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72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721B1
KR100763721B1 KR1020060006191A KR20060006191A KR100763721B1 KR 100763721 B1 KR100763721 B1 KR 100763721B1 KR 1020060006191 A KR1020060006191 A KR 1020060006191A KR 20060006191 A KR20060006191 A KR 20060006191A KR 100763721 B1 KR100763721 B1 KR 10076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connector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281A (ko
Inventor
요시노부 헴미
히로타다 테라니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 작업이 용이한 중계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하우징(20)에 마련한 제 2 오목부(22d)에 결합 가능한 가고정용 돌기부를 갖는 조작 레버(60)와, 상기 하우징(20) 내에 부착됨과 함께, 상기 조작 레버(60)에 의해 조작 가능한 가고정용 가동 폴(53a)을 마련하고, 상기 조작 레버(60)의 가고정용 돌기부(66)가 상기 하우징(20)의 제 2 요철부(22d)에 결합한 때에, 상기 가고정용 가동 폴(53a)이 상기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일단부(72)에 마련한 가고정용 노치부(75)에 결합하는 가고정 금구(50)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에 도시한 제 1 실시 형태의 평면도, B-B선 단면도 및 C-C선 단면도.
도 3은 도 2C의 부분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하우징 단체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제 1 접촉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제 2 접촉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가고정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조작 레버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백 로크 형식으로 접속되는 FPC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는 프런트 로크 형식으로 접속되는 FPC를 도시한 이면 사시도, 표면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액추에이터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제 1 실시 형태 관한 액추에이터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조작 전을 도시한 평면도, B-B선 단면도 및 C-C선 단면도.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조작 도중을 도시한 평면도, B-B선 단면도 및 C-C선 단면도.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조작 도중을 도시한 평면도, B-B선 단면도 및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계용 커넥터
11 : 백 로크식 커넥터
20 : 하우징
21 : 하우징 본체
21a, 21b : 개구부
22 : 암부
22a : 테이퍼면
22b : 축받이부
22c, 22d, 22e : 제 1, 제 2, 제 3 오목부
23 : 받이부
24, 25, 26 : 압입 홈
27 : 상단부
28 : 하단부
30 : 제 1 접촉자
31 : 연결부
32 : 상변부
32a : 결합 폴
32b : 지점부
33a : 제 1 능동 접점
33b : 제 2 능동 접점
34a : 수동 접점
34b : 계지용 돌기
40 : 제 2 접촉자
41 : 연결부
42 : 상변부
42a : 계지 폴
42b : 결합 폴
43 : 하변부
43a : 제 1 능동 접점
43b : 제 2 능동 접점
44a : 수동 접점
44b : 계지용 돌기
44c : 압입용 돌기
50 : 가고정 금구
51 : 연결부
52 : 상변부
52a : 계지 폴
52b : 결합 폴
53 : 하변부
53a : 가동 폴
53b : 조작부
54a : 계지용 돌기
60 : 조작 레버
61 : 레버 본체
62 : 연재부
63, 64 : 슬릿
65 : 회동축
66 : 가고정용 돌기부
67 : 가압부
67a : 압접용 리브
68 : 결합 폴부
70 : 제 1 FPC
71 : 보강 시트
72 : 선단부
73, 74 : 접속 패드
75 : 가고정용 노치부
80 : 제 2 FPC
81 : 보강 시트
82 : 선단부
83, 84 : 접속 패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커넥터, 특히, 2장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하, 「FPC」라고 한다)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 제로 인서션 포스(ZIF) 구조를 구비한 중계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FPC를 위한 ZIF 구조를 구비한 중계용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하우징(9)에 제 1, 제 2의 플렉시블 기판(3, 4)을 삽입하여 위치 결정한 후, 슬라이드 커버(25)를 슬라이드시킴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기판(3, 4)을 콘택트(11)의 양단부(17, 19)에 소정의 접촉압으로 각각 탄성 접촉시키고, 상기 제 1, 제 2의 플렉시 블 기판(3, 4)을 상호 전기 접속하는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평9-199241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중계용 커넥터(1)를 통하여 제 1, 제 2의 플렉시블 기판(3, 4)을 상호 전기 접속하는 경우, 하우징(9)이 대향하는 개구부에 2장의 플렉시블 기판(3, 4)을 각각 삽입한 후, 슬라이드 커버(25)를 슬라이드시켜서 플렉시블 기판(3, 4)을 상호 전기 접속하기까지의 동안, 하우징(9) 및 2장의 플렉시블 기판(3, 4)을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면서, 지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2장의 플렉시블 기판(3, 4)의 접속 작업은 수고가 들고, 용이하지가 않다. 특히, 중계용 커넥터(1)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하우징(9) 및 플렉시블 기판(3, 4)도 소형화할 필요가 있고, 접속 작업이 보다 한층 곤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접속 작업이 용이한 중계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의 대향하는 개구부로부터 제 1, 제 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한 조작 레버를 조작함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한 접촉자를 통하여 상기 제 1, 제 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상호 전기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마련한 가고정 받이부에 결합 가능한 가고정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삽입하는 개구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부착됨과 함께,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해 조작 가능한 가고정용 가동 폴을 가지며, 상기 조작 레버의 가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가고정 받이부에 결합한 때에, 상기 가고정용 가동 폴이 상기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에 마련한 가고정용 받이부에 결합하는 가고정 금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 및 가고정 금구를 통하여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하우징에 가고정한 후, 제 2 플렉시블 기판을 하우징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접촉자에 돌설한 수동 접점과, 상기 수동 접점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수동 접점측으로 가세되는 제 1 능동 접점으로,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를 끼워 지지하고, 전기 접속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속 패드를 제 1 능동 접점과 수동 접점으로 끼워 지지하기 때문에, 접촉 불량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단부의 상하면의 어느 하나의 면에 접속 패드를 마련한 FPC라 하더라도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게 되고, 범용성을 갖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접촉자로부터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재된 수동 접점과, 상기 수동 접점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수동 접점측으로 가세되는 제 1 능동 접점으로,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를 끼워 지지하고, 전기 접속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수동 접점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접촉자로부터 연재하고 있기 때문에, 수동 접점이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의 편차를 흡수, 완화하고, 외력에 의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변위에 추종하여, 보다 한층 접촉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5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용 커넥터(10)에 적용한 경우로서, 하우징(20)과, 제 1, 제 2 접촉자(30, 40)와, 가고정 금구(50)와, 조작 레버(60)와, 제 1, 제 2 FPC(70, 8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의 대향하는 정면 및 배면에 상호 연통하는 개구부(21a, 21b)를 각각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대향하는 양측면에서 암부(22, 22)를 평행하게 각각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21)의 배면측중, 하측방향 테두리부로부터 연재한 받이부(23)에, 후술하는 제 1, 제 2 접촉자(30, 40)를 압입하기 위한 압입 홈(24, 25)을 소정의 피치로 교대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양단에 위치하는 상기 압입 홈(24, 24)의 외측에는, 가고정 금구(50)를 압입하기 위한 압입 홈(26, 26)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부(22)는, 그 중 내향면의 상단부에 테이퍼면(22a) 및 축받이부(22b)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내향면의 하단부중, 상기 테이퍼면(22a)의 직하에 제 1 오목부(22c)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축받이부(22b)의 직하에 제 2 오목부(22d)가 있다. 계속해서, 상기 축받이부(22b) 및 제 2 오목부(22d)의 속측(奧側)에는, 제 3 오목부(22e)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정면측의 개구부(21a)로부터 상기 압입 홈(24, 25, 26)의 단부를 육안으로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정면측의 양측 테두리부로부터 상단부(27) 및 하단부(28)를 측방향으로 각각 돌설함에 의해, 후술하는 제 1 FPC(70)를 삽입할 수 있는 슬릿(21c)이 형성되어 있다. 단, 상기 상단부(27)보다도 상기 하단부(28)가 외측방향으로 밀려나와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1a)의 속측에는, 도 3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한 제 1 FPC(70)의 선단부가 맞닿는 위치 결정부(21d)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촉자(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대략 H자 형상을 갖는 도전성 판스프링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연결부(31)의 상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상변부(32)를 연재하고 있는 한편, 그 하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하변부(33)를 연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변부(32)의 일단측에 결합 폴(32a)을 형성하고 있는 한편, 타단측에 지점부(32b)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변부(33)의 일단측에는 제 1 능동 접점(33a)을 마련하고 있는 한편, 타단측에는 제 2 능동 접점(33b)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변부(32)의 하변 테두리부중, 상기 연결부(31)의 상단부 부근으로부터 수동 접점(34a)이 상기 제 1 능동 접점(33a)에 대향하도록 연재하고 있음과 함께, 계지용 돌기(34b)가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점부(32b)의 부근에는 압입용 돌기(34c)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접촉자(30)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 마련한 압입 홈(24)에 개구부(21a)측으로부터 압입함에 의해, 계지용 돌기 (34b)가 하우징의 내부에 계지함과 함께, 상기 결합 폴(32a)이 상기 개구부(21a)의 상측방향 테두리부에 결합하여 빠짐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제 1 접촉자(30)의 하변부(33)는 연결부(31)에 매달리고, 하우징(20)에 접촉하지 않는다.
제 2 접촉자(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대략 H자 형상을 갖는 도전성 판스프링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연결부(41)의 상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상변부(42)를 연재하고 있는 한편, 그 하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하변부(43)를 연재하고 있다. 상기 상변부(42)의 일단측에 계지 폴(42a)을 형성하고 있는 한편, 타단측에 결합 폴(42b) 및 지점부(42c)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변부(43)의 일단측에는 제 1 능동 접점(43a)을 마련하고 있는 한편, 타단측에는 제 2 능동 접점(43b)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변부(42)의 하변 테두리부중, 상기 연결부(41)의 상단부 부근으로부터 수동 접점(44a)이 상기 제 1 능동 접점(43a)에 대향하도록 연재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수동 접점(44a)의 기부에 계지용 돌기(44b)가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변부(42)의 상기 연결부(41)의 부근에 압입용 돌기(44c)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접촉자(4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 마련한 압입 홈(25)에 개구부(21b)로부터 압입함에 의해, 계지 폴(42a) 및 계지용 돌기(44b)가 하우징(20)의 내부에 계지함과 함께, 상기 결합 폴(42b)이 개구부(21a)의 상측방향 테두리부에 결합하여 빠짐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제 2 접촉자(40)의 하변부(43)는 연결부(41)에 매달리고, 하우징(20)에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도 2B, 2C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 상기 제 1, 제 2 접촉자(30, 40)를 각각 조립함에 의해, 제 1 접촉자(30)의 수동 접점(34a) 및 제 1 능동 접점(33a)이, 제 2 접촉자(40)의 수동 접점(44a) 및 제 1 능동 접점(43a)보다도 하우징(20)의 속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제 2 접촉자(30, 40)는 후술하는 제 1 FPC(70)에 각각 다른 위치에서 전기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제 1 접촉자(30)의 제 2 능동 접점(33b)이, 제 2 접촉자(40)의 제 2 능동 접점(43b)보다도 하우징(20)의 속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제 2 접촉자(30, 40)는 후술하는 제 2 FPC(80)에 각각 다른 위치에서 전기 접속된다.
가고정 금구(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대략 H자 형상을 갖는 판스프링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연결부(51)의 상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상변부(52)를 연재하고 있는 한편, 그 하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하변부(53)를 연재하고 있다. 상기 상변부(52)의 일단측에 계지 폴(52a)을 형성하고 있는 한편, 타단측에 결합 폴(52b)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변부(53)의 일단측에는 가동 폴(53a)을 마련하고 있는 한편, 타단측에는 조작부(53b)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변부(52)의 하변 테두리부중, 상기 연결부(51)의 상단부 부근에 계지용 돌기(54a)가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고정 금구(50)는,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 마련한 압입 홈(26)에 압입함에 의해, 계지 폴(52a) 및 계지용 돌기(54a)가 하우징(20)의 내부에 계지함과 함께, 상기 결합 폴(52b)이 개구부(21b)의 상측방향 테두리부에 결합하여 빠짐 방지된다. 이때, 상기 가고정 금구(50)의 하변부(53)는 연결부(51)에 매달리고, 하우징(20)에 접촉하지 않는다.
조작 레버(6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본체(61)의 양측단부로부터 연재부(62, 62)를 각각 연재하고 있다. 상기 레버 본체(61)에는, 소정의 피치로 슬릿(63, 64)이 교대로 병설되어 있다. 상기 슬릿(63, 64) 내에는, 상기 제 1, 제 2 접촉자(30, 40)의 지점부(32b, 42c)에 압접하는 조작부(63a, 64a)(도 2B, 2C)를 걸쳐놓도록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연재부(62)의 외향면에는, 회동축(65)이 동일 축심상에 각각 돌설되어 있음과 함께, 가고정용 돌기부(66)가 동일 축심상에 각각 돌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재부(62)의 내향면에는, 가압부(67)가 각각 돌설되고, 상기 가압부(67)의 외주면에는 압접용 리브(67a)(도 8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재부(62)의 바깥둘레부에는, 결합 폴부(68)가 각각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60)는, 상기 회동축(65)을 상기 하우징(20)의 테이퍼면(22a)에 따라 압입하고, 상기 암부(22)를 탄성 변형시킴에 의해, 상기 회동축(65)을 축받이부(22b)에 감합함과 함께, 상기 가고정용 돌기부(66)를 상기 하우징(20)의 제 1 오목부(22c)에 감합한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0)를 쓰러뜨림에 의해, 회동축(65)을 중심으로 하여, 가고정용 돌기부(66)가 제 1, 제 2, 제 3 오목부(22c, 22d, 22e)에 순차적으로, 결합함과 함께, 결합 폴부(68)가 하우징(20)의 제 1 오목부(22c)에 결합함에 의해, 로크 상태로 된다.
제 1 FPC(7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의 조립 작업 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수지 필름의 일단부의 하면에 보강 시트(71)를 덧붙여서, 절곡되지 않는 선단부(7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72)의 윗면에는 2종류의 접속 패드(73, 74)를 소정의 피치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교대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FPC는, 그 선단부(72)의 양측에 가고정용 노치부(75)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제 2 FPC(8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수지 필름의 일단부의 윗면에 보강 시트(81)를 덧붙이고, 절곡되지 않는 선단부(8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선단부(82)의 하면에는 2종류의 접속 패드(83, 84)를 소정의 피치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마련하고 있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중계용 콘택트(10)에 제 1, 제 2 FPC(70, 80)를 접속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0)의 가고정용 돌기부(66)가 제 1 오목부(22c)에 결합하여 있음과 함께, 조작부(63a, 64a)가 제 1, 제 2 접촉자(30, 40)의 지점부(42c, 32b)에 압접함에 의해, 덜커덕거림 없이 지지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개구부(21a) 및 슬릿(21c)으로부터 제 1 FPC(70)의 선단부(72)를 삽입하고, 하우징(20) 내의 위치 결정부(21d)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60)를 거의 수직으로 일으키면, 회동축부(65)를 지점으로 상기 조작 레버(60)가 회동하고, 가고정용 돌기부(66)가 제 2 오목부(22d)에 결합함과 함께, 상기 조작 레버(60)의 가압부(67)가 가고정 금 구(50)의 조작부(53b)를 압하한다. 이 때문에, 가고정 금구(50)의 하변부(53)가 연결부(51)의 하단부를 지점으로 회동하고, 가동 폴(53a)이 제 1 FPC(70)의 노치부(75)에 계지함에 의해, 제 1 FPC(70)가 가고정된다. 이때, 조작 레버(60)의 가고정용 돌기부(66)가 제 2 오목부(22d)에 결합하여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60)가 자동 복귀하지 않고, 제 1 FPC(70)가 탈락하는 일도 없다.
계속해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FPC(80)를 하우징(20)의 개구부(21b)로부터 삽입한 후, 조작 레버(60)를 완전히 쓰러뜨리면, 가고정용 돌기부(66)가 제 3 오목부(22e)에 감합함과 함께, 결합 폴부(68)가 제 1 오목부(22c)에 결합한다. 이 때문에, 도 2B,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60)의 레버 본체(61)가 제 2 FPC(80)를 통하여 제 1, 제 2 접촉자(30, 40)의 제 2 능동 접점(33b, 43b)을 압하한다. 이 결과, 제 2 FPC(80)의 접속 패드(83, 84)와 제 1, 제 2 접촉자(30, 40)의 제 2 능동 접점(33b, 43b)이 각각 전기 접속한다. 또한, 제 1, 제 2 접촉자(30, 40)의 하변부(33, 43)가 연결부(31, 41)의 하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각각 회동하고, 제 1 접촉자(30)의 수동 접점(34a)과 제 1 능동 접점(33a)이 제 1 FPC(70)의 접속 패드(73)를 끼워 지지하고 전기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접촉자(40)의 수동 접점(44a)과 제 1 능동 접점(43a)이 제 1 FPC(70)의 접속 패드(74)를 끼워 지지하여 전기 접속하고, 접속 작업이 완료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우징(20)에 제 1 FPC(70)를 가고정한 후, 하우징(20)에 제 2 FPC(80)를 조립하여 전기 접속할 수 있고, 하우징(20)에 제 1, 제 2 FPC(70, 80)를 동시에 위치 결정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제 1, 제 2 FPC(70, 80)의 접속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2B,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FPC(70)를 하우징(20)의 상단부(27)에 따라 끌어올린 경우에는, 상기 제 1 FPC(70)의 하우징(20)에 삽입한 선단부(72)가 견고한 판형상체이고, 하우징(20)의 위치 결정부(21d)를 지점으로 하여 경사하고, 개구부(21a)의 상측방향 테두리부에 맞닿는다. 그러나, 제 1 FPC(70)의 접속 패드(73, 74)가 제 1, 제 2 접촉자(30, 40)의 수동 접점(34a, 34a)에 의해 강하게 압접하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또한, 제 1, 제 2 접촉자(30, 40)의 제 1 능동 접점(33a, 43a)은 상방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현저하게 접점압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한편, 제 1 FPC(70)를 하우징(20)의 하단부(28)에 따라 끌어내린 경우에는, 하우징(20)의 하단부(28)가 상단부(27)보다도 밀려나와 있다. 이 때문에, 제 1 FPC(70)의 하우징(20) 내로 삽입된 선단부(72)가 강하게 위치 규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제 1 FPC(70)의 접속 패드(73, 74)에 대한 제 1, 제 2 접촉자(30, 40)의 수동 접점(33a, 43a) 및 제 1 능동 접점(33a, 43a)의 접점압이 각각 현저하게 저하되는 일이 없고, 접촉 신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특히, 제 1, 제 2 접촉자(30, 40)의 제 1 능동 접점(33a, 43a)은 상방으로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현저한 접점압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동 접점(34a, 44a)은 약간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1 FPC(70)가 상하로 회전되어도, 그 접점 패드(73, 74)가 제 1, 제 2 접촉자(30, 40)의 수동 접점(33a, 43a) 및 제 1 능동 접점(34a, 44a)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선단부의 하면에 접속 패드를 마련한 FPC(도시 생략)를 접속하여도, 접촉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접속의 자유도가 큰 범용성에 우수한 중계 커넥터(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단부(28)가 상단부(27)보다도 밀려나와 있기 때문에, 제 1 FPC(70)를 하우징(20)에 삽입할 때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지고, 접속 작업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전술한 중계용 커넥터 이외의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 및 가고정 금구를 통하여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하우징에 가고정한 후, 제 2 플렉시블 기판을 하우징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접촉자에 돌설한 수동 접점과, 상기 수동 접점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수동 접점측으로 가세되는 제 1 능동 접점으로,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를 끼워 지지하고, 전기 접속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접속 패드를 제 1 능동 접점과 수동 접점으로 끼워 지지하기 때문에, 접촉 불량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단부의 상하면의 어느 하나의 면에 접속 패드를 마련한 FPC라 하더라도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게 되고, 범용성을 갖는 커넥터를 얻 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접촉자로부터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재된 수동 접점과, 상기 수동 접점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수동 접점측으로 가세되는 제 1 능동 접점으로,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를 끼워 지지하고, 전기 접속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수동 접점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접촉자로부터 연재하고 있기 때문에, 수동 접점이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의 편차를 흡수, 완화하고, 외력에 의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변위에 추종하여, 보다 한층 접촉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우징의 대향하는 개구부로부터 제 1, 제 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한 조작 레버를 조작함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한 접촉자를 통하여 상기 제 1, 제 2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상호 전기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마련한 가고정 받이부에 결합 가능한 가고정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삽입하는 개구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와,
    상기 하우징 내에 부착됨과 함께,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해 조작 가능한 가고정용 가동 폴을 가지며, 상기 조작 레버의 가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의 가고정 받이부에 결합한 때에, 상기 가고정용 가동 폴이 상기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에 마련한 가고정용 받이부에 결합하는 가고정 금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접촉자에 돌설한 수동 접점과, 상기 수동 접점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수동 접점측으로 가세되는 제 1 능동 접점으로,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를 끼워 지지하고, 전기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접촉자로부터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재된 수동 접점과, 상기 수동 접점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수동 접점측으로 가세되는 제 1 능동 접점으로, 제 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단부를 끼워 지지하고, 전기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60006191A 2005-01-26 2006-01-20 커넥터 KR100763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18323A JP4595559B2 (ja) 2005-01-26 2005-01-26 コネクタ
JPJP-P-2005-00018323 2005-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281A KR20060086281A (ko) 2006-07-31
KR100763721B1 true KR100763721B1 (ko) 2007-10-04

Family

ID=3691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191A KR100763721B1 (ko) 2005-01-26 2006-01-20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95559B2 (ko)
KR (1) KR100763721B1 (ko)
CN (1) CN100407502C (ko)
TW (1) TWI2864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1321B2 (ja) * 2006-12-07 2012-06-1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59468B2 (ja) * 2015-02-09 2018-07-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1095075B2 (en) * 2019-01-17 2021-08-17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Electrical device with a plug connector having a flexible s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955A (ko) * 2001-02-22 2002-08-28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20040004053A (ko) * 2002-07-01 2004-01-13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9616B2 (ja) * 1995-12-28 2003-06-23 Smk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913156B2 (ja) * 1996-02-21 1999-06-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JP3101951B2 (ja) * 1997-01-24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3075707B2 (ja) * 1997-12-24 2000-08-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00030784A (ja) * 1998-05-08 2000-01-2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電気コネクタ
JP2000173729A (ja) * 1998-12-07 2000-06-2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152083B2 (ja) * 2001-02-22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484659B2 (ja) * 2001-03-09 2004-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071160A (ja) * 2002-08-01 2004-03-04 D D K Ltd コネクタ
JP4073766B2 (ja) * 2002-11-27 2008-04-09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00624B2 (ja) * 2002-12-25 2008-06-1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955A (ko) * 2001-02-22 2002-08-28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20040004053A (ko) * 2002-07-01 2004-01-13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86406B (en) 2007-09-01
TW200642181A (en) 2006-12-01
JP4595559B2 (ja) 2010-12-08
JP2006210048A (ja) 2006-08-10
CN100407502C (zh) 2008-07-30
KR20060086281A (ko) 2006-07-31
CN1819346A (zh)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462B1 (ko) 커넥터
JP4858249B2 (ja) コネクタ
JP4708001B2 (ja) コネクタ
KR100763722B1 (ko) 커넥터
JP5029151B2 (ja) コネクタ
US7833041B2 (en) Connector wit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4992707B2 (ja) コネクタ
JP4692079B2 (ja) コネクタ
KR101204164B1 (ko) 커넥터
JP4626680B2 (ja) 保持部材、電子部品、及び電子装置
KR101030655B1 (ko) 커넥터
JP4735285B2 (ja) コネクタ
KR100763721B1 (ko) 커넥터
KR101004474B1 (ko) 커넥터용 접속단자
KR100922673B1 (ko) 커넥터
JP6887666B2 (ja) 電気コネクタ
JP5293688B2 (ja) 保持部材
US20090269946A1 (en) Connector
KR100739934B1 (ko) 커넥터
JP2000299152A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KR20090113188A (ko) 커넥터
JP200408682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2