로 만들어진 열가소성 외피를 가진다. 또한 상기의 단량체들을 어느정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 외피를 위한 단량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디비닐 벤젠,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데칸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 트리사이클로데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알릴포름알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PEG #200 디(메트)아크릴레이트, PEG #400 디(메트)아크릴레이트, PEG #600 디(메트)아크릴레이트, 3-아크릴오일옥시 글리콜 모노아크릴레이트, 트리아크릴포름알 또는 트리알릴이소시아네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뉴레이트 등의 가교 결합(교차 결합) 다기능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때때로 바람직하다.
만약 존재한다면, 상기와 같은 가교결합 단량체는 중합체 외피를 위한 단량체의 전체양의 약 0.1-1wt%,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5w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외피는 전체 미소구체의 약 60-95wt%, 더욱 바람직하게는 75-85w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소구체내의 추진체는 통상 열가소성 중합체 외피의 연화 온도보다 높지 않은 끓는 온도를 가지는 액체이다. 상기 추진체는 또한 브로잉 에이전트로 불리며 , n-펜탄, 이소펜탄, 네오펜탄, 부탄, 이소부탄, 헥산, 이소헥산, 네오헥산, 헵탄, 이소헵탄, 옥탄 및 이소옥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탄화수소일 수 있다,
또한, 페트로늄 에테르 및 염소화 또는 플르오르화 탄화수소와 같은 다른 탄화수소 형태 또한 사용될 수 있고 메틸렌 염화물 , 디클로로 에탄, 디클로로 에틸렌, 트리클로로 에탄, 트리클로로 에틸렌, 트리크롤로플루오르 메탄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추진체는 미소구체의 약 5-40wt%로 적절히 만들어진다.
미소구체 팽창이 시작하는 온도는 Tstart로 불리는 한편 최대 팽창에 도달하는 온도는 Tmax라 불리며, 양쪽에서 결정된 온도는 분당 20°C의 비율로 증가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는 약 20-200°C, 바람직하게는 40-180°C, 가장 바람직하게는 60-150°C의 Tstart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는 50-300°C, 바람직하게는 100-250°C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200°C의 Tmax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의 부피 중량 평균 입자크기는 약 1-50μm, 바람직하게는 3-100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5-50μm이 적절하다. Tstart이상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통상 미소구체는 약 2-7배, 바람직하게는 4-7배로 직경이 팽창가능하다.
방출된 미소구체의 밀도는 팽창 장치내에 미소구체가 존재하는 동안의 시간의 길이 또는 적절한 가열온도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된다.
팽창 장치내의 온도는 Tstart보다 5-150°C, 가장 바람직하게는 20-50정도 Tstart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 장치안의 미소구체의 보통 체제시간은 5-200s, 바람직하게는 10-100s, 가장 바람직하게는 30-90s인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 및 건식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가 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저습식 내용물을 가지는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를 위해 적합하다.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는 50 w%, 바람직하게는 80 w%,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w%이상의 건식 고체 내용물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수단의 회전율은 1-100rpm, 바람직하게는 5-90rpm, 가장 바람직하게는 40-80rpm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들은 공급수단에 장착되고 중공 몸체의 내부 표면을 향해 공급수단의 외부 반경위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들은 공급방향에서 세로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들은 홀로 또는 조합하여 장착되어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약 1-100%, 바람직하게는 10-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95%의 스크레이핑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레이퍼들은 다른 개별적인 길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이상의 긴 스크레이퍼들의 조합,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짧은 스크레이퍼들의 조합일 수 있다.
중공 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약 70-100%의 스크레이핑을 수행하는 하나 또는 두 스크레이퍼는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1-5%, 바람직하게는 2-4%, 가장 바람직하게는 10-40%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너무 많은 긴 스크레이퍼들이 사용되면, 특히 스크류 피치가 낮은 경우, 스크류 내의 미소구체가 막힐 위험이 있다.
스크레이퍼들의 길이는 팽창장치, 회전비율, 미소구체 형태, 충전제 내용물 등의 크기와 같은 다른 공정 매개변수에 따라 가장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가지 경우, 예를들어 약 1:100에서 약 1:10으로 미소구체에 더해진 충전재의 중량 비율에서, 스크레이퍼들은 중공 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약 20-60%의 스크래이핑을 수행한다. 다른 경우, 예를 들어, 약 1:10에서 약 1:3으로 미소구체에 더해진 충전재의 중량 비율에서, 스크레이퍼들은 중공 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약 50-100%의 스크래이핑을 수행한다.
공급수단에 장착된 스크레이퍼들의 수는 1-6, 바람직하게는 2-4개가 적절하다. 상기 스크레이핑 운동은 중공 몸체의 내부 표면의 일부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들은 비팽창된 미소구체가 추가되고 이들로부터 연장되는 팽창장치의 인입측면에서 시작하는 공급수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수단은 스크류의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스크류는 약 0.05-1.5 바람직하게는 약 0.15-0.5까지의 피치에 대한 직경비율을 가진다.
스크류의 피치는 스크류의 단부에서보다 인입구 근처의 스크류의 시작부에서 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피치는 스크류를 따라서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피치는 분리된 단계로 증가될 수 있어, 스크류의 한부분이 다른 부분과 다른 피치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수단은 중심 코어로부터 적절히 돌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들의 형태가 된다. 상기 패들은 이들의 공급방향에 대한 돌출된 각(α)가 0°<α<90°, 바람직하게는 10°-60°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팽창 장치에 의해,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를 더 쉽게 팽창하는 방법이 팽창된 미소구체의 이송비용을 감소하고 작은 장비를 요하도록 제공된다. 미소구체의 팽창도는 역시 이전보다 더 쉽게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공급수단이 스크류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스크류형태인 공급수단을 도시하고 도 3은 패들형태인 공급수단을 도시한다.
* 부호설명
1: 저장탱크 2: 사일로
4: 스크류 공급수단 5: 인입구
6: 팽창장치 7: 가열수단
10, 13: 진동자 11: 모터
12: 배출구
도 1은 팽창가능한 미소구체가 저장탱크(1)로부터 사일로(2)로 펌핑되고 필터(3)를 통해 여과되는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 후, 미소구체는 제 1 스크류 공급수단(4)으로 공급되고 가열수단(7) 및 장착된 스크레이퍼(9)를 가진 스크류(8)를 포함하는 팽창장치(6)의 인입구(5)로 이송된다. 인입구(5)에는 진동자(10)가 장착되고 스크규는 모터(11)에 연결된다. 팽창된 미소구체는 진동자(13)가 장착된 배출구(12)를 통해 방출되고 펌핑된다.
도 2는 스크레이퍼(9)가 장작되고 직경 d를 가지는 스크류(8)를 도시한다.
스크류의 한 부분 A는 피치 p1를 가지고 다른 부분B는 다른 피치 p2를 가진다. 도 3은 중심코어(15)로부터 돌출하는 패들(14)의 형태인 공급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패들에는 스크레이퍼(16)가 장착된다. 각 패들은 공급방향에 대한 각도를 가진다. 다른 패들은 다른 각도 α 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공급수단은 도 1의 스크류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다음 예시와 관련하여 서술되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시
예시 1
공급수단으로 스크류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몸체를 포함하는 팽창장치는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를 팽창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스크류는 길이 2200 mm 이고 직경 205 mm이다.
스크류는 인입구에서 시작하여 40, 50, 60mm인 각각 스크류 피치를 가지는 동일한 길이의 세 섹션으로 나누어진다.
스크류는 하나가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의 길이의 9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세 다른 스크레이퍼들이 각각 25%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며 장착되는 4 스크레이퍼들을 가진다. 스크류의 회전 속도는 54 rpm이다.
Tstart= 99°C 및 Tmax=140°C를 가지는 12μm 부피 중량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상표 Expancel 461DU 형태의 미소구체는 중량 실리콘 이산화물에 의해 중량 미소구체 및 15 부분으로 85부분에 대해 공수성 실리콘 이산화물로 사전혼합된다. 그 후 미소구체 혼합물은 팽창 장치 내로 채워진다.
팽창 장치내의 미소구체의 체제시간은 60s이다. 대등밀도의 팽창된 미소구체의 14kg/h가 방출될 수 있다. 스크류내 미소구체의 명확한 덩어리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Claims (26)

  1.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열팽창 가능한 미소구체들을 팽창장치(6)로 적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장치는 중공몸체로 둘러싸인 회전하는 공급수단(8, 14)과 미소구체의 층들이 팽창장치 내에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스크레이퍼(9, 16)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9, 16)는 중공 몸체의 내부표면과 공급수단(8, 14)의 외부반경 사이에 위치되고 공급수단(8, 14) 상에 장착되며,
    -미소구체들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미소구체들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동안 팽창장치를 통하여 미소구체들을 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미소구체들을 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는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을 향하여 공급수단의 외부반경위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20% 내지 90%의 스크래이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두 스크레이퍼가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70% 내지 100%의 스크래이핑을 수행하고, 두개 내지 네개의 스크레이퍼가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10% 내지 40%의 스크래이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가 팽창장치의 인입구 측면에서 시작하여 공급수단에 장착되고 이들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는 플로오르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는 플로오르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공몸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히터(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급수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히터(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가 미소구체의 덩어리화를 방지하는 충전재를 가지고 팽창장치(6)로 들어가기 전에 사전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가 실리콘 이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미소구체에 대해 충전제가 추가되는 중량비율은 1 :100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열팽창가능한 미소구체는 97 중량%이상의 건조고체 내용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급수단이 스크류(8)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급수단은 중심코어(15)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들(14)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9, 16)를 포함하고 중공몸체에 의해 둘러싸인 회전하는 공급수단(8, 14)을 포함하는 팽창된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9, 16)는 중공 몸체의 내부표면과 공급수단(8, 14)의 외부반경 사이에 위치되고 공급수단(8, 14)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는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을 향하여 공급수단의 외부반경위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20% 내지 90%의 스크래이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두 스크레이퍼가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70% 내지 100%의 스크래이핑을 수행하고, 두개 내지 네개의 스크레이퍼가 중공몸체의 내부표면의 세로길이의 10% 내지 40%의 스크래이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20.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가 팽창장치의 인입구 측면에서 시작하여 공급수단에 장착되고 이들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21.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는 플로오르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22.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크레이퍼는 플로오르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 표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23.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중공몸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히터(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24.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공급수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히터(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25.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공급수단이 스크류(8)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26.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공급수단은 중심코어(15)로부터 돌출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들(14)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된 미소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
KR1020057010399A 2002-12-20 2003-12-18 사전 팽창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64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445192 2002-12-20
EP02445192.4 2002-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905A KR20050086905A (ko) 2005-08-30
KR100764379B1 true KR100764379B1 (ko) 2007-10-08

Family

ID=3266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399A KR100764379B1 (ko) 2002-12-20 2003-12-18 사전 팽창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EP (1) EP1572432B1 (ko)
JP (1) JP4474285B2 (ko)
KR (1) KR100764379B1 (ko)
CN (1) CN100429061C (ko)
AT (1) ATE470549T1 (ko)
AU (1) AU2003288874B2 (ko)
BR (1) BRPI0317486B1 (ko)
CA (1) CA2510024C (ko)
DE (1) DE60332955D1 (ko)
DK (1) DK1572432T3 (ko)
EC (1) ECSP055882A (ko)
ES (1) ES2347143T3 (ko)
MX (1) MXPA05005875A (ko)
NO (1) NO20053527L (ko)
PL (1) PL207926B1 (ko)
PT (1) PT1572432E (ko)
RU (1) RU2301739C2 (ko)
SI (1) SI1572432T1 (ko)
UA (1) UA78636C2 (ko)
WO (1) WO2004056549A1 (ko)
ZA (1) ZA2005041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6906B2 (en) 2000-01-26 2005-03-15 International Paper Company Cut resistant paper and paper artic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786181B2 (en) 2005-12-21 2010-08-31 Akzo Nobel N.V. Chemical composition and process
US8388809B2 (en) 2006-02-10 2013-03-05 Akzo Nobel N.V. Microspheres
US7956096B2 (en) 2006-02-10 2011-06-07 Akzo Nobel N.V. Microspheres
US8382945B2 (en) 2008-08-28 2013-02-26 International Paper Company Expandable microspher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9333685B2 (en) 2012-04-19 2016-05-10 Akzo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Apparatus and system for expanding expandable polymeric microspheres
US9150452B2 (en) 2012-04-19 2015-10-06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Method for manufacturing a cementitious composition
WO2013160717A1 (en) 2012-04-27 2013-10-31 Sa Des Eaux Minerales D'evian Saeme Article comprising foamed polylactic acid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WO2013178561A2 (en) 2012-05-30 2013-12-05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Microspheres
WO2014037361A1 (en) * 2012-09-07 2014-03-13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A method and a device for preparation of expanded thermoplastic microspheres
CN103029257B (zh) * 2012-12-21 2014-11-26 杭州富阳东山塑料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发料机的刮刀稳料装置
KR102247942B1 (ko) * 2013-06-12 2021-05-04 누리온 케미칼즈 인터내셔널 비.브이. 팽창된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 방법 및 장치
US10640422B2 (en) 2013-12-06 2020-05-05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Method of manufacturing cementitious compositions
PT3230224T (pt) * 2014-12-11 2019-01-24 Akzo Nobel Chemicals Int Bv Aparelho e método para expandir microsferas termoplásticas expansíveis termicamente em microsferas termoplásticas expandidas
KR102216453B1 (ko) 2016-07-14 2021-02-17 누리온 케미칼즈 인터내셔널 비.브이. 열팽창성 열가소성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 방법
CA3043024A1 (en) * 2016-11-11 2018-05-17 Lauren A. TRAHAN Process for expanding expandable polymeric microspheres
CN111194239B (zh) 2017-09-04 2021-09-21 诺力昂化学品国际有限公司 由生物基单体制成的热膨胀性微球
EP3713664B1 (en) 2017-11-21 2022-01-05 Nouryon Chemicals International B.V.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prepared from bio-based monomers
ES2938007T3 (es) 2018-11-13 2023-04-03 Nouryon Chemicals Int Bv Microesferas a base de celulosa térmicamente expandibles
KR102659108B1 (ko) 2019-01-25 2024-04-18 누리온 케미칼즈 인터내셔널 비.브이. 디알코올 셀룰로스계 구형 캡슐
CN110715538A (zh) * 2019-11-15 2020-01-21 快思瑞科技(上海)有限公司 可膨胀微球干燥系统和方法
CN110860260A (zh) * 2019-12-23 2020-03-06 快思瑞科技(上海)有限公司 超轻质材料连续制备系统和方法
EP4126334A1 (en) 2020-04-03 2023-02-08 Nouryon Chemicals International B.V.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prepared from bio-based monomers
US20230148347A1 (en) 2020-04-03 2023-05-11 Nouryon Chemicals International B.V. Thermally expandable microspheres prepared from bio-based monomers
BR112022021299A2 (pt) 2020-05-20 2022-12-06 Nouryon Chemicals Int Bv Microesferas termicamente expansíveis e processo de preparo de microesferas termicamente expansíveis
CN111688097B (zh) * 2020-06-29 2021-09-10 鹤山市盛世光华隔热材料有限公司 一种提高发泡塑料材料质量的方法
KR20230145463A (ko) 2021-02-22 2023-10-17 누리온 케미칼즈 인터내셔널 비.브이. 열 팽창식 셀룰로오스계 미소구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9106A (en) * 1981-01-09 1983-04-05 Bussey Harry Jun Method of expanding heat expandable thermoplastic elements with steam and a horizontal expander with a feed near the bottom for expanding the heat expandable element
WO1992020465A1 (en) * 1991-05-24 1992-11-26 Pierce & Stevens Corporation Process for drying microspher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5413A (de) * 1971-07-01 1973-03-31 Luwa Ag Vorrichtung zum Trocknen eines fliessfähigen Stoffes
US3804378A (en) * 1971-12-16 1974-04-16 Mac Millan Bloedel Container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expanded polymer material
JPS55137928A (en) * 1979-04-16 1980-10-2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liminarily foaming particle of foamable thermoplastic resin
US5228775A (en) * 1989-05-04 1993-07-20 Blentech Corporation Reversing blender agitators
FR2699089B1 (fr) * 1992-12-14 1995-06-16 Flurial Sa Dispositif de filtrage auto-nettoyant pour fluides renfermant des particules solides.
GB2389332A (en) * 2001-03-29 2003-12-10 Dong-Hee Kim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amed thermoplastic resin pellet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9106A (en) * 1981-01-09 1983-04-05 Bussey Harry Jun Method of expanding heat expandable thermoplastic elements with steam and a horizontal expander with a feed near the bottom for expanding the heat expandable element
WO1992020465A1 (en) * 1991-05-24 1992-11-26 Pierce & Stevens Corporation Process for drying microsphe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53527D0 (no) 2005-07-18
EP1572432B1 (en) 2010-06-09
AU2003288874B2 (en) 2006-09-14
CN1729087A (zh) 2006-02-01
SI1572432T1 (sl) 2010-10-29
CA2510024C (en) 2008-12-02
DK1572432T3 (da) 2010-10-11
NO20053527L (no) 2005-09-20
ATE470549T1 (de) 2010-06-15
EP1572432A1 (en) 2005-09-14
BRPI0317486B1 (pt) 2016-08-23
CN100429061C (zh) 2008-10-29
KR20050086905A (ko) 2005-08-30
WO2004056549A1 (en) 2004-07-08
PL207926B1 (pl) 2011-02-28
ES2347143T3 (es) 2010-10-26
JP2006511360A (ja) 2006-04-06
ZA200504161B (en) 2006-08-30
RU2005122926A (ru) 2006-02-27
PT1572432E (pt) 2010-09-03
PL375898A1 (en) 2005-12-12
BR0317486A (pt) 2005-11-16
RU2301739C2 (ru) 2007-06-27
ECSP055882A (es) 2005-09-20
UA78636C2 (en) 2007-04-10
MXPA05005875A (es) 2005-08-29
JP4474285B2 (ja) 2010-06-02
AU2003288874A1 (en) 2004-07-14
CA2510024A1 (en) 2004-07-08
DE60332955D1 (de)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379B1 (ko) 사전 팽창 열가소성 미소구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70043130A1 (en) Method and expansion device for preparing expanded microspheres
PT1711397E (pt) Dispositivo de células de combustível de submarino, especialmente para um segmento de um submarino passível de ser instalado posteriormente
KR101278410B1 (ko) 중공 마이크로스피어의 제조 방법 및 다공질 세라믹 성형체의 제조 방법
JP3659497B2 (ja) 化学製品及び方法
KR101117521B1 (ko) 열팽창한 미소구, 그 제조방법, 열팽창성 미소구 및 용도
JP6208338B2 (ja) 膨張したマイクロスフィア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H0649260A (ja) 熱可塑性微小球、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使用
RU26967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расширения термически расширяемых термопластических микросфер до расширенных термопластических микросфер
EP2892702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preparation of expanded thermoplastic microspheres
JP5150509B2 (ja) 化学組成物及び方法
US201802656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panding Thermally Expandable Thermoplastic Microspheres to Expanded Thermoplastic Microspheres
JP2021523248A (ja) 膨張したマイクロスフェアの調製のための装置
JP2001501988A (ja) 超吸収材料を有する支持体、それ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
JP2005023252A (ja) 再生発泡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再生発泡ビーズ及び再生発泡スチレン系樹脂成形品
TW201632257A (zh) 用於將熱可膨脹的熱塑性微球體膨脹成經膨脹的熱塑性微球體之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